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령선인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한국사

1. 개요
2. 기준
3. 기타
4. 같이보기


1. 개요[편집]


(ふていせんじん)[1]

1910년 일제조선인 중 자신들의 명령 및 지도를 따르지 않고 저항 및 반항을 하는 조선인들을 지목하여 만든 용어. 불령(不逞)이라는 한자어는 중국의 고서에도 용례가 나오는 단어로 '불만이나 원한을 품다.', '난을 일으킨다.'는 뜻이다. 요컨대 불령선인이란 '(일제의 통치에) 원한을 품고 난이나 소요를 일으키는 조선인'이란 의미이다.

일제는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앞으로 조선총독부일제의 훈령 및 권고를 따르지 않는 조선인들을 불령선인이란 명칭으로 요주의 인물로 지정하고, 그의 행동을 파악하고 감독했다.


2. 기준[편집]


조선총독부가 지목한 불령선인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일제 및 조선총독부에 항거 또는 저항하는 조선인 또는 그 세력
  • 독립운동을 한 조선인 또는 그 세력
  • 일제 및 조선총독부의 어떠한 훈령 및 지시를 따르지 아니한 조선인
  • 내지인(일본인)을 폭행하거나 살해한 조선인
  • 일본군 또는 일경(日警)이나 일본인 행정 공무자를 폭행, 사망 등에 이르게 한 자
  • 조선총독부의 명령 또는 지시를 거부한 자
  • 일본군 징집 또는 징병 등을 거부 또는 이탈한 자 또는 그를 유도한 주동자 또는 일본군 부대를 탈영한 조선인
  • 일본어 사용을 거부하고 이를 주도하였던 주동자
  • 경찰서 및 주재소, 헌병대 및 군부대나 관청 및 면사무소 등을 습격한 조선인
  • 그 외 일제 및 조선총독부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조선인 및 그 세력

그 밖에 용모가 단정하지 못하고 복장이 불량한 사람도 소위 미풍양속을 해치는 것으로 간주되어 죄목을 받은 경우가 있었다. 실제로 이상도 산발에 수염도 깎지 않고 시내를 돌아다닌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불령선인으로 체포되었다.

일본인한테 위해를 가하면 불령선인으로 찍혔다고 했는데, 특히 일본 민간인 보다도 군경들을 해코지 했을 경우엔 더더욱 불령선인으로 찍혔다.

특히 건달들은 특성상 상대가 일본인이라도 수틀리면 폭력쓰는건 예외가 없다보니 사실상 불령선인으로 간주되었다.

당연히 독립운동가들은 이 분야에서 끝판왕이엇다.

이렇게 일제는 이에 해당되는 조선인들은 무조건 체포하여 투옥하고, 나아가 무국적자로 처리하여 해외여행에 지장을 주기까지 하였다. 비록 이 당시엔 해외여행 자체가 별로 흔치 않았다지만 유학이나 출장, 국외취업 등은 드문건 아니엇기에 이는 매우 강력한 조치였다.


3. 기타[편집]


  • 박열은 불령선인을 옹호하는 내용을 담은 후토이센진(人)이라는 기관지를 간행했다. 제목은 발음이 불령선인 후테이센진(不逞鮮人)과 비슷함을 이용한 풍자로, “뚱뚱한 조선인”이라는 뜻이다.
  • 극우 일본인으로 유명한 타카다 마코토가 자신의 트위터에서 반일적으로 보이는 한국인을 지칭해 불령선인이라는 용어를 자주 거론한다.
  • 21세기에도 일본 제국이 존재하며 여전히 한반도를 식민통치하고 있다는 배경을 지닌 대체역사물 영화 2009 로스트 메모리즈에 등장하는 조선인 항일단체 '조선해방동맹'을 일제 측이 이렇게 부른다. 다만 이 영화에서는 단어를 한번 꼬아 '후레이센진(不令鮮人)'으로 부른다.


4. 같이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7:33:21에 나무위키 불령선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센징. 가 아니다. 음을 표기하는 呈의 음과 같고, 중국 한자음 역시 성모가 tʰ(현재 한자음은 ch). 한국 한자음으로는 (呈을 고려하면) 본래 이어야 하지만 음이 달라진 경우. 원래 해당 글자는 畜(튝)과 領(령)의 반절이기 때문에 '텽'으로 발음되어야 했다. 이에 가까운 '정'(옛 표기로는 '뎡')이라는 독음도 현재까지 남았지만, 한국어에서는 자음 ㄷ이 약화되자 '령'으로 와전되어 정착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