부산진구

덤프버전 :






부산광역시자치구


파일:부산진구 CI.svg

부산진구
釜山鎭區
Busanjin-gu





구청 소재지
시민공원로 30 (부암동)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20[1]
면적
29.67㎢
인구
359,329명[2]
인구밀도
11,829.35명/㎢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영욱 (초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9석[3]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9석[4]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석[5]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서병수 (5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헌승 (3선)
상징
구화
철쭉
구목
배롱나무
구조
까치
구가
부산진구의 노래
지역번호
05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
2. 상징
3. 역사
4. 지역 특징
4.1. 줄임말
5. 인구
5.1. 행정동별 인구
6. 교통
6.1. 관내 철도역 목록
7. 경제
7.1. 금융
8. 교육
9. 의료기관
11. 하위 행정구역
11.1. 부전1동, 부전2동[6]
12.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13.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중부에 위치한 자치구.

구의 이름은 조선시대 설치된 부산진성(釜山鎭城)에서 따왔다. 하지만 부산진성터나 부산진역, 부산진시장 등은 모두 동구에 있다.[7] 부산에 구가 생길 때부터 쭉 동구에 있었다. 동래군 서면이 일제강점기인 1936년에 부산부의 일부가 되면서 부산진출장소가 설치되었다가, 1957년 구제를 실시하면서 부산진구가 되었다고 하는데, 대체 왜 부산진이 있지도 않은 곳에 부산진이라는 이름을 붙였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줄여서 진구라고도 부르고 '진구청'이라는 항목을 지도에서 찾을 때도 있고 유동잡지나 포스터 통신문 같은 데 보면 약칭으로 쓰인다.[8] 하지만 부산진구를 '진구'라 부르는 것은 마치 해운대구를 '대구'로, 서울 노량진동을 '진동'으로 약칭하는 것과 같은 오류이므로 공식적 표기는 '부산진구'가 맞다.[9]

현재 부산의 지리적, 문화적 중심지이다. 부산 최대의 상권 서면이 이 구의 가운데에 있다. 과거의 중심지였던 중구 남포동 일대는 콩라인[10]+관광지에 가까우며, 근래 새롭게 떠오른 동래권이나 해운대권도 전체적으로 서면에게 크게 밀린다.


2. 상징[편집]


부산진구의 CI
파일:부산진구 CI.svg
부산진구가 추구하는 도시 비전과, 우리 구 구성원의 심상을 두 가지 컬러로 함축하여, Blue는 신뢰·지성·청렴·발전을 나타내며 사람 중심 행정을 펼치는 부산진구가 만들어갈 건전한 도시 정신을 상징합니다. Red는 역동·선의·젊음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부산진구 구성원의 올곧고 선한 마음과 타오르는 열정, 그리고 끊임없는 도전 정신을 나타냅니다. 근데 미국 펜케이크 체인의 로고하고 너무 닮았다

[ 역대 CI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33%><colbgcolor=#ffffff,#1f2023> 파일:부산진구 CI(1997-2020).svg
1997년 ~ 2020년 || 언 20년 넘게 사용해서 하수구 뚜껑이나 난간에서 발견할 수 있다. ||


부산진구의 브랜드 슬로건
파일:부산진구 BI.svg
함께하는 어울림이 있는 도시, 사람과 함께하는 도시, 자연과 함께하는 도시, 문화와 함께하는 도시, 부산진구의 새로운 슬로건 with busnjin은 모든 것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친근하고 유연한 부산진구의 이미지를 담으며, 소외받는 사람과 지역 없이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도시의 미래상을 반영합니다.

부산진구의 상징물
구목
배롱나무
낙엽활엽소교목으로 풍요, 화합, 끈질긴 생명력을 상징하며, 양정동 화지산의 배롱나무가 전국의 배롱나무 중 유일하게 천연기념물(제168호)로 지정되어 부산진구의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대표하는 나무이다.
구화
철쭉
은근·끈기·풍요를 상징하며 대중성이 높고 많은 꽃들이 모여 화사한 자태를 이루어 화합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부산진구를 대표하는 백양산에 철쭉 군락을 조성하고 있어 작은 음악회 등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고 있으며, 부산진구는 대표축제로서 백양산 철쭉제를 개최하고 있다.
구조
까치
한국의 전통적인 텃새로서 희망을 상징하는 길조이다. 우리고장 어느 곳이나 널리 서식하고 있으며, 나뭇가지 끝에 집을 지어 먼 곳을 내다보는 미래 지향적인 새이다.


3. 역사[편집]


파일:attachment/부산진구/jeedo.jpg
▲ 1963년 직할시 승격 당시의 지도. 옆 동네와 함께 크고 아름다웠던 부산진구 영역. 그러나 지금은 지도에서 보이다시피 산으로 나뉜 북구 떨어지고, 사상구 떨어지고, 남구 떨어지고 중심부밖에 안 남았다.

부산진구를 가리키는 옛 명칭은 동평이었고 이는 신라 경덕왕동래군의 영현으로 이곳에 설치한 동평현에서 유래하는 오래된 지명이다. 정확히는 동구 범천동과 범일동, 좌천동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을 포괄하였는데 현재는 부산진구 당감동부암동 일부만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1914년 부산부가 동래군부산부로 나뉠 때 동래군 서면에 속했다가 1936년 부산부에 편입되었다. 1957년 부산시에 구(區)제가 실시되면서 설치된 6개 구 중 하나로 부산진구가 설치되었으며, 1959년 동구 범일동 일부를 편입하여 범천동을 신설하고, 1963년 동래군 구포읍과 사상면을 편입하였다. 이 때의 부산진구는 지금의 남구, 북구, 사상구 지역까지 관할하던 매우 넓은 구였다. 그러다가 1975년에 남구, 1978년에 지금의 사상구 부분을 포함한 북구를 분리시켰다.


4. 지역 특징[편집]


부산 최대의 상권인 서면이 여기 속하는데 서면이라는 지명은 부산진구 일대의 행정구역이 과거 동래군 서면이었던 것에서 유래한다. 1936년 서면이 부산부에 편입되면서 현재는 서면이라는 행정구역은 없으나 여전히 널리 쓰이는 지명이다. 부산 도시철도가 2호선까지 밖에 없을 시절에 유일한 환승역인 서면역의 소재지이기도 하다. 그러니 부산 현지인들이 서면이라고 하면 서면교차로 근처 일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정확히 정해진 곳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부전동과 전포동 일대 상가 밀집 지역을 가리킨다.

서면 인접 지역은 서면의 배후지 성격이 강하고 부분적으로 슬럼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특징적인 산동네가 2군데 있는데, 엄광산 자락을 타고 서쪽으로 사상구 주례동, 동쪽으로 동구 범일동까지 이어지는 가야동 및 범천동 산동네와, 황령산 자락의 양정동 및 전포동 산동네가 그것이다. 구 전반적으로 8, 90년대 많이 들어서기 시작한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주택가가 혼재되어 있다. 심지어 산동네에도 노후주택가와 일반주택가,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섞여있는 부산 특유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렇다 보니 부산 시민들에게 주거지로써 부산진구의 이미지는 그렇게 좋지 못하였으나, 2017년 들어 본격적으로 전포동, 개금동, 가야동, 양정동 일대에 재개발이 진행되며 대단지 아파트들이 대거 건설되었고 연지동 일대의 부산시민공원 주변은 초고층 아파트 단지들이 건설될 예정이라 신흥 주거지로 떠오르고 있다.

부산 내에서 비교적 노인 인구도 높은 편이라 어린이대공원 일대와 부전시장 일대에서 나이 지긋한 양반들을 많이 볼 수 있으며 대부분 지역 주민이다. 서면에 놀러가는 젊은 사람들은 상당 부분이 다른 지역에서 놀러온 유동인구인 것과 대조된다.

부산 밀면의 양대산맥인 가야밀면과 개금밀면이 모두 이 구에 위치하고 있다.


4.1. 줄임말[편집]


부산 사람들은 줄여서 흔히 '진구(鎭區)'라고 더 많이 부른다. 예를 들면 부산진구에 거주하는 사람이 자기 집 주소를 쓸 때 부산(광역)시 진구 XXX로 YYY'[11] 식으로 적거나 부산 진구 XXX로 YYY[12]로 쓰기도 하고 부산진역, 부산진경찰서진역, 진경찰서로 줄여 부른다. 하지만 부산진구 측에서는 잘못된 표현으로 간주하고 바로잡기에 나서고 있다. 사실 광역자치단체의 명칭이 산하 기초자치단체의 명칭에 또 들어가 있는 전국에서 유일한 사례[13]라서 그렇다. 물론 생략하더라도 못 알아듣는 사람이 아무도 없기 때문에[14] 딱히 걸리는 것은 없어서 일반인들은 '진구'라고 많이 말한다. 사실 이건 부산진구만 이런 건 아니고 비슷하게 기초단체의 명칭이 행정구역의 명칭에 또 들어가 있거나 한 경우에도 이렇게 쓰이는 경우가 많다.[15][16] 더구나 애초에 도로 방향표시에도 "진구청 방면"이라 되어있으니...


5. 인구[편집]


파일:부산진구 CI.sv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426,496명}}}
1969년 530,199명}}}
1972년 671,128명}}}
1975년 785,762명}}}
1975년 10월 1일 부산진구 대연출장소+동래구 수영출장소부산시 남구 분리 승격
부산진구 사상출장소 + 구포출장소 → 북부출장소 통합 및 부산시 직할로 분리
1978년 690,329명}}}
1978년 2월 15일 부산시 북부출장소 + 경상남도 김해군 대저읍, 명지면(신호리 제외), 가락면 일부[17] → 부산시 북구로 완전히 분리
1981년 505,898명}}}
1984년 512,852명}}}
1987년 524,639명}}}
1990년 538,316명}}}
1993년 501,760명}}}
1996년 460,391명}}}
1999년 436,039명}}}
2002년 425,735명}}}
2005년 406,154명}}}
2008년 402,519명}}}
2011년 395,299명}}}
2014년 389,132명}}}
2017년 375,957명}}}
2020년 357,284명}}}
2023년 10월 359,32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 펼치기 · 접기 ]
개금제3동 27,442명}}}
연지동 25,413명}}}
부암제1동 23,414명}}}
전포제2동 23,298명}}}
당감제1동 21,867명}}}
범천제2동 21,691명}}}
전포제1동 21,075명}}}
초읍동 21,027명}}}
양정제1동 19,111명}}}
가야제1동 18,247명}}}
가야제2동 18,168명}}}
개금제1동 18,030명}}}
부암제3동 16,785명}}}
부전제1동 15,890명}}}
범천제1동 12,463명}}}
양정제2동 11,653명}}}
당감제4동 10,883명}}}
부전제2동 10,840명}}}
개금제2동 10,368명}}}
당감제2동 9,950명}}}
2023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한때 현재 자치구 영역으로는 유일하게 50만을 넘겼던 부산광역시 자치구였으나, 지금은 인구가 17만 명 가량 빠져나간 상태다.


5.1. 행정동별 인구[편집]


[ 펼치기 · 접기 ]
부전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32,547명 (부전제1동 15,500명 + 범전동 17,047명)}}}
1970년 35,026명 (부전제1동 13,923명 + 범전동 21,103명)}}}
1975년 35,157명 (부전제1동 14,170명 + 범전동 20,987명)}}}
1980년 32,332명 (부전제1동 11,983명 + 범전동 20,349명)}}}
1985년 32,388명 (부전제1동 13,494명 + 범전동 18,894명)}}}
1990년 30,331명 (부전제1동 11,288명 + 범전동 19,043명)}}}
1995년 23,390명 (부전제1동 8,508명 + 범전동 14,882명)}}}
2000년 18,229명 (부전제1동 6,884명 + 범전동 11,345명)}}}
2005년 14,771명 (부전제1동 5,764명 + 범전동 9,007명)}}}
2010년 14,818명 (부전제1동 6,649명 + 범전동 8,169명)}}}
2015년 1월 1일 부전제1동, 범전동 → 부전제1동 합동
2015년 13,319명}}}
2020년 15,533명}}}
2023년 4월 15,890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6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부전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338명}}}
1970년 17,199명}}}
1975년 16,247명}}}
1980년 13,283명}}}
1985년 12,184명}}}
1990년 9,531명}}}
1995년 6,624명}}}
2000년 7,121명}}}
2005년 7,071명}}}
2010년 7,081명}}}
2015년 10,930명}}}
2020년 9,915명}}}
2023년 4월 10,840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8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연지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407명}}}
1970년 17,288명}}}
1975년 22,879명}}}
1980년 25,692명}}}
1985년 25,036명}}}
1990년 25,569명}}}
1995년 21,755명}}}
2000년 23,067명}}}
2005년 22,168명}}}
2010년 22,606명}}}
2015년 23,728명}}}
2020년 20,941명}}}
2023년 4월 25,413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6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초읍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4,093명}}}
1970년 11,402명}}}
1975년 18,778명}}}
1980년 26,676명}}}
1985년 30,958명}}}
1990년 31,810명}}}
1995년 31,630명}}}
2000년 27,384명}}}
2005년 27,748명}}}
2010년 26,083명}}}
2015년 23,751명}}}
2020년 22,434명}}}
2023년 4월 21,027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양정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7,122명}}}
1970년 7월 1일 양정동 → 양정제1동, 양정제2동 분동
1970년 24,070명}}}
1975년 27,612명}}}
1979년 8월 8일 양정제1동양정제1동, 양정제3동 분동
1980년 27,570명 (양정제1동 15,094명 + 양정제3동 12,476명)}}}
1985년 27,362명 (양정제1동 14,431명 + 양정제3동 11,931명)}}}
1990년 24,488명 (양정제1동 14,411명 + 양정제3동 10,077명)}}}
1995년 15,072명 (양정제1동 6,603명 + 양정제3동 8,469명)}}}
1998년 7월 1일 양정제1동, 양정제3동 → 양정제1동 합동
2000년 23,277명}}}
2005년 23,697명}}}
2010년 24,543명}}}
2015년 21,826명}}}
2020년 20,536명}}}
2023년 4월 19,111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8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양정제2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70년 7월 1일 양정동 → 양정제1동, 양정제2동 분동
1970년 19,574명}}}
1975년 25,437명}}}
1979년 8월 8일 양정제2동양정제2동, 양정제4동 분동
1980년 27,432명 (양정제2동 12,159명 + 양정제4동 15,273명)}}}
1985년 28,093명 (양정제2동 12,907명 + 양정제4동 15,186명)}}}
1990년 24,567명 (양정제2동 9,769명 + 양정제4동 14,768명)}}}
1995년 22,028명 (양정제2동 8,379명 + 양정제4동 13,649명)}}}
1998년 7월 1일 양정제2동, 양정제4동 → 양정제2동 합동
2000년 17,246명}}}
2005년 14,615명}}}
2010년 14,800명}}}
2015년 15,884명}}}
2020년 12,934명}}}
2023년 4월 11,653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8만 명
1970-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전포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7,580명}}}
1970년 7월 1일 전포제1동전포제1동, 전포제3동 분동
1970년 40,003명 (전포제1동 19,481명 + 전포제3동 20,522명)}}}
1975년 43,964명 (전포제1동 23,366명 + 전포제3동 20,598명)}}}
1980년 42,457명 (전포제1동 21,462명 + 전포제3동 20,995명)}}}
1985년 40,578명 (전포제1동 20,715명 + 전포제3동 19,863명)}}}
1990년 35,861명 (전포제1동 17,836명 + 전포제3동 18,025명)}}}
1995년 27,395명 (전포제1동 15,224명 + 전포제3동 12,171명)}}}
2000년 20,382명 (전포제1동 11,215명 + 전포제3동 9,167명)}}}
2005년 19,057명 (전포제1동 10,183명 + 전포제3동 8,874명)}}}
2010년 19,803명 (전포제1동 9,651명 + 전포제3동 10,152명)}}}
2015년 1월 1일 전포제1동, 전포제3동 → 전포제1동 합동
2015년 19,067명}}}
2020년 21,842명}}}
2023년 4월 21,075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전포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5,508명}}}
1970년 29,909명}}}
1975년 10월 1일 전포제2동전포제2동, 전포제4동 분동
1975년 31,725명 (전포제2동 16,061명 + 전포제4동 15,664명)}}}
1980년 29,590명 (전포제2동 14,888명 + 전포제4동 14,702명)}}}
1985년 25,759명 (전포제2동 12,013명 + 전포제4동 13,746명)}}}
1990년 22,379명 (전포제2동 10,136명 + 전포제4동 12,243명)}}}
1995년 20,115명 (전포제2동 8,204명 + 전포제4동 11,911명)}}}
1998년 7월 1일 전포제2동, 전포제4동 → 전포제2동 합동
2000년 17,806명}}}
2005년 21,424명}}}
2010년 22,030명}}}
2015년 21,647명}}}
2020년 21,097명}}}
2023년 4월 23,298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부암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8,510명}}}
1970년 22,579명}}}
1975년 26,090명}}}
1979년 8월 8일 부암동 → 부암제1동, 부암제2동 분동
1980년 25,626명 (부암제1동 10,002명 + 부암제2동 15,624명)}}}
1985년 33,941명 (부암제1동 16,044명 + 부암제2동 17,897명)}}}
1990년 33,002명 (부암제1동 16,064명 + 부암제2동 16,938명)}}}
1995년 27,001명 (부암제1동 13,980명 + 부암제2동 13,021명)}}}
1998년 7월 1일 부암제1동, 부암제2동 → 부암제1동 합동
2000년 22,797명}}}
2005년 17,383명}}}
2010년 20,600명}}}
2015년 22,590명}}}
2020년 23,088명}}}
2023년 4월 23,414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부암제3동[현재]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1월 1일 동평동 → 동평제1동, 동평제2동 분동
1980년 20,628명(동평제2동)}}}
1982년 5월 1일 동평제2동 → 부암제3동 개칭
1985년 21,996명}}}
1990년 22,798명}}}
1995년 21,452명}}}
2000년 24,184명}}}
2005년 25,444명}}}
2010년 25,855명}}}
2015년 23,498명}}}
2020년 17,959명}}}
2023년 4월 16,785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6만 명
1980-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당감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0,306명}}}
1970년 38,386명}}}
1970년 10월 1일 당감제1동당감제1동, 동평동 분동
1975년 29,449명}}}
1979년 1월 1일 당감제1동당감제1동, 당감제3동 분동
1980년 35,662명 (당감제1동 17,331명 + 당감제3동 18,331명)}}}
1985년 30,208명 (당감제1동 12,753명 + 당감제3동 17,455명)}}}
1990년 36,917명 (당감제1동 12,514명 + 당감제3동 24,403명)}}}
1995년 37,388명 (당감제1동 9,634명 + 당감제3동 27,754명)}}}
2000년 32,643명 (당감제1동 7,094명 + 당감제3동 25,549명)}}}
2005년 32,758명 (당감제1동 5,518명 + 당감제3동 27,240명)}}}
2010년 30,269명 (당감제1동 5,075명 + 당감제3동 25,194명)}}}
2013년 2월 1일 당감제1동, 당감제3동 → 당감제1동 합동
2015년 27,325명}}}
2020년 23,800명}}}
2023년 4월 21,867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당감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024명}}}
1970년 9,092명}}}
1975년 12,171명}}}
1980년 12,250명}}}
1985년 13,540명}}}
1990년 11,768명}}}
1995년 10,547명}}}
2000년 11,274명}}}
2005년 10,135명}}}
2010년 11,448명}}}
2015년 10,020명}}}
2020년 10,365명}}}
2023년 4월 9,950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4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당감제4동[현재]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0년 10월 1일 당감제1동 → 당감제1동, 동평동 분동
1975년 26,667명(동평동)}}}
1979년 1월 1일 동평동 → 동평제1동, 동평제2동 분동
1980년 13,972명(동평제1동)}}}
1982년 5월 1일 동평제1동 → 당감제4동 개칭
1985년 15,399명}}}
1990년 17,229명}}}
1995년 14,268명}}}
2000년 17,095명}}}
2005년 15,692명}}}
2010년 14,939명}}}
2015년 13,458명}}}
2020년 11,691명}}}
2023년 4월 10,883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만 명
1975-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가야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956명}}}
1970년 7월 1일 가야동 → 가야제1동, 가야제2동 분동
1970년 17,158명}}}
1975년 20,973명}}}
1979년 1월 1일 가야제2동 → 가야제2동, 가야제3동 분동(가야제3동 인구 합산 시작)
1980년 39,859명 (가야제1동 19,058명 + 가야제3동 20,801명)}}}
1985년 42,694명 (가야제1동 19,534명 + 가야제3동 23,160명)}}}
1990년 41,085명 (가야제1동 18,417명 + 가야제3동 22,668명)}}}
1995년 32,597명 (가야제1동 14,643명 + 가야제3동 17,954명)}}}
2000년 26,249명 (가야제1동 13,131명 + 가야제3동 13,118명)}}}
2005년 26,271명 (가야제1동 14,239명 + 가야제3동 12,032명)}}}
2010년 25,683명 (가야제1동 14,369명 + 가야제3동 11,314명)}}}
2013년 2월 1일 가야제1동, 가야제3동 → 가야제1동 합동
2015년 22,494명}}}
2020년 19,826명}}}
2023년 4월 18,247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가야제2동 인구 추이
(1970년~현재)
1970년 7월 1일 가야동 → 가야제1동, 가야제2동 분동
1970년 15,259명}}}
1975년 28,373명}}}
1979년 1월 1일 가야제2동가야제2동, 가야제3동 분동
1980년 16,639명}}}
1985년 21,561명}}}
1990년 24,342명}}}
1995년 23,882명}}}
2000년 19,501명}}}
2005년 19,829명}}}
2010년 18,923명}}}
2015년 19,111명}}}
2020년 17,158명}}}
2023년 4월 18,168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1970-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개금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4,801명}}}
1970년 12,272명}}}
1975년 1월 1일 개금동 → 개금제1동, 개금제2동 분동
1975년 21,412명}}}
1979년 8월 8일 개금제1동개금제1동, 개금제3동 분동
1980년 22,387명}}}
1985년 25,175명}}}
1990년 24,127명}}}
1995년 18,959명}}}
2000년 15,682명}}}
2005년 14,127명}}}
2010년 13,962명}}}
2015년 14,689명}}}
2020년 17,190명}}}
2023년 4월 18,030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개금제2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5년 1월 1일 개금동 → 개금제1동, 개금제2동 분동
1975년 10,382명}}}
1980년 22,096명}}}
1985년 21,713명}}}
1990년 21,798명}}}
1995년 18,358명}}}
2000년 13,327명}}}
2005년 15,744명}}}
2010년 14,654명}}}
2015년 13,081명}}}
2020년 11,299명}}}
2023년 4월 10,368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만 명
1975-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개금제3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5년 1월 1일 개금제1동 → 개금제1동, 개금제3동 분동
1980년 12,751명}}}
1985년 13,867명}}}
1990년 25,516명}}}
1995년 37,172명}}}
2000년 42,550명}}}
2005년 38,057명}}}
2010년 35,942명}}}
2015년 32,791명}}}
2020년 29,438명}}}
2023년 4월 27,442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1980-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범천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9,990명}}}
1970년 17,038명}}}
1975년 19,073명}}}
1980년 17,957명}}}
1985년 16,498명}}}
1990년 14,776명}}}
1995년 12,302명}}}
2000년 10,186명}}}
2005년 10,118명}}}
2010년 9,378명}}}
2015년 10,528명}}}
2020년 12,016명}}}
2023년 4월 12,463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범천제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월 1일 범천제2동범천제2동, 범천제4동 분동
1966년 39,942명 (범천제2동 21,621명 + 범천제4동 18,321명)}}}
1970년 54,888명 (범천제2동 30,790명 + 범천제4동 24,098명)}}}
1975년 50,799명 (범천제2동 24,133명 + 범천제4동 26,666명)}}}
1980년 41,662명 (범천제2동 20,334명 + 범천제4동 21,328명)}}}
1985년 39,658명 (범천제2동 19,370명 + 범천제4동 20,288명)}}}
1990년 37,155명 (범천제2동 18,594명 + 범천제4동 18,561명)}}}
1995년 30,987명 (범천제2동 16,048명 + 범천제4동 14,939명)}}}
2000년 26,372명 (범천제2동 15,343명 + 범천제4동 11,029명)}}}
2005년 23,023명 (범천제2동 13,372명 + 범천제4동 9,651명)}}}
2010년 22,409명 (범천제2동 12,351명 + 범천제4동 10,058명)}}}
2015년 21,835명 (범천제2동 12,542명 + 범천제4동 9,293명)}}}
2016년 1월 1일 범천제2동, 범천제4동 → 범천제2동 합동
2020년 20,824명}}}
2023년 4월 21,691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6. 교통[편집]






부산 교통의 요지로 부산 도시철도 1호선(범내골역, 서면역, 부전역, 양정역)과 부산 도시철도 2호선(개금역, 동의대역, 가야역, 부암역, 서면역, 전포역)이 모두 지난다.

특히 서면역은 이용 승객 수도 수도권 전철 이용객 상위권(신도림역, 홍대입구역 등) 역에 꿀리지 않을 정도로 대단할 뿐더러 역 인근에는 부산 최고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동해선 부전역, 범일역부전선가야선 가야역이 위치하고 있다. 범일역과 가야역은 여객 운송은 중지되었지만 부전역은 동해선과 경전선의 시종착역 역할을 하고 있다. 청량리역에 가보면 가끔 부전역행 근성열차가 있는데 바로 이곳으로 향하는 열차이다.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신해운대역ITX-새마을 열차도 부전역에 정차한다. 참고로 부산진역은 상술했다시피 부산진구가 아닌 동구에 있다.


6.1. 관내 철도역 목록[편집]




7. 경제[편집]


지리적으로 부산의 중심지답게 부산 최대이자 비수도권 최대 상권서면이 있으며 부산광역시청과도 매우 가까워 공무원대기업 사무직과 전문직 등을 위시한 레드칼라&화이트칼라&골드칼라 등이 경제를 살리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다. 공공기관, 대기업 지사, 금융기관이나 전문 서비스업 등이 소재하는 중심업무지구이기 때문에 이들에 의해 소비는 충분히 이루어진다. 이 점을 제외하더라도 부산의 중심에 위치한 점,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인 서면역이 위치한 점만으로도 부산에서 가장 유동 인구가 많은 곳이기 때문에 타 구에 비해 경제력이 나쁘지 않다.

부산 최대이자 비수도권 최대 상권서면(부전동, 전포동)을 대표로 해서 부산시민공원(舊 하야리아 미군 부대(부전동, 연지동)), 부산판 광화문광장송상현광장(전포동), 부산어린이대공원(초읍동)과 내부에 위치한 삼정더파크,[18] 국립부산국악원(연지동),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초읍동), 서면시장(부전동), 부전시장(부전동), 부산글로벌빌리지(부암동), 서면 먹자골목(부전동), 전포 카페거리(전포동), 황령산 봉수대(전포동) 등이 있어서 3차 산업으로 먹고 사는 동네다.


7.1. 금융[편집]


부산진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부산진우체국 (12)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5)
특수은행
수협은행 (1)
농협은행(중앙회) (7)
시중은행
신한은행 (4)
우리은행 (5)
SC제일은행 (2)
하나은행 (4)
국민은행 (9)
한국씨티은행 (1)
지방은행
부산은행 (17)
경남은행 (1)
대구은행 (1)
외국은행 [19]
중국공상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중부산농협 (3)
부산축산농협 (1)
부산우유농협 (1)
사상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대형선망수협 (2)
제1,2구잠수기수협 (1)
대형기선저인망수협 (1)
새마을금고
개금동새마을금고 (3)
개금2동새마을금고 (1)
가야1동새마을금고 (2)
가야동새마을금고 (1)
당감2동새마을금고 (1)
당감1동새마을금고 (2)
당감동새마을금고 (1)
당감4동새마을금고 (1)
범천동새마을금고 (1)
전포1동새마을금고 (2)
범천2동새마을금고 (1)
범천중앙새마을금고 (1)
전포동새마을금고 (1)
전포3동새마을금고 (2)
서면공원새마을금고 (1)
전포2동새마을금고 (2)
부전새마을금고 (1)
부전1동새마을금고 (2)
부암동새마을금고 (1)
시민공원새마을금고 (1)
양정동새마을금고 (1)
초읍동새마을금고 (2)
연지동새마을금고 (2)
신용협동조합
부산성의신용협동조합 (4)
부산진신용협동조합 (4)
당감신용협동조합 (1)
복지신용협동조합 (1)
부산울산건설기계신용협동조합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IBK저축은행 (2)
국제저축은행 (1)
진주저축은행 (1)
OSB저축은행 (1)
에큐온저축은행 (1)
웰컴저축은행 (1)


8. 교육[편집]









대학교


4년제 대학으로는 인제대학교 부산캠퍼스와 동의대학교가, 전문대학으로는 동의과학대학교부산여자대학교가 있다. 뭐 인제대학교 부산캠퍼스는 사실 부산백병원이 부산진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의과대학만 남겨둔 것이기는 하다만... 또한 한국과학영재학교와 부산국제중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있고 이 학교들은 각각 이과와 문과에서 부산 최고라고 평가받기도 하다만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경우에는 전국구라 '부산 최고'라고 칭하기도 좀 애매하기도 하고... 어쨌든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덤으로 과거 부산 4대 명문으로 불렸으나 지금은 일반고로 전환하면서 개성고로 이름을 바꾼 부산상업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원래 서면에 위치했던 부산상업고등학교는 당감동으로 이전하였고, 2004년 일반고로 전환하고 교명도 개성고등학교로 바뀌었다. 옛 부산상업고등학교 부지에는 롯데백화점 부산본점롯데호텔 부산점이 들어서 있다.


9. 의료기관[편집]


상급종합병원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818병상)이 개금동에 있다. 부산진구, 사상구, 북구, 김해시까지 커버하는 중요한 병원이지만 병원이 고지대에 있는 데다가 부지도 좁아 터져서 굉장히 복잡하다. 서면 중심상권에 가까운 종합병원으로 온종합병원(489병상), 동의병원(445병상), 춘해병원(201병상)이 있다. 온종합병원은 이 지역에서 계속 정치활동을 하는 정근이 세운 병원이며, 동의병원은 이름처럼 동의대학교의 부속병원이다.[20] 춘해병원은 울산의 춘해보건대학교와 같은 재단. 그 외 도심에 해당되기 때문에 각종 병/의원들이 잔뜩 몰려 있다. 그 외에도 과거에는 서면 최초의 종합병원으로 1951년에 설립된 이우영외과병원을 모태로 1971년에 종합병원으로 설립된 한독병원(250병상)이 있었으며 이쪽은 순수하게 의술이라는 오직 한 우물만 팠던 병원으로 유명했으나, 노사분규와 경영난에다가 설립자의 자녀들도 병원을 승계할 의지가 없다 보니 1995년 5월에 폐원하였다.[21]


10. 정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산진구/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하위 행정구역[편집]


파일:attachment/부산진구/busanjin.jpg


11.1. 부전1동, 부전2동[22][편집]


관할 법정동은 부전동이며 부전1동은 추가로 법정동 범전동을 관할한다. 서면이라는 이름이 더 잘 알려져 있다. 가야대로 북쪽이 1동, 남쪽이 2동에 해당하며, 서면 상권은 주로 남쪽에 형성되어 있다.
  • 부전1동: 인구는 15,926명.[P] 서면 상권의 북쪽에 해당되며 서면문화로를 따라 상권이 발달해 있고, 중앙대로변에는 각종 업무시설이 들어서 있으며, 주변 시장들과 함께 부산 최대규모를 자랑하는 부전시장이 있고 그 끝에는 부전역이 있다. 동해선 북쪽에는 옛 미군 하야리아부대 부지에 조성한 부산시민공원이 있고 그 동쪽 빌라촌까지 부전1동에 해당된다. 학교는 성지초, 부산진중이 있다.
  • 부전2동: 인구는 10,924명.[P] 서면 상권의 남쪽이며 핵심이다.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롯데호텔 부산, 서면포장마차거리, 쥬디스태화 등등 쇼핑에서부터 음주가무, 숙박시설까지 다 있다. 그러다보니 살기에 썩 좋지는 않은 동네. 남쪽 끝에는 교보문고 부산점이 있으며, 그 외 한국전력공사 부산울산본부, 부산도시공사, 부산영어도서관이 있다. 학교는 부전초가 있다.


11.2. 연지동 - 甲[편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5,579명.[P]

부산시민공원 일부와 그 북쪽에 해당하는 동네로, 아파트가 많으며 재개발이 계속해서 진행되면서 래미안 어반파크(2,616세대), 연지 자이 1~2차(1,558세대) 등 아파트단지들이 들어섰다. 국립부산국악원이 있다. 학교는 연지초가 있다.


11.3. 초읍동 - 甲[편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0,952명.[P]

부산의 옛 부촌 중 하나였으며, 부산어린이대공원,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부산시교육청 어린이창의교육관, 부산학생교육문화회관이 있다. 또한 부처님오신날마다 이 일대를 마비시키는 삼광사도 있다. 여기도 재개발이 진행되면서 포레나 부산초읍(1,113세대) 등이 들어서고 있다. 만덕동을 잇는 터널이 우여곡절 끝에 2023년 6월 개통되었다. 학교는 연학초, 초읍초, 초연중, 초읍중, 부산진고가 있다.


11.4. 양정1동, 양정2동 - 甲[편집]


관할 법정동은 양정동이다. 양정역을 기준으로 남쪽이 1동, 북쪽이 2동이다.
  • 양정1동: 인구는 19,105명.[P] 동해선 서쪽은 현대아파트 1~2차(3,634세대)를 중심으로 한 주거지역이며 부산광역시교육청이 있다. 동쪽에는 동의과학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가 있어서 그 밑으로 나름 대학가가 형성되어 있다. 학교는 양성초, 부산양정고, 부산정보고, 부산진여상고, 성모여고가 있다.
  • 양정2동: 인구는 11,675명.[P] 부산광역시청이 동 경계에 바로 붙어 있다 보니 중앙대로를 따라 시 상수도사업본부 등 공공기관들이 많다. 황령산 아래에는 동의대학교 양정캠퍼스와 동의병원이 있고 그 앞으로 현재 재개발이 진행되면서 양정 포레힐즈 스위첸(1,338세대) 등이 들어서고 있다. 학교는 양성초, 양동초, 양정초, 양동여중, 부산진여고, 세정고가 있다.


11.5. 전포1동, 전포2동 - 乙[편집]


관할 법정동은 전포동이다. 서전로를 기준으로 남쪽이 1동, 북쪽이 2동이다. 1980년대에는 운동권과 시민들의 전두환 정권 반대 시위가 많았던 곳이다. 부산이 김영삼의 정치적 기반임을 여실히 보여준 곳들 중 하나. 그래서 생긴 별명이 '전'두환도 '포'기한 '동'네(...)
  • 전포1동: 인구는 21,110명.[P] NC백화점 서면점 등 서면 상권의 연장선상에 있는 동네이며 먹자골목이 형성되어 있다. 남쪽 끝에는 홈플러스 서면점, CGV 서면이 서면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있다(...) 황령산 아래쪽으로 재개발이 진행되면서 서면 아이파크 1~2단지(2,144세대) 등이 들어서고 있다. 최근 전포카페거리 형성과 아울러 골목마다 색다른 맛집이 개업하여 젊은층 인구 유입이 부쩍 늘었다. 학교는 동성초, 성북초, 덕명여중, 부산동중, 부산진여중, 경남공고, 부산동고, 부산동성고, 부산마케팅고가 있다.
  • 전포2동: 인구는 23,340명.[P] 전포1동 카페거리와 연결되는, 이른바 전리단길이 있다. 중앙대로와 송상현광장 근처로는 e편한세상 시민공원(1,401세대), 서면 롯데캐슬 스카이(1,395세대) 등 아파트들이 많고, 그 안쪽으로는 빌라와 주택이 많은 주거지역이다. 학교는 성전초, 전포초, 동의중, 항도중, 동의공고가 있다.


11.6. 부암1동, 부암3동 - 甲[편집]


관할 법정동은 부암동이다.
  • 부암1동: 인구는 23,483명.[P] 진양사거리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해당된다. 부산진구청,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서면점, 롯데마트 부산점이 있으며 아파트단지 위주의 주거지역이다. 부산시민공원 서문이 있다. 학교는 부암초, 서면중이 있다.
  • 부암3동: 인구는 16,705명.[P] 여기는 말만 부암동이지 당감동에 가까워서 그냥 길 따라 내려가면 당감동이 나온다. 부암 삼성래미안(1,811세대) 등 아파트단지들이 백양산자락을 따라 대각선으로 비스듬히 있다. 학교는 동양초, 동양중, 동평중, 동평여중, 부산미용고가 있다.


11.7.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 甲[편집]


관할 법정동은 당감동이다. 1,4동은 가야선 이북, 2동은 이남에 있다.
  • 당감1동: 인구는 21,746명.[P] 백양터널 남쪽으로 나오자마자 보이는 아파트단지가 당감1동이다. 남쪽과 북쪽이 사실상 분리된 동네로, 북쪽에는 국제백양아파트(1,153세대), 당감 동일스위트(1,090세대), 국제프라자아파트(298세대)와 학교들만 있고, 남쪽도 개금 주공아파트(2,716세대) 등 아파트단지들이 많지만 그 사이에 주택들이 있다. 학교는 당감초, 당평초, 개금여중, 부산국제중, 경원고, 부산국제고와 우리나라 최초의 영재학교인 한국과학영재학교가 있다.
  • 당감2동: 인구는 9,920명.[P] 가야선 남쪽에 위치하여 1,4동과는 완전히 다른 동네이다. 차량기지 역할을 하는 가야역한국철도공사 부산차량사업소가 동 면적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 남쪽으로 주거지가 있다.
  • 당감4동: 인구는 10,804명.[P] 당감1동 아파트단지 위쪽의 주택지역에 해당되며 개성고 부지가 굉장히 크게 있고 그 위에 백양 푸른채(1,116세대) 등 아파트단지들이 있으며 옆에 한국신발피혁연구원이 있다. 학교는 동원초, 동평초, 개성고가 있다.


11.8. 가야1동, 가야2동 - 乙[편집]


관할 법정동은 가야동이다.
  • 가야1동: 인구는 18,056명.[P] 산자락을 따라 동네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꼭대기에는 동의대학교가 있다. 대부분 빌라와 주택. 학교는 가산초, 가야초, 가야여중이 있다.
  • 가야2동: 인구는 18,253명.[P] 1동과 비슷하지만 그 꼭대기에는 중고등학교와 가야 벽산아파트(1,772세대) 등의 아파트단지가 있다. 가야유원지가 있다. 동의대역 앞에 재개발이 진행 중이다. 학교는 가평초, 개성중, 가야고가 있다.


11.9. 개금1동, 개금2동, 개금3동 - 乙[편집]


관할 법정동은 개금동이다. 경부선 이북은 3동이고, 이남 중 대략 엄광로를 기준으로 북쪽이 1동, 남쪽이 2동이다.
  • 개금1동: 인구는 18,233명.[P] 대부분 주택과 빌라인 평범한 주거단지이며, 전통시장인 개금골목시장이 있다. 개금삼거리에 주상복합 아파트인 이진젠시티 개금(736세대)이 있다.
  • 개금2동: 인구는 10,326명.[P] 1동과 비슷하지만 개금 아이파크(1,424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몇 있다. 상급종합병원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이 있다. 학교는 주례초, 주원초가 있다.
  • 개금3동: 인구는 27,289명[P]으로 부산진구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경부선 위쪽에 있어 1,2동과는 생활권이 다르고 오히려 당감동 생활권에 가깝다. 1,2동과 달리 주공2단지, LG1/2차, 현대 등 아파트단지가 많다. 학교는 개금초, 개림초, 개원초, 개포초, 개화초, 개림중, 광무여중, 개금고가 있다.


11.10. 범천1동, 범천2동 - 乙[편집]


관할 법정동은 범천동이다. 대략 경부선을 기준으로 동쪽이 1동, 서쪽이 2동이다.
  • 범천1동: 인구는 12,428명.[P] 범내골역과 그 주변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서면에서 살짝 떨어져 있는 동네로 주상복합과 오피스텔, 평화시장과 같은 시장이 많으며 부산진구보건소, 부산교통공사 본사가 있다. 춘해병원이 있다. 학교는 성서초가 있다.
  • 범천2동: 인구는 21,621명.[P] 동구와 비슷하게 산복도로를 따라 형성된 달동네 비슷한 동네이지만 재개발이 군데군데 진행 중이다. 산복도로쪽은 신암이라고도 한다. 산 안쪽에 안창마을이라고 하는 자연부락이 있다. 부산철도차량정비단이 행정구역상 범천2동에 속한다. 학교는 부산진초, 선암초가 있다.


12.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편집]



13. 같이 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4:16:27에 나무위키 부산진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1개 법정동, 20개 행정동[2] 2023년 10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부산진구 가선거구 (부전1동, 양정1동, 양정2동) : 성낙욱
부산진구 나선거구 (연지동, 초읍동) : 오우택
부산진구 다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 곽사문
부산진구 라선거구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 이분희
부산진구 마선거구 (전포1동, 전포2동) : 유제필
부산진구 바선거구 (부전2동, 범천1동, 범천2동) : 김진복
부산진구 사선거구 (가야1동, 가야2동, 개금2동) : 박현철
부산진구 아선거구 (개금1동, 개금3동) : 안수만
비례대표 : 김민경
[4] 부산진구 가선거구 (부전1동, 양정1동, 양정2동) : 성현옥
부산진구 나선거구 (연지동, 초읍동) : 손재호
부산진구 다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 한갑용
부산진구 라선거구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 강지백
부산진구 마선거구 (전포1동, 전포2동) : 박말숙
부산진구 바선거구 (부전2동, 범천1동, 범천2동) : 박광래
부산진구 사선거구 (가야1동, 가야2동, 개금2동) : 최정웅
부산진구 아선거구 (개금1동, 개금3동) : 한일태
비례대표 : 강도희
[5]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1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1동, 양정2동) : 박희용 (초선)
부산진구 제2선거구 (부암1동, 부암3동, 당감1동, 당감2동, 당감4동) : 이대석 (3선)
부산진구 제3선거구 (부전2동, 전포1동, 전포2동, 범천1동, 범천2동) : 김재운 (초선)
부산진구 제4선거구 (가야1동, 가야2동, 개금1동, 개금2동, 개금3동) : 배영숙 (초선)
[6] 부전1동 = 甲 / 부전2동 = 乙[7] 이름만 따지면 부산진구라는 이름은 여기보다는 원부산권에 더 어울리는 이름인 셈이다.[8] LED 행선기가 달린 마을버스에서도 글자 수 한계로 인해 진구 9 등으로 줄여서 표기한다.[9] 다만 부산진구 주민을 포함한 부산시민들은 대부분 진구라고 줄여서 부르는게 일상화 되었으며, 심지어 우편주소도 진구로 잘못써도 알아서 부산진구로 보내준다.[10] 비슷한 예를 들자면 서울 한양도성 일대가 현재는 강남에 밀리는 경향이 있는데, 서울의 경우는 강남이 더 앞선다 해도 기존 도심도 꽤나 큰 반면, 부산은 아예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차이가 크다고 생각하면 된다.[11] 지번주소면 ???동 ZZZ[12] 지번주소면 ???동 ZZZ[13]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전에는 무려 세 곳이나(제주시, 남제주군, 북제주군) 더 있었지만 이제는 옛말. 지금의 제주시는 행정시라 더 이상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여기 사람들도 과거에 제주도 남군/북군 식으로 주소를 쓰곤 했다.[14] 부산시 진구로 쓰든 부산광역시를 생략하고 부산진구라고만 쓰든 부산 현지인은 다들 어딘지 알 수 있고, 외지인인 경우도 부산광역시를 생략해 써있어도 일단 구 이름에 포함된 '부산'이 어디 있는 도시인지 모르는 한국인은 거의 없기 때문에 택배를 보내거나 할 때 의미가 잘못 전해질 일이 없다.[15] 예컨대 기장군 기장읍에서 기장군을 생략하고 쓴다든지 하는 것. 이 경우에는 우편에 주소를 쓸 때 기장군·읍과 같이 읍면동 이름에서 생략하는 경우도 많다.[16] 일본의 경우에도 비슷한 사례로 '오사카부 오사카시'의 주소를 적을 때 현지인들은 십중팔구 '오사카시'라고만 쓰지 '오사카부 오사카시'라고 쓰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쪽도 마찬가지로 '오사카시'라고만 해도 어디를 의미하는지 다 알기 때문.[17] 대사리·북정리·상덕리·제도리[18] 2020년 4월 25일자로 무기한 휴장[괄호] A B C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9] 여기서 외국은행은 대한민국 영토 내에 지점 또는 사무소 형태로 진입한 경우로만 한정되며,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의 경우에는, 한국내의 법인형태로 운영중이며 시중은행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곳에 넣지 않는다.[20] 의과대학이 없기 때문에 3차 대학병원은 아니다. 한의과대학은 있다.[21] 이후 옛 한독병원 건물은 YBM 빌딩으로 개칭되어 YBM 어학원이 들어와 있다.[22] 부전1동 = 甲 / 부전2동 = 乙[P]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23] 당시 지역구는 부산광역시 연제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