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즈네프 독트린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브레즈네프 독트린(Доктрина Брежнева)은 소련의 제5대 서기장레오니트 브레즈네프1968년 11월에 폴란드 통일노동당 5차 대회의 연설에서 발표한 독트린이다. '제한주권론' (Доктрина ограниченного суверенитета) 이라고도 한다.


2. 상세[편집]


이 독트린은 그해 8월에 소련군체코슬로바키아에서 일어난 프라하의 봄을 막기 위해 군사개입한 것을 정당화하는 주장이다. 독트린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회주의 진영 전체의 이익을 위해서는 개별 국가의 주권은 제한될 수 있다.


사회주의에 적대적인 세력들이 사회주의 국가를 자본주의 국가로 바꾸려고 하거나 공산권 국가가 종주국인 소련의 통제를 벗어나 독자적인 행동을 하려고 한다면 그 해당 국가뿐만 아니라 공산주의 진영 모두에게 문제가 되므로 소련은 그 해당 국가로 전차를 몰고 가서 반동분자들의 머리통을 날려버려도 문제될 것이 없다는 주장이다. 물론 국제법상으로는 엄연한 내정간섭이지만 당시 소련이 최전성기였던 데다 이미 냉전이 굳어진 시점이었고 미국베트남 전쟁에 시달렸기 때문에 서방 국가들이 할 수 있는 일은 그저 비난밖에 없었다. 역설적으로 보면 서방의 개입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확신했기에 이럴 수 있었던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사실이지만 그 당시의 미국도 따지고보면 남말할 처지는 못되었던 것이 브레즈네프 독트린만큼은 아니더라도 중남미나 동남아시아 국가, 중동 등에 내정간섭을 한 경우가 많기도 했다. 그레나다 침공 사건이나 인도네시아에서 수하르토를 지원하면서 100만명 이상이 학살당하는 일을 방조한다든가, 칠레의 군부 쿠데타를 사주해서 피노체트가 집권하게 된 일이 대표적이다.

또 마르크스 사상에는 전세계 노동자들이 단결할 것을 요구하는 국제주의가 명시되어 있으므로 서방의 비판 이외에 제2세계 내부에선 명분상 문제가 없었다.

결국 소련은 기어코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20만 대군을 체코슬로바키아에 파견하여 폴란드군헝가리군, 불가리아군, 국가인민군[1]으로 프라하의 봄을 잠재워 버렸다.

브레즈네프 독트린은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고 특히 스탈린 사후부터 소련과 거리를 조금씩 두던 중국은 이를 사회주의적 제국주의로 규정하고 소련이 제국주의로 타락했다고 맹비난했다. 중소결렬 이후 계속 악화되던 중소관계는 결국 1969년 중국-소련 국경분쟁에서 폭발했다.

물론 소련도 직접 개입은 부담이 컸는지[2] 브레즈네프 독트린이 적용된 건 이때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지만 1980년대 중반 이전까지는 소련의 영향력 하에 있는 중앙유럽 국가에 대한 압박 용도로 활용되기도 했다. 그 예로 폴란드에서 1980년레흐 바웬사를 중심으로 결성된 폴란드 연대노조가 총파업을 일으켰을 때 이 독트린에 의거하여 소련군이 출동 준비를 갖추고 폴란드 정부를 압박하자 이에 폴란드 군부가 스스로 1981년 12월 13일 계엄령을 선포하고 바웬사를 비롯한 폴란드 자유노조원들을 체포한 것을 들 수 있다.

1988년 3월에 일명 '신사고(新思考) 외교'[3]를 펼치던 미하일 고르바초프유고슬라비아베오그라드를 방문하여 발표한 소련의 새로운 외교방침인 이른바 '신(新) 베오그라드 선언'에서 브레즈네프 독트린을 부정함으로써 이 독트린은 비로소 폐기되었고 이후 동구권 민주화의 불씨를 당기게 되어 동유럽 혁명으로 이어졌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10:30:09에 나무위키 브레즈네프 독트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동독 군대인 국가인민군의 개입은 "나치 독일의 침략을 재현"한다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음을 우려한 브레즈네프가 막판에 중지시켰다.[2] 위성국이라고 해도 주권이 인정되는 주권 국가였기 때문에 소련 입장에서는 남발하기에는 부담이 컸다. 서방만큼은 아니라도 바르샤바 조약기구 역시 그 나라 국민들의 암묵적인 동의가 요구되는 데다 혼란이 장기화되면 미국이나 유럽이 손을 쓰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었다.[3]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집권하면서 소련이 펼친 외교정책. 신사고 외교를 주창한 소련 정부는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철폐, 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군의 철수, 동서대립의 해소, 동구권의 민주화와 통일의 용인, 핵무기 감축 정책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