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의회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부천시





파일:부천시 CI.svg부천시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5석, 시장 소속 정당
]]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12석

재적

27석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부천시의회
富川市議會
Bucheon City Council


파일:부천시의회 의사당.jpg


}}}
구성
단원제, 다당제
개회
1952년 4월 25일[1] / 1991년 4월 15일[2]
관할구역
경기도 부천시
직원 수
42명
의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성운 (바선거구) [3]
부의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안효식 (나선거구) [4]
시의원
정원 27석 중 재적 26인

시정여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4석)
시정야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2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현황
2.1. 원구성
2.2. 의석 변동
2.2.1. 8대
3. 역대 의장
4. 선거구 당 의원 수
5. 역대 선거결과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2023년 더불어민주당 시의원 성추행 사건
6.2. 2023년 더불어민주당 시의원 폭언 갑질 논란




1. 개요[편집]


경기도의 기초자치의회 중 하나. 부천시 및 부천시청의 중요의사를 심의하거나 결정하고 연간 예산을 심사하고 결정한다.


2. 현황[편집]




파일:부천시 CI.svg부천시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5석, 시장 소속 정당
]]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12석

재적

27석




  • 제9대 부천시의회 의석 현황[6]
    • 재적: 27석
    • 교섭단체[5]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27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5석
12석

2022년 6월 1일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구성된 아홉 번째 부천시의회이다. 같은 해 7월 1일에 임기를 시작했으며, 2026년 6월 30일에 마감될 예정이다.

더불어민주당이 과반 의석을 얻으며 제1당이 되었다.


2.1. 원구성[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 펼치기 · 접기 ]
김병전
김선화
김주삼
박순희
박찬희
손준기
송혜숙
양정숙
윤단비
임은분
장해영
최성운
최은경
최의열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제9대 부천시의원

[ 펼치기 · 접기 ]
곽내경
구점자
김건
김미자
박혜숙
안효식
윤병권
이학환
장성철
정창곤
최옥순
최초은






2.2. 의석 변동[편집]



2.2.1. 8대[편집]


  • 제 8대 시의원 선거 (2018.06.13)
더불어민주당 20석, 자유한국당 8석
  • 미래통합당 신설합당 (2020.02.17)
더불어민주당 20석, 미래통합당 8석
  • 이동현 민주당 탈당 (2020.07.11)
더불어민주당 19석 (-1), 미래통합당 8석, 무소속 1석
  •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당명 번경 (2020.09.02)
더불어민주당 19석, 국민의힘 8석, 무소속 1석
  • 이동현 의원직 사퇴 (2021.02.09)
더불어민주당 19석, 국민의힘 8석


3. 역대 의장[편집]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부천시의회 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1대 의회
제2대 의회
전반기
송철흠
후반기
이강진
후반기
양오석
전반기
박노운
후반기
이강진
제3대 의회
제4대 의회
전반기
안익순
후반기
윤건웅
전반기
류재구
전반기
김덕균
후반기
황원희
제5대 의회
제6대 의회
제7대 의회
전반기
오명근
후반기
한윤석
전반기
김관수
후반기
한선재
전반기
김문호
제7대 의회
제8대 의회
제9대 의회
후반기
강동구
전반기
김동희
후반기
강병일
전반기
최성운

파일:부천시 CI.svg





4. 선거구 당 의원 수[편집]


부천시의회에서는 한 선거구당 최소 2석에서 최대 3석의 의석을 배정하고 있으며, 이외 비례대표도 3석이 존재한다.

선거구 명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의석수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의석수
공석수
해당 선거구에 배정 된 의석수
가 선거구
1
2
0
3
나 선거구
1
1
0
2
다 선거구
1
1
0
2
라 선거구
1
1
0
2
마 선거구
2
1
0
3
바 선거구
1
1
0
2
사 선거구
1
1
0
2
아 선거구
2
1
0
3
자 선거구
2
1
0
3
차 선거구
1
1
0
2
비례대표
2
1
0
3
부천시
15
12
0
27


5. 역대 선거결과[편집]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30석(=27석+3석))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11석
18석
1석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29석(=26석+3석))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2석
14석
2석
1석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28석(=25석+3석))




11석
16석
1석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28석(=25석+3석))



20석
8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총 재적 27석(=24석+3석))



15석
12석


6.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6.1. 2023년 더불어민주당 시의원 성추행 사건[편집]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성호 시의원이 국민의힘 소속 여성 시의원 2명에게 부적절한 신체접촉을 했다며, 해당 남성 시의원을 고소했다. 이들은 박성호 의원이 9일 저녁 자리에서 대화 중 B 의원의 가슴 쪽에 부침개를 던진 뒤 "내가 떼어 주냐"며 성희롱성 발언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 10일 저녁 자리에서는 건배를 한 뒤 잔을 내려놓은 C 의원의 목을 A 의원이 뒤에서 팔로 감싸는 등 부적절한 신체 접촉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성호 의원은 의원직에서 사퇴했다. # #


6.2. 2023년 더불어민주당 시의원 폭언 갑질 논란[편집]


최근 ‘동료 시의원 성추행 의혹’이 제기된 경기도 부천시의회에서 한 시의원이 지난 4월 해외연수 중 갑질과 폭언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3일 부천시의회에 따르면 국민의힘 박혜숙 의원은 지난 1일 열린 제268회 정례회 본회의에서 지난 4월 해외연수 중 더불어민주당 임은분 재정문화위원회 위원장이 갑질과 폭언을 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부천시의회 재정문화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 7명과 공무원 2명은 지난 4월 5∼11일 프랑스 파리와 독일 프랑크푸르트 등지로 해외연수를 다녀왔다. 박 의원은 신상 발언을 통해 “위원장은 (해외) 연수 기간 내내 여행사로 인해 불평불만을 했고 일행들을 계속 불편하게 했다”며 “함께 간 공무원들이 식사 중인데도 자신의 자리로 불러 의전 문제로 혼을 냈다”고 말했다. 이어 “이동할 때도 ‘여행 가방을 왜 의원들이 들어야 하느냐’며 위원장과 민주당 의원들 가방을 공무원들에게 들도록 하는 등 갑질로 여겨질 행동을 했다”며 “참으로 부끄럽고 안타까웠다”고 했다. 박 의원은 “급기야 연수 마지막 날에는 (임 위원장이) 입에 담기 어려운 독설을 했다”며 “누구든지 (한국으로) 돌아가서 연수 중에 있었던 일을 발설하기만 하면 주둥이를 쫙 찢어버리겠다고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임 위원장은 같은 날 신상 발언을 통해 갑질을 하지 않았다면서도 박 시의원이 주장한 폭언과 관련해서는 따로 해명하지 않았다. 임 위원장은 “이동할 때 공무원에게 여행 가방을 들라고 한 적 없고 의정 문제로 갑질을 하지 않았다”며 “공무원에게 확인해 보면 알 것”이라고 반박했다. 임 위원장은 “국민의힘 한 시의원이 말씀해 제가 ‘사과할 용의가 있다’고 했고 의회에 직접 찾아가기도 했었다”며 “다녀와서 국민의힘 시의원들과 통화도 했고 ‘연수가 너무 좋았다’는 말씀도 했다”고 말했다.#


[1] 부천군 읍·면의회 구성.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지방의회 해산[2] 부천시의회 개회[3] 대산동[4] 심곡동[5] 5인 이상의 소속의원을 가진 정당이나 다른 교섭단체에 속하지 아니하는 5인 이상의 의원으로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6] 2023.02.22.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