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배법칙

덤프버전 :

[[대수학|대수학

Algebra
]]

틀 색상에 대한 토론이 진행중입니다. #
[ 펼치기 · 접기 ]
이론
기본 대상
연산 · 항등식(가비의 이 · 곱셈 공식(통분 · 약분) · 인수분해) · 부등식(절대부등식) · 방정식(풀이 · (무연근 · 허근 · 비에트의 정리(근과 계수의 관계) · 제곱근(이중근호 · 개방법) · 환원 불능) · 부정 · 불능) · 비례식 · 다항식 · 산술(시계 산술)
수 체계
자연수(소수) · 정수(음수) · 유리수 · 실수(무리수(초월수) · 초실수) · 복소수(허수) · 사원수 · 대수적 수 · 벡터 공간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적 구조
군(group)
대칭군 · 기본군 · 자유군 · 리 군 · 괴물군 · 점군 · 순환군 · 군의 작용 · 동형 정리 · 실로우 정리
환(ring)
아이디얼
체(field)
갈루아 이론 · 분해체
대수
가환대수 · 리 대수 · 불 대수(크로네커 델타)
마그마·반군·모노이드
자유 모노이드 · 가환 모노이드
선형대수학
벡터 · 행렬 · 텐서(텐서곱) · 벡터 공간(선형사상) · 가군(Module) · 내적 공간(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
정리·추측
대수학의 기본정리 · 나머지 정리 · 유클리드 호제법 · 부분분수분해 · PID 위의 유한생성 가군의 기본정리 ·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미해결
관련 하위 분야
범주론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층 이론(층들) · 토포스 이론 · 타입 이론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 스킴 · 사슬 복합체(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대수적 정수론
타원곡선 ·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리근 정리 · 모듈러성 정리
가환대수학
스펙트럼 정리
표현론
실베스터 행렬
기타 및 관련 문서
수학 관련 정보 · 추상화 · 1학년의 꿈 · 노름 · 혼합계산 · 분배법칙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교재





1. 개요
2. 다항식의 분배법칙
3. 분배법칙이 일반적으로 성립하는 연산
4. 분배법칙이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 연산
5.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 Distributivity

집합 [math(S)]와 [math(S)]에 대해 닫혀있는 두 이항 연산 [math(*, +)]가 정의되어 있을 때, [math(S)]의 임의의 원소 [math(a)], [math(b)], [math(c)]에 대해

[math(a*(b+c)=(a*b)+(a*c))]가 성립하면 ([math(+)]에 대한 [math(*)]의) 좌분배법칙이,
[math((b+c)*a=(b*a)+(c*a))]가 성립하면 ([math(+)]에 대한 [math(*)]의) 우분배법칙이 성립한다고 하며,
위 두 가지가 모두 성립할 경우 집합 [math(S)]에서 연산 [math(*)]은 연산 [math(+)]에 대해 분배법칙 ([math(+)]에 대한 [math(*)]의 (양쪽) 분배법칙). [1]이 성립한다([math(*)] distributes over [math(+)])고 한다.[2]

반례가 하나라도 나온다면 분배법칙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착각하면 안되는 것이, 분배법칙은 교환법칙과 무관하다, 일반적인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는 물론, 심지어 [math(a * (b + c) \neq (b + c) * a)]여도 여전히 성립 가능하다. 대표적인 예시가 행렬사원수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2013년 고교 입학생까지) 행렬이 고교수학에 남아 있던 시기의 학생이라면, 행렬에서 (덧셈에 대한 곱셈의) 분배법칙이 성립한다고 쓰여있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2. 다항식의 분배법칙[편집]


연산자 앞뒤로 항이 2개씩 이상 있을 경우, 다음을 따른다.

[math((a+b)*(c+d)=(a*c)+(a*d)+(b*c)+(b*d))]

만약 교환법칙도 성립한다면 다음의 법칙도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인수분해 참조.
  • [math((a\pm b)^2=a^2\pm2ab+b^2)]
  • [math((a+b)(a-b)=a^2-b^2)]

분배법칙이 성립하는 다항식은 선형성(linearity)을 띤다라고 한다.


3. 분배법칙이 일반적으로 성립하는 연산[편집]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연산을 다루는 집합 S는 복소수 범위이다.
  • [math(\times)] (곱셈): 복소수[3]사원수 범위
  • [math(\cdot)] (내적: 벡터 범위)
  • [math(*)] (합성곱: 라플라스 변환 관련 연산)
  • [math(\otimes)] (외적: 벡터 범위)
  • [math(\times)] (곱셈: 곱셈이 정의된 행렬 범위)
  • [math(\circ)] (아다마르 곱: 행렬 범위)
  • [math(')] (미분)[4]
  • [math(\int)](적분)[5]

4. 분배법칙이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 연산[편집]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연산을 다루는 집합 S는 복소수 범위이다.
  • [math(+)] (덧셈)[A]
  • [math(-)] (뺄셈)[A]
  • [math(\div)] (나눗셈, 당연히 0으로 나누면 안 된다.)[B]
  • [math(^\wedge)] (제곱)[6]
  • [math(\uparrow)] (테트레이션)
  • [math(\circ)] (둘 이상의 함수의 합성)[B]
  • [math(\#)] (연결합: 위상)

5. 같이 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7:08:59에 나무위키 분배법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math(+)]의 분배법칙이 아니라 [math(*)]의 분배법칙임에 유의. '~에 대한'과 '~의'를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2] 여기에서 [math(*)]과 [math(+)]는 실수(복소수)의 곱셈ㆍ덧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집합 [math(S)]에서 닫혀 있는 어떠한 두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일 뿐이며, [math(S)]가 실수(복소수)의 부분집합이 아닐 수도 있다. 그 예시는 아래의 나오는 행렬에서의 분배법칙.[3] 덧셈 및 뺄셈에 대한 곱셈의 분배법칙이 성립한다. [math(a(b+c)=ab+ac)], [math((a+b)c=ac+bc)], [math(a(b-c)=ab-ac)], [math((a-b)c=ac-bc)][4] [math((af(x) + bg(x))' = af'(x) + bg'(x))][5] [math(\displaystyle \int (af(x) + bg(x))\,{\rm d}x = a\int f(x)\,{\rm d}x + b\int g(x)\,{\rm d}x)][A] A B 덧셈 및 뺄셈에 대한 곱셈 분배법칙이 성립하는 것이지, 덧셈 및 뺄셈 분배법칙이 성립하는 것이 아니다.[B] A B 단, 좌분배법칙만 성립하지 않으며, 우분배법칙은 성립한다. 좌분배법칙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는 정의에 들어맞는다. 나눗셈에서는 [math((a + b) \div c = (a \div c) + (b \div c)]) 이고, 합성함수에서는 [math((f + g) \circ h = (f \circ h) + (g \circ h))] 이다.[6] 곱셈에 대한 분배법칙이 존재한다. [math((ab)^c=a^c 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