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 아카이브

덤프버전 : r20230302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계정 초기화 및 기기 접속 오류와 최적화 이슈에 대한 내용은 블루 아카이브/사건 사고/한국 서비스 문서

3.3.1.1번 문단을
블루 아카이브/사건 사고/한국 서비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블아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블아(동음이의어) 문서
블아(동음이의어)번 문단을
블아(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TV판 애니메이션에 대한 내용은 블루 아카이브 The Animation 문서
블루 아카이브 The Animation번 문단을
블루 아카이브 The Animation#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넥슨 로고.svg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블루 아카이브
ブルーアーカイブ
Blue Archive
蔚藍檔案


파일:블루 아카이브 프로필.webp

개발
파일:넥슨게임즈 로고.svg
[1]
유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세계 지도.svg

파일:넥슨 로고.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Yostar 로고.svg

플랫폼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
|
파일:iOS 로고.svg
>
장르
학원, 청춘, 이야기 RPG[2]
출시
파일:일본 국기.svg 2021년 2월 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세계 지도.svg 2021년 11월 9일
엔진
파일:유니티 로고.svg}}} 2019
지원 언어
일본어 (음성/자막)[3]
한국어, 영어, 중국어 번체, 태국어 (자막)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 청소년 이용불가[4][5]
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 15세 이용가 (틴버전)[6]
파일:애플 앱스토어 이용 등급 만 17세 이상.jpg 만 17세 이상 (App Store)[7]
파일:애플 앱스토어 이용 등급 만 12세 이상.jpg 만 12세 이상 (App Store)(틴버전)[8]
해외 등급
ESRB T[9]
CERO A[10]
GSRR 12+
관련 사이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넥슨 아이콘.svg 파일:넥슨 커뮤니티 아이콘.svg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세계 지도.svg 파일:넥슨 아이콘.svg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역대 스토리 배너 키 비주얼
3. 정식 서비스
3.1. 일본
3.2. 한국 및 글로벌
3.2.1. 서버 시스템
4. 구성
7. 부가기능
8.1. 한국/글로벌 서버
8.1.1. 진행중인 이벤트
8.1.2. 예정된 이벤트
8.2. 일본 서버
8.2.1. 진행중인 이벤트
8.2.2. 예정된 이벤트
13. 공식 방송
14. 콜라보레이션
15. 관련 인물
16. 수상 내역
17. 기타
18. 외부 링크
18.1. 커뮤니티
18.2. 정보 사이트
18.3. 기타



1. 개요[편집]




4th PV[11]비공식 한글화 4K 버전

과거 PV 영상 ▼


1st PV


2nd PV


3rd PV[1]


학원, 학생, 그리고 당신의

学園都市、 生徒、 学園都市で過ごす

기적 같은 이야기

アナタと生徒の日常

기적 같은 일상

アナタと生徒の奇跡[직역]

넥슨[A]의 자회사인 대한민국의 게임 제작사 넥슨게임즈(舊 넷게임즈)에서 개발한 수집형 모바일 게임이다.

김용하 프로듀서의 작품으로서 전체적인 개발 모체(음악, 삽화 외주 상당수 포함)는 한국이다. 첫 서비스와 주된 미디어믹스는 일본에서 이루어졌고 일본 서버의 서비스 회사인 요스타(Yostar)는 중국 기업이다. 동아시아 3국인 한중일이 게임 제작 및 서비스와 연관되었다.[12]

대한민국에서 심의 등급은 본래 15세 이용가였다. 그러나 2022년 11월 29일, 선정성을 이유로 청소년 이용불가 등급으로 조정되었다. 이러한 등급 조정은 큰 논란이 되었다.

공식적으로 쓰이는 별다른 약칭은 없으나 유저들 사이에서는 블아 또는 블루아카, 몰루겜으로 주로 불린다. 블루 아카이브라는 이름이 붙기 전에는 프로젝트 MX[13]라는 가제로 불렸다. 한국에 앞서 선행 서비스를 시작한 일본에서는 흔히 블루아카(ブルアカ)라는 약칭으로 불린다.


2. 역대 스토리 배너 키 비주얼[편집]


1부

파일:BG_CS_Abydos_04.jpg


파일:태엽감는 꽃의 파반느편(KR).jpg


파일:BA_에덴조약편.jpg

Vol.1 대책위원회 편
Vol.2 태엽감는 꽃의 파반느 편
Vol.3 에덴조약 편

파일:BA_토끼소대후반.jpg


파일:BA_최종편.png

Vol.4 카르바노그의 토끼 편
Final. 보편적인 기적의 시발점 편
2부


3. 정식 서비스[편집]


서버의 경우 일괄적으로 AWS의 서비스를 이용한다.

3.1. 일본[편집]




일본 내수판 애니메이션 PV
오구라 유이「Clear Morning」

일본 내수판 카운트다운 일러스트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7 일러스트.jpg

D-7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6 일러스트.jpg

D-6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5 일러스트.jpg

D-5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4 일러스트.jpg

D-4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3 일러스트.jpg

D-3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2 일러스트.jpg

D-2

파일:일?루아카 카운트다운 D-1 일러스트.jpg

D-1


넥슨[A]/넥슨게임즈의 게임으로서 이례적으로 본가인 대한민국이 아닌 해외(중국) 퍼블리셔 Yostar에 의해 일본 서비스가 선행 개시되었다.[14]

일본에선 2020년 7월 17일 클로즈베타 플레이어 모집, 동년 8월 6일부터 클로즈베타 테스트를 진행했고 8월 16일을 마지막으로 클로즈베타를 종료하였다. 2020년 이내 안드로이드 출시 예정이었나 2021년초로 출시가 밀렸고, 이후 2021년 2월 4일 일본 서버 정식 오픈해 (1:25:34) 오픈 하루 만에 애플 구글 양대 마켓 인기순위 1위에 등극했다.

자타공인 덕후 PD의 신작이라는 점과 일본에서 먼저 도전한다는 것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기대를 모았고 서비스 개시 1주만에 구글마켓 매출순위 5위로 원신 바로 다음까지 올라가며 상당한 인기를 보여주었다.

오픈 초기 잦은 점검 사고와 초기 이벤트의 흥행 실패로 유저 이탈이 발생하면서 런칭 초기의 기세가 다소 꺾이기도 했고 설상가상으로 사고가 많았던 시기에 일본 현지에서는 오랜 개발 끝에 오픈한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가 훌륭한 고증, 박진감 넘치는 경주 시스템이 일본을 강타하여 경마열풍이 부는 등 우마무스메에게 장기간 화제성을 빼앗긴 것도 겹악재로 작용했다.

이렇게 남은 코어 유저층이라도 남기기 위해 수영복 이벤트로 민심을 나름 잠재우는데 성공하고 이후 선상의 바니체이서 업데이트를 통해 바카린, 바스나라는 파격적인 의상과 2차 창작을 언제든지 해도 된다는 공식 허용을 해줌으로써 동인업계에서 블루 아카이브 팬아트나 동인지가 우후죽순 나오기 시작, 곧바로 유저수 상승이나 매출 상승까지 이어지진 못했으나 이를 통해 IP의 인지도를 어느정도 올리는데 성공한다. 이후 업데이트 된 에덴조약 스토리가 지속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으며 코어 유저층을 확보하는데 성공, 연초 정월 이벤트의 PV 애니메이션과 재미로 분위기를 반전시키는데 완전히 성공했다.

2022년 7월에는 1.5주년 기념으로 3성확률 2배인 페스 이벤트에 페스캐 수시노 픽업 이벤트, 100연 무료 이벤트를 개최하였고 수시노의 엄청난 성능과 메모리얼에 유저들이 지갑을 열면서 게임 런칭 당시의 수준으로 매출을 끌어올렸고 페스가 끝나고 적용된 100연 무료 이벤트를 통해 신규유저 유입이 엄청나게 증가하며 9월에는 19만을, 11월에는 25만을 넘는 기염을 토하는 등 안정적인 느낌으로 순항하기 시작한다. 이후에 대형 이벤트인 키보토스 황륜대제 이벤트 Get, Set Go!의 훌륭한 BGM과 비록 사고가 터졌지만 초호화 보상안을 재빠르게 내밀었더니 되려 10만명의 유저가 또 유입하는데 성공했다. 일본에 진출한 서브컬쳐를 메인으로 한 한국 게임 엔픽셀의 그랑사가, 넷마블의 제2의 나라의 공식 유튜브 조회수만 봐도 평균 5000에 비해 블루아카이브는 무려 평균 3만이 볼 정도로 주목도도 높으며 일단 코어팬층이 상당수 있다는 것과 입소문에 의해 일본 내에서도 점차 굿즈가 생기고 있는 추세다.

그렇게 대망의 2주년을 앞둔 시점에서 2주년 기념 컨텐츠 예고 및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였다. 이 방송에서 블루 아카이브의 인기 캐릭터 미소노 미카가 페스 한정캐 출시로 분위기가 달아오르더니 1부 메인스토리 최종장 Final. 보편적인 기적의 시발점 PV에서 메카물 요소, 평상시 천방지축이던 캐릭터들이 보여주는 진지한 면모를 보이는 갭모에, PV에서 음악과 영상미의 훌륭한 퀄리티, 페스 이후 10연차 무료권 10장 로그인 보너스로 배포, 애니메이션화 발표라는 훌륭한 피날레를 보이며 그야말로 블루아카 유저들에게는 역대급 라이브 방송이자 축제에 가까운 반응을 보이며 순항중임을 인증하였다. 결국 미카 픽업 당시 인기 캐릭터인데다가 엄청난 성능 덕분에 다른 게임들을 제치고 앱스토어 및 플레이스토어 1위에 올라가는 모습을 보였다. 모바일 게임은 보통 서비스 초기에 가장 많은 유저수와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한 뒤 밸런스 문제나 캐릭터들의 매력 하락으로 점점 하향세를 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블루 아카이브는 발매 2년이나 지난 게임이 인기 역주행과 함께 매출 1위를 달성하는 기현상을 보여줬는데 이는 블루 아카이브가 장기 흥행에 성공한 인기 IP로서 자리매김하였음을 보여주는 성과로 평가받는다.

3.2. 한국 및 글로벌[편집]




1주년 기념 애니메이션 PV



한국 내수용 애니메이션 PV
이진아 'Target for Love'

게임 소개 영상(CV. 김하루)

[펼치기 · 접기]


일상 스냅 영상


메인 예고편 영상


런칭 메인 영상


한섭 카운트다운 일러스트

[펼치기 · 접기]

파일:한!루아카 카운트다운 D-7 일러스트.jpg

D-7

파일:한!루아카 카운트다운 D-6 일러스트.jpg

D-6

파일:한!루아카 카운트다운 D-5 일러스트.jpg

D-5

파일:한!루아카 카운트다운 D-4 일러스트.jpg

D-4

파일:한!루아카 카운트다운 D-3 일러스트.jpg

D-3

파일:한!루아카 카운트다운 D-2 일러스트.jpg

D-2

파일:한!루아카 카운트다운 D-1 일러스트.jpg

D-1

한국과 글로벌 서비스는 예상대로 모회사인 넥슨이 담당하게 되었다.# 8월 2일 한국 서버 공식 PV가 공개되고 그 다음날 김용하 PD의 서면 인터뷰가 올라왔다. 작품의 일본어 보이스와 학교를 학원으로 표기하는 일본식 분위기는 그대로 살리는 방향으로 간다고 한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원스토어[15]에서 출시된다.

클라이언트는 원빌드 방식이나 각 국의 서버 자체는 따로 둔다고 한다. 영어권 외의 글로벌 서비스는 이미 요스타 서버가 있는 일본 외에 중국[16], 베트남[17], 네덜란드, 벨기에, 슬로바키아[18]를 제외한 전세계 139개국에서 오픈하며, 대만에서 蔚藍檔案[19][20]라는 이름으로 중국어 번체가 지원된다.

사전등록 일자가 2021년 10월 14일로 공지되었다.# 이후 동년 11월에 출시를 확정했다.#

사전등록 보상은 일본 내수용에서는 준코가 아닌 무츠키로 바뀌었으며 사전예약자 대상으로 유튜브 구독 인증 시 카카오톡으로 몰?루콘을 배포하였다. 이후 글로벌 측의 기대도 가세하여[21] 하루만에 사전등록 50만을 달성, 10일 뒤인 10월 25일에는 한국+글로벌 사전등록 100만을 넘겼고 보상으로 800 청휘석이 추가 지급된다.# 사전예약 보상은 2200 청휘석으로 1800 청휘석을 지급했던 일섭보다 더 많다. 그리고 정식공개 이후 앱스토어 1위 기념으로 1200 청휘석을, 다음날 원스토어 1위 기념으로 1200 청휘석을 추가로 지급했다.

한국 내수용/글로벌 수출판 이미지송은 일본 내수용의 Clear Morning이 아닌 한국어/영어버전 Target for Love로 따로 제작되었다. 최근 광고에서는 나레이션 한정으로 한국어 더빙을 넣고 있다.

11월 9일 08:00(KST/한섭) / 11월 8일 23:00(UTC/글섭)[22]에 오픈하였다. 초기 잦은 점검이 있었던 일본 서비스 시절과 달리 저녁쯤에나 조금 느려지는 것 말고는 서버 부하에 큰 문제가 없었다.

한국/글로벌 서비스의 천장은 공약대로 200연이며 거기에 더해 일본에서 출시된지 얼마 되지 않은 가챠 중복시 엘레프 추가지급 시스템이 적용되어 유저들을 놀라게 했다. 카페 초대 시스템도 추가되어있으며, 한섭과 시스템적으로 다른건 일섭에서도 아직 완전개방이 안된 엔드컨텐츠인 고유무기와 학원교류회가 없는 정도.

게임 삭제를 하지 않고도 리세마라를 할 수 있는 데이터 초기화 기능이 생기면서 리세마라가 훨씬 편해졌다. 다만 튜토리얼 스킵이 없는데다, 일본 내수용은 양대 스토어 1위 기념 보상과 잦은 긴급점검으로 무조건 3성이 하나 이상 나오는 튜토리얼 10연챠를 포함해 최대 10+60연 정도를 돌릴 수 있는 양의 대량의 청휘석이 지급되었고 이후로도 주는 청휘석이 늘어났는데 한국 본서버에서는 10+30연으로만 리세를 해야 하기 때문에 리세에 대한 허들은 많이 높아졌다. 다만 오픈 다음 날 원스토어 1위 기념으로 10연 보상을 추가로 뿌렸기 때문에 10+40연이 되어 리세 난이도가 내려갔다. 이후 오픈 1주일 후 첫 업데이트에서 쿠폰 중복버그, 31레벨차 버그등이 겹치며 지급한 보상이 추가되어 100연챠 리세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래 서비스 1개월 후인 축제대소동 이벤트 이후에 출시된 아비도스 대책위원회편 2장이 오픈 한주만에 업데이트되면서 큰 틀에서는 일섭 미래시를 따라가되, 스토리나 픽업과 같은 세세한 부분에서는 다르게 되었다.

더빙은 일본어만 존재하며 한동안 인게임 이미지가 번역되지 못했다가 2022년 5월 31일에야 순차적으로 적용되었다.

2021년 11월 26일 게임 전문 기자들을 상대로 한 합동 인터뷰에서 이 두 사항에 대한 질문이 나왔는데 해당 인터뷰에서 나온 표현인 "동일한 경험"은 한국 내수용에서 문제가 생길 때마다 유저들이 입에 올리는 문구가 되었다.

2022년 8월 23일 뉴리카 픽업 기준 일섭과의 미래시는 대략적으로 7개월정도이다. 이후 2022년 8월 24일 샬레의 해피♡발렌타인 순찰 사전예약을 진행하면서 김용하 PD가 개발자의 편지를 통해 기존 일섭과의 7개월 차이 미래시를 2023년 초 6개월로 줄이겠다고 언급하면서 유저들은 차후 일섭과 한국 및 글로벌 서버의 N주년과 N.5주년이 맞춰질 것으로 보고 있다.

우마무스메 한섭의 운영 불통과 달리 유저 친화적 보상과 소통이 주목받아 언론에서 소통하는 게임이란 보도가 나오고 있다.

이후에도 먼저 서비스 개시한 일본서버에 도입된 편의성 패치를 보다 빠르게 적용하여서 호평을 더 받아서 원신, 우마무스메, 페그오와 함께 서브컬쳐의 대표명사가 되어가고 있다. 비록 한국 공공기관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어처구니 없는 심의로 등급재분류를 당했으나 게관위의 삽질 덕에 블루아카이브 유저들을 중심으로 게관위의 문제점과 온갖 비리가 드러날 정도로 팬들의 지지기반이 강하다는 것을 인증하였다.

3.2.1. 서버 시스템[편집]


접속 국가별로 서버가 나뉘며 총 5개이다. IP에 따라 서버가 배정되므로 VPN을 사용한다면 다른 서버에 계정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VPN 사용은 영구 게임 이용제한 대상이다.
  • KOREA: 대한민국
  • ASIA: 대만, 홍콩, 마카오를 제외한 모든 아시아 국가
  • TAIWAN / HONG KONG / MACAO: 대만, 홍콩, 마카오
  • NORTH AMERICA: 미국, 캐나다
  • GLOBAL: 그 외의 모든 국가


4. 구성[편집]


캐릭터성 및 시스템 구성, 게임성은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와 비슷한 편이다. 외형적으로는 미소녀 + 총의 조합, 그래픽적으로는 SD 캐릭터가 게임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걸카페건과도 비슷하다. 기본적으로 게임은 오토플레이로 진행되지만, 스킬 자동 발동 기능을 사용하지 않으면, 플레이어가 수동으로 발동하는 스킬을 사용하여 전황에 개입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게임은 공격/방어 타입 상성, 지형 보정등 변수가 매우 많아 요구하는 캐릭터 풀이 다양하여 다양한 캐릭터를 보유하지 못하면 게임을 수월하게 진행하기 엄청나게 어렵다. 정말 최악의 경우 상성 시스템 때문에 임무 진행조차 막히는 대참사가 생길 수도 있다.[23] 이때문에 초창기 티어 순위가 수시로 변했다.[24] 한국 서비스 기준으로는 파밍 불가 1티어 캐릭터인 히비키 또는 이로하, 아코, 을 최대한 챙기는 것이 좋고, 가능하다면 한정 캐릭터들도 챙길 수 있을 만큼 챙겨가는 것이 좋다.[25]

캐릭터 성장에서 레벨과 장비는 기본이고, 스킬 레벨을 올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스킬 레벨을 올리는데 필요한 재화는 비용도 비용이지만 어떻게 해도 손에 넣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캐릭터 성장에는 극히 신중을 기울여야 한다.


4.1. 모집[편집]


게임의 핵심인 뽑기 컨텐츠. 모집 화면에서 재생되는 음악은 Connected Sky.

전 통상 캐릭터가 동일한 확률로 등장하는 상시 모집의 경우 3성은 3%, 2성은 18.5%, 1성은 79%의 확률로 뽑을 수 있으며, 각 군별로 존재하는 학생 수만큼 확률이 균등하게 분배된다.

특정 캐릭터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픽업 모집'의 경우 픽업 캐릭터의 확률이 3성은 0.7%, 2성은 3% 확률로 고정되며, 남은 확률은 상시와 동일하게 나머지 통상 캐릭터 수만큼 균등하게 분배된다. 따라서 픽업 모집에서는 3성 기준 2.3% 확률로 픽업이 아닌 캐릭터 중 1명, 0.7%확률로 픽업 캐릭터가 등장하고, 2성 기준 15.5%확률로 픽업이 아닌 캐릭터 중 1명, 3% 확률로 픽업 캐릭터가 등장한다. 한정인 페스모집의 경우 3성 확률이 2배로 늘어나서 6%가 된다.[26]

가챠 중복으로 모집한 캐릭터는 다음과 같은 개수의 엘리그마 및 뽑은 캐릭터의 엘레프를 지급한다.

성급
엘리그마
엘레프
통상 1성
1개
1개
통상 2성
10개
5개
통상 3성
50개
30개
픽업 2성
10개
20개
픽업 3성
50개
100개
엘레프, 엘리그마 소모 및 조각 교환 정보

픽업 진행기간 동안 종류 불문 모집(뽑기)를 진행하면 1회당 모집 포인트 1을 얻을 수 있으며, 모집 포인트를 200포인트[27](200연챠) 모으면 픽업 학생 1명을 바로 불러올 수 있다.

이미 획득한 상태의 픽업 학생을 불러올 경우 픽업 중복과 마찬가지로 중복 보상(엘리그마 50개/엘레프 100개)을 받는다. 모집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픽업 종료 후 포인트 1당 기동석 조각 1개로 변환되고, 기동석 조각은 10개당 기동석 1개와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

3성 학생이 뽑혔다면 연출이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 연출이 전부 발동하는 건 아니며 이 중 하나만 발동할 수도 있다.
  • 아로나가 봉투를 들어 보일 때 봉투에서 분홍색 반짝이 효과가 발생한다.
  • 서명 단계에서 배경과 서명란이 분홍색이 된다.
  • 서명 완료 후 배경에 분홍색 번쩍 효과가 발생한다.

설정상으로 초법적인 권한을 지닌 연방수사부 샬레의 선생이 학생들의 소속 학원을 상관하지 않고 샬레 휘하로 징발하여 선생의 지휘하에 전투를 하게 되는 것을 뽑기로 만든 것. 뽑기 연출 중 서명하는 연출은 선생이 학생 징발 문서에 결재하는 것으로, 플레이어가 아무런 서명을 안하고 스킵하면 서명란에 샬레라 입력되어 연방수사부의 징발이라는 것을 표현한다.


4.2. 업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루 아카이브/업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3. 스토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루 아카이브/스토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4. 총력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루 아카이브/총력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5. 편성[편집]


기본적으로 실제 전투를 담당하는 스트라이커와 후방 지원을 담당하는 스페셜로 나뉜다. 스트라이커에 캐릭터 4명, 스페셜에 캐릭터 2명을 편성하여 진행하며 스트라이커는 진형에 따라 전위, 중위, 후위로 나뉜다. 스트라이커와 스페셜 간 교차 편성은 불가능하다.

클베 때는 소녀전선과 비슷하게 소지한 총기류별 권총(HG), 기관단총(SMG), 돌격소총(AR), 저격총(SR), 기관총(MG)로 클래스가 구분되었으나 소지한 무기와 스킬에 따라 용도와 구성은 크게 다른 편이었다. 이 때문에 정식버전에서는 스킬과 역할에 따라 병과는 크게 탱커, 딜러, 서포터, 힐러, 택티컬 서포트의 5분류 직업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체로 학생들의 스펙은 무기를 따라가는 경우가 많지만 밸런스상 문제로 병과 포지션을 우선으로 따라가는 경우가 많다.

전술 역할
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스트라이커
게임 화면에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유닛들로 총 4명 편성 가능. 필드에서 직접 공격하고 데미지를 입는 인원들이다. 스트라이커가 무력화 될때마다 스킬에 사용되는 자원의 충전이 느려져 스킬 사용에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1~2인 이상 전투 불능 시 해당 전투 승리가 어려워지며, 스트라이커가 모두 무력화되면 패배한다.
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스페셜
후방에서 지원하는 유닛들로 총 2명 편성 가능. 이들은 필드에는 표시되지 않으며, 적의 공격에 영향 받지 않는다. 그럼에도 체력이나 방어력 등 모든 스탯은 스트라이커와 다름없이 존재하는데 스페셜 팀원의 스테이터스의 일정치를 스트라이커에 보조치로 더해준다. HP와 공격력은 10%씩, 방어력과 치유력은 5%씩. 가산된 능력치의 상세는 편성화면의 우측 '지원' 아이콘을 눌러 확인할 수 있다.

역할군
파일:블루아카 학생 클래스(KR).jpg
파일:블루아카 탱커.png탱커
높은 체력과 회피력(또는 방어력)을 바탕으로 최전방에 나서서 적의 공격을 최대한 자신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병과. 팀에 최소 한명은 꼭 있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병과이며, 채용하지 않으면 후열 딜러/서포터들이 적의 공격을 못 버티고 녹아내린다.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딜러
우수한 공격력으로 적의 체력을 빨리 깎거나 스킬을 통한 치명타를 먹이며 메인 딜링에 특화된 병과. 스트라이커는 1~2명의 탱커를 제외하면 대부분 이들로 구성하게 된다.
파일:블루아카 서포터.png서포터
다양한 버프/디버프를 뿌리는 병과.
파일:블루아카 힐러.png힐러
아군을 치유하는 병과. 모든 전투원이 힐링 또는 자힐 스킬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므로 1명쯤은 있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병과이다.
파일:블루아카 택티컬 서포트.pngT.S
(택티컬 서포트)
전차 등의 탑승물로 전열에 추가되어 화력지원을 하는 병과

포지션
기본 공격의 사거리에 따른 분류일 뿐 해당 포지션을 유지하면서 이동하지는 않는다.
전열(FRONT)
주로 전방에서 활동하며 최대한 전면으로 접근하여 돌격각을 재는 병과.
중견(MIDDLE)
주로 전선에서 활동하며 정석적으로 엄폐물을 끼고 총격전을 벌이는 병과.
후열(BACK)
주로 보통의 아군보다 한 라인 뒤에서 화력지원을 하는 병과.

파일:블루아카 상성표(KR).jpg
공격타입에는 각각 일반, 폭발, 관통, 신비, 공성 타입이 있고, 방어타입에는 각각 경장갑, 중장갑, 특수장갑, 구조물이 있다. 같은 색깔의 속성은 속성특효로 200% 대미지가 들어가며(Weak 표시) 폭발은 특수장갑, 관통은 경장갑, 신비는 중장갑에 위력이 50%로 반감되는 역속성(Resist 표시)이 존재하니 편성에 주의해야 한다.[28][29][30]
일반속성의 공격타입은 플레이어블 캐릭터 중에서는 없고, 스테이지 내의 적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한다. 일반장갑은 발매 당시에는 없었으나, 아비도스 리조트 복구 대책위원회 이벤트와 함께 연합 작전이 추가되면서 구현되었다.

엄폐행동여부
엄폐 가능 캐릭터는 주변에 엄폐물을 활용하여 피탄률을 낮출수 있다. 장비의 무기란에 방패 아이콘의 유무로 알 수 있다. 탱커나 MG계열 병과는 대부분 엄폐를 하지 않는다. 또한 엄폐를 하더라도 지형적성에 따라 방어성공률이 크게 차이가 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파일:블루아카 지형표(KR).jpg
전장은 시가지 / 야외[31] / 실내로 나뉘며, 학생들은 각 지형에 대해 S~D등급의 지형적성을 가지고 있다. 이미지 상으론 표정으로 표시된다. 지형적성에 따라 보정을 받게 되는데 B등급을 기준으로 상승보정, 하락보정이 들어간다. 공격력보정은 80%부터 120%까지 10%씩, ShotFactor와 BlockFactor가 0%부터 60%까지 15%단위로 보정받는다. 각 팩터의 상세는 불명이나 각각 엄폐물 방어 무시와 엄폐시 방어 확률로 여겨진다.[32]

고유무기
파일:BA_무기설명.png
고유무기는 학생들이 주무장으로 사용하는 개인화기의 통칭이며[33], 기본 성능과 전투 위치에 큰 영향을 미친다.
파일:블루아카 HG.png
권총(HG)
권총탄을 사용하며 수납은 편하지만 공격력과 사거리가 매우 형편없다. 그래서 보통은 정면에서 싸우는 딜러 학생들보다는 서포터들이 사용한다. 권총 스트라이커의 경우 짧은 사거리로 인해 무리하게 앞서가 체력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 사용캐릭터&고유무기 일람 ]

파일:블루아카 SMG.png
기관단총(SMG)
일반적인 기관단총기관권총을 포함한다. 근거리에서 권총탄을 돌격소총과 비슷한 화력으로 투사하는 무기로, 사용하는데 큰 부담이 없기에 본래 목적대로 돌격용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후방지원하는 학생들의 호신용 무장으로 쓰이거나, 진압 방패와 같이 사용하는 진압용 무장으로도 애용된다.
[ 사용캐릭터&고유무기 일람 ]

파일:블루아카 AR.png
돌격소총(AR)
돌격소총, 단축소총, 자동소총은 그 위력과 명중률, 발사속도 등에서 가장 평균적이고 무난한 성능을 자랑하기에 키보토스에서 가장 흔하게 볼수 있는 무기이다.
[ 사용캐릭터&고유무기 일람 ]

파일:블루아카 SR.png
저격총(SR)
단일 공격당 공격력이 매우 뛰어나지만, 공격 속도가 느리다. 멀리 있는 적을 공격하기가 용이하여 대부분 후방에서 저격을 맡는다. 단발식 라이플(RF)와 저격총(SR) 분류가 합쳐졌다.
[ 사용캐릭터&고유무기 일람 ]

파일:블루아카 SG.png
샷건(SG)
근접전용 무기로, 중절식, 펌프액션, 자동산탄총 등이 사용된다. 이 무기군을 사용하는 학생들은 엄폐를 하지 않으며, 대부분 전방에서 돌격이나 탱킹을 맡는다.
[ 사용캐릭터&고유무기 일람 ]

파일:블루아카 MG.png
기관총(MG)
전자동 제압사격을 위한 무기로 학생들의 화력투사에 주로 이용된다. 이 무기군을 사용하는 학생들은 엄폐를 하지 않으며, 거치 없이 짧게 점사하는 경기관총이나, 거치후 사격하는 중기관총이 등장한다. 난사 시간이 긴 대신 명중률이 낮기 때문에 엄폐물 뒤의 적에게는 엄청나게 미스가 나며 숨어있지 않은 적에게도 종종 미스가 나서 화력 누수가 일어난다.
[ 사용캐릭터&고유무기 일람 ]

파일:블루아카 GL.png
유탄발사기(GL)
중거리에서 유탄을 투사하기 위한 화기이다. 탄착점을 중심으로 범위 공격을 한다. 한방 한방이 강력하지만 연사속도가 느리고, 안정성이 낮아 피해량이 불안정하다.
[ 사용캐릭터&고유무기 일람 ]

파일:블루아카 RL.png
로켓 런처(RL)
원거리에서 로켓을 투사하기 위한 화기이다. 탄착점을 중심으로 범위 공격을 한다. 한방 한방이 강력하지만 연사속도가 느리고, 안정성이 낮아 피해량이 불안정하다는 점에서 유탄발사기와 특징이 유사하지만 사거리가 더 길다.
[ 사용캐릭터&고유무기 일람 ]

파일:블루아카 RG.png
레일건(RG)
키보토스에서도 흔치 않으며, 주로 전차용 중화기로 사용되는 무기이다. 공격력이 매우 뛰어나다. 그리고 탄환이 적에게 맞으면 그대로 뚫고 나가기 때문에 탄환 궤적 내에 있는 모든 적에게 데미지를 줄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34] 공격 속도는 느리다.
[ 사용캐릭터&고유무기 일람 ]
  • 텐도 아리스 - 빛의 검: 슈퍼노바(오리지널[1])

파일:블루아카 MT.png
박격포(MT)
후방에서 중화력 지원을 위해 사용되는 무기군.
[ 사용캐릭터&고유무기 일람 ]
  • 네코즈카 히비키 - 팬시 라이트(ANTOS[1])

파일:블루아카 FT.png
화염방사기(FT)
광범위한 범위피해를 입히는 무기군.
[ 사용캐릭터&고유무기 일람 ]



5.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루 아카이브/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블루아카이브 로고.svg

[ 산해경 ]
{{{-2

기울임
: 설정 상 언급된 캐릭터 및 NPC (기타는 전부 NPC이므로 제외)

취소선
: 더미데이터로 존재하는 캐릭터
{{{-2 {{{#!wiki style="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007fff; color :#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60px; text-align: center"
학생명부
: 인게임 학생명부 퀵링크





5.1. 학생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루 아카이브/학생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블루아카이브 로고.svg
[[블루 아카이브/학생부#인명부|

상세보기
]]

[ 학생명부 일람 ]
인게임 캐릭터는 출시 순으로 기재하되 이름 상단에 캐릭터의 구분을 표기합니다. 별개의 구분이 없는 기본 캐릭터는 해당 캐릭터의 동아리명이나 그 약자를 표시합니다. 공격 타입방어 타입은 아래와 같은 색깔로 구분합니다.
{{{-2

폭발공격
·

관통공격
·

신비공격
·

경장갑
·

중장갑
·

특수장갑

파일:아비도스로고화이트.png 아비도스 고등학교
파일:시로코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대책위원회
시로코

파일:호시노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탱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대책위원회
호시노

파일:세리카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대책위원회
세리카

파일:노노미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대책위원회
노노미

파일:아야네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힐러.png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1
대책위원회
아야네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라이딩
시로코

{{{-1
새해
세리카

파일:블루아카 딜러.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수영복
노노미

파일:수야네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택티컬 서포트.png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1
수영복
아야네

파일:수시노프로필.png
{{{-1
수영복
호시노



파일:트리니티로고화이트.png 트리니티 종합학원
파일:히후미프로필.png
{{{-1
보충수업부
히후미

파일:스즈미프로필.png
{{{-1
자경단
스즈미

파일:시미코프로필.png
{{{-1
도서부
시미코

{{{-1
디저트부
아이리

파일:요시미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1
디저트부
요시미

파일:하나에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힐러.png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1
구호기사단
하나에

파일:세리나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힐러.png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1
구호기사단
세리나

파일:츠루기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정의실현부
츠루기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정의실현부
하스미

파일:마시로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1
정의실현부
마시로

파일:아즈사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보충수업부
아즈사

파일:블루아카 힐러.png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1
보충수업부
하나코

파일:코하루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힐러.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보충수업부
코하루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수영복
아즈사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1
수영복
마시로

파일:수루기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수영복
츠루기

파일:수후미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택티컬 서포트.png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1
수영복
히후미

파일:마리프로필.png
{{{-1
시스터후드
마리

파일:블루아카 탱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디저트부
나츠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시스터후드
히나타

파일:우이프로필.png
{{{-1
도서부
우이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디저트부
카즈사
''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체육복
하스미
''
파일:블루아카 힐러.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체육복
마리
''
파일:블루아카 힐러.png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1
크리스마스
하나에
''
''{{{-1
크리스마스
세리나
''
파일:미네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탱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구호기사단
미네
''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티파티
미카
''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시스터후드
사쿠라코
''
파일:나기사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1
티파티
나기사
''


파일:산해경로고화이트.png 산해경 고급중학교
파일:사야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1
연단방
사야

파일:슌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매화원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어린이

파일:사야(사복)프로필.png
파일:블루아카 어태커.png파일:블루아카 스페셜.png
{{{-1
사복
사야

파일:블루아카 힐러.png파일:블루아카 스트라이커.png
{{{-1
매화원
코코나




{{{-2

기울임
: 한국 및 글로벌 서비스 미출시 캐릭터 {{{-2 {{{#!wiki style="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007fff; color :#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60px; text-align: center"
등장인물: 전체 등장인물 퀵링크







6. 설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루 아카이브/설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부가기능[편집]



7.1. 카페 및 스케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루 아카이브/카페 및 스케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2. 크래프트 챔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루 아카이브/크래프트 챔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3. 상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소라(블루 아카이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4. 모모톡[편집]


모모톡
파일:블루아카 모모톡(KR).jpg

학생들과 채팅을 할수 있으며, 인연랭크에 따라 인연 스토리와 메모리얼 로비를 개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어디까지나 각각 캐릭터마다의 정해진 스토리라인을 따라가는 것 뿐이라서 실제 카카오톡처럼 자유롭게 채팅을 하는건 불가능하며 2~4개의 선택지가 주어지고 그중 하나를 골라 대답하는 방식으로 대화가 이어진다.

모모톡의 이름은 복숭아의 일본어 발음인 '모모'에서 따온 것이다. 그리고 모모프렌즈 굿즈도 판매하는데, 이로 인해 용도가 비슷한 어피치카카오프렌즈, 카카오톡과 엮이기도 한다.


8. 이벤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루 아카이브/이벤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1. 한국/글로벌 서버[편집]



8.1.1. 진행중인 이벤트[편집]


  • 픽업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루 아카이브/픽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02.14. ~ 02.28.)
신규
복각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A_사오리픽업.jpg}}} ||
파일:BA_아루픽업2.jpg
[1] 전 넷게임즈. 같은 넥슨계열사인 넥슨GT를 흡수합병하며 사명을 2021년 넥슨게임즈로 변경했다.[2] 넥슨 공식 커뮤니티에서는 수집형 RPG로 분류하고 있다.[3] '동등한 경험을 부여하자'는 모토하에 일본어 음성만이 존재한다.[4]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직권재분류에 따라 11월 29일부터 구글 플레이스토어, 원스토어 연령등급을 올리게 되었다.[5] 기존의 앱에서 틴 버전으로 데이터를 이동할려면 계정 연동을 해야한다.#[6]
대표적인 검열 사례다. 엉덩이에 붙은 문어가 선정성을 이유로 없어졌다.
[7] 11월 29일부터 구글 플레이스토어, 원스토어 등급과 같이 만17세 이상 사용하도록 연령등급을 올리게 되었다.[8] 청소년들을 위해 청소년이용버전을 따로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9] 구글 플레이스토어 기준[10] 일본에서 전체 이용가에 해당하는 등급이다.[11] 일본 서버는 2023년 1월 22일 2주년 기념 방송에서 공개되었다.[직역] 학원도시, 학생, 학원도시에서 지내는 당신과 학생의 일상. 당신과 학생의 기적.[A] A B 정확히는 넥슨 코리아[12] 요스타는 단순히 게임을 번역한 것만이 아니라 서비스 자체를 담당하였고, 그에 따라 요구되는 블루 아카이브 개발 지분을 자연스럽게 가지게 되었다.[13] 김용하 PD가 2021 ndc에서 밝힌 바로는 미소녀 XCOM을 노렸기 때문에 Moe Xcom을 줄인 것이라고 한다.[14] 이는 넥슨은 넥슨게임즈의 전신인 넷 게임즈가 개발한 오버히트를 일본 시장에 내놓은 적이 있었고 콜라보 이벤트도 하며 운영한 적은 있었으나 결국 저조한 성적으로 실패했다. 이후에도 마스터 오브 이터니티 등 여러 모바일 게임을 일본 시장에 내놨으나 2년 + 몇개월을 버틴 오버히트를 빼면 대다수가 2년을 넘기지 못 한채 실패만 하였다. 이렇게 일본 시장에서 히트작 부재와 일본 문화가 짙은 게임이 한국에 선출시할 경우 한국 정서에 안 맞아 실패했을 가능성도 높기 때문으로도 해석되는 편이다. 결과적으로도 블루 아카이브는 넥슨 게임 중 가장 일본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한 게임으로 기록된다.[15] 원스토어와 텐센트가 합작해서 서비스 중인 원 게임 루프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공식적인 PC 플랫폼도 지원한다. 다만 워낙 불안정한 탓에 게임이 튕기는 현상도 존재한다.[16] 2021년 중국 정부의 게임에 대한 강도높은 규제로 판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17] 베트남 법률상 해외 사업자의 경우 현지에 대표사무소 또는 지사를 열어야만 하는데, 넥슨은 베트남에 지사를 두고 있지 않다.[18] 3국은 랜덤박스가 불법으로 지정되어 가챠 요소가 들어간 게임을 출시할 수 없다. 따라서 이 3국 사람은 일본, 한국 내수용, 기타 유럽연합 국가(프랑스, 독일, 영국 등) 중 하나를 선택해서 플레이 한다.[19] 울람당안. 블루 아카이브를 번체로 번역했다.당안(檔案)은 20세기 초 중화민국 시절부터 중국본토를 비롯한 중화권에서 (공공)기록물을 가리키던 단어로, 아카이브가 '기록보존소'로 번역되는 만큼 정확히는 '울람당안관蔚藍檔案館'이라 번역하는 것이 옳다.[20] 대만에서 정식출시되기 전에는 중화권에서 '벽람당안'(碧蓝档案)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정발되지 않은 간체권에서는 아직도 벽람당안이라는 이름이 널리 사용된다. (검색시 벽람당안 결과가 더 많이 나옴)[21] 한국 트위터의 팔로워가 8,000명, 글로벌 트위터 팔로워가 28,000명으로 3배 이상 차이난다. 다만 한국 오타쿠는 트위터보다는 디시인사이드, 네이버 등의 다른 커뮤니티를 선호하기 때문에 정확한 차이는 아니다.[22] 9시간 시차가 있으므로 동시오픈이다.[23] 포켓몬스터 게임과 구조가 비슷한데 물 타입을 주로 쓰는 관장을 불꽃 타입만으로 깨는 건 힘들지만 레벨빨로 밀어버릴 수는 있다. 하지만 블루 아카이브는 임무를 진행할수록 카페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해지고 이는 곧 AP 수급에 직결되기에 역상성으로 임무를 진행하는 건 효율이 바닥을 뚫고 들어간다.[24] 런칭부터 일주일동안 리세 우선순위가 3지역까지 경장위주에 5지역은 다시 경장+일부 스킬로 대응할 수 있는 중장구조로 저격이나 폭딜이 가능한 스킬을 가진 폭발형 추천 → 4지역에 주력이 되는 중장갑 때문에 관통형 추천 → 6지역부터 열리는 PVP에서 유리한 캐릭터 + 10지역 대비용 신비딜러 → 메타가 고착되어 사장된 PvP를 대체하는 총력전의 강캐들 순으로 바뀌었다. 거기다 총력전+7지역 이상 돌파때문에 부대를 2개 돌려야 하기 때문에 관통,폭발 한 파티만으로는 무조건 부족하게 되어있다.[25] 사람마다 게임을 즐기는 방법은 케바케이기에 무조건 1티어 캐릭터 전부를 얻을 필요는 없다. 다만 이 게임은 격주마다 진행되는 총력전과 매일 진행되는 전술 대회를 제외하면 컨텐츠가 거의 없다시피하며, 가챠게임 특성상 리세마라 타이밍을 넘기거나 그 이후에는 "통상은 언젠가 뜬다"라는 소위 통언뜬을 노린다해도 상당히 낮은 확률과 가챠에 매우 많은 재화가 소모되기에 게임을 제대로 즐기고 싶다면 리세마라를 통한 대체불가 캐릭터들을 어지간해서는 얻는 것이 반드시 권장된다.[26] 블루아카는 원래부터 가챠가 맵다는 평가가 많았는데 3성 확률이 2.5%에서 3%로 증가해서 한정페스가 6퍼까지 증가한 덕분에 가챠 허들이 조금이나마 내려갔다. 다만 페스 외의 가챠는 여전히 좋은 소리는 듣지 못하고 있다. 사실 최근 다른게임의 가챠들과 비교해보면 3성확률은 평범해 보이지만 천장이 아예 없거나 천장이 300번 이상인 게임들과 비교하면 좋은편이다. 비슷한 케이스로는 명일방주가 있다. 다만 명일방주는 로테이션으로 180정도에 캐릭터를 먹을수 있는 유사천장이 있으나 한정캐릭이 300천장이기 때문에 조금더 빡쎈데 대신 모든 가챠를 돌릴때마다 6성 확률이 2퍼씩 오르는 일종의 보정시스템이 있기때문에 오히려 가챠횟수가 많은사람일수록 블루아카에 비해서 체감이 된다.[27] 본래 300포인트였으나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가 천장을 200회로 낮춘 걸 의식한 것인지 체리노 픽업부터 200연으로 낮춰졌다. 한국 및 글로벌 서비스에서는 초반부터 200연으로 맞춰 출시된다.[28] 역속성이 아니면 100%로 들어가며 구조물은 공성 이외에는 전부 50%만 적용.[29] 달리 말하면 경장갑을 상대로 신비 속성을, 중장갑을 상대로 폭발 속성을, 특수장갑을 상대로 관통 속성을 사용해도 어느정도 효과를 볼 수는 있다. 신비 속성 학생이 적다보니 당장 쓸만한 딜러가 부족한 유저는 특수장갑을 상대로 관통 속성 학생을 사용하기도 한다.[30] 적과 직접 마주하지 않는 SPECIAL 학생의 방어타입은 소환수를 소환하거나 택티컬 서포트 병과가 아니면 의미가 없으므로 알지 않아도 무방하다. 공격 스킬이 없는 서포터 계열 스페셜의 공격타입 역시 마찬가지.[31] 사진에는 야전이라 적혀있어 헷갈릴 수 있겠지만 여기서 야는 밤을 뜻하는 夜가 아닌 들판을 뜻하는 野이다.[32] 즉 S등급이면 엄폐시 블록 확률 60%, 적의 엄폐를 무시할 확률도 60%. 엄폐물 자체의 블럭확률은 일괄 30%[33] 주무장 외에도 사오리, 미사키 등이 권총을, 아츠코가 테이저건을, 히나타가 유탄기관총을, 택티컬 서포트 클래스 학생들이 차량을 이용하며, 세리카가 라멘집에서 권총을 소지하고 시로코가 황륜대제에서 로켓 발사기를 들고 나오는 등, 부무장 역시 자주 쓰지 않을 뿐 꽤 다채로운 편이다.[34] 단, 현재 아리스만이 RG를 갖추고 있으므로 추후 나올 다른 캐릭터의 경우 성향이 다를 수 있다.
사오리 (★3)
아루 (★3)

복각
복각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A_아리스픽업2.jpg}}} ||
파일:BA_라로코픽업2.jpg

  • 총력전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시로 & 쿠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SEASON #32 (23.02.14. ~ 23.02.21.)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A_시로쿠로실내전관통.jpg}}} ||

  • 임무 NORMAL 드랍 보상량 3배 캠페인[35]

파일:BA_임무노멀3배캠페인.jpg
캠페인 기간: 23.02.14.(화) 04:00 ~ 23.02.21.(화) 03:59

  • 선생님을 응원합니다! 아로나의 스페셜 보너스!

파일:BA_아로나스페셜보너스.png
이벤트 기간: 23.01.31.(화) 점검 후 ~ 23.03.07.(화) 03:59

  • 아리우스 자치구 탐사 미션 2

파일:BA_아리우스자치구탐사미션2.png
이벤트 기간: 23.02.14.(화) 점검 후 ~ 23.03.14.(화) 10:59

  • 샬레의 달콤한 특별 보급

파일:BA_샬레의달콤한특별보급.png
이벤트 기간: 23.02.14.(화) 점검 후 ~ 23.02.20.(화)


8.1.2. 예정된 이벤트[편집]


  • 총력전
SEASON #33 (23.02.28. ~ 23.03.07.)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A_호드시가전신비.jpg}}} ||
시가지 호드

  • 특별 의뢰 보상량 & 임무 HARD 드랍 보상량 3배 캠페인

파일:BA_특별의뢰3배.jpg파일:BA_임무하드3배캠페인.jpg
캠페인 기간: 23.02.21.(화) 04:00 ~ 23.02.28.(화) 03:59

  • 종합전술시험

파일:BA 돌파시험.jpg
시험 기간: 23.02.21.(화) 11:00 ~ 23.02.28.(화) 10:59


8.2. 일본 서버[편집]



8.2.1. 진행중인 이벤트[편집]


  • 픽업

(23.02.10. ~ 02.22.)
신규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A_사쿠라코일섭픽업.png}}} ||
사쿠라코 (★3)

복각
복각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A_우이일섭픽업2.png}}} ||
파일:BA_히나타일섭픽업2.png
[35] 최초로 보상량 n배 캠페인에서 임무 NORMAL과 HARD가 완전히 분리되었다.
우이 (★3)
히나타 (★3)


8.2.2. 예정된 이벤트[편집]




9. BGM[편집]





10. 평가[편집]





11. 사건 사고[편집]





12. 미디어 믹스 및 관련 제품[편집]





13. 공식 방송[편집]


일본 채널에서 올라오는 모션 캡쳐 애니메이션들은 넥슨이 아니라 요스타에서 만들기 때문에 한국&글로벌 서버와는 무관하고 거의 올라오지도 않는다.

13.1. 아로나 채널[편집]





13.2. 블루아카 라이브![편집]





13.3. 선생님, 잠깐 시간 되시나요?[편집]





13.4. 선생님, 잠깐 시간 내주세요![편집]





13.5. 이루아[편집]



원본 영상은 내려갔다.
2022년 3월 18일 최초 공개 후 21일 본격적으로 데뷔할 예정이었던 버튜버. 일본 서버는 아로나 채널이 있지만, 아로나 채널은 요스타쪽에서 주관하기 때문인지 별도의 버튜버를 내세웠다. 그러나 유저들의 부정적인 반응이 폭발하자 8시간 만에 계획을 취소했다.

설정상 나이는 자칭 17살에, 키는 154cm다. 취미는 세라복과 피규어 수집이며, 데미안같은 책도 좋아한다. 보컬로이드 노래 부르는 것, 미소녀 그리기가 장기이며, 귀여운 것과 닥터 페퍼를 좋아한다. 반대로 귀엽지 않은 것과 양파를 싫어한다.





14. 콜라보레이션[편집]



2021년 10월 18일 콜라보가 결정됐다. 인게임 이벤트와 한정 콜라보 캐릭터가 등장했다.


2021년 12월 26일, Target for Love의 공식 콜라보 커버곡을 맡았다. 본인이 올린 영상

파일:KakaoTalk_20210914_150658156.jpg
부시로드의 새로운 판권 올스타 TCG IP인 Re버스 for you에 참전하였다. 트라이얼 덱은 2022년 4월 22일 발매, 부스터 팩은 2022년 5월 20일 발매.

파일:BA_블루아카콜라보카페.jpg
글로벌 서비스 1주년을 기념해 22.11.10.부터 12.25.까지 총 6주간 애니플러스 서울 합정점과 애니플러스 부산 서면점에서 콜라보 카페를 개장한다. 6 종류의 음료와 6종류의 디저트를 판매하며, 테이크아웃 전용 메뉴로 쿠키도 판매한다. 또한 기간 한정 메뉴도 판매하는데, 첫 2주간에는 마스터 시바의 특제 시바세키 라멘을 판매한다.
음식 메뉴 외에도 모바일 배터리, 일러스트 엽서북, 패브릭 씰, 장패드, 아크릴 스탠드, 목걸이 카드케이스 등 굿즈가 판매되며, 구매 특전으로 포토카드 및 스티커도 증정된다.[36]
이 행사는 많은 기대를 받고 있는데, 실제로 개장 전날 14시부터 대기줄이 생기는 광기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그날 하루가 다 가기전에 합정점은 내부 대기 수용인원 초과 소식이 나왔다.# 굿즈의 경우 수량을 넉넉하게 준비해 두었기에 재고가 바닥날 우려는 적은 편이라고 했는데 마지막까지 상황을 보면 구하는거 자체가 어려웠다. 엄청난 인기에 힘입어 카페 개장 단 하루 만에 품절 상품이 나오기 시작했고 3일차인 토요일 쯤 되어서는 지점을 가리지 않고 대부분의 상품이 품절되었다. 6주간 진행되기 때문에 6주내내 재입고 소식을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특히 일부 제품은 첫 매진후 긴시간 텀을 두고 재입고 되기도 했으며, 굿즈 품절 소식에도 콜라보 카페 한정 메뉴는 1일 수량을 정해놓고 나눠서 판매하기 때문에 콜라보 카페를 노리고 새벽부터 줄을 서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았다. 이로인해 카페는 기간 내내 이용 시간 예약이 주어지고 말았다.
또한 베리타스 후드 집업과 많은 사람들이 노릴 것으로 예상되는 1주년 태피스트리는 1주차에는 판매하지 않았기 때문에 굿즈 재입고 및 미판매 상품의 판매 소식이 들려오면 첫 개장 때와 비슷한 수준의 장사진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실제로 11월 20일에 합정과 부산에 일부 품절 굿즈가 재입고되며 베리타스 후드도 판매한다는 소식이 들려오자마자 합정역은 11월 19일 저녁부터 엄청난 인원이 줄을 섰으며 재입고 상품 중에 개장 단 40분만에 품절된 상품도 존재했다. 인원이 너무 많이 몰린 나머지 개장 첫날에도 아침 8시 조기 오픈이었는데 11월 20일에는 아침 7시에 조기 오픈을 했을 정도. 결국 1~2주차 내내 운이 좋게도 시간과 체력에 여유가 있던 소수의 인원을 제외하면 굿즈 구매조차도 하기 힘든 대참사가 발생하였고 특히 1~2주차 스페셜 메뉴인 시바세키 라멘은 평일인데도 오전, 늦어봐야 오후 1~2시에 서울, 부산 양 지점 다 그날 물량이 다 나가는 안습한 상황이 2주 내내 발생했다. 그후에 나온 3~4주차 사이바 자매 컨샙 파르페와 5~6주차 이즈미의 초코 버거도 비슷한 현상을 겪었으며, 콜라보 기간이 끝난지 1달후 마지막 재입고에도 사람이 몰릴걸 우려하는등 수요 예측에 크게 실패했다는 의견이 나오는 중.
특히 놀라운점은 블루 아카이브는 통틀어서 애니플러스와 접점이 하나도 없는데도(콜라보 기간 동안은 애니메이션 미방영) 콜라보 카페를 했다는 것이다, 애니플러스는 자사에서 판권을 구입한 애니메이션(러브라이브 니지가사키, 슈퍼스타,선샤인, 뱅드림, 유루캠, 우마무스메)을 한정으로 카페를 개최했는데 이는 두번째 사례로 첫번째는 홀로라이브 카페이다. 접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무슨 이유로 블루 아카이브, 홀로라이브 콜라보 카페를 개최했는지는 알 수 없다.
사실 애초에 애니플러스는 자사가 판권을 구입한 애니메이션에 한정하여 콜라보를 개최한다는 말을 한 적은 없었다. 또한 애니플러스샵에서 판매하는 물품들은 대개 일본의 애니메이트를 벤치마킹한 형태로 판매되어 왔기에 이번 콜라보가 놀랄 만한 일은 아니었다. 또한 20세기 부터 이어져온 서브컬처에 대한 규제와 멸시로 인해 아직도 관련 인프라가 잘 갖추어지지 않은 한국 특성상 그나마 관련 이벤트를 무난히 진행하려면 애니플러스 이외의 선택지가 거의 없다는게 현실이다.[37] 여기에 돈 냄새를 맡은 전문 되팔렘들이 개입하면서 굿즈마저도 구하기 힘들어진게 원인이 되었다. 실제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관련 방역 정책이 대거 완화된 2022년에 오랜만에 개최되었던 코믹월드에서도 블루 아카이브 관련 2차 창작 굿즈들이 상식을 뛰어넘는 가격에 온라인 중고 장터에 올라온 경우도 있었다.

15. 관련 인물[편집]






16. 수상 내역[편집]


  • 2022 대한민국 게임대상 #[38]
    • 인기게임상
    • 기술창작상 캐릭터 부문

  • 2022 구글 플레이 올해를 빛낸 게임 #
    • 올해를 빛낸 인기 게임
    • 올해를 빛낸 스토리 게임 우수상

17. 기타[편집]


  • 블루 아카이브 로고 이미지.
파일:블루아카이브 로고.svg
파일:BlueArchive_JP_Logo.png
한국/글로벌 로고[39]
일본 내수용 로고

  • 앱 아이콘에 있는 캐릭터 이름은 스나오오카미 시로코이다. 1주년 기념 업데이트 버전에선 아로나로 잠시 교체되기도 했으며 글로벌 서버는 교체 된 상태이다.

  • 블루 아카이브라는 이름이 정확하게 무얼 의미하는지 밝혀진 바는 없지만,[40] 메인 스토리에서 아지타니 히후미학원과 청춘의 이야기라는 대사를 할 때 루비 문자로 Blue Archive가 표기된다. 즉 Blue는 청춘(春)을 의미하며 따라서 본작의 제목은 청춘의 이야기로 추정할 수 있다.



  • 즉흥환상 김인 AD의 인터뷰. 여기서 욕망을 절제하고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수영복 이즈미바니걸 카린, 아코같은 엄청난 메모리얼들이 공개되면서 일본 내수판은 7세 이용가 드립과 합쳐져서 이런게 절제...? 라며 감탄할 때 쓰인다.


  • isakusan 양주영 시나리오 라이터의 인터뷰


  • 캐릭터가 소지한 총기의 명칭은 상표권 문제 때문인지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으며, 비교적 대중적인 FPS게임들의 총기스킨마냥 도색이 하나같이 알록달록하다.

  • 몰?루 밈의 유행과 한국 런칭기념으로 해당 밈을 이모티콘화한 재치있는 행보로 인해 한국에서는 '몰루 아카이브'라는 별명이 있다. 동시에 아루, 네루, 코하루 등 이름이 '루'로 끝나는 캐릭터들도 밈의 희생양이 되었다.


  • 메모리얼 로비, 모모카 / 린 / 아로나 / 소라 같이 움직이는 개체는 플레이어의 터치에 반응한다. 대표적인 사용법은
    • 캐릭터를 터치하여 대사 진행. 처음 한 바퀴는 정해진 순서에 따르며, 그 다음부터는 랜덤으로 재생된다.
    • 캐릭터가 아닌 다른 곳을 터치하면 그 곳을 캐릭터가 바라보고 있는다.
    • 캐릭터가 아닌 다른 곳을 누르고 있으면 손가락을 따라 캐릭터의 시선이 따라다닌다.
    • 이마를 좌우로 드래그하면 캐릭터를 쓰다듬을 수 있다. 쓰다듬고 있는 동안에는 눈을 감는다[41].
    • 로비에서 일정 시간 이상 조작이 없으면 UI가 사라지고 메모리얼 로비만 보이게 되는데, 이 때 이마를 한 번만 터치하면 캐릭터가 쓰다듬어질 때의 행동을 계속 취한다. 다시 쓰다듬거나 다른 곳을 터치하면 풀리게 된다.

  • PC 앱 플레이어로 진행하면 차량 오브젝트가 눈뽕을 일으키는 버그가 존재하는데, 외곽에 있는 차량도 일으킨다.

  • 음악에 서브컬처 DJ/일렉트로니카 아티스트인 INCS toenter 소속 Nor, 한국 동인 음악가 KARUT, 미츠키요(ミツキヨ) 등의 한국인 아티스트들이 상당수 참여하였다. #

  • 한국인 일러스트레이터 Mx2J[42], 즉흥환상[43], 도레미[44], 9ml[45], 유나물[46], kokosando[47] 등이 참여해 인게임 및 광고에 사용된 전반적인 일러스트들을 그린것이 확인되었으며, 이 외에도 상당수의 한국인 일러스트레이터[48]들이 참여한 것이 확인되었다. # 이 중 즉흥환상, 도레미, Mx2J, 9ml, 유나물 등의 일러레들은 PV 제작 등에도 참여하여 정황상 개발진으로 여겨지며, 즉흥환상의 경우엔 그래픽 파트 팀장인 AD를 맡고 있으며 [49] 9ml(본명 김국기)는 아트실 2D 캐릭터팀 팀장을 맡고 있다. 아트북에서 확인할 수 있는 키 비주얼의 대부분을 즉흥환상도레미의 태그로 추정되는 Doremsang[50]이 맡은 것이 확인되었다.

  • 메인 시나리오 라이터로 큐라레 때 각본을 맡았던 isakusan이 참여한 것이 확인되었다.


  • 아트디렉터 즉흥환상이 세션을 통해 2nd PV 제작 스태프를 공개했으며, 애니메이션 PV외의 PV들은 기본적으로 넥슨게임즈 mx스튜디오의 작품이라고 밝혔다.# 인게임 내에서 3rd PV 제작 스태프를 확인할 수 있다.[51]

  • 아브라함계 종교를 중심으로 각지의 신화, 전설과 관련된 모티프가 상당히 많이 들어간 편인데, 스킬 성장에 필요한 아이템이 오파츠인 점#, 캐릭터의 레어도 상향이 신비해방으로 표기되고 필요한 아이템이 신명문자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다#[52], 캐릭터들의 성과 이름에서 모티프가 하나하나 드러나는 등 이런저런 떡밥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 한국 서버 런칭 전부터 일본 내수판 클라이언트에서 당장 서비스가 가능한 수준의 한글 리소스 파일이 들어있었다. # 심지어 출시 후 공개된 이벤트의 파일도 한글화가 되어있기에 실제 개발은 한국어부터 하고 이후 일본어 번역을 거쳐서 공개하는 것으로 추측되었고, # 이는 이후 인터뷰에서 사실로 밝혀졌다.#


  • 스토리는 왕도적인 전개를 바탕으로 바카게스러운 요소를 다소 곁들였으며[53], 이런 점이 기존 모바일 게임에서는 보기 힘들었던지라 호응을 얻었다. 반면 3부를 기점으로 업데이트가 지나치게 늦어졌던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 초회 가챠를 뽑기 위해서는 튜토리얼 전투를 반드시 거쳐야 하기 때문에[54], 한 번 리세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우편물을 수령하고 가챠를 돌려야 할 경우 긴 시스템 설명이 이어지며, 운이 나쁘면 캐릭터 성장법까지 들어야 한다. 또한 확률은 일반적인 가챠겜과 비슷한데 상대적으로 3성 캐릭터가 많아 원하는 캐릭터들을 저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55] 그래도 리세마라를 끝낸 계정 구입이 반드시 추천될 정도로 리세마라 난이도가 극악은 아닌데다가, 게임사 측에서 의도적으로 리세마라를 제한하는 사례도 있는 반면 블루 아카이브는 오히려 샬레의 해피♡발렌타인 순찰 이벤트 내에서 플레이어들이 겪었던 리세마라 과정을 코믹하게 묘사하여[56] 사실상 리세마라를 권장하고 있다고 무방하다.

  • 10월 18일 대형 업데이트 예고 방송에서, 27일부터 중복캐릭터가 뽑힐 경우 엘리그마만 제공하던 기존 가챠방식을 개선하여 중복 캐릭터의 엘레프 역시 제공하기로 개편을 예고하였다. 이 엘레프는 현재까지 사용처인 5성 업그레이드는 물론 새로 도입되는 고유무기(전용장비)를 구입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 일본 서버에서 ASMR 광고가 올라왔다. 노노미가 귀를 파주는 내용이다.#


11월 18일, 넥슨에서 이 옥외광고를 상공촬영한 유튜브 광고가 올라왔다.

  • 글로벌 수출판에서 홀로라이브 EN오로 크로니#[57], 나나시 무메이#, 하코스 벨즈#, 가우르 구라#, 타카나시 키아라#가 광고방송을 진행했다.

  • 원스토어에서 자체적으로 우주소녀 쪼꼬미를 이용한 실사 광고를 올렸는데, 블루 아카이브의 타겟층을 고려하지 않은 삽질이라는 의견이 대다수다. 우주소녀가 등장한 광고 영상만 봐도 달린 댓글의 대부분이 주접댓글을 달면 우주소녀 굿즈를 증정하는 이벤트에 참가하는 우주소녀 팬이고 게임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

  • 특이하게도 캐릭터들의 성씨는 거의 언급되지 않으며, 호칭할 때도 대부분 이름만 쓴다. 성을 부르는 경우는 보통 누군가를 소개할 때 풀네임을 잠깐 언급하거나, 격식을 차린 대화에서만 쓰는 편. 콜라보 캐릭터인 하츠네 미쿠만 예외로 적용된다.

  • 최신 서브컬처류 게임의 풍조에 맞춰 리셋 시간이 오전 4시이다. 다만, 서비스 개시후 1년동안[58][59] 총력전에 한해서는 마지막날 밤 12시를 찍는 순간 종료되기 때문에 이를 잘 모르면 피해를 보는 경우도 있었다.

  • 개발 스튜디오 이름도 스튜디오 MX, 게임도 본래는 '프로젝트MX'라는 프로젝트명으로 개발되었다. 게임 내에서도 이 시절의 흔적을 학생에게 주는 선물인 'MX-레이션 C형 디저트 풍미'에서 찾아볼 수 있다. 21년 넥슨 NDC 강연과, 지스타 강연에서 MX의 의미는 Moe Xcom이라는 의미라고 밝혀졌다. 즉, 직간접적으로 엑스컴 시리즈영향을 받은 것. 실제로 게임을 구상하면서 처음 아이디어를 얻은 곳이 엑스컴2의 미소녀 모드였다고 한다.

  • 개발단계의 프리젠테이션에서 제시된 인게임 컨셉 목업 이미지 좌측을 잘 보면 유니티짱의 데포르메 모델링이 있다. 아무래도 유니티 엔진을 이용해서 그런듯. #


  • 영어 번역 품질은 그럭저럭인 편. 평이한 문장 구조로 인해 학생들의 개성을 살리지 못한 점이 아쉽다. 일부 문장에서 한국어 직역 티가 나지만 크게 어색할 정도는 아니다. 허나 2022년 말에 번역 총 책임자가 사망한 뒤에 에덴조약 편의 클라이맥스인 3막 4장 후편에서 질 낮은 번역이 제대로 터져 강도 높은 비난을 들었다. 특히 공주님 선택지가 다른 표현으로 번역된 것 때문에 불만 의견이 들끓었다.

  • 블루 아카이브란 이름의 경마용 말이 일본에 있다.# 부마가 우마무스메에 실장된 코파노 리키인 것 때문에 본의 아니게 콜라보를 이뤄냈다고 드립을 치는 사람들도 있다. 이후 첫 출주에서 인기 1등에 5착의 성적을 거뒀다.

  • 아이콘은 시로코가 차지하고 있지만, 1주년 기념으로 아로나가, 2주년 기념으로 아누비스가 일시적으로 아이콘을 차지했다.
파일:BA 1st ICON.png}}}||
[36] 일부 제품은 AGF 행사에서 복권 상품으로도 등장하기도 했다.[37] 콜라보 카페 개최 자체는 근처에 팝퍼블이란 대체재도 있지만 굿즈 판매와 연계하려면 애니플러스샵이 사실상 독점 상태이다.[38] 김용하 PD가 받은 우수개발자상까지 포함하면 3관왕이다.[39] 글로벌 로고에는 한국어가 빠진다.[40] 단어 자체는 직역하면 '푸른 기록 보관소'이다.[41] 세리카, 준코, 소라 등 눈을 감지 않는 캐릭터도 있다.[42] 츠루기, 카린, 네루, 츠바키, 하스미, 이즈미, 아카네, 치나츠, 아스나, 이오리, 요시미, 모에.[43] 체리노, 히후미, 시로코, 유우카, 세리카, 치세, 아야네.[44] 아리스, 코하루, 아루, 히나, 쥰코, 하루카, 카요코, 무츠키, 아코, 이로하.[45] 호시노, 노노미, 하레, 마키, 아카리, 슌, 사오리, 아츠코, 미사키, 히요리.[46] 유즈, 미쿠, 세리카(정월), 사키, 미유.[47] 나츠, 카에데.[48] NAMYO, 세발문어, whoisshe, popqn, 냥말가게, RONOPU, セイクオ(Seicoh), OSUK2, Empew, やまかわ, あやみ, CHILD, Nemoga 등[49] 파일:블루아카pv.png[50] DoReMi + HWANSANG[51] 파일:블루아카3rd.png[52] 신의 이름문자(그라마톤)라는 뜻으로 신명사문자(神名四文字)가 야훼를 뜻하는 테트라그람마톤이다. 게임내 파일에 있던 한글판에서는 '엘레프/엘리그마'로 번역되었다.[53] 3부 에덴 조약편에 들어선 정치극의 요소도 추가되었다.[54] 해당 전투는 auto 플레이가 불가능하다.[55] 이오리, 히비키, , 하루나를 중심으로 구성된 3성 4명 + 2성 츠바키가 해당 리세마라 추천 캐릭터들인데, 3성 하나의 확률도 낮은 편인 상황이라 해당 3성 4개를 동시에 저격하는데 확률이 매우 극악한 편이다. 그렇기에 PVP 컨텐츠인 전술 대항전을 신경쓰지 않으면 슌을 포기하거나 파밍을 통해서 조각을 모아서 캐릭터 획득이 가능한 하루나를 제외하고 이오리 + 히비키 + 츠바키를 뽑으면 끝내는 것을 추천하는 편이다. 이오리도 하루나처럼 파밍을 통해 뽑을 수 있지만 해당 스테이지의 난이도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파밍하기 쉽지 않고 한섭과 글섭 기준으로 추가될 총력전에서 많이 활동하는편이라 리세에서 뽑는 것이 추천되며, 히비키는 조각 파밍이 안 되고 픽업도 매우 늦게 하기 때문에 이오리처럼 리세를 통해 캐릭터를 뽑는 방법이 추천되는 편이다.[56] 상술한 스킵 불가능한 튜토리얼에서 코사카 와카모를 체포하기 위해 선생이 와카모와 대치하게 되는데, 리세마라를 통해 와카모를 여러 번 보는지라 링크의 선생이 한 대사는 여러 번 리세마라를 한 플레이어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57] 31분 14초부터 Cortana가 오류를 일으켜 'Hi, I'm Cortana'를 반복하는 공포 게임의 한 장면과도 같은 상황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밈까지 만들어 졌다.[58] 이후 리셋 시간과 동일하게 조정되었다[59] 한국 및 글로벌 서비스는 일부 일정을 단축했기에 1주년보다 약간 시점이 빠르다 다만 양쪽 서비스 모두 첫 호드 총력전부터 변경된 것은 동일하다

1주년
2주년


  • 유저들이 간과하는 사실이지만 일본 서버는 원칙적으로는 해외에서는 접속할 수 없는 일본 내수용 게임이다. 해당 국가에서 출시하는 버전으로만 해야 하나 대부분은 일본 내수용과 해외용 서버를 같이 하는 경우다. 일본 내수용/오락 및 게임을 보면 이해하기 쉽다. 일본에서 한국 내수용 앱을 접속하면 점검중이라는 안내가 뜨면서 접속이 제한당한다. 일본에서 해외용 서버를 이용하려면 VPN으로 우회해야 한다.


18. 외부 링크[편집]



18.1. 커뮤니티[편집]




18.2. 정보 사이트[편집]


  • 데이터베이스
    • 몰루아카 정보 창고: 트위치에서 활동하는 나힝구라는 인물이 Notion으로 만든 통합 정보 시트.
    • SchaleDB: 학생들의 상세 스펙이나 적들의 스펙, 스테이지별 전술 맵 구성 등 여러 정보가 깔끔하고 보기 쉽게 되어 있는 정보 사이트이다. 일본 서버와 글로벌 서버의 현재 진행 상황에 맞게 구성을 바꿀 수 있고, 언어도 바꿀 수 있다.
    • AronaBase: 한국어 사이트로 학생들의 상세 스탯, 육성 계산기 등을 제공한다. 업데이트가 굉장히 빠른 것이 특징인데 일본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업데이트시 즉시 신규 데이터가 반영된다.

  • 위키
    • 일본 블루 아카이브 공략 위키: 일본 블루아카 위키가 세 개쯤 더 있지만, 국내 사이트에서 일본 블루아카 위키하면 보통 이곳을 말한다. 몰?루 아카이브도 이곳을 참고하였다고 한다.
    • 블루 아카이브 FANDOM 위키: FANDOM 위키. 영문이지만, 대부분 명칭이 글로벌 명칭보다 일섭 번역 명칭을 우선시하므로 공식 영칭을 확인할 땐 주의를 요한다.
    • Blue Archive Wiki: 또다른 영문 위키.


18.3. 기타[편집]



  • 모모톡 생성기
    • YuzuTalk: 원조.
    • MolluTalk: 게임 내 모모톡 열람, 창작 모모톡 게재 등 여러 기능이 추가된 생성기.
    • Closure Talk: 유즈톡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사이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명일방주 대화 생성기지만 블루 아카이브 캐릭터와 유즈톡 레이아웃도 쓸 수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