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티시 인베이전

최근 편집일시 :



[ 정치 ]
상징
유니언 잭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정치 전반
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영국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영국의 권리장전 · 의전서열
왕실 및 귀족
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영국 · 영국의 귀족 목록 · 영국 귀족원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치안 및 사법
영국의 법 집행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립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정당
정당 · 보수당(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
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영국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 및 의제
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
외교 전반(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5개의 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브렉시트(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역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사회 · 경제 ]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
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하위지역) · 스코틀랜드(하위지역) · 웨일스(하위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영국(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
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
영국인 ·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게일인) · 웨일스인(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영국계
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재한 영국사회
교육
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
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기타
그리니치 천문대(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생활비 절약 노하우 · 혐성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문화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군사 ]






록 음악의 역사
[ 펼치기 · 접기 ]
로큰롤
척 베리 · 엘비스 프레슬리 · 리틀 리처드 · 버디 홀리 · 제리 리 루이스
서프 록
더 벤처스 · 섀도우즈 · 듀언 에디 · 딕 데일 · 비치 보이스
브리티시 인베이전
비틀즈 · 롤링 스톤스 · 더 후 · 애니멀스 · 킹크스 · 크림 · 좀비스 · 스몰 페이시스 · 야드버즈
포크 록
밥 딜런 · 비틀즈 · 버즈 · 사이먼 앤 가펑클 · 마마스 앤 파파스 · 조니 미첼 · 닐 영 · 러빈 스푼풀 · 레드 제플린
사이키델릭 록
비틀즈 · 도어즈 · 버즈 · 지미 헨드릭스 · 핑크 플로이드 · 제퍼슨 에어플레인 · 재니스 조플린
네오 사이키델리아
플레이밍 립스 · 프라이멀 스크림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애니멀 콜렉티브 · 보어덤스 · 테임 임팔라
크라우트록
· 노이! · 아몬 뒬 II · 파우스트 · 포폴 부
베를린 스쿨
탠저린 드림 · 클라우스 슐체
익스페리멘탈 록
벨벳 언더그라운드 · 프랭크 자파 · 캡틴 비프하트 · 디스 히트 · 스완스
노이즈 록
벨벳 언더그라운드 · 소닉 유스 · 하다카노 라리즈 · 후시츠샤
노 웨이브
글렌 브랑카 · 스완스 · 소닉 유스
개러지 록
소닉스 · 러브 · 서틴스 플로어 엘리베이터스 · 더 킹스멘 · 스투지스
루츠 록
블루스 록
애니멀스 · 롤링 스톤스 · 에릭 클랩튼 · 크림 · 야드버즈(레드 제플린) · 피터 그린 · 로리 갤러거 · 다이어 스트레이츠
하트랜드 록
닐 영 · 브루스 스프링스틴 · 톰 페티
컨트리 록
더 밴드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롤링 스톤스 · 이글스 · 듀언 올맨
서던 록
레너드 스키너드 · 올맨 브라더스 밴드
하드 록
더 후 · 롤링 스톤스 · 지미 헨드릭스(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 크림 · 레드 제플린 · AC/DC · 에어로스미스 ·
어덜트 오리엔티드
포리너 · 저니 · 토토 · 데프 레파드 · 빌리 스콰이어
프로그레시브 록
무디 블루스 · 킹 크림슨 · 핑크 플로이드 · 제네시스 · 예스 ·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 · 제쓰로 툴(프로그레시브 포크) ·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
글램 록
티렉스 · 데이비드 보위 · 록시 뮤직 · 루 리드 · 게리 글리터 · 뉴욕 돌스
소프트 록
닐 다이아몬드 · 카펜터즈 · 닐 영 · 폴 사이먼
팝 록
존 레논 · 폴 매카트니 · 비 지스 · 아바 · 플리트우드 맥 · 듀란 듀란 · 필 콜린스 · 피터 가브리엘 · 로드 스튜어트 · 조지 마이클
파워 팝
배드핑거 · 빅 스타 · 라즈베리스 · 칩 트릭 · 위저 · 틴에이지 팬클럽
피아노 록
제리 리 루이스 · 리틀 리처드 · 엘튼 존 · 빌리 조엘 · 벤 폴즈
헤비 메탈
아이언 버터플라이 · 레드 제플린 · 블랙 사바스 · 딥 퍼플
NWOBHM
주다스 프리스트 · 아이언 메이든 · 데프 레파드 · 색슨 · 베놈 · 모터헤드
글램 메탈
(팝 메탈)
데프 레파드 · 머틀리 크루 · 밴 헤일런 · 본 조비 · 미스터 빅 · 스콜피온즈 · 신데렐라 · 에어로스미스 · KISS · 포이즌 · 하노이 록스 · 스키드로우 · 건즈 앤 로지스
파워 메탈
헬로윈 · 블라인드 가디언 · 스트라토바리우스 · 감마레이 · 랩소디 · 앙그라 · 아반타시아 · 에드가이 · 카멜롯 · 드래곤포스 · 소나타 악티카
익스트림 메탈
스래시 메탈
메탈리카 · 메가데스 · 앤스랙스 · 슬레이어
블랙 메탈
메이헴 · 다크스론 · 버줌
데스 메탈
데스 · 카르카스 · 모비드 엔젤
고딕 메탈
마이 다잉 브라이드 · 파라다이스 로스트 · 시어터 오브 트래저디 · 라크리모사
프로그레시브 메탈
러시 · 제쓰로 툴 · 크림슨 글로리 · Vanden Plas · 퀸즈라이크 · 드림 시어터 · 비트윈 더 베리드 앤 미섀도우 갤러리
익스트림 프로그레시브 메탈
메슈가(Djent) · 오페스 · 고지라
멜로딕 데스 메탈
인 플레임스 · 앳 더 게이츠 · 다크 트랭퀼리티 · 아치 에너미 · 칠드런 오브 보덤
네오 클래시컬 메탈
레인보우 · 리치 블랙모어 · 잉베이 말름스틴 · 아텐션
그루브 메탈
판테라 · 램 오브 갓
얼터너티브 메탈
Alter Bridge · 헤일스톰
뉴 메탈
Korn · 림프 비즈킷 · 머드베인 · 린킨 파크 · 시스템 오브 어 다운 · 파파 로치 · 슬립낫 · 데프톤즈
기타 하위 장르 : 가스펠 메탈 · 바이킹 메탈 · 둠 메탈 · 심포닉 메탈
펑크 록
라몬즈 · 섹스 피스톨즈 · 더 클래시
포스트 펑크
조이 디비전 ·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 · 와이어 · U2 · 텔레비전 · 갱 오브 포
고딕 록
바우하우스 · 수지 앤 더 밴시스 · 더 큐어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스트록스 · 인터폴 · 프란츠 퍼디난드 · 예예예스 · 악틱 몽키즈
뉴웨이브
듀란 듀란 · 블론디 · 폴리스 · 토킹 헤즈 · XTC · 카스
신스팝
크라프트베르크 · 티어스 포 피어스 · 디페시 모드 · 뉴 오더
하드코어 펑크
블랙 플래그 · 마이너 스렛 · 데드 케네디스 · 미스피츠 · 배드 브레인스
포스트 하드코어
빅 블랙 · 허스커 두 · 미니트맨 · 푸가지
팝 펑크
라몬즈 · 버즈콕스 · 엘비스 코스텔로 · 그린 데이 · 위저 · Sum 41 · 오프스프링 · 마이 케미컬 로맨스 · 머신 건 켈리
그라인드코어
네이팜 데스 · 애널 컨트
메탈코어
불렛 포 마이 발렌타인 · 브링 미 더 호라이즌 · 컨버지 · 어벤지드 세븐폴드 · 딜린저 이스케이프 플랜
데스코어
화이트채플 · 수어사이드 사일런스 · 본 오브 오시리스
얼터너티브 록
쟁글팝
더 스미스 · R.E.M. · 필리스 · 아즈텍 카메라
노이즈 팝
지저스 앤 메리 체인 ·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요 라 텡고 · 페이브먼트
드림 팝
콕토 트윈즈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갤럭시 500 · 러시 · 매지 스타 · 비치 하우스
슈게이징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라이드 · 슬로다이브 · 버브
그런지
너바나 · 펄 잼 · 사운드가든 · 앨리스 인 체인스 · 스톤 템플 파일럿츠
포스트 그런지
니켈백 ·크리드 · 도트리 · 푸 파이터즈
브릿팝
오아시스 · 블러 · 펄프 · 스웨이드 ·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 슈퍼 퍼리 애니멀즈
포스트 브릿팝
라디오헤드 · 콜드플레이 · 트래비스 · · 스노우 패트롤
인디 록
더 스미스 · R.E.M. · 픽시즈 · 리플레이스먼츠 · 모데스트 마우스 · 빌트 투 스필 · 요 라 텡고· 아케이드 파이어
슬래커 록
비트 해프닝 · 다이노소어 주니어 · 페이브먼트 · 가이디드 바이 보이시즈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스매싱 펌킨스 · 뮤즈 · 이매진 드래곤스
포스트 록
스완스 · 갓스피드 유! 블랙 엠퍼러 · 슬린트 · 시규어 로스 · 톡 톡

브리티시 인베이전
British Invasion
[1]


지역
[[영국|

영국
display: none; display: 영국"
행정구
]]
/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기간
1964년 - 1967년
대표 음악가
비틀즈, 롤링 스톤스, 좀비스, 킹크스, 애니멀스, 야드버즈, 더 후, 도노반
1. 개요
2. 역사
2.1. 폭풍전야: 미국의 상황
2.2. 1차 침공: 1960년대
2.3. 2차 침공: 1970년대
2.3.1. 뉴 로맨틱 붐
2.3.2. 반론
2.4. 번외편
2.4.1. 1980~90년대
2.4.2. 2000년대 이후
3. 유사한 사례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582b35b446e27a34478b64d9-750-563.jpg
비틀즈의 첫 방미 당시
미국 JFK 공항에 내리는 모습
[2]

영국의 침공은 음악적이나 문화적으로나 모든 것을 바꿔놓았습니다. "빅뱅"처럼 이전과 이후가 있었습니다. 생각이 바뀌고, 음악이 바뀌고, 사회가 바뀌고, 비틀즈의 영향만으로도 팬과 역사가는 영원히 바쁠 것입니다. 20세기의 결정적인 순간은 계속해서 울려 퍼지고 영원히 강하게 계속될 것입니다.

Todd Sucherman, Styx, 음악 평론가

British Invasion

국문으로는 '영국의 침략' 또는 '영국의 침공'으로 번역 할 수 있는 브리티시 인베이전(British Invasion)이란 단어는 영국음악이 미국에서 열광적인 인기를 얻으며 미국 음악계에서 유례가 없던 대성공을 얻게 된 시기를 의미한다.[3] 기본적으로는 1960년대의 문화 현상으로 영국의 음악과 문화가 미국을 점령하면서, 대서양 양편을 시작으로 반문화로서 크게 부상한 것을 의미한다.

1980년대 이후의 영국 음악이 대유행의 시대인데, 넓게는 음악 외적인 분야의 영국 문화의 부흥과 열풍, 세계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 브리티시 인베이전이 1960년대 반문화의 신호탄을 알리며 그 시대의 반문화를 정립하기 시작한다.

하단에 많은 시기가 나열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브리티시 인베이전이 지칭하는 시기는 1960년대뿐이고 나머지는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2. 역사[편집]



2.1. 폭풍전야: 미국의 상황[편집]


1960년대가 개시되었을 때, 미국의 록은 완전히 전신마비 상태였다고 할 수 있다. 보수적인 미국 사회는 흑인음악에서 유래한 로큰롤을 더이상 좌시하지 않으려 했다. 제리 리 루이스는 만 13살밖에 안 된 질녀[4]와 결혼하다[5] 사회적인 비난을 받았고, 리틀 리처드는 비행기 사고를 당할 뻔한 경험을 한 뒤 목사가 되겠다고 선언하며 음악계를 은퇴했다. 심지어 그는 "로큰롤은 사탄의 음악이다!"라고 주장하며 자기가 해왔던 로큰롤을 배신해 버렸다.[6]

척 베리는 사실상 로큰롤 기타 연주의 모든 것을 만들어 냈을 정도로 위대한 뮤지션이었지만, 미성년자 소녀와 커플이 되어 주 경계선을 넘다 수감되었으며[7], 리치 발렌스, 버디 홀리, 빅 바퍼라는 세명의 걸출한 로큰롤 거인들은 비행기 사고로 동시에 세상을 떠나버리고, 에디 코크런과 진 빈센트는 로커빌리의 투톱이었지만 자동차 사고로 인해 에디 코크런은 즉사, 진 빈센트는 평생 다리를 절게 된다.[8] 로큰롤의 제왕 엘비스 프레슬리는 데뷔 초기 때부터 성적 행위를 연상시키는 파격적인 무대 퍼포먼스와 시끄러운 음악, 껄렁껄렁한 태도로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끼친다는 보수 세력들의 비난을 계속 받아왔는데, 이런 비토적인 기성세대의 지긋지긋한 비난을 일단 피하고 차후 더욱 폭넓은 계층으로 팬층을 확대시키려는 이미지 관리와 방향 모색의 일환으로 잠시 군대로 자취를 감추게 된다.

이렇게 1950년대 후반에 주요 로큰롤 뮤지션들이 갑자기 사라지자, 미국의 대중음악계는 리키 넬슨 같이 표백처리된 얌전한 음악이나 스탠더드 팝이 가요계를 탈환하게 된다. 대신 미국 흑인들의 R&B/소울 음악이 차트를 지배하게 되는데, 로이드 프라이스와 브룩 벤턴R&B 가수들의 대성공,[9] The Shirelles를 대표로 하는 걸그룹 열풍(Girl Group Era)과[10] 모타운 전성시대가 이때 시작되었다.[11] 레이 찰스의 전성기도 이 시절이었다.[12] 하지만 락앤롤 정신은 이미 사라져 벤쳐스와 섀도우즈 같이 아예 가사가 없고 소재가 철저히 제한되어 있는 서프 음악이나마 기존의 로큰롤의 역할을 대신한다. 비록 소재와 폭은 좁은 장르였지만, 정교한 기타연주 테크닉과 각종 이펙터가 도래하는 장비 측면에서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 의의가 큰 시기이긴 했으나[13] 테크닉적인 면모만을 중시해온 나머지 대중을 오래 사로잡지는 못하고 약 2년만에 단명하고 만다.[14]

하지만 서프 음악 말고도 기존의 로큰롤 음악, 그러니까 그 사운드 자체는, 로큰롤 정신을 잃고 R&B 음악과 결합해 트위스트 등의 댄스 음악으로 바뀌었다. 처비 체커가 이 시대의 대표적인 뮤지션으로, 트위스트 열풍, 락앤롤 댄스 열풍을 실질적으로 시작한 'The Twist'는 빌보드지에서 역대 최고 히트곡으로 선정되었다. 덕분에 로큰롤 1세대의 퇴장 이후로도 로큰롤 음악 자체는 한물 간 장르로 남을 벼랑끝 상황을 가까스로 모면할수 있었다. 하지만 말했듯이, 락앤롤은 음악만 남고, 그 정신 자체는 사라지고 다른 의미로 변질되었기에 1959년~1963년은 사실상 미국 락앤롤의 암흑기였다.

이 당시의 상황으로썬 여담에 가까운 얘기긴 하지만, 각종 스쿨 로큰롤 밴드에서 맹위를 떨치고 고등학교 졸업 앨범에 리틀 리처드의 동료가 되길 갈망한다는 글을 써놓은 청년 로버트 짐머맨은 이런 녹록치 않은 현실 속에서 로큰롤 가수에 대한 꿈을 접고 밥 딜런이라는 예명을 달고[15] 통기타를 들고 포크 가수로 전향하여 활동을 시작했다. 이 당시의 포크 운동 진영 또한 로큰롤을 경멸한 시선으로 보긴 마찬가지였는 데, 기성세대의 사고와는 정반대로 진정성 없는 가벼운 내용에 악기 본연의 소리를 돈 쳐발라서 죽인 상업적 음악이라는 게 주 이유였다. 포크 송의 가사가 주는 울림에 압도당한 밥 딜런은 당시 로큰롤의 가사가 가볍다는 인식에는 공감했지만, 음악 자체만큼은 전혀 이야기가 달라[16] 밑에서 설명할 현상이 벌어지고 난 뒤 태도를 바꾸게 되는데...

2.2. 1차 침공: 1960년대[편집]


파일:비틀즈 1963.jpg
1963년의 비틀즈

많은 사람들이 설리반 쇼가 미국 역사와 세계 역사에서 중요한 순간이었던 이유를 이해하지 못 합니다. 미국은 매우 고통스러운 애도의 시간을 겪었습니다. … 엄청난 양의 절망, 비탄, 실망이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우리가 여전히 한 국가로서 슬퍼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잊은 것 같습니다. 비틀즈는 미국에 음악 이상의 무언가를 가져왔습니다. 그들은 희망을 가져왔습니다.

마이크 허커비, 전 아칸소 주지사 및 미국 대통령 후보 #

반면 당시의 영국은 문화적인 면에선 여러모로 미국보다는 개방적인 나라였다. 정작 로큰롤의 종주국이자 본토였던 미국에선 1950년대 후반~1960년경을 전후해서 로큰롤 열기가 급작스럽게 꺼져버렸고 그 뒤로도 부활의 기미조차 안 보여서 이젠 생명력을 다해 죽어버린 장르 취급을 받았으며 로큰롤을 하는 음악인 자체가 없어서 씨가 말라버렸다. 그러나 영국에선 로큰롤의 짜릿함을 잊지 못하고 로큰롤을 계속 연주하는 청소년들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비틀즈로서, 쿼리맨이라는 고교 스쿨밴드로 시작해서 졸업 후엔 1950년대 후반부터 60년대 초반까지 리버풀과 독일의 함부르크에서 클럽 연주 활동을 하며 실력을 다지고 있었다. 그후 비틀즈 외에도 리버풀 출신 밴드들이 여럿 나오며 이런 리버풀 출신 밴드들을 가리켜서 머시 비트라는 별칭이 붙기도 했다. 제리 앤 더 페이스메이커스, 서쳐스, 허먼즈 허미츠, 러빈 스푼풀[17], 프레디 앤 더 드리머스 등이 있다. 그리고 런던에서도 1963~4년경에 더 후, 롤링 스톤즈, 스몰 페이시스 같은 밴드들이 막 활동을 시작하려 하고 있었다. 이렇게 영국의 여기 저기서 다양한 밴드들이 활동하기 시작하면서 바야흐로 영국식 로큰롤 음악이 태동하게 된 것이었다.

어느 분야에서나 마찬가지로 대중음악계에서도 세계로 뻗어나가려면 먼저 세계 문화계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에서 성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당시까지 클래식 음악재즈의 영향력은 어마 무시했고, 미국의 대중음악 시장은 로큰롤쪽과는 거리가 먼 팝 음악이나 R&B/소울 위주였으며, 대학가에서도 그때까지만 해도 "로큰롤은 철없는 10대나 듣는 생각없는 양아치 노래" 취급하며 무시하던 사회참여적인 포크 음악계가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어서 미국에서 이미 생명이 꺼진지 수년이나 되는 로큰롤 음악이 성공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파일:external/api.ning.com/306213_10150301920228649_685886_n.jpg
1964년 4월 4일, 빌보드 핫 100 차트.
최초의 차트 줄 세우기임과 동시에 빌보드 역사상 최초의
[18] 주간 싱글 차트 (핫 100) 1~5위 동시 차지
그러나 1964년 캐피톨사에서 발매한 첫 비틀즈 미국 앨범 'Meet the Beatles'가 그 철없는 10대들의 열광적 호응에 힘입어 미국에서 대히트를 쳤고, 'I Want To Hold Your Hand'를 비롯한 여러 싱글곡들이 역사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잘생긴 영국 청년들이 연주하는 기존의 흑인 음악 원류와는 또다른 진화한 로큰롤 사운드에 대한 미국 청소년들의 관심이 폭발적으로 고조되었다. 드디어 비틀즈의 첫 미국 공연이 결정되었고, 1964년 2월 7일 비행기를 타고 뉴욕 JFK공항에 내려 당시 유명한 쇼 프로그램이었던 에드 설리반 쇼(Ed Sullivan Shows)에 출연하였다.

일부는 20세기 후반이 공식적으로 시작된 밤이라고 한다.[19]

CBS #

역사적인 브리티시 인베이전이 시작된 것이다. 당시 비틀즈의 열광적인 인기가 어느 정도였냐면 비틀즈가 출연한 에드 설리반 쇼는 7,300만명 이상의 미국인이 이 쇼를 시청했다고 한다. 이는 1964년 미국 인구인 1억 9천만 명의 40%, 그리고 텔레비전 시청자의 60%에 해당하는 어마어마한 숫자다. 그리고 LP가 주류 매체이던 당시로 비틀즈의 음반이 광풍적으로 팔리며 기존 대중음악 시장에 유례없는 대호황이 오면서, 음악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을 맞이하게 된다.[20]

비틀즈가 처음 미국을 방문했을 때는 지난 1963년 11월 일어난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에 대한 애도가 나라에서 아직 가시지 않은 때였다. 논평가들은 많은 사람들, 특히 젊은이들에게 비틀즈의 설리번 쇼 공연은 암살 이후 잠시 동안 사라졌던 흥분감과 가능성을 재점화시켜주었으며,# 또한 다음 십년대에 올 혁명적인 사회 변화에의 길을 터주는 데 기여하였다고 말한다. 암울했던 미국 사회는 비틀즈의 로큰롤 침공으로 다시 사회적인 활기를 되찾는다.#

그러나, 순탄하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기성 기득권의 대대적인 반발을 받았는데, 사회적으로 영국 및 미국의 기득권들에게 숱한 질타는 물론이고, 정치계는 물론, 종교계에서도 난리가 아니었다. 어느정도였나면 정부 기관이 나섰을 정도였다. 미국 노동부가 문화적 보수주의에 동기를 부여하고, 로비를 받은 미국 음악가 연맹과 미국 이민귀화국이 비틀즈의 미국 공연을 금지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은 실패로 돌아갔고, 기성 가치관관습은 비틀즈로 인해 박살이 난다. 참고로 훗날 미국 대통령이 되는 로널드 레이건 주지사는 이 시기의 비틀즈를 비판하면서 전국적인 명성을 얻는다.#

인종차별과도 맞닥드리는데, 바로 1964년, 잭슨빌 게이터볼 공연 에피소드로 이때 비틀즈는 역사상 대중 음악계 최초로 관중석 인종 분리를 부셨다. 공연장에 인종 분리가 있을 거라 들은 비틀즈는 공연을 거부하였고, 격렬한 대치 끝에 결과를 받아냈다. 당시 존 레논은 이러한 말을 하며 완강히 거부했다고 한다 "인종이 분리된 상태로는 절대 공연치 않을 것이며 지금 시작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 차라리 출연료를 날리겠어요." 시 공무원은 결국 비틀즈의 손을 들어주고 인종을 분리치 않고 공연을 진행시켰다. 비틀즈는 잭슨빌의 호텔 조지 워싱턴의 백인 전용실에 대한 예약도 취소하였고, 이후로 1965년과 1966년의 마지막 공연에서도 비틀즈는 계약서류 조항에 인종차별이 없을 것을 명기하도록 조치하였다.# 대중음악에 새로운 양심을 부여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그렇게 민권법 운동을 지지하며 파란을 일으킨다.

미국 전역이 비틀즈의 폭발적인 인기로 초토화되었는데, '오빠 부대'가 항상 그들을 따라다녔다. 그들이 덮고 잤던 담요가 조각으로 나뉘어 팔리기도 했으며[21] 그들이 목욕할 때 사용한 물을 병에 담아 팔자는 제안이 나오기도 했다. 그만큼 그들의 인기는 전대미문의 사회 현상이었다. 이토록 적극적이고 열성적으로 집착하는 여성팬들은 이후 영국, 미국 록 음악계의 독특한 팬덤 문화로 자리잡게 되는 그루피족 문화의 시발점이 된다. 이는 자유로운 성문화를 조성했으며, 성 개방화의 큰 영향을 주었다.

패션의 패러다임도 바꾸게 된다. 현대 정장의 기준으로 볼 수 있는 '모즈 룩'이 비틀즈를 필두로 인해서 크게 대중화되었고, 터틀넥 니트도 영화계에는 스티브 맥퀸오드리 헵번이 있다면, 대중음악계에는 비틀즈가 대중화에 큰 기여를 했다. 특히, 비틀즈#와 롤링 스톤스의 믹 재거는 대중음악계의 대표적인 패션 아이콘으로 1960년대부터 패션으로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고, 2023년 지금까지도 패션업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리고 비틀즈와 그들을 중심으로 성장한 1960년대 반문화의 영향으로 10대-20대 중심의 패션 서브컬처가 본격적으로 성장한다. 캐주얼적인 스타일이 주류가 되면서, 일상 패션에서는 수트, 특히 중절모 착용이 쇠퇴하고, 미니 스커트의 발명과 대중화, 남녀 모두에게 청바지가 베이스가 된 스타일링이 대중화됐다.

비틀즈를 중심으로 1960년대 반문화(Counterculture)가 성장하기 시작한다. 1960년대 반문화는 1960년대 역사에서 아주 중요하게 다루는 문화 이념이다. 60년대는 문화사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시기로, 이때 몇몇 대사건들과 인물들의 등장으로 사회가 전체적인 대격변을 겪는다. 1960년대가 진전됨에 따라, 다른 이슈들과 관련하여 광범위한 사회적 긴장감이 발전했고, 개인에 대한 존중, 인간의 성, 여성의 권리, 전통적인 권위 방식에 대항, 같은 사회인으로 평등, 백인이 아닌 사람들의 권리, 인종차별의 종식, 향정신성의약품에 대한 실험, 아메리칸 드림에 대한 다른 해석 등에 따라 흘러갔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된 많은 주요 운동들은 1960년대 반문화권 내에서 시작되거나 발전되었다. 이 당시 비틀즈는 반문화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여러가지 사회문화 현상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이 시기의 반문화 운동은 Rachel Carson의 침묵의 봄으로 시작된 환경주의적 사상이 크게 수면에 오르게 도우면서, 환경운동의 근간이 되어 주었다.

미국에서 영국 밴드인 비틀즈의 이런 활약으로 인해 미국 내에서 영국 로큰롤 밴드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고, 이에 따라 다른 여러 영국 밴드들도 뒤이어 미국으로 넘어와서 왕성한 활동을 하게 된다. 이런 영국 록 밴드들에게 영향과 자극을 받아 미국에서도 다시 로큰롤이 부흥하게 되어 많은 록 뮤지션들이 새로 쏟아져 나왔고, 비틀즈, 롤링 스톤스 등의 영국과 미국의 이런 다양한 록 뮤지션들에 의해 저변이 넓어지면서 록 음악의 르네상스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록 음악 열기가 영국과 미국 뿐 아니라 세계로 퍼지면서 전 세계적으로도 록 음악 열풍이 불며 더욱이 비틀즈같은 창조적인 개척가들로 인하여 기존 로큰롤에서 하위 장르를 아우르는 상위 장르의 음악 록 음악이 전 세계 대중문화의 중요한 분야로 자리잡게 되며, 이 시기 비틀즈를 시작으로 현대의 대중음악 시대가 형성됐다고 보고 있다.

2021년 USA 투데이의 켄 반즈(Ken Barnes)의 분석 기사에 의하면 당대 미국 음악 신의 약 34%가 브리티시 인베이전으로 인해 몰락했으며, 나머지 음악가들은 어느 정도 타격을 입었으나 살아남았고 그 중 24%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꾸준히 인기를 유지했다. 미국 음악계의 약 1/3이 무너진 셈이니 가히 '침략'이라 부를 만 했다.

세계화의 첫 시작점으로도 평가된다. 수십 년 동안 미국은 할리우드 영화, 재즈, 브로드 웨이 와 틴 팬 ​​앨리 음악을 통해 전 세계의 대중 엔터테인먼트 문화를 리드했었다. 그러나 1964년 초, 라이프 매거진은 "영국은 미국 식민지를 잃었었지만, 비틀즈가 식민지를 되찾았습니다."라고 선언한다.# 미국이 리드하던 엔터테인먼트 문화가 비틀즈에 의해, 영국의 색으로 달라지는 순간이었다. 영국에서 시작된 로큰롤의 재탄생이 비틀즈를 계기로 다시 미국에 전파되었고, 많은 인적 자원을 가진 미국을 거치며 더욱 거대한 태풍으로 확대되어 전 세계로 큰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이런 파장은 단순히 음악이나 문화계 내에서만 국한되는것이 아니라 사회, 정치, 경제적인 영향력으로도 뻗어나가기 이른다. 브리티시 인베이전으로 하여금 촉발되었던 사회적인 열기는 68혁명, 히피, 문화적 자유주의라는 세상을 뒤흔들었던 근간이 되어주기도 했으며, 영국을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인 문화의 메카로 발전시키는[22] 효자 브랜드로서 역할도 맡아주기도 하여 소프트 파워의 위력을 새삼 알리는 계기로 자리잡기도 했다. 당시 영국은 96%~97%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세율을 비틀즈에게 부과했는데, 그럼에도 폴 매카트니의 재산은 1조 5천억 + 알파라고 알려져있으니 그 거의 전부를 떼어가고 멤버끼리 분배하고도 저정도면 얼마나 어마어마한 세수를 확보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23]

특히 비틀즈의 경우, 전 세계로 뻗친 영향력이 엄청나서 소련같은 공산권도 절대 예외가 아니었다. 문자 그대로 소련을 뒤집어 놨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소련을 비롯한 양측 동맹국 사이에서 긴장, 경쟁 상태가 이어진 냉전 시기, 소련 진영에 속하는 국가들의 ‘철의 장막’에 침투한 비틀즈코드(비틀즈의 음악·패션 등)는 이념 대립과는 별개의 문제로 공산권 국가를 뒤흔들어 놓았다. 1960년대를 지배하던 비틀즈는 생활과 밀접한 이야기나 개인의 감정을 음악이나 옷차림으로 자유롭게 표현했고, 그 키워드이자 ‘비틀즈코드’는 ‘자유분방함’으로 이 신드롬은 철의장막 속의 소련이나 키예프 등의 공산권 국가에도 침투했다. 하지만 공산권 국가에서 체제를 위협할 수 있는 개인의 개성이나 자유 등의 민주적이고 자유주의 문화를 인정하지 않았고 소련 정부 측에서는 체제선전용 연극과 노래공연 등을 이용해 ‘건전한 체제·문화를 이룩하자’는 구호아래 선전활동에 힘을 쏟았다. 암시장에서 당시 노동자의 월급 이상의 액수에 비틀즈 앨범이 비밀리에 활발히 거래되었는데, 그 풍경은 가히 007 작전을 연상케 했다고 한다. 사람들은 엑스레이 사진을 병원에서 저렴하게 사거나 폐기된 엑스레이 사진에다 음악을 입히는 방법을 쓰기도 했다. 이렇게 만든 앨범은 '뼈에 와 닿는 음악(on the bones)'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 이 방법은 1950년대부터 이용되던 방법이었지만, 비틀즈의 광팬들로 인해 대중화 되었다.

비틀즈 문화를 막기 위해 정부가 민병대를 조직하여 단속했고, 음반을 가지고 다니다 적발되면 바로 대학교에서 제적당하는 등의 처벌을 받았다. 하지만 이미 자유를 맛본 젊은이들은 녹음기를 이용해 서로 다른 음반을 사서 따로 녹음해 나눠 갖거나 '해적판'을 이용해 꾸준히 음반을 접한다. 결국 소련도 경제적 실리도 취할겸 젊은이들의 열망에 항복했고, 후에 소련에서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등장(1990~)했을 때, 고르바초프는 "어떤 이데올로기보다, 어떤 종교보다, 베트남전이나 어느 전쟁이나 핵폭탄보다 냉전 확산의 가장 중요한 단일 원인은 비틀즈였다."라는 말을 남기며,# “비틀즈로 소통했고, 개혁했다.”라는 말을 남겼을 정도였다.통일부 프라하의 봄 당시 시민들이 Hey Jude를 시위대의 상징 곡으로 사용했고, 레논 벽민주화의 상징이 됐다. 비틀즈는 공산권에서 "자유주의 문화"의 위대한 사례로 알려져 공산권의 반서구적이고 폐쇄적인 체제를 무너트리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비틀즈가 공산주의를 죽였다."라는 말과 미국 대통령이 못한 일을 영국 밴드가 해냈다는 식의 말이 나올 정도였다.

브리티시 인베이션은 1960년대 미국 중서부, 서북부등 서부개발이 진행되던 당시의 서부 젊은이들에게 엄청난 영향을 끼쳤는데, 각 동네의 괴짜 청년들은 "연주력이 되든 안되든" 무조건 밴드부터 일단 만들고, 음질이고 뭐고 부족한 부분은 열정으로 커버하는 기행을 일삼았다. 이것이 바로 개러지 록[24]의 탄생이 되었다. 이 때가 1964~5년경으로서 바로 제 1차 브리티시 인베이전이라고 불리는 시기이다. 당시의 주요 밴드는 비틀즈, 롤링 스톤즈, 애니멀스, 킹크스[25], 그리고 조금 뒤로 크림, 더 후였다.

당시의 영국에선 단지 로큰롤 뿐 아니라 그 밑바탕이 되거나 관련성이 있는 미국의 루츠(roots) 음악들에 대해 오히려 그 음악의 종주국인 미국에서보다 더 애정을 가질 정도로 열려있는 분위기가 많았다. 로큰롤의 뿌리가 되었지만 미국에선 전국적인 인기는 누리지 못했던 옛 블루스 음악들이나, 당시의 미국 젊은이들이 촌스럽다고 느끼며 별 관심을 주지 않았던 컨트리 앤 웨스턴, 블루그래스 계열의 음악들에까지 영국 뮤지션과 음악팬들은 애정과 존경심을 보이며 흡수하고 소화해 갔다. 한마디로 미국 본토에서 무시당하던 흑인음악이 영국 젊은이들에게는 풍성하고 쏘울풀한 끝내주는 음악으로 인식되었고 수많은 미국 흑인음악 카피 밴드가 생겨났다. 예를들어 롤링 스톤스. 그리고 더 나아가 미국 내에서도 블루스의 대가이자 위대한 기타리스트 중 하나로 존경받는 에릭 클랩튼이라는 거장을 낳는 토대가 된다.

이런 당시 영국 음악팬들의 개방적인 풍토가 영화 캐딜락 레코드 후반부에서도 잘 엿볼 수 있다. 미국의 흑인 블루스 기타리스트 머디 워터스는 미국에서 인종차별으로 인한 생활고 때문에 음악을 포기 직전이었는데 동료로부터 영국에서 공연해달라는 초청을 받았다. 하지만 머디는 돈이 없어서 영국으로 갈 수 없다고 했는데 "그런 건 그쪽에서 다 지불한다, 넌 몸과 기타만 오면 된다."라고 한 것. 그리고 영국에 가보니 많은 기자들이 진을 치고 인터뷰하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을 보고 놀란다. 심지어 다 백인 기자들이었다. 영국에서 이렇게 흑인 뮤지션들에 대한 대접이 좋았기 때문에 상당수의 유명 흑인 기타리스트들이 영국으로 넘어가서 활동을 시작했다. 그래서 미국에선 대접도 못 받으며 무명의 세션맨 시절을 지냈던 지미 헨드릭스도 이런 흐름을 타고 영국행 비행기를 탔으며, 영국에서 보여준 테크닉과 필링으로 영국 뮤지션들이 완전히 뻑가서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고 그렇게 영국에서 먼저 인정을 받은 후 미국으로 금의환향하게 된다. 지미 헨드릭스는 첫 영국무대에서 관객석에 가득차서 환호하는 백인 관중을 목도하고 어이가 없어서 잠시 멍해졌었다고 술회한 바 있다.

그렇다고 미국 음악이 마냥 빌빌거리기만 했던 건 아니었다. 위 언급했던 밥 딜런은 비틀즈와의 조우 이후 서로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치며[26] 일렉기타를 다시 잡아 포크 록이라는 장르를 탄생시키며 록 역사의 당당한 주역이 되었고, 밥 딜런의 지원을 받은 버즈라는 밴드 또한 빌보드는 물론 영국 차트까지도 정복할 정도로 상당한 위상을 보이긴 했다. 비틀즈와 선의의 경쟁을 펼치던 비치 보이즈의 음악적인 성장 또한 고무적인 요소. 슈프림즈, 포 탑스, 템테이션스를 위시한 모타운 소속의 뮤지션들과 필 스펙터 사단의 로네츠, 크리스탈스 같은 걸그룹 역시 크게 인기를 끌며 높은 판매고를 기록했다.

한편으로는 벨벳 언더그라운드,[27] 프랭크 자파 등의 전위 음악가는 지하에서 후대 록 음악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실험을 시도하고 있었으며,[28] 미국 서부에서는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재니스 조플린, 제퍼슨 에어플레인 등이 주도해 거대한 샌프란시스코 사이키델릭 록 신이 형성되었으나 이 또한 당대 영국 음악의 위세에 비할 바는 아니었다.

당시 브리티시 인베이전 밴드들의 전성기를 담은 1968년의 '롤링 스톤스 로큰롤 서커스'의 영상. 주최자인 롤링 스톤스를 비롯해 더 후, 더티 맥[29], 마리안느 페이스풀과 제스로 툴이 공연했다. 존 레논의 부인 오노 요코와 롤링 스톤스의 전 리더 브라이언 존스도 나온다. 참고로 이 공연이 브라이언 존스가 참여한 마지막 롤링 스톤스 라이브였다고 한다.

2.3. 2차 침공: 1970년대[편집]


파일:LedZep.jpg
1973년의 레드 제플린
그 다음 1970년대에도 제 2차 브리티시 인베이전은 이어진다. 이전의 롤링 스톤스는 각종 명반 행렬로 최고의 전성기를 여전히 누리고 있었고, 비록 해체했지만 비틀즈의 멤버들 또한 각자도생하며 제각기 여전한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었다. 특히 존 레논Imagine 등을 필두로 반전 운동을 벌이며 미국 사회를 뒤흔들었던 점은 괄목할만한 행적. 폴 매카트니 역시 자신이 주축이 된 밴드 윙스를 만들어 대성공을 거두게 된다. 이 외에도 조지 해리슨링고 스타 역시 각자의 솔로 곡을 빌보드 핫 100 1위에 올리면서 비틀즈는 모든 멤버가 솔로곡으로도 빌보드 1위를 기록하는 엄청난 기록을 세웠다.

그리고 1970년대부터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한 밴드를 나열하자면, 레드 제플린, 딥 퍼플, 블랙 사바스 등의 하드 록[30] 밴드와 핑크 플로이드, 예스 등의 일부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들[31] 등의 밴드들이었다.

70년대 중요한 음악의 동향중 하나인 파워 팝의 도래 또한 영국에서 발생한 장르. 특히 주요 밴드로 거론되는 빅 스타는 비틀즈를 추종하던 미국 밴드였는데, 1차 침공 당시 미국에 뿌려놓은 영국음악의 영향력을 알 수 있다.[32] 미국에 각종 유산을 남겨온 글램 록 또한 영국의 작품이었으며, , 데이비드 보위, 엘튼 존 등 참신함을 보여준 스타들은 미국을 정복했고 빌보드서의 성과 또한 탁월했다. 그리고 미국인도 섞여있는 밴드라 완전한 영국 밴드라기엔 애매하지만, 영국에서 결성된 플리트우드 맥 또한 상업적으로 월등한 성공을 거둔 바 있었다.

2.3.1. 뉴 로맨틱 붐[편집]



New Roamantic. 70년대 말엽 도래한 신디사이저 기반의 신스 팝 밴드들의 도래, 그리고 영국을 넘은 미국서의 80년대 초반 상업적 성공을 일컫는 뉴 웨이브의 하위 무브먼트 명칭이다. 영국에서 등장한 록 사운드도 무시할만한 성적은 아니었지만, 미국에서 성공한 밴드가 심히 제한적인데 비해 이 무브먼트는 미국에서 성공한 사례들이 광범위하게 등장해 영어권 평단에서는 오히려 이쪽을 2차 브리티시 인베이전이라 칭하기도 한다.위키피디아

영국 런던과 버밍엄 클럽을 중심으로 성행하던 스타일로서 기존 프로그레시브 록글램 록, 크라우트 록 등 실험적인 장르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데이비드 보위, 브라이언 이노록시 뮤직, 크라프트베르크 등이 일궈놓은 일렉트로닉 뮤직 사운드를 보다 대중 친화적 수려한 멜로디로 개조시킨 점이 특징이다. 이 무브먼트의 첨병으로는 게리 뉴먼을 들 수 있겠고 70년대 말엽 영국에서 먼저 차트인을 달성하는 상업적 가능성을 선보이기도 했다.

그리고 80년대 초반 MTV를 활용한 물량 공세를 펼치며 미국 시장을 공략하기 이르렀는데, 이들 중 대다수가 빌보드 최상위권을 점령하고 마는 승전보로 하여금 뉴 로맨틱 붐은 대중들 사이에서 회자되기 시작했다. 듀란 듀란, 컬쳐 클럽, 휴먼 리그,[33] 스팬다우 발레, 재팬, 데드 오어 얼라이브, 옐로우 매직 오케스트라[34] 등을 대표 뮤지션으로 들 수 있겠고, 특히 1983년의 발매 음원 중 1/3 가량은 영국발 음원들로 집계될 지경으로 60년대 브리티시 인베이전에 결코 꿇리는 성과는 아니었다.

신명나는 음악만이 아니어도 이들이 보여준 중성적이면서도 다채로운 비주얼과 패션 또한 이 문화의 유산이었다. 이 팬덤들은 뉴 로맨틱의 산실 중 하나였던 클럽 '블리츠'로 자주 몰려들어 '블리츠 키즈'라는 별칭으로도 불리기도 했는데, 데이빗 보위의 파격적이고 전위적 패션 감각을 흉내내는 젊은이들은 패션 업계를 진일보시키는 첨병을 자처하곤 했다. 펑크 패션, 해적, 고딕, 밀리터리, 할리우드 등등 이색적 요소들에서 따온 비주얼들은 패션 업계에 다양성을 더했으며, 파워숄더, 배기 팬츠 등의 융성도 이때 나온 것. 이렇게 눈과 귀를 매료시킨 이 무브먼트는 미국에서도 80년대의 필수적 상징으로 회자되곤 한다.

2.3.2. 반론[편집]


70년대 미국 음악계는 엄연히 자립에 성공한 상태로서 1970년 비틀즈가 해체하고, 히피 문화가 죽으면서 사이키델릭 록의 자리를 소프트 록하드 록이 양분하게 되는데, 소프트 록은 철저한 미국 음악이었고, 하드 록은 상술했듯 레드 제플린 등 소수의 영국 밴드를 제외하면 포리너밴 헤일런과 같은 현지화에 성공한 밴드들이 미국의 지분을 접수했다. 이 외에도 수요가 있던 컨트리 록, 포크 록 등의 미국만의 조류도 존재했다. 여기에 미국 흑인들의 음악인 소울, 펑크(Funk)는 70년대 초중반 록과 쌍벽을 이룰 정도로 많은 인기를 끌었으며, 70년대 중후반의 디스코는 약 5년 동안 록 음악을 침체기에 빠지게 했고 유명 록 밴드들마저 한 번쯤은 차용해볼 정도로 상당한 위세를 떨친 바 있었다. 또한 브루스 스프링스틴이나 포리너, 이글스 등 수많은 미국 출신 밴드들이 70년대에 인기를 끌었으며 일부는 영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

1960년대의 영국 음악 열풍을 굳이 침공(Invasion)이라는 단어를 써 가며 표현하는 이유는 이들이 음악적, 대중적으로 기존의 미국 음악계를 압도할 정도로 영향력이 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70년대에 들어서면 물론 여전히 인기 있는 영국 밴드들이 있었지만 미국 음악가들도 다시 기세를 펴며 인기를 회복했기에 이전과 같은 강점기 수준의 영국 음악 열풍이 불지는 않게 된다.

물론 프로그레시브 록 등 압도적으로 영국이 우위인 장르가 있긴 하였지만 애초 프록 자체가 마이너한 장르였다. 핑크 플로이드를 제외한 다른 밴드들은 인기가 없다고 봐도 무방했다. 록 음악에 거대한 틀을 세운 섹스 피스톨즈더 클래시, 버즈콕스 등의 펑크 록에다 와이어, 갱 오브 포, 조이 디비전 등 먼 후대에 미국까지 수많은 씨앗을 뿌려놓은 포스트 펑크 밴드들도 70년대 영국 작품이긴 하지만,[35] 어디까지나 후대의 영향력이었지 이들의 당시 상업적 존재감은 본토 영국에서마저 미미한 수준이었다.

또한, 2차 브리티시 인베이전 음악가로 분류되는 음악가들 역시 이러한 견해를 반박하는 데 사용된다. 가령 레드 제플린은 1차 침공 이전 시기 활동했던 야드버즈의 직접적인 후신으로서 2차 침공 시기와 구분하는 게 불가능할 뿐더러[36], 애시당초에 미국을 중심으로 활동했기 때문에[37] 국적이 영국이어도 비틀즈킹크스 같은 순수한 영국 밴드라고 하기도 어렵다. 이는 미국인도 다수 섞여있는 다국적 밴드 플리트우드 맥도 마찬가지.[38]

그리고 데이비드 보위의 미국내 성공은 글램 록 전문에서 벗어나 소울 음악을 도입한 이후 부터였다. 이전까지는 어디까지나 글램 록 뮤지션들 중에선 잘나가는 정도에 불과했으며, 티렉스 등 대다수의 글램 록 뮤지션은 미국 진출에 실패했다.[39] 조브리아스뉴욕 돌즈, 루 리드 등 미국에서 등장한 글램 록 뮤지션들도 빌보드에선 처참한 성적표를 받아야 했고 오히려 KISS, 앨리스 쿠퍼 등 글램 록 요소를 받아들이되 자신들의 입맛대로 변형한 미국 밴드들이 원본을 능가하는 인기를 얻었고 이후 글램 메탈이란 조류가 등장하고서야 글램은 미국 시장에 안착하게 된다. 당시 글램 록이 미국에 먹히지 않은 이유로는 글램 록 특유의 양성적인 외견이 보수적이었던 미국 대중의 성향에 반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이런 미국의 보수적 면모는 10년이 지나도 여전해서 I Want to Break Free로 큰 곤욕을 치르게 된다.[40]

이런 고로 대다수의 영미권 음악 평론지에서는 브리티시 인베이전은 늦게 잡아도 1969~70년을 끝으로 종료되었다고 보고 있으며, 이후 70, 80년대에도 인베이전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매체는 이 나무위키를 포함한 극소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론 브리티시 인베이전이라 한다면 60년대의 현상만을 칭하므로 이에 유의할 것.

2.4. 번외편[편집]


브리티시 인베이전이라 하면 보통 1960년대의 1차 침공과 1970년대의 2차 침공을 의미하지만, 폭풍간지가 흐르는 이 명칭을 갖다붙이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이후 시대에도 이 명칭을 종종 사용한다. 그러나 이후에서는 영향력과 음악사적 중요성에서든, 인기와 열풍에서든 1, 2차때에 비하면 한참 약하기에 인베이전 시리즈(?)에 넣을 수 있을지 말지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 여담으로 당시 미국 백인 보수층은 당시에도 소울, 펑크(Funk) 등의 흑인 음악을 저속하다 여기지만 몰래 흑인클럽을 찾아 술과 음악을 즐기는 이중성이 공존했다. 한마디로 백인이면서 대놓고 흑인음악 팬이라고 말하기 힘든 시기였던 것. 이때문에 표면적이라도 미국 흑인 음악을 기반으로 한 영국 록큰롤 밴드들의 유입을 그리 달갑게 여기지 않았다. 롤링 스톤즈는 첫 미국 방문시 거구의 미국 경찰들에게 대놓고 외모조롱(장발의 상고머리, 타이트한 정장, 마른체격)을 당하기도 했다고 한다.


2.4.1. 1980~90년대[편집]


1970년대까지 승승장구하던 영국의 록 음악은 1980년대에 들어 본격적으로 그 위력이 약해지기 시작한다. 미국 내 헤비 메탈 밴드들이 떠오르면서 록 음악의 주도권을 미국 쪽이 탈환하게 된 것. 사실 이미 영국에서 70년대 후반 NWOBHM(New Wave Of British Heavy Metal)라는 메탈 무브먼트가 먼저 시작되어 도화선의 역할을 했으니 이 도화선도 영국이라 칭할수는 있겠지만, 미국의 밴 헤일런이 크게 기여한 바가 있다. 미국에서도 머틀리 크루, 본 조비 등을 필두로 글램 메탈(팝 메탈)의 독자적인 조류가 주류가 되버리면서 영국의 록밴드들은 자연스레 밀려나게 된것이다. 그리고 흑인 음악과 백인 음악의 크로스오버를 실현한 마이클 잭슨의 등장으로 대중음악의 중심이 다시 미국으로 기울어졌으며, 사실 80년대의 주요 밴드들을 꼽아보면 영국 밴드의 비중이 확실히 줄어든다. 당시 반열을 나열하자면 메탈리카, 메가데스, 콰이어트 라이엇, 스키드로우, 밴 헤일런, 본 조비, 건스 앤 로지스 등등... 앞서 말한 NWOBHM의 대표주자인 아이언 메이든, 주다스 프리스트, 모터헤드도 유명했지만 미국의 철옹성을 넘을 정도는 아니었다. 색슨처럼 미국에서 아예 인기를 얻지 못한 엔워븜 밴드들도 많았다. 다만 80년대 중반 데프 레파드는 3집과 4집이 록밴드 역사상 최초로 무려 1천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당대 미국의 본 조비와 라이벌로 등극했을 정도로 대단한 인기를 누렸다. 또한 하드록계열과 헤비메탈이 아닌 신스팝을 필두로 한 영국 밴드들은 제 2의 브리티시 인베이젼이라 불릴만한 성과를 빌보드 핫 100과 앨범차트에서 나타냈으니 그 주인공은 폴리스를 필두로 듀란 듀란, 컬쳐 클럽, 제네시스[41], 펫 샵 보이스 등의 거물 밴드들은 물론 셀수 없이 많은 영국 신스팝 밴드들이 80년대 중후반까지 차트를 휩쓸게 된다.

물론 정통 락 밴드만 이야기하자면 이 시기의 영국에서도 더 스미스, 큐어, 스톤 로지스,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42]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같이 모던 록 계열에서 족적을 남긴 밴드들이 활약했지만, 미국에선 그다지 인기와 관심을 끌지 못했다. 사실 이들 중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은 영국에서도 상업적 성공하고는 아주 거리가 멀었다. 성공했다는 스미스 같은 밴드도 후술된 데프 레파드같은 글램 메탈 밴드와 비교하면 최소 수십 배 이상 차이가 난다. 애초에 이들은 어디까지나 인디 밴드였다는 것을 명심하자. 그리고 미국에서도 소닉 유스픽시즈, R.E.M., 리플레이스먼츠 등 모던록 내지 얼터너티브 록 부문에서 활약상을 보인 밴드는 얼마든지 있었으나, 이들 역시 주류까지 올라서진 못했다.

그나마 영국 내에서 소수의 글램 메탈(팝 메탈)이나 블루스 밴드 정도가 미국에서 그럭저럭 성과를 거두고 있었는데, 선술한 데프 레파드만이 미국 시장 내에서 미국 밴드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특히 Hysteria 앨범은 건즈 앤 로지스나 본 조비가 위세를 떨치던 시대에도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는 등[43] 위세를 떨쳤다. 이 이외에 1985년을 지배한 다이어 스트레이츠가 있다. 스팅과 함께 작업한 Money for Nothing이 빌보드에서 5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면서 수록된 앨범인 Brothers in Arms가 대박을 쳤다. 노래와 뮤직비디오가 MTV를 비판하는 내용인데도 너무 잘 팔렸기 때문에 MTV가 이 노래의 뮤비를 계속 방영하기도 했다. 그 외에 스팅폴리스 또한 미국에서 빌보드와 평단 모두를 매료시키는 활약상을 보이기도 했다.

그리고 1985년 라이브 에이드에서 위 기라성 영국 밴드들이 대활약을 펼치자 영국 음악도 상당히 회자되는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했다.

80년대 후반 들어서는 블루 아이드 소울 계열들이 미국에서 나름의 큰 수확을 거두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조지 마이클을 들 수 있겠고 릭 애스틀리, 스티브 윈우드 등 후속 계보들도 미국 시장에서 큰 존재감을 보이기도 했다. 여기에 위 뉴 로맨틱 열풍을 기반으로 영국에서도 수많은 신스 팝 밴드들이 미국에서 활약을 이어가기도 했는데 스팅폴리스필 콜린스, 디페시 모드는 상업과 평단을 모두 매료시키는 활약상을 보이기도 했다.

90년대가 되었지만 상황이 나아지기는 커녕 얼터너티브 록의 초반기 주도권도 미국쪽이 장악했다. 너바나펄 잼으로 대표되는 시애틀 그런지스매싱 펌킨즈와 같은 밴드들의 위력에 영국은 침묵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미국 록음악계가 커트 코베인자살로 인한 그런지의 쇠퇴, 뉴메탈의 부흥으로 어지럽던 90년대 중후반에 영국의 모던록 밴드들이 이 틈새를 파고들어 큰 인기를 얻었다. 이때의 주요 밴드론 오아시스, 블러[44], 라디오헤드 등으로 특히 브릿팝 계열의 밴드가 많았다. 그러나 상업적인 성적은 선배들이 이뤄놓은 것에 비하면 미미했다. 오히려 영국 밴드임에도 불구하고 지극히 미국 적인 얼터너티브 음악으로 승부를 보았던 부시와 브릿팝의 대표격인 오아시스, 전세계 락 음악의 향락적 분위기를 바꾼 라디오헤드 정도가 미국시장에서 히트를 쳤다고 말할 수 있는 수준. 특히 라디오헤드는 4집 Kid A가 난해하다는 평가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빌보드 200 1위를 찍고 500만 장을 파는 등의 성공을 거두었다.

추가하자면 95년, 영국의 최정상급 보이밴드였던 테이크 댓의 곡 Back for Good이 빌보드 핫 100 7위까지 오르자 테이크 댓은 본격적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하려 했지만 로비 윌리엄스의 탈퇴로 인해 그룹이 해체가 되면서 실패했다. 그리고 그들의 한은 현재 원 디렉션이 대신 풀어주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실패는 밑거름이 되어 역사적인 걸그룹을 탄생시켰는데, 스파이스 걸스야말로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면서 비로소 인베이전의 재림이라 칭할만한 성과를 올리게 된다.

2.4.2. 2000년대 이후[편집]


2000년대에는 콜드플레이의 활약이 눈부셨다. 3집 X&Y가 2005년 최다 음반 판매량, 4집 Viva la Vida or Death and All His Friends가 2008년 최다 음반 판매량을 기록하며 전 세계를 지배했다.

에이미 와인하우스, 아델, 샘 스미스를 위시한 영국 가수의 복고풍 소울, R&B 장르 음악이 돌풍을 일으켰다. 이른바 소울 인베이전.

혹자는 영국에서 짧고 굵었던 장르였던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씬도 인베이전의 후보로 제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리버틴즈는 철저하게 내수용 밴드였고, 프란츠 퍼디난드는 미국 성적이 크게 시원치 않은데다가, 악틱 몽키즈는 그나마 빌보드 상위권에 들 정도로 히트를 치긴 했어도 해당 장르로 인기를 끌었다고는 보기는 힘드므로[45] 의미있는 성과라 보긴 힘들다. 사실 이 장르도 스트록스라는 미국 밴드에 의해 촉발된 장르였고 화이트 스트라입스, 킬러스 등 상업적으로나 평론적으로나 의미있는 성과물도 미국에서 나왔기 때문에 마냥 브리티시 장르라고 부르기도 어렵고.

그리고 해당 시기에는 영국 록 밴드들의 미국내 약세가 본격화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위 언급했던 악틱 몽키즈를 제외한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밴드 대다수를 비롯해 트래비스포스트 브릿팝 계열 밴드와 뮤즈, 플라시보, 스타세일러, Nothing But Thieves 등의 알려진 걸출한 밴드들도 영국에서 등장하긴 했지만, 유명세와는 대비되도록 미국내의 객관적인 상업적 성적은 상당히 저조했다. 이러는 와중에 블러의 자매 그룹인 고릴라즈 정도가 Demon Days로 빌보드 9위를 달성하는 정도로 체면은 살리기는 했다.

2010년대 초반 들어서는 클럽문화가 유행하고 EDM/댄스 팝이 대세가 되면서 전반적으로 영국음악의 영향력이 상당히 낮아졌으나 원디렉션이란 보이밴드의 새로운 계보 등장과 함께 아델, 에드 시런, 앤 마리 세 가수가 세계 음악시장을 휩쓸고 다니면서 영국 대중음악의 건재함을 알렸다.

3. 유사한 사례[편집]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BTS 내용 존치(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미국 대중음악계에서 큰 족적을 남긴 나라가 몇개 더 있는데 그 중 제일 두드러지는 것이 영미권 국가가 아닌, 스웨디시 팝, 블랙메탈으로 유명한 스웨덴이다. Swedish Music Miracle(스웨덴 음악의 기적)이란 단어가 있을 정도이고 음악은 스웨덴의 대표적 수출품으로 미국, 영국 다음으로 음악 수출이 많다. 스웨덴 음악의 대표 뮤지션으로는 Ace of Base,[46] ABBA, Alesso, Avicii, Bathory, Brainbombs, Dungen, Eric Prydz, Europe, Jessica Folcker, Joakim Karud, Refused, Roxette[47] 카디건스, Wannadies, 다크 트랭퀼리티, 더 리얼 그룹, 라쎄 린드, 앳 더 게이츠, 사바톤, 소일워크,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 인 플레임스, 잉베이 말름스틴, 켄트, 토브 로, 피터 비외른 앤드 존 그리고 전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프로듀서 맥스 마틴 등이 있다.

  • 같은 영어권 국가이자 영연방 국가인 호주 역시도 미국 시장을 점령한 경우가 많은데 대표적으로 AC/DC, 비 지스, Men at Work, Little River Band, 바르도, Savage Garden, 시아 플러, 에어 서플라이, 올드맨 리버, 제이슨 도노반, 카일리 미노그, 테임 임팔라, 트로이 시반 등이 미국과 전세계에 족적을 남겼다.[48] 그 외에 영국과 이웃나라인 아일랜드에서도 U2, 엔야, 로리 갤러거 같은 거물들을 배출한 바 있었고 독일스콜피온스, 크라프트베르크가 나름의 주목을 받는 등 브리티시 인베이전은 다른 서방국가들에서도 큰 자극제가 되었다.

  • 미국은 아니지만 어느 나라의 음악이 다른 나라의 대중음악계에 침공이라 부를 만한 커다란 영향을 끼친 사례로 대한민국의 K-POP동아시아/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아시아를 휩쓸었던 것, 이탈리아이탈로 디스코, 유로비트 계열이 일본을 휩쓸었던 것과 홍콩의 칸토팝(Canto Pop)이 중화권과 동남아의 대중음악계에 큰 영향을 끼쳤던 것이 있다.

  • 또한 음악계는 아니지만 일본 대중문화 개방으로 인하여 한국에서 일본 애니메이션과 만화의 영향력이 강해진 것도 이와 비슷하다. 심한 탄압으로 쇠퇴한 미국 로큰롤계에 로큰롤 팬들의 니즈를 비틀즈가 채워 줬듯이, 만화 검열제합동출판사로 인해 '무장해제'된 한국 만화계에 사실상 '무혈입성'한 것이기 때문. 이후 웹툰이 대한민국 내에 대세가 될 때 까지 상당기간 지속된 바 있다.

둘 다 보이밴드이고[49] 팬덤 역시도 유사한 외국의 가수들에다가 비록 장르는 달라도 미국에서 대가 끊긴 부분을 공략했다는 점도 유사하다. 정작 뉴 키즈 온 더 블록과 같은 아이돌의 원조인 미국은 정작 2000년대 초반의 백스트리트 보이즈N Sync 이후로 현재 BTS 포지션의 그룹이 거의 없고 그나마 있는 그룹 조차 대중적 영향력이 거의없다.[50] 비틀즈와는 규모 면에서 아직까지는 큰 차이는 많지만 최초로 미국공항에 도착했을때 수많은 팬들이 모였으며 팬들의 충성도와 적극성이 매우 높은 등 비슷한 면이 많은것도 사실이다. 비틀즈는 이전의 가수들과는 다르게 매스미디어를 활용하여 파급력을 높였으며 BTS는 유튜브SNS 같은 인터넷 뉴미디어를 통해 인기를 얻고 있는 점으로 새로운 마케팅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리고 비틀즈로 하여금 롤링 스톤즈, 더 후 등의 후배들도 미국 시장에 연착륙했듯 BTS의 도래 후 (아직 성과는 미미하지만) BLACKPINK, NCT, 몬스타엑스, NewJeans 등 케이팝 후발 주자들도 빌보드에 입성하는 등 가시적인 성취를 보여주기도 했다. 심지어 비틀즈의 고향인 영국BBC에서 '21세기의 비틀즈\'라고 불러주는데다 당사자인 폴 매카트니도 그들이 비틀즈의 행보와 비슷하다고 시인하던 바 있었다.

그러나 브리티시 인베이전과 KPOP 뮤지션을 동일 선상에서 비교하기엔 케이팝과 영국 밴드들이 추구했던 음악의 장르와 방향성[51]도 다르고 상술했던 브리티시 인베이전의 사회적 파급력을 따라잡기엔 아직까진 부족한 감이 많다. 그리고 BTS의 상업적 성공 또한 무시할만한 점은 아니지만 빌보드 1위부터 5위까지를 싹쓸이하면서 빌보드에 단골로 곡을 올리던 비틀즈나 롤링 스톤즈에 비견해 케이팝 밴드들이 특별히 더 높거나 비슷한 음악적 성공을 거뒀다고 할 수는 없다. 물론 2021년 기준으로 케이팝이 미국에서 성공을 거둔 역사도 짧을 뿐더러 상업적인 성공 및 평론적인 면도 시간이 흘러야 좀더 온당히 평가되겠지만, 아직은 크게 평가하기엔 이른 감이 있는 시점이다. 이런 BTS의 미국내 활약은 비틀즈의 초창기 Meet the Beatles! 등 아이돌로서의 활동 한정으로 비교되는 것이 전반적인 반응들이다.[52]

  • 언론에서는 방탄소년단을 중심으로 한 K-POP 뿐 아니라 K-드라마, K-무비, K-뷰티, K-푸드, K-웹툰등의 한류 전반의 타국에서의 유행을 통틀어 1960년대 비틀즈를 필두로 영국 음악·문화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던 '브리티시 인베이전'에 빗대어 K-인베이전이라는 언급도 하였다. 미국 싱크탱크에서도 이에 대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 거기에 2022년에 들어서는 과거에는 단발성 히트작이 침공(Invasion)을 했다면 최근 K컬처는 지배(Dominant)한다며 침공을 넘어 제국이 되었다는 분석도 있다.

  • 홍콩 영화가 80년대 90년대 대한민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끈것도 비슷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4. 관련 문서[편집]


톤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11:32:21에 나무위키 브리티시 인베이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하단의 영상은 브리티시 인베이전의 시초인 비틀즈의 첫 방미 당시의 실황. 브리티시 인베이전의 도화선을 상징하는 순간이다.[2] 뒤에 팬암의 로고가 보인다[3] 이전에도 이후에도 이런 경우는 없었다.[4] 사촌 동생의 딸이었다.[5] 제리 리 루이스의 3번째 결혼이었고, 전부인과의 결혼 관계가 법적으로 정리되지도 않은 상황이라서 중혼이었다. 그래서 문제의 사촌은 제리 리 루이스를 근친상간중혼 혐의로 고소하려다가 딸이 불행해진다는 이유로 그만 두었다고 한다. 이 부부는 약 10년간 결혼생활을 유지하다가 이혼했다. 사실 가장 문제의 근원인 것은 이 결혼이 합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당시 미국의 가족법인 것 같다.[6] 물론 나중에 브리티시 인베이전으로 록음악의 인기가 다시 폭발하자 그 정신 나간 말을 번복하고는 간간히 로큰롤 공연을 하면서 지냈다.[7] 당시 그가 있던 주의 법률에는 미성년자와 허락없이 주 경계를 넘으면 추행죄에 버금가는 취급을 받았다. 이게 아니라도 척 베리는 이 백인 소녀를 데리고 순회 공연을 했는데, 미성년자를 데리고 주 경계를 넘어 다니면서 공연을 하는 것은 연방법 위반이었다. 척 베리는 이 소녀가 자신의 나이를 속였다고(당연히 재판이 인종차별이라는 것도) 주장했으나 씨알도 안 먹혔다.[8] 가수로 데뷔하기 전에 군 복무 중(6.25 전쟁 중에 주한미군에서 복무한 적은 있지만, 전장에 나간 적은 없다.) 오토바이를 몰다 다쳐 전역을 했는데, 이 사고로 다쳤던 다리를 또 다치게 되어 평생 다리를 절게 된다. 결국 진통제로 고통을 극복하다가 젊은 나이에 심장마비로 사망한다.[9] 로이드 프라이스는 1959년 Stagger Lee (빌보드 핫 100 4주 연속 1위), Personality (빌보드 핫 100 2위, 1959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 3위), I'm Gonna Get Married (빌보드 핫 100 3위) 등의 대히트곡을 발매했고, 브룩 벤턴은 1959년 "It's Just a Matter of Time" (빌보드 핫 100 3위), "Endlessly" (빌보드 핫 100 12위), "So Many Ways" (빌보드 핫 100 6위), 1960년 "Baby (You've Got What It Takes)" (빌보드 핫 100 5위), "A Rockin' Good Way (To Mess Around and Fall in Love)" (빌보드 핫 100 7위), "Kiddio" (빌보드 핫 100 7위), 1961년 "Think Twice" (빌보드 핫 100 11위), "The Boll Weevil Song" (빌보드 핫 100 2위), 1962년 "Lie to Me" (빌보드 핫 100 13위), 1963년 "Hotel Happiness" (빌보드 핫 100 3위) 등의 곡이 크게 히트했다.[10] 1961년 미국 흑인 R&B 걸그룹 The Shirelles의 대성공으로, 1964년까지 수많은 걸그룹이 미국 음악계를 차지했다. 슈프림즈는 이 걸그룹 열풍 때 결성되었지만 인기는 걸그룹 열풍 끝물이었던 1964년에 시작되었다. 슈프림즈의 히트로 기존의 걸그룹 열풍이 끝나고 모타운의 실질적인 전성기가 시작되었다.[11] 1960년 바렛 스트롱의 Money (That's What I Want), 1961년 스모키 로빈슨과 미라클스의 "Shop Around", 1962년 메리 웰스의 대히트, 1963년 당시 13살이었던 스티비 원더Fingertips, 마빈 게이Pride and Joy로 첫 빌보드 탑 10 기록, 마샤 리브스 앤 더 벤델라스의 빌보드 핫 100 4위곡 Love is Like a (Heat Wave) 등등. 슈프림즈, 템테이션스, 더 포 탑스는 브리티시 인베이전이 시작된 이듬해인 1964년도에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12] 1959년 What'd I Say(빌보드 핫 100 6위와 동시에 흑인들에게만 인기 있었던 레이 찰스를 전미에 알린 곡), 1960년 Georgia on My Mind (빌보드 핫 100 1주간 1위), 1961년 Hit the Road Jack (빌보드 핫 100 2주간 1위), 1962년 I Can't Stop Loving You (빌보드 5주 연속 1위, 빌보드 연말 차트 2위)[13] 당시의 밴드들인 벤쳐스, 섀도우즈(클리프 리처드의 백 밴드로 시작한 영국 밴드)같은 경우 완결성을 지닌 하나의 기타 연주곡을 정립하고 각종 이펙터의 등장으로 현대적인 기타사운드가 도래하기 시작한다.[14] 서프 음악의 전성기는 1962년 말~1964년 초반.[15] 훗날 예명 '밥 딜런'은 개명 신청으로 법적으로도 완전히 본명이 된다.[16] 이것말고도 포크 진영을 기성세대와 다를 바 없는 꼰대집단으로 인식한 탓도 있다.[17] 러빈 스푼풀은 미국 밴드였지만 영국에서 먼저 인기를 끌었다.[18] 이후 드레이크테일러 스위프트가 각각 2021년, 2022년에 이 기록을 달성했다.[19] 비틀즈의 에드 설리반 쇼를 지칭한다.[20] 1970년대에 가서야 카세트 테이프가 대중적으로 보급되었고,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CD가 발명된 것을 고려하면, 상상을 뛰어넘는 판매량을 보인다. LP 자체의 가격도 카세트 테이프와 CD에 비해 2-3배 수준이지만, 재생 기기인 턴테이블의 가격은 보급기 기준으로도 CD플레이어나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몇 갑절이나 된다.[21] 덴버 공연 때 비틀즈가 묵었던 호텔 객실의 침대 시트를 한 업체가 3인치 크기로 잘라 한 조각에 10달러로 판매하여 돈을 벌었다.(...) 영상도 있다[22] 비틀즈의 출신지였던 리버풀만 해도 산업 도시로서의 역할이 저물게되며 영국판 디트로이트로 전락하는 전철을 밟았으나, 비틀즈의 성공 이후 이들이 공연을 하던 캐번 클럽 등이 음악계의 성지로서 각광을 받아 관광 도시로 탈바꿈하며 가까스로 회생하게 되었다. 실제로도 리버풀은 비틀즈를 은인으로 여기며 비틀즈 관련 사업이나 기념관을 개최하곤 한다.[23] 이런 기괴한 세율은 당연히 영국 뮤지션들에게도 불만이었던지라 이를 풍자하는 Taxman이란 노래도 존재하고 롤링 스톤즈레드 제플린 등 당대 밴드들도 영국으로부터 벗어나 미국이나 유럽권을 전전하며 활동했다고 한다. Exile on Main St.가 이렇게 미국과 프랑스로 망명 중 생겨난 일환이다.[24] Garage(미국에서는 '거라지'쪽에 가깝게 발음)는 '차고'라는 뜻으로,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충만한 젊은이들이 연습 공간이 없어 집 차고에서 연습한 것에 유래한다. 미국 청춘 영화 등에서 자주 볼수 있는 광경이다.[25] 영향력이 영국쪽에서 막강했고 비틀즈나 롤링 스톤즈 등 워낙 넘사벽 수준의 동시대 밴드들이 미국을 휘젓고 다녔던지라 상대적으로 초라해보여서 그렇지, 이들도 You Really Got Me 등 메가 히트곡을 생산한데다 빌보드 차트 중상위권 정도는 개근했고 라몬즈 등 미국내 펑크 그룹에게도 영향력을 행사하던 밴드였다. 브리티시 인베이전의 멤버임은 롤링 스톤지 등지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증된 바.https://www.rollingstone.com/feature/the-british-invasion-from-the-beatles-to-the-stones-the-sixties-belonged-to-britain-244870/[26] 비틀즈 입장에서도 아티스트로서의 면모를 드러내기 시작한게 밥 딜런과의 만남부터였다. 그리고 비틀즈는 밥 딜런에게 피우면 음악적 영감이 솟아오르는 담배 비슷한 것도 같이 배웠다.[27] 참고로 멤버들 중 존 케일 또한 영국 웨일즈 출신이다.[28] 그러나 이들의 차트 성적은 지금의 명성과는 어울리지 않게 당대로선 초라하기 짝이 없었다. 영국은 물론 본토 빌보드 조차.[29] 이 공연을 위해 일회성으로 결성된 슈퍼밴드로, 비틀즈의 존 레논, 롤링 스톤스의 키스 리처즈,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의 미치 미첼, 그리고 에릭 클랩튼으로 구성된 밴드이다.[30] 사실 이 중에서 정말로 미국 음악계를 평정한 밴드는 레드 제플린밖에 없다. 딥 퍼플은 유럽에서 활약했으나 미국 성적은 조금 모자랐고, 블랙 사바스는 그 딥 퍼플에도 못 미치는 성적을 거두었으며, 이후 오지 오스본의 솔로 활동이 성공하자 뒤늦게 빛을 본 케이스이다. 흔히 레드 제플린과 딥 퍼플, 블랙 사바스를 70년대 하드 록의 대표적인 밴드들이라 하지만 이는 철저히 후대에 미친 영향력만을 고려한 평가이고, 실제 활동 당시에는 제플린과 나머지 둘은 비교가 불가능한 수준으로 현격한 차이가 있었다.[31] 미국 시장에서 압도적인 성공을 거둔 밴드는 핑크 플로이드가 유일하다. 그 외엔 제스로 툴이 빌보드 앨범차트 1위에 오르거나 Roundabout핫 100 8위에 오르는 등 나름 성과가 없는건 아니었지만 전반적으로 프로그레시브 록은 미국에서 선호하는 장르가 아니었다. 그리고 미국 출신의 캔자스, 스틱스 등이 영국 밴드들을 능가하는 인기를 끌기도 했다. 그리고 킹 크림슨은 그 음악적 평가와는 별개로 미국은커녕 영국에서도 제대로 인기를 얻은 적이 없다. 이유는 간단하다. 홍보를 전혀 안했으니까. 사족으로 프록의 주요 밴드 중 하나인 제네시스필 콜린스는 80년대 프로그레시브에서 벗어나서야 빌보드를 점령하고마는 뒤늦은 성공을 보이기도 했다.[32] 파워 팝은 당대에 대중적인 인기를 얻지 못했다. 대표주자 중 하나인 배드핑거의 불운의 역사와 멤버 피트 햄의 자살이란 비극적인 밴드사는 유명한 이야기. 그래도 배드핑거의 대표곡 'Without you'는 해리 닐슨이 부른 버전이 빌보드 1위를 달성하는 위업을 달성하기는 했다.[33] Don't You Want Me로 빌보드 1위를 달성한 밴드로 유명[34] 이들은 영국이 아닌 일본 밴드긴 하지만, 영국발 뉴웨이브 문화를 발빠르게 흡수한 일본으로서도 장르의 거물급 뮤지션을 몇 배출했고 YMO 또한 이런 열풍에 아귀가 맞는 행적들이 많았기에 뉴 로맨틱의 일원으로 인정받는 목소리가 많은 편이다.[35] 사실 이들도 태동기에 라몬즈텔레비전 등 미국 밴드들도 있어 영국 지분도 100%는 아니다.[36] 실제로 야드버즈와 뉴 야드버즈, 즉 레드 제플린을 구분하는 명확한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37] 모든 앨범이 미국에서 먼저 발매되었고 활동도 미국에서 더 많이 했다.[38] 밴드의 주축 믹 플리트우드는 영국인이긴 하지만, 밴드의 얼굴 마담이나 다름없는 스티비 닉스는 미국인이었다.[39] 티렉스의 곡 Get It On, 게리 글리터의 곡 Rock and Roll은 히트쳤으나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했다. 스위트는 예외적으로 많은 히트곡을 배출하긴 했다.[40] 퀸은 유독 미국에서 죽쑨 것으로 유명했다. 오늘날이야 퀸의 유명세가 세계구급이지만, 최전성기였던 70~80년대 당대만해도 미국에선 이 밴드의 존재조차 몰랐던게 태반이었다. 그나마 미국에서 유일하다시피 메가 히트를 쳤던 Another One Bites the Dust 발매 당시엔 퀸을 흑인 밴드인줄 알았다는 반응들도 상당수 생겨났을 지경이었다. 이 메가 히트곡을 포함하고서도 퀸의 미국 판매고는 U2에게도 밀리는게 현실이었다.[41] 제네시스는 70년대에는 아트록 밴드였지만 이 시기에 변신한다.[42] 아일랜드 밴드긴 해도 영국 본토 및 레이블에서 활동했기에 영국 음악의 일원으로 가정.[43] 이 앨범은 팝 메탈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중 하나다. 전작인 Pyromania도 큰 성공을 거뒀다.[44] 사실 이 반열에 끼기엔 블러의 미국 시장 성적은 그룹의 인지도에 비해 처참한 수준이다. 오히려 버브는 Bitter Sweet Symphony가 핫 100에서 12위라도 했지 블러는 그런거 없다. 그러나 Song 2는 블러의 노래 중 거의 유일하게 미국에서 큰 히트를 쳤다.[45] 주요작인 1집 앨범이 포펑 리바이벌의 끝물시기에 나온 앨범이기도 하고 그뒤로는 해당 장르에서 벗어나버렸다.[46] 에이스 오브 베이스는 명실공히 1994년 미국을 지배한 음악 그룹이다. 94년의 빌보드 연말 차트 1위, 9위, 10위가 에이스 오브 베이스였다. 94년도 미국은 R&B 전성 시대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거대한 성공을 거두었다.[47] Roxette은 1989년부터 1991년까지 빌보드 핫 100 1위곡 4개를 기록하며, 대단한 인기를 누렸다. Roxette이 미국에서 누린 성공은 ABBA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컸었다.[48] 특히 70년대~80년대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었는데, 공교롭게도 AC/DC, 비지스, Men at Work 등 대다수의 그룹들의 주요 멤버들 대부분은 호주 태생이 아닌 영국 이주민 출신이다.[49] 물론 비틀즈가 현재의 아이돌 그룹과 같이 기획사 차원에서 보이밴드로 결성된 건 당연히 아니었고 멤버들 개인의 행보도 아이돌의 그것과는 매우 거리가 멀다. 하지만 이들 본연의 행동 양식과는 무관하게 대규모 흥행을 불러일으킨 마케팅 전략이 기획형 보이그룹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건 부정하기 힘든 사실이다, 당장 최초의 기획형 보이그룹 몽키즈부터가 대놓고 비틀즈 벤치마킹이었으니.[50] 원 디렉션, 조나스 브라더스등이 공백을 메워준 보이그룹으로 거론되긴 한다.[51] 당장 방탄소년단 등 수많은 K-Pop 그룹들이 기획형 아이돌로 출발한데에 반해, 비틀즈, 핑크 플로이드, 더 후, 롤링 스톤스 등 여러 밴드들은 고등학교나 대학교 시절의 친구들끼리 만든 학교 밴드에서 시작되었다. 물론 롤링 스톤스나 비틀즈 등 초창기에 매니저에 의해 여러 간섭을 받은 밴드도 있지만, BTS나 블랙핑크 등 아예 기획형으로 나온 아이돌과는 시작부터 다르기 때문에 1대 1로 비교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52] 이찌 보면 이는 당연하며, K-POP이 이정도까지 올라온 것은 여러 불리한 여건을 감안한다면 더 대단하다고 볼 수도 있다. 음악은 기본적으로 '듣는' 것이고, 사운드의 대단함도 있지만 가사가 주는 매력 등도 있어서 청취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만들어진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인기도에 큰 차이가 있으며, 특히 미국 음악계는 외국어로 된 음악에 많이 배타적이다. 같은 영어를 쓰는 브리티시 인베이전은 두말할 나위 없고 위에서 언급한 '유사한 사례' 모두 마찬가지로, 스웨디시 팝 역시 스웨덴어가 아닌 영어로 된 노래가 미국에서 위세를 떨친 것이고, 이탈로 디스코 역시 일본을 비롯한 해외에서는 영어 버전으로 인기를 끈 것이다. 이 점을 감안하고 봐야 한다. 물론 BTS도 빌보드 1위는 영어 노래로 했지만 그 전에 BTS라는 그룹이 해외에서도 유명하게 될 때 까지도 음악의 대부분이 한국어로 만들어져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