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리치 천년혈전 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 애니메이션의 원작인 만화 《블리치》의 에피소드 '천년혈전 편'에 대한 내용은 블리치/천년혈전 편 문서
블리치/천년혈전 편번 문단을
블리치/천년혈전 편# 부분을
, 애니메이션 전체 시리즈에 대한 내용은 블리치 천년혈전 편 애니메이션 시리즈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블리치 천년혈전 편 (2022)
BLEACH 千年血戦篇
Bleach: Thousand-Year Blood War


파일:bleach_2022_anibox.png

{{{#ffffff,#ffffff

작품 정보 ▼
장르
다크 판타지, 퇴마, 배틀, 소년만화
원작
쿠보 타이토
총감수
감독
타구치 토모히사
시리즈 구성
타구치 토모히사
히라마츠 마사키(平松正樹)
캐릭터 디자인
쿠도 마사시
총 작화감독
하세가와 미치오(長谷川亨雄)
코마츠바라 키요시(小松原 聖)
타카야나기 쿠미코(高柳久美子)
액션 · 이펙트 작화감독
칸노 요시히로1~13화
사카이 사토시
정영훈(鄭泳勲)
미술 감독
타니오카 요시오(谷岡善王)
미술 설정
아마타 토시키(天田俊貴)
색채 설계
고다 사오리(合田沙織)
촬영 감독
야마다 카즈히로
CG 감독
사사키 토시히로(佐々木俊宏)
고토 카즈후미(後藤和史)
편집
미시마 아키노리(三嶋章紀)
음향 감독
나가사키 유키오(長崎行男)
음향 제작
잭 프로모션(ザック · プロモーション)
음악
사기스 시로
프로듀서
네기시 겐키(根岸弦輝)
히지카타 마코토(土方 真)테레비 도쿄
혼다 타스쿠(本多 祐)
토미나가 요시히코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피에로
제작
슈에이샤
테레비 도쿄
파일:덴츠 로고.svg
스튜디오 피에로
방영 기간
파일:세계 지도.svg 2022. 10. 11. ~ 2022. 12. 2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10. 21. ~ 2023. 01. 06.자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12. 15. ~ 2023. 01. 26.더빙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화) 0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박스
파일:투명.png (금) 23:30자막
파일:투명.png (목) 23:00더빙
스트리밍
디즈니+
JBOX 자막 한국어 더빙
네이버 시리즈온 자막 한국어 더빙
Laftel 자막, 한국어 더빙
TVING 자막, 한국어 더빙
wavve 자막, 한국어 더빙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3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폭력성)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1. PV
2.2. 키 비주얼
3. 줄거리
4. 등장인물 및 성우진
5. 음악
5.1. 주제가
5.1.1. OP
5.1.2. ED
5.1.3. 1화 ED
5.2. 스페셜 곡
6. 회차 목록
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8.1.1. 자막판
8.1.2. 한국어 더빙판
8.1.3. 방영 전 정보
8.1.4. 방영 후
9. 인기
10. 평가
11. 작화로 유명한 에피소드
12. 기타
13.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일본 만화 《블리치》의 최종장, 천년혈전 편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이다. 감독은 타구치 토모히사, 제작사는 구작과 똑같이 스튜디오 피에로. 특수 분할 4쿨 분량으로 방영되며 본 문서는 1쿨에 대하여 다룬다. 2022년 10월 11일에 첫 방송되었다.

이전 애니메이션은 원작자 쿠보 타이토가 만화 연재로 바빠서 관여하지 않았으나[1], 만화와 그 후일담과 천년혈전 편의 설정을 보충하기 위한 소설의 연재가 끝나면서 여유가 생긴 이번엔 총감수라는 직책으로 각본, 연출, 음악 선정 등 여러 분야에 적극 관여하고 있다.[2] 월아천충의 이펙트 컬러도 쿠보가 쓰던 컬러로 교체되었다. 타구치에 따르면 각본이나 콘티를 쿠보가 체크하는데, 살짝만 체크해서 바꿔도 그야말로 블리치의 느낌이 나게 되어 감탄하게 된다고 한다. 음향 감독 나가사키 유키오(長崎行男)에 따르면 성우 연기도 쿠보가 원격 중계로 체크한다.[3] 이렇게 다방면으로 감수하는 원작자는 처음 봤다고.

일본과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디즈니+ 독점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지만, 예외로 미국은 Hulu, 한국은 애니박스에서 방영을 확정지었다.[4] 이에 따라 블리치를 여러 나라에서 서비스하던 크런치롤에서 블리치 애니메이션 전체의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2. 공개 정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리치 천년혈전 편 애니메이션 시리즈/공개 정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 PV[편집]








티저 PV
PV 제1탄
PV 제2탄






쇼트 PV : 현세
쇼트 PV : 슈테른릿터
쇼트 PV : 호정 13대


2.2. 키 비주얼[편집]



파일:블리치 천년혈전 티저비주얼.jpg


파일:FWtWMGdaQAEvwQo.jpg


파일:bleachTYBW13keyvisual.jpg

1쿨 티저 비주얼
1쿨 키 비주얼
1쿨 최종화 키 비주얼


3. 줄거리[편집]


사신들이 살고 있는 소울 소사이어티의 정령정이 적군에게 습격당한다.

적군의 정체는 퀸시의 시조 유하바하가 이끄는 반덴라이히 (보이지 않는 제국).

반덴라이히는 사신들에게 선전포고한다.

"닷새 후, 소울 소사이어티는 반덴라이히에 의해 섬멸당한다"

천 년의 시간동안 짊어진 사신들의 인연.

그 숙업과 숨겨진 진실이 마침내 풀린다.

모든 것은 종언의 끝으로.

쿠로사키 이치고의 마지막 싸움이 시작된다!

애니박스



4. 등장인물 및 성우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리치/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캐스팅 목록. 신규 캐스팅은 볼드체.

성우진
등장인물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쿠로사키 이치고
모리타 마사카즈
신용우
조니 용 보시
쿠치키 루키아
오리카사 후미코
이현진
미셸 러프
이시다 우류
스기야마 노리아키
김종엽
데릭 스티븐 프린스
이노우에 오리히메
마츠오카 유키
정소영
스테파니 셰이
사도 야스토라
야스모토 히로키
박준원
알레인 메사
아바라이 렌지
이토 켄타로
고구인
월리 윙거트
우라하라 키스케
미키 신이치로
최한
더그 어홀츠
야마모토 겐류사이 시게쿠니
타카오카 빈빈
김기현
닐 캐플런
소이퐁
쿠와시마 호우코
장채연
캐런 스트래스먼
오오토리바시 로쥬로
카시이 쇼토
이창민
커크 손턴
우노하나 레츠
히사카와 아야
권다예
케이트 히긴스
히라코 신지
오노사카 마사야
강수진
알렉스 리
쿠치키 뱌쿠야
오키아유 료타로
엄상현
대니얼 우렌
코마무라 사진
이나다 테츠
이동윤
크리스토퍼 스윈들
쿄라쿠 슌스이
오오츠카 아키오
사쿠라 아야네(아역)
민응식
불명(아역)
스티브 크레이머
무구루마 켄세이
스기타 토모카즈
원종준
에런 라플랜트
히츠가야 토시로
박로미
김나율
스티브 스테일리
자라키 켄파치
타치키 후미히코
성완경
패트릭 사이츠
쿠로츠치 마유리
나카오 류세이
이창민
테런스 스톤
우키타케 쥬시로
이시카와 히데오
박준형
알렉스 리
효스베 이치베
쿠스미 나오미
이봉준
에런 라플랜트
니마이야 오에츠
우에다 요우지
최현수
카테로 콜베어
히우치가시마 메라
타이치 요우
김다빈
아나이리스 퀴노네스
토노카와 토키에
나카무라 사쿠라
김서현
마리 웨스트브룩
노미노 노노미
오자와 아리
권다예
셰러미 리
하시하라 하스카
타카모리 나츠미
장채연
지니 티라도
츠치미야 츠미코
타나베 루이
이주은
아나이리스 퀴노네스
기린지 텐지로
시무라 토모유키
안효민
믹 라우어
카즈오&카즈히로
야마모토 쇼타&탄자와 테루유키
오건우&김병현
패트릭 사이츠
슈타라 센쥬마루
사토 리나
원에스더
지니 티라도
히키후네 키리오
츠네마츠 아유미
이세레나
타라 제인 샌즈
유하바하&참월
스고 타카유키
이정구
리처드 엡카
유그람 하쉬발트
우메하라 유이치로
박요한
로비 데이먼드
로버트 아큐트론
하시 타카야
최낙윤
닐 캐플런
아스킨 나크 르 바르
타케우치 슌스케
미정
미정
키르게 오피
야마데라 코이치
이현
잰더 모버스
밤비에타 바스터바인
타케타츠 아야나
강시현
앤 얏코
에스 노트
마츠오카 요시츠구
서반석
일라이자 웅바리
BG9
타나카 히데유키
미정
미정
마스크 드 마스큘린
마미야 야스히로
박준원
빌 버츠
제롬 기즈바트
후지와라 타카히로
김병현
토드 하버콘
나나나 나자쿠프
마에노 토모아키
김병현
지노 로빈슨
드리스콜 베르치
카네미츠 노부아키
최낙윤
빌 버츠
베레니케 가브리엘리
KENN
오건우
미정
미니냐 매컬론
우에다 레이나
장미
앤 얏코
창투
쿠라토미 료
원종준
??
로이드 로이드
코바야시 유스케
오건우
로비 데이먼드
버저드 블랙
오노 유우키
이주승
잰더 모버스
페페 와캬브라다
야마구치 류
오건우
지노 로빈슨
아즈기아로 이반
코마다 와타루
홍진욱
안드레아스 베케트
류다스 프리겐
하마노 다이키
서원석
믹 라우어
샤즈 도미노
타카하시 신야
불명
??
아콘
오쿠다 케이진
임혁
개빈 해리슨
히요스
마츠모토 코헤이
김종엽
커크 손턴
사사키베 쵸지로 타다오키
야마구치 타로
스즈키 료타(청년)
박준형
대니얼 우렌
쿠로사키 잇신
모리카와 토시유키
권창욱
패트릭 사이츠
이시다 류켄
나리타 켄
홍범기
크리스토퍼 스윈들
아이젠 소스케
하야미 쇼
구자형
카일 에이베어
히나모리 모모
사쿠마 쿠미
김다빈
캐런 스트래스먼
이바 테츠자에몽
니시 린타로
원종준
??
티아 하리벨
오가타 메구미
장채연
지니 티라도
그림죠 재거잭
스와베 준이치
박준형
데이비드 빈센트
네리엘 투 오델슈방크
카네다 토모코
문남숙
콜린 오쇼너시
펫셰 거티셰
코야스 타케히토
이주승
마이클 P 그레코
돈도챠카 빌스턴
고리 다이스케(라이브러리 출연)
불명
피트 스페넉
오마에다 마레치요
카시이 쇼토
오건우
렉스 랭
이세 나나오
나바타메 히토미
김다빈
케이트 히긴스
키라 이즈루
사쿠라이 타카히로
불명
그랜트 조지
쿠사지시 야치루
모치즈키 히사요
이주은
디나 셔먼
야쇄
쿠와타니 나츠코
이주은
아나이리스 퀴노네스
츠키시마 슈쿠로
오노 다이스케
미정
매튜 머서
마다라메 잇카쿠
히야마 노부유키
현경수
토드 하버콘
아야세가와 유미치카
후쿠야마 쥰
김병현
브라이언 비콕
마츠모토 란기쿠
마츠타니 카야
김서현
메간 홀링스헤드
히사기 슈헤이
코니시 카츠유키
임혁
스티브 스테일리
코테츠 이사네
유카나
손정민
스테파니 셰이
토센 카나메
모리카와 토시유키
송준석
A.J. 베클스
이치마루 긴
유사 코지
이동윤
더그 어홀츠
쿠나 마시로
칸다 아케미
김다빈
지니 티라도

마도노 미츠아키
홍범기
퀸턴 플린
카죠마루 히데토모
하타노 와타루
박준형
크리스토퍼 스윈들
유키 류노스케
야마시타 다이키
심규혁
알렉스 리
마다라메 시노
세토 아사미
이지현
앰버 리 코너스
쿠로사키 마사키
오오하라 사야카
이다은
엘린 스턴
셰러미 리(少)
쿠나 니코
칸다 아케미
김서현
지니 티라도
시바 쿠우카쿠
히라마츠 아키코
김서현
신디 로빈슨
시바 간쥬
타카기 와타루
박준원
카일 에이베어
야마다 하나타로
미야타 코우키
김병현
스파이크 스펜서
긴죠 쿠고
토치 히로키
불명
크리스토퍼 스윈들
쿠츠자와 기리코
오노 아츠시
불명
마이클 소리치
키간죠 켄파치
후지와라 타카히로
이동윤
카테로 콜베어
로리 아이번
타케다 하나
손정민
콜린 오쇼너시
메노리 말리아
하라다 히토미
권다예
웬디 리
에밀루 아파치
사쿠마 쿠미
김서현
메간 홀링스헤드
프란체스카 미라 로즈
이시즈카 사요리
장채연
샤라 커비
시안 슨슨
세나 아유미
이주은
캐런 스트래스먼
우나기야 이쿠미
카이다 유코
손정민
마리 웨스트브룩
카타기리 / 이시다 카나에
노토 마미코
이주은
메간 홀링스헤드
이시다 이즈미
이가라시 레이
장채연
캐런 스트래스먼
큰할아버님
우라야마 진
온영삼
에런 라플랜트
오마에다 마레요
후지타 사키
손정민
셰러미 리
토라지마 시호
아이다 리카코
?
?

5. 음악[편집]



5.1. 주제가[편집]



5.1.1. OP[편집]


OP1
スカー
스카

TV ver.
노래
[[키타니 타츠야|

파일:kitanitasuya_logo_white.png
]]
작사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
타구치 토모히사
연출
작화감독
토미나가 마리(とみながまり)
카와사키 레이나(川崎玲奈)
총 작화감독
하세가와 미치오(長谷川亨雄)
원화
쿠도 마사시, 코마츠바라 키요시(小松原 聖), 칸노 요시히로, 사토 유키, 사카이 사토시, FEI HUNG, Kay Yu, FASTO


가사 ▼
青天井はどうしようもなく澄み渡っている
아오텐죠오와 도오 시요오모 나쿠 스미와탓테이루
푸른 천장은 티 한 점 없이 맑은데
為す術のない僕に芽吹いた焦燥が膨らんでいく
나스 스베노 나이 보쿠니 메부이타 쇼오소오가 후쿠란데이쿠
속수무책인 나에게는 초조함이 싹터 부풀어가
どうしたって臆病な僕らを笑うように
도오시탓테 오쿠뵤오나 보쿠라오 와라우요오니
어쩔 도리 없이 겁쟁이인 우리를 비웃는 듯이
幾千の眼が覗いた
이쿠센노 메가 노조이타
수천 개의 눈이 들여다보았지
何度も何度も折れた魂をただ
난도모 난도모 오레타 코코로오 타다
몇 번이고 몇 번이고 꺾인 영혼을 그저
抱きしめるだけ
다키시메루다케
껴안을 뿐이야
いつか灰になるその日まで
이츠카 하이니 나루 소노 히마데
언젠가 재가 될 그날까지
飲み込んできた悲しみの全てが僕を
노미콘데키타 카나시미노 스베테가 보쿠오
삼켜온 모든 슬픔들이 나를
形作った 色で満たした
카타치즈쿳타 이로데 미타시타
만들고 색을 채워넣었어
そうして歩いてきたんだろう?
소오시테 아루이테키탄다로오
그렇게 해서 걸어왔잖아?
呼吸と同じようにひとつひとつ重ねてきたんだ
코큐우토 오나지요오니 히토츠히토츠 카사네테키탄다
숨을 쉬는 것처럼 하나하나 쌓아올려 왔지
この掌の 数えきれない
코노 테노히라노 카조에키레나이
이 손바닥에 수없이 많은
消えなくなった傷跡が僕の
키에나쿠 낫타 키즈아토가 보쿠노
사라지지 않게 된 상처가 나의
証だ しるしだ
아카시다 시루시다
증거이자 표시야
向かい合ったあの恐怖も
무카이앗타 아노 쿄오후모
마주한 그 공포조차
刻んで、共にまた歩き出した
키잔데 토모니 마타 아루키다시타
새기고 함께 다시 걷기 시작했어

青天井はどうしようもなく澄み渡っている
아오텐죠오와 도오 시요오모 나쿠 스미와탓테이루
푸른 천장은 티 한 점 없이 맑은데
濃く落ちる影法師のように虚しさが懐いてくる
코쿠 오치루 카게보오시노요오니 무나시사가 나츠이테쿠루
짙게 드리워진 그림자처럼 허무함이 몰려와
どうしたって痛む傷を癒すように
도오시탓테 이타무 키즈오 이야스요오니
어떻게 해도 고통스러운 상처를 치유하듯이
諦めへと僕の手を引いた
아키라메에토 보쿠노 테오 히이타
체념으로 내 손을 이끌었어
何度も何度も後悔を重ねて
난도모 난도모 코오카이오 카사네테
몇번이고 몇번이고 후회를 거듭하면서도
それでもまだ
소레데모 마다
그런데도 아직
ちらつく光が眩しくて
치라츠쿠 히카리가 마부시쿠테
깜박이는 빛이 눈이 부셔서
この目に映った希望の全てがいつか
코노 메니 우츳타 키보오노 스베테가 이츠카
이 눈에 비친 희망의 모든 것이 언젠가
崩れ去って 黒く濁って変わり果ててしまっても
쿠즈레삿테 쿠로쿠 니곳테 카와리하테테시맛테모
무너지고 까맣게 흐려지고 완전히 변해 버려도
歪んだ失望の囁きを掻き消すように
유간다 시츠보오노 사사야키오 카키케스요오니
일그러진 실망의 속삭임을 지워 버리듯이
魂の奥で 誰か叫んだ
코코로노 오쿠데 다레카 사켄다
영혼 속에서 누군가 소리쳤어
与えられた明日に意味などないと
아타에라레타 아스니 이미나도 나이토
남에게 주어진 내일에 의미 따윈 없다고
ただ立ち止まって座り込んで終わりを待つなら
타다 타치도맛테 스와리콘데 오와리오 마츠나라
그저 멈춰 서서 주저앉아 끝을 기다린다면
後悔も失望もいらないのに
코오카이모 시츠보오모 이라나이노니
후회도 실망도 할 필요가 없을텐데
闇に抗って選び取って明日を強請るあなたの
야미니 아라갓테 에라비톳테 아스오 네다루 아나타노
어둠에 맞서고 선택하고 내일을 갈구하는 당신의
美しさに憧れてしまった
우츠쿠시사니 아코가레테시맛타
아름다움을 동경해 버렸어
間違って、幾つ悔やんで、
마치갓테 이쿠츠 쿠얀데
실패하고 몇번이고 후회하고
明日が怖くて、傷を背負った
아스가 코와쿠테 키즈오 세옷타
내일이 두려워 상처를 짊어졌어
誰にも渡せない
다레니모 와타세나이
누구에게도 줄 수 없는
僕だけの痛みだ
보쿠다케노 이타미다
나만의 아픔이야
飲み込んできた悲しみの全てが僕を
노미콘데키타 카나시미노 스베테가 보쿠오
삼켜온 모든 슬픔들이 나를
形作った 色で満たした
카타치즈쿳타 이로데 미타시타
만들고 색을 채워넣었어
そうして歩いてきたんだろう?
소오시테 아루이테키탄다로오
그렇게 해서 걸어왔잖아?
呼吸と同じようにひとつひとつ重ねてきたんだ
코큐우토 오나지요오니 히토츠히토츠 카사네테키탄다
숨을 쉬는 것처럼 하나하나 쌓아올려 왔지
この掌の 数えきれない
코노 테노히라노 카조에키레나이
이 손바닥에 수없이 많은
消えなくなった傷跡が僕の
키에나쿠 낫타 키즈아토가 보쿠노
사라지지 않게 된 상처가 나의
証だ しるしだ
아카시다 시루시다
증거이자 표시야
向かい合ったあの恐怖も
무카이앗타 아노 쿄오후모
마주한 그 공포조차
刻んで、共にまた歩き出した
키잔데 토모니 마타 아루키다시타
새기고 함께 다시 걷기 시작했어



5.1.2. ED[편집]


ED1
最果て
최후[5]



TV ver.
노래
SennaRin(茜雫凛)
작사
작곡
사와노 히로유키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1 ~ 6화) ▼
콘티
타구치 토모하(田口ともは)
연출
작화
촬영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7화) ▼
콘티
이토 마사시(伊東正志)
영상 디렉션
모션 그래픽스
연출
타구치 토모히사
캐릭터 디자인
쿠보 타이토
작화 감수


가사 ▼
預けた全て
아즈케타 스베테
맡긴 모든 것
白く混じり合う呼吸が
시로쿠 마지리아우 코큐우가
하얗게 섞인 호흡이
姿形表情持たず
스가타카타치효오조오 모타즈
모습 형태 표정도 갖지 않고
埋もれたまま遠く睨んでる
우즈모레타 마마 토오쿠 니란데루
파묻힌 채 멀리서 노려보고 있어
何も聞こえないよ
나니모 키코에나이요
아무 것도 들리지 않아
斬れもしないようで
키레모 시나이 요우데
벨 수도 없을 것 같아서
沈むみたいだ
시즈무미타이다
가라앉는 것 같아
落ちて落ちて
오치테 오치테
떨어지고 떨어져서
触れて
후레테
닿고
張り付く白黒眼
하리츠쿠 시로쿠로메
달라붙는 흑백안
誰も 見たことのない
다레모 미타코토노나이
누구도 본 적 없는
最果てが今
사이하테가 이마
최후가 지금
僕等の間に視える
보쿠라니 아이다니 미에루
우리들의 사이에서 보여
もういっそ剥がれない
모오 잇소 하가레나이
이젠 더 이상 벗겨지지 않아
途切れ解けない
토기레 토케나이
끊기지 않는
とっかかる奪い合いで
톳카카루 우바이아이데
덤벼드는 쟁탈전으로
果ての果てのその先へ攫えばいい
하테노 하테노 소노 사키에 사라에바 이이
끝의 끝 그 앞을 붙잡으면 돼
僕等の呼吸も
보쿠라노 코큐우모
우리들의 호흡도
全てを
스베테오
모든 것을
果ての果てのその先へ攫えばいい
하테노 하테노 소노 사키에 사라에바 이이
끝의 끝 그 앞을 붙잡으면 돼
僕等の未来も
보쿠라노 미라이모
우리들의 미래도
僕等の世界も
보쿠라노 세카이모
우리들의 세계도
此の身を裂いて
코노 미오 사이테
이 몸을 찢어서
何が見凝め合うのか対に
나니가 미츠메아우노카 츠이니
무엇이 쌍으로 보고 있는 건지
還らない記憶と影を
카에라나이 키오쿠토 카게오
되돌아오지 않는 기억과 그림자를
埋もれたまま遠く繋いでる
우모레타 마마 토오쿠 츠나이데루
파묻힌 채 멀리 이어지고 있어
何も終わらせないよ
나니모 오와라세나이요
아무 것도 끝낼 수 없어
数奇の結末を
스우키노 케츠마츠오
기구한 결말을
目蓋に伝う
마부타니 츠타우
눈 앞에 전해져
深く深く
후카쿠 후카쿠
깊고 깊게
触れて
후레테
닿아서
張り付く白黒眼
하리츠쿠 시로쿠로메
달라붙는 흑백안
誰も 見たことのない
다레모 미타코토노 나이
누구도 본 적 없는
最果てが今
사이하테가 이마
최후가 지금
僕等の間に視える
보쿠라노 아이다니 미에루
우리들의 사이에서 보여
Don't you know God's demand
(당신은 신의 요구를 모르는 건가요?)
Don't you know God's demand
(당신은 신의 요구를 모르는 건가요?)
相対した崩し合いで
아이타이시타 쿠즈시아이데
마주한 충돌로
果ての果てのその先へ攫えばいい
하테노 하테노 소노 사키에 사라에바 이이
끝의 끝 그 앞을 붙잡으면 돼
僕等の記憶も
보쿠라노 키오쿠모
우리들의 기억도
全てを
스베테오
모든 것을
果ての果てのその先へ攫えばいい
하테노 하테노 소노 사키에 사라에바 이이
끝의 끝 그 앞을 붙잡으면 돼
僕等の犠牲も
보쿠라노 기세에모
우리들의 희생도
僕等の鼓動も
보쿠라노 코도오모
우리들의 고동도
誰も 見たことのない
다레모 미타코토노 나이
누구도 본 적 없는
最果てが今
사이하테가 이마
최후가 지금
僕等の間に視える
보쿠라노 아이다니 미에루
우리 사이에서 보여
もういっそ剥がれない
모오 잇소 하가레나이
이젠 더 이상 벗겨지지 않아
途切れ解けない
토기레 토케나이
끊기지 않는
とっかかる奪い合いで
톳카카루 우바이아이데
덤벼드는 쟁탈전으로
果ての果てのその先へ攫えばいい
하테노 하테노 소노 사키에 사라에바 이이
끝의 끝 그 앞을 붙잡으면 돼
僕等の呼吸も
보쿠라노 코큐우모
우리들의 호흡도
全てを
스베테오
모든 것을
果ての果てのその先へ攫えばいい
하테노 하테노 소노 사키에 사라에바 이이
끝의 끝 그 앞을 붙잡으면 돼
僕等の未来も
보쿠라노 미라이모
우리들의 미래도
僕等の世界も
보쿠라노 세카이모
우리들의 세계도



5.1.3. 1화 ED[편집]


EP1 ED
Rapport



Full ver.
노래
[[키타니 타츠야|

파일:kitanitasuya_logo_white.png
]]
작곡
작사
[[키타니 타츠야|

파일:kitanitasuya_logo_white.png
]] / 아키

가사 ▼
がらんどうの胸に覚えた違和感さえ
가란도오노 무네니 오보에타 이와칸사에
텅 빈 가슴에 익힌 위화감마저도
ひとりきりでは御しきれない
히토리키리데와 교시키레나이
혼자여서는 감당할 수 없어
この目も鼻も耳も、内側の僕に届かない
코노 메모 하나모 미미모 우치가와노 보쿠니 토도카나이
이 눈도 코도 귀도, 안쪽의 내게는 닿지 않아
茫漠たる灰の海で
보오바쿠타루 하이노 우미데
망막한 잿더미에서
痛みさえ忘れていたんだ
이타미사에 와스레테이탄다
고통마저 잊고 있었어
そんな僕の目の前に現れたあなたに
손나 보쿠노 메노 마에니 아라와레타 아나타니
그런 내 눈 앞에 나타난 당신에게서
見えないものを見たんだ
미에나이 모노오 미탄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본거야
あなたと僕の間にあった温度を
아나타토 보쿠노 아이다니 앗타 온도오
당신과 나 사이에 있던 온도를
僕の弱さを少し預けていられた
보쿠노 요와사오 스코시 아즈케테이라레타
나의 나약함을 조금 맡기고 있을 수 있었어
あなたの言葉が僕の鎖を解いて
아나타노 코토바가 보쿠노 쿠사리오 토이테
당신의 말이 나의 사슬을 풀어주었지
空が白んでいくような
소라가 시란데이쿠요오나
하늘이 희어가는 것처럼
この手の中の光が、心だと知ったんだ
코노 테노 나카노 히카리가 코코로다토 싯탄다
그제야 이 손 안의 빛이 마음이라는 걸 알았다

誰かを傷つけてしまう悪夢で
다레카오 키즈츠케테시마우 아쿠무데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는 악몽으로
浅い呼吸を繰り返して
아사이 코큐우오 쿠리카에시테
얕은 호흡을 반복하여
その矢印の向きを、この胸の奥に集めて
소노 야지루시노 무키오 코노 무네노 오쿠니 아츠메테
그 화살의 방향을 가슴 속 깊이 모았어
安寧の孤独の中で
안네에노 코도쿠노 나카데
안녕의 고독 속에서
静かな終わりを願って
시즈카나 오와리오 네갓테
조용한 끝을 바라며
少しずつ冷えていく何かが寂しかった
스코시즈츠 히에테이쿠 나니카가 사비시캇타
조금씩 차가워지는 무언가가 외로웠다
それでも構わなかった
소레데모 카마와나캇타
그래도 상관없었어
誰かを愛して、愛されたいと望むこと
다레카오 아이시테 아이사레타이토 노조무 코토
누군가를 사랑하고, 사랑받고 싶다고 바라는 것은
同じ数だけ痛みがあるということ
오나지 카즈다케 이타미가 아루토 유우 코토
같은 수만큼 아픔이 있다는 것
そうして鎖した僕の胸の奥まで
소오시테 토자시타 보쿠노 무네노 오쿠마데
그렇게 잠겨있던 내 가슴 속까지
あなたで満ちてしまったんだ
아나타데 미치테시맛탄다
당신으로 가득 차버린거야
壁が崩れて橋が架かって、僕は
카베가 쿠즈레테 하시가 카캇테 보쿠와
벽이 무너지고 다리가 놓이면서, 나는
あなたがくれた呼吸で
아나타가 쿠레타 코큐우데
당신이 나에게 준 호흡으로
優しい刃で
야사시이 야이바데
상냥한 검으로
見えた形の無いものを
미에타 카타치노 나이 모노오
보이는 형체가 없는 이것을
この手の中の光を、護りたいと願った
코노 테노 나카노 히카리오 마모리타이토 네갓타
이 손안의 빛을 지키고 싶다고 바랐다


블리치 20주년 기념 원화전인 BLEACH EX의 테마송이다. 1화 한정 스페셜 엔딩은 구판 애니메이션의 주요 장면을 편집해서 사용했다.


5.2. 스페셜 곡[편집]


永遠


Full ver.
노래
[[키타니 타츠야|

파일:kitanitasuya_logo_white.png
]]
작곡
작사

가사 ▼
喪失を 過ちを
소오시츠오 아야마치오
상실을 잘못을
幾度となく重ねてきた
이쿠도토나쿠 카사네테키타
몇번이고 반복해왔어
自分という輪郭の
지분토이우 린카쿠노
자신이라 부르는 윤곽의
怯えた線が愛しい
오비에타 센가 이토시이
겁에 질린 선이 사랑스러워
恐怖が染みついた世界で
쿄오후가 스미츠이타 세카이데
공포가 스며든 세계에
いつかは閉じるこの命で
이츠카와 토지루 코노 이노치데
언젠가 닫힐 이 목숨으로
希望を探して歩く姿は美しい
키보우오 사가시테 아루쿠 스가타와 우츠쿠시이
희망을 찾아 걷는 모습은 아름다워
心の奥で揺らめいている未来の
코코로노 오쿠데 유라메이테이루 미라이노
마음 속에서 흔들리는 미래의
灯火が燃え尽きるまで
토모시비가 모에츠키루마데
등불이 타올라버릴 때까지
僕が愛したこの世界に 永遠など望みはしない
보쿠가 아이시타 코노 세카이니 에이엔나도 노조미와 시나이
내가 사랑한 이 세계에 영원따위 바라지 않아
この手が震えようとも 変わっていく未来を
코노 테가 후루에요오토모 카왓테이쿠 미라이오
이 손이 떨려온대도 바뀌어갈 미래를
今日が最期だって構わない
쿄오가 사이고닷테 카마와나이
오늘이 마지막이래도 괜찮아
一秒先を見つめていたい
이치뵤오 사키오 미츠메테이타이
1초 앞을 내다보겠어
呪いのような運命さえ
노로이노요오나 운메이사에
저주스런 운명조차
抗い続けよう 永遠に
아라가이 츠즈케요오 에이엔니
끝없이 저항하자 영원히
忘れること 失うこと
와스레루코토 우시나우코토
잊어버린 것 잃어버린 것
傷と恐怖と歩むこと
키즈토 쿄오후토 아유무코토
상처와 공포와 함께 걷는 것
消えてゆく隣人の重みを背負いながら
키에테유쿠 린진노 오모미오 세오이나가라
사라져가는 이웃의 무게를 짊어지면서
「もしかして絶望している?」
모시카시테 제츠보오시테이루
"혹시 절망하고 있니?"
いくつもの足跡
이쿠츠모노 아시아토
셀 수 없는 발자국
「いつになれば完璧を得るの?」
이츠니나레바 칸베키오 토루노
"언제쯤 되면 완벽해지니?"
全部どこかで途切れている
젠부 도코카데 토기레테이루
전부 어딘가에서 끊어져버려
誰かが辿り着けずにいた
다레카가 타도리츠케즈니 이타
누군가가 도달하지 않은 채인
この地をまた後にして
코노 치오 마타 아토니 시테
이 땅을 다시금 나중으로 하고
僕が愛したこの世界に 永遠など望みはしない
보쿠가 아이시타 코노 세카이니 에이엔나도 노조미와 시나이
내가 사랑한 이 세계에 영원따위 바라지 않아
この手が震えようとも 変わっていく未来を
코노 테가 후루에요오토모 카왓테이쿠 미라이오
이 손이 떨려온대도 바뀌어갈 미래를
今日が最期だって構わない
쿄오가 사이고닷테 카마와나이
오늘이 마지막이래도 괜찮아
一秒先を見つめていたい
이치뵤오 사키오 미츠메테이타이
1초 앞을 내다보겠어
呪いのような運命さえ
노로이요오나 운메이사에
저주스런 운명조차
抗い続けよう
아라가이 츠즈케요오
끝없이 저항하자
僕が愛したこの世界に 永遠など望みはしない
보쿠가 아이시타 코노 세카이니 에이엔나도 노조미와 시나이
내가 사랑한 이 세계에 영원따위 바라지 않아
この手が震えようとも 変わっていく未来を
코노 테가 후루에요오토모 카왓테이쿠 미라이오
이 손이 떨려온대도 바뀌어갈 미래를
今日が最期だって構わない
쿄오가 사이고닷테 카마와나이
오늘이 마지막이래도 괜찮아
一秒先を見つめていたい
이치뵤오 사키오 미츠메테이타이
1초 앞을 내다보겠어
呪いのような運命さえ
노로이요오나 운메이사에
저주스런 운명조차
抗い続けよう
아라가이 츠즈케요오
끝없이 저항하자
だから 永遠なんていらない
다카라 에이엔난테 이라나이
그러니 영원따위 필요 없어


1쿨과 2쿨 사이의 공백기에 애니플렉스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곡. 1쿨의 오프닝과 스페셜 엔딩을 부른 키타니 타츠야의 곡 '영원'에 블리치 천년혈전편의 장면들을 재편집해 만든 애니메이션 MV이다.


6. 회차 목록[편집]


회차
제목[6]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THE BLOOD WARFARE
천년혈전

타구치 토모히사
타구치 토모히사
무라타 히카루
(村田 光)

Cindy H. Yamauchi
정영훈[A][E]
(鄭泳勲)

쿠도 마사시
日: 2022.10.11.
韓: 2022.10.21.

제2화
FOUNDATION STONES
파운데이션 스톤즈

사토 미츠토시
(サトウ光敏)

카미조 마이코
(上條舞子)
이시이 타마키
(石井珠樹)
칸노 요시히로[A][E]

하세가와 미치오
(長谷川亨雄)

日: 2022.10.18.
韓: 2022.10.28.

제3화
MARCH OF THE STARCROSS
마치 오브 더 스타크로스

야마구치 히카루
(山口ひかる)

쿠라모토 호다카
(藏本穂高)

스즈키 나츠코
(鈴木奈都子)
코노 마키
(河野真貴)
정영훈[A][E]

타카야나기 쿠미코
(高柳久美子)

日: 2022.10.25.
韓: 2022.11.04.

제4화
KILL THE SHADOW
킬 더 섀도

무라타 히카루
타키가와 카즈오
(滝川和男)
카와사키 레이나
(川﨑玲奈)
사카이 사토시[A][E]

코마츠바라 키요시
(小松原 聖)

日: 2022.11.01.
韓: 2022.11.11.

제5화
WRATH AS A LIGHTNING
래스 애즈 어 라이트닝

히라마츠 마사키
(平松正樹)

사토 미츠토시
토미나가 마리
(とみながまり)
오자와 사에코
(小澤早依子)
정영훈[A][E]

하세가와 미치오
日: 2022.11.08.
韓: 2022.11.18.

제6화
THE FIRE
더 파이어

타구치 토모히사
사이토 에마
(齊藤えま)

야마시타 히로유키[NC][7]
-
日: 2022.11.15.
韓: 2022.11.25.

제7화
BORN IN THE DARK
본 인 더 다크

쿠로츠 야스아키[8]
(黒津安明)

우에다 신이치로
(上田慎一郎)

Cindy H. Yamauchi
칸노 요시히로[A][E]

타카야나기 쿠미코
日: 2022.11.22.
韓: 2022.12.02.

제8화
THE SHOOTING STAR PROJECT [ZERO MIX]
더 슈팅 스타 프로젝트[제로 믹스]

이타다키 신지
(頂 真司)

정영훈
카미죠 마이코
(上條舞子)
이시이 타마키
(石井珠樹)

코마츠바라 키요시
日: 2022.11.29.
韓: 2022.12.09.

제9화
THE DROP
더 드롭

아사쿠라 카이토
(朝倉カイト)

카와모토 레오
(河本零王)
오자와 사에코
타키가와 카즈오
(滝川和夫)
사카이 사토시[A][E]

하세가와 미치오
日: 2022.12.06.
韓: 2022.12.16.

제10화
THE BATTLE
더 배틀

무라타 히카루
스즈키 리나
(鈴木里奈)
무라사키 미나미
(紫 美波)
카와사키 레이나
칸노 요시히로[A][E]

타카야나기 쿠미코
日: 2022.12.13.
韓: 2022.12.23.

제11화
EVERYTHING BUT THE RAIN
에브리싱 벗 더 레인

사토 미츠토시
무라타 히카루
키쿠치 유사쿠
(菊池優作)

오오쿠보 미카
(大久保美香)
사카이 사토시[A][E]

코마츠바라 키요시
日: 2022.12.20.
韓: 2022.12.30.

제12화
EVERYTHING BUT THE RAIN JUNE TRUTH
에브리싱 벗 더 레인 준 트루스

토키와 켄타로
(常盤健太郎)
이타다키 신지

정영훈
오자와 사에코
토미나가 마리

하세가와 미치오
日: 2022.12.27.
韓: 2023.01.06

제13화
THE BLADE IS ME
더 블레이드 이즈 미

타구치 토모히사
타구치 토모히사
사토 미츠토시
오다카 요시노리
(小高義規)

Cindy H. Yamauchi
칸노 요시히로[A][E]

타카야나기 쿠미코
日: 2022.12.27.
韓: 2023.01.06



7. 에피소드 가이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블리치 천년혈전 편/에피소드 가이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해외 공개[편집]



8.1. 대한민국[편집]



8.1.1. 자막판[편집]


에스엠지홀딩스가 페이스북과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수입 확정을 올렸으며, 애니박스를 통해 독점으로 10월 21일부터 방영한다.

디즈니+가 한국에서의 블리치 서비스를 포기한 탓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일본 첫 방영일을 기준으로 열흘 뒤에나 정식 컨텐츠를 볼 수가 있다. 방영 이후에도 모든 에피소드가 열흘 차이가 날 예정.

본작은 10년 만의 애니메이션인 만큼 신규 시청자들의 허들이 높은 편에 속해서, 이를 완화하기 위해 일본에서는 과거 에피소드를 요약하여 읽어주는 150초 시리즈를 공식 채널에 업로드하고, 6개의 공식 PV를 순차적으로 올렸으며 콜라보 행사를 진행하는 등 홍보에 신경을 썼다. 하지만 이러한 컨텐츠들을 번역하여 한국의 시청자 유입을 촉진해야 할 주관사 애니박스가 홍보는 커녕 그 어떠한 영상도 채널에 업로드하지 않는 태업을 보여, 더욱더 신규 시청자들의 허들이 높아진 상태다. 이 때문에 한국은 기존 블리치 팬덤의 도움이 없으면 원작의 진도를 따라잡기 힘든 환경이 조성되었다.

시청 등급을 15세로 받은 영향인지, 신체 절단 등과 같은 잔인한 장면에 대해서 블러 처리가 이루어져있다. 그 외에 인물 소개씬의 자막 등의 한글화는 깔끔하게 잘 되었다. 원판과 다르게 1화부터 오프닝과 엔딩을 삽입하였는데, 그 영향으로 1화의 스페셜 엔딩은 삭제되었다.

다시보기 서비스는 시리즈온제이박스에서 제공한다.[9] 매주 수요일에 순차적으로 업로드한다. 다만 10일 딜레이된 TV 방영에 더해 5일이 더 지난 후 업로드되기에 일본 방영일을 기준으로 15일이라는 텀이 존재하게 됐다.

일본 현지에서 천년혈전 편의 12화와 13화가 묶여서 연속 방영되었는데, 애니박스 측에서도 일정을 1주 당겨 1월 6일에 12-13화 연속 방영을 동일하게 맞춰 방영하는 것으로 한국에서도 천년혈전 1쿨이 마무리되었다.


8.1.2. 한국어 더빙판[편집]


한국어 더빙 제작 정보
기획
심상백
번역
김언정
CG
김연수
녹음
이성수
믹싱
종합편집
조혜민
연출
정영진

평은 적어도 애니맥스 더빙판보다는 평가가 좋은 편이다. 또한 이 작품을 통해 그 해 데뷔한 대원방송 13기 성우가 본격적으로 투입되기 시작하였다.

자막판에서는 잘렸던 1화의 스페셜 엔딩이 그대로 방영되었다. 단, 2화 연속 방영이기에 2화까지 방영 종료 후에 나오는 광고가 끝난 뒤에 송출되었다.[10] 때문에 정규 편성 시 지난주 분량을 재방 편성했던 자막판과 달리 신규 회차로만 편성되었으나, 원판과 동일하게 12-13화 연속 방영을 맞추기 위해서인지 23년 1월 19일자 방영분에서 지난주 방영했던 10화를 재방하여 텀을 맞추었다.

보통 기존 팬층이 탄탄한 작품의 한국어 더빙의 경우 원작 팬층 사이에서는 주목도가 떨어지는 편인데, 천년혈전 편은 이례적으로 원작 팬들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오랜 기간 오와콘 상태였던 블리치를 놓치 못하던 이들이기에, 더빙이 이루어진다는 소식에 크게 흥분한 것이다. 더빙은 당연히 큰 돈이 들어가는 작업이기에 방송사 측에서도 신중을 기해 결정한다. 이말인즉슨, 본작의 수익성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로도 해석되기에 블리치 IP의 장수를 기원하는 팬덤 입장에서는 간만의 호재로 받아들여졌다. 더빙이 방영되는 목요일 저녁이면 블갤을 중심으로 중계방을 열어 다같이 시청하는 등의 문화마저 자리잡을 정도이다.[11]


8.1.3. 방영 전 정보[편집]


11월 30일 챔프 12월 신작 목록에서 12월 29일에 자막판이 아닌 편성이 올라오며 더빙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고개를 들었다. #

12월 3일 수입사인 에스엠지홀딩스AGF 2022 부스에서 더빙판 방영이 확정되었음이 공개되었다. # 그리고 운영진들의 실수인지 모르겠지만 영상 파일명의 이정구, 엄상현의 이름이 들어간게 확인되었다. #

12월 7일 현경수 성우가 같은 시기에 나온 때문인지 페이스북에 마다라메 잇카쿠의 대본을 업로드하며 캐스팅 유지를 알렸다. #

12월 8일 주역 성우진이 공개되었다. # 우류와 차드 등 기존 주조연의 성우가 교체되었지만, 캐릭터들 모두 실질적인 애니에서의 분량이 너무나 적어 자사 성우로 교체한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 유하바하 역에 이정구 성우, 겐류사이 역에 김기현 성우가 캐스팅되면서 팬들의 환호를 끌어냈다.

12월 11일 김나율 성우가 히츠가야 토시로 역에 캐스팅되었음을 인스타그램에 알렸다. #

12월 12일 애니박스 블로그를 통해 엄상현쿠치키 뱌쿠야 역, 문남숙네루 역에 유지되었음이 밝혀졌다. 엄상현은 넷플릭스 실사판에서 뱌쿠야를, 문남숙은 애니맥스판에서 네루를 맡았다. #


8.1.4. 방영 후[편집]


쿠로사키 이치고의 신용우, 쿠치키 루키아의 이현진 등 주연급 다수의 성우가 유지되었다.[12] 주역급 중에서도 교체된 캐릭터는 많지만, 애니메이션에서의 실 분량이 얼마 되지 않는 배역 위주로 대원 성우극회 출신 성우들로 교체되었기 때문에 귀에 거슬리는 편은 아니다. 거기에 중복 캐스팅이더라도 자문자답만은 최대한 배제하였기에 선택과 집중을 잘 한 캐스팅이라 평가받는다.

또한 분량이 얼마 되지 않더라도 작중 비중이 높은 배역의 경우 투니버스판 성우를 캐스팅하는데다 신규 캐스팅에도 중견급 성우들을 모셔오는 등의 모습을 보여 성우 팬덤은 물론이고 원작 팬덤에서도 호평을 들었다. 현재 1쿨까지만 방영했는데도 51명의 성우들이 캐스팅되었으니 대원이 블리치 더빙에 신경을 많이 쓴 걸 알 수 있다. 특히 히라코 신지 역의 강수진의 경우, 투니버스판 2기 마지막화에서 딱 한 마디 연기한 후, 3기부터 판권이 애니맥스로 넘어가 남도형으로 교체되었기에 강수진의 신지 연기는 결코 들을 수 없을 거라 여긴 사람들이 많았기에 더 놀랍다는 반응이다. 게다가 토센 카나메는 과거 회상에만 나오는데도 불과하고 놀랍게도 송준석이 다시 맡았다. 다만 이치마루 긴은 아쉽게도 박성태를 캐스팅하지 못하고 전속인 이동윤이 맡았다.[13] 허나 대사도 딱 한줄이고 그 한줄도 전임자 못지않게 훌륭하게 해낸지라 불만을 품는 팬들은 없다.

또한 새로이 캐스팅된 슈테른릿터 배역들 또한 호평이 자자한데, 일본판에 귀가 길들여져 더빙판에 상당히 까다로운 평가를 내리기 십상인 원작 팬들도 슈테른릿터 캐스팅에는 불만을 내비치지 않을 정도다. 특히 제일 호평받는 건 키르게 오피 역의 이현에스 노트 역의 서반석으로 원판에 전혀 뒤처지지 않는 훌륭한 연기력을 보여줬다.

다만 마냥 호평만 있을 수만은 없기에, 아쉽다는 평가를 받는 배역도 꽤나 존재한다. 아바라이 렌지 역의 고구인은 전투 중 지르는 씬에서 발성이 무너지고, 씬마다 톤이 달라지는 등 혹평을 들었으나[14] 영왕궁 씬에 와서는 연기톤을 잡은 건지 안정된 연기를 보여주어 만회했다는 평이다. 또한 쿠치키 뱌쿠야 역의 엄상현은 전임 성우였던 김민석과 양석정에 비해 진중한 분위기가 부족해 호불호가 은근 갈리며,[15] 히츠가야 토시로역의 김나율은 용감한 10대 초반의 소년보다는 보이시한 청소년기의 소녀에 더 가까워서 미스캐스팅이라는 비판이 존재했지만 이후 회차가 거듭되면서 나름 무난해졌다는 평가가 대부분.

이시다 우류 역의 김종엽우노하나 레츠 역의 권다예의 경우 신인임에도 무리하게 중책에 캐스팅되었는데, 우류의 김종엽의 경우 1쿨에선 우류의 비중이 높지 않아서 아버지 류켄보다 나이들어 보인다는 평가를 제외하면 아직까진 큰 아쉬움은 없으나, 우노하나의 권다예의 경우 9~10화의 메인 배역이기에 원작 팬들을 중심으로 큰 혹평을 들었다. 성우 본인의 역량 내에선 최선을 다했으나 근본적인 목소리 나잇대가 너무 젊다는 점이 발목을 잡았다. 차라리 대원방송 성우 중에서도 성숙한 누님 캐릭터를 매우 잘 소화하는 이명희, 이미나, 김나율, 김도영 등의 성우를 캐스팅하는 게 나았을 것이다.

10여년만에 아이젠 소스케를 다시 맡은 구자형은 캐릭터 해석에 약간 어색함이 있다는 평가가 있었는데, 이에 성우 본인이 6화 방영 이후 트위터에 녹음 비하인드를 풀었다. 총 두 번의 테이크를 땄다는데, 첫번째는 성우 자신이 생각하는 아이젠의 이미지를 살려 더빙했고, 두번째는 PD의 제안으로 아이젠이 숨기고 있던 의도를 드러내달라는 주문을 받아 연기했다고 한다. 방송에는 두번째 테이크가 송출되었다. PD 입장에선 본인도 본 장면의 중요함을 체감하고 이것저것 공들이는 과정을 거쳤는데 아직 신인이라 그런지 잘 안된 모양이다.[16]

번안에 관해서도 말이 많은데, <쿠야>를 <쿠야>로 바꾼다던가, <진앙 지하 대감옥>을 <진 지하 대감옥>으로 오기하는 등 원작 팬이 시청하기에 거슬릴만한 포인트가 여럿 존재한다.[17]

허나 대부분의 팬들에게 제일 지적받는 문제점은 바로 대사 번안. 10화에서 우노하나의 명대사인 "좌흥은 이걸로 끝."이 "자 이제 본격적으로 즐겨볼까요?"로 번안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천년혈전 편은 원작에 없던 대사마저 원작자가 직접 검수하며 해당 캐릭터다움을 극대화한 작품이기에 이런 번안으로 특유의 캐릭터성이 옅어지는 건 은근 치명적인 요소다.[18][19] 결국 마지막 화에서조차 "(참월인) 척이 아니었던 거지!"라는 니마이야의 대사를 아무 의미 없는 대사로 바꿔버리고 말았다. 해당 대사는 천타의 창조주인 니마이야가 직접 내면의 퀸시의 힘 또한 참월임을 긍정해주는 대사인데다 애니판에서 추가된 대사였기 때문에 원작 보강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대사였는데 잘리고 말았다.

그리고 영왕궁에서 센쥬마루의 대사인 “을 처단하고”가 “을 처단하고”로 바뀌었다. 아이젠과 유하바하의 대화씬의 디렉팅도 그렇지만, 원작의 향후 전개와 뒷설정을 어느정도 파악하고 이렇게 연출한듯 하나, 원작 팬들 입장에선 차라리 원작대로만 연출하는 게 나았을 거란 의견이 많다. 상술한 번안이나 디렉팅의 경우, 원작 팬들한텐 괜히 깊이있게 연출하려다 안 바꾸니만 못한 장면이 되었다는 혹평을 받았다.

9. 인기[편집]


1화부터 엄청난 화제를 일으키며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 1위를 달성했다. #[20] 유출 사고가 있었음에도 이런 화제성인 것은 놀라울 따름. 게다가 서양권 애니메이션 리뷰 사이트인 MAL에서 역대 TV 애니 1위를 달성함과 동시에, 17퍼센트라는 압도적인 투표비율로 동분기 작품 비교 라이브 랭킹 10주 연속 1위라는 기록을 만들어냈다. MAL의 리뷰는 전문성이 떨어지고 화제성에 좌우되는 것으로 유명하여 신뢰도가 낮으나, 반대로 말하면 블리치 천년혈전 편의 화제성과 인기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 있다. #

2화는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 2위, 우라하라가 9위에 올랐으며 4화에서도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 3위에 올랐다. # 5화는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 2위에 올랐다. # 6화, 7화도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 2위 달성. # #

10화에서 다시 한 번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 1위를 달성하며 굳건한 화제성을 입증했다. 공식에서 감사하다는 인증글도 나왔다. #

1쿨 마지막화에서도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 1위를 달성하며 1쿨은 화제성과 호평 속에서 마무리되었다. #

방송국 겸 스폰서인 TV TOKYO 측의 결산에서도 블리치의 머천다이징 사업 수익이 크게 늘었다고 언급됐다.


10.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IMDb Top 250 TV 108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 작화 및 연출
첫 화 방영과 동시에 극장판 수준의 작화로 엄청난 호평을 받았다. 원작 천년혈전 편의 작화가 수준급이기에[21] 애니가 따라잡을 수 있을지 걱정하는 의견을 불식시킬 만한 훌륭한 퀄리티였다는 반응이다. 또한 배경의 저녁 노을 연출과 메달리온의 푸른 빛 색채가 아름답다는 평이 많았다. 다만 1화의 작화감독인 야마우치 히데코쿠도 마사시가 모든 에피소드를 다 책임질 정도로 작업량이 많은 사람들이 아니므로 이 퀄이 계속 유지될 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 실제로 3화에서는 작화 매수가 줄어들었다. 그래도 작화 수정은 잘 되어서 선방했다는 의견이다. 한편 5화까지는 스튜디오 피에로의 1군 액션 애니메이터가 아직 대다수 참여하기 이전이었으며 6화는 1군 애니메이터를 써서 호평받았다. 그리고 6화만 이펙트 촬영 감독이 스즈메의 문단속의 오오하시 료(大橋 遼)이다. 특히나 애니에서는 원작에서 부족했던 전투에 대한 연출이 많이 보강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유하바하vs야마모토와 유하바하vs이치고, 우노하나vs켄파치 전투 장면은 작화나 연출면에서 역대급이란 호평이 자자하다.[22] 또한 13화에서 참월과 이치고가 대면하는 이치고의 내면 세계에 대한 연출 또한 뛰어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또 아무래도 천년혈전 편의 메인 적군이 퀸시이다보니 퀸시 측 기술의 연출이 구작에 비해 여러모로 강화되었다. 설정상으로만 순보와 다르다고 어필하던 비염각에 고유 연출이 적용된 것도 특기할 만한 사항이다.
  • 수위
고어한 묘사가 전작에 비하면 늘어난 편이다. 사실 블리치 원작은 신체가 절단되고, 토막이 나는 등의 고어한 묘사가 적나라하게 드러날 정도로 소년 만화 치고는 수위가 쎈 편이었며, 특히나 천년혈전 편에서는 신체훼손이 이전 에피소드들보다 더욱 적나라하게 묘사된다. 이전 TVA에서는 신체가 잘려나가는 장면들을 대부분 혈흔을 줄이거나 흑백처리를 하거나 아니면 중상을 입는 식으로 순화하여서 원작에서의 과격한 전투 연출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원작에서 우르키오라가 우류의 팔을 뜯어버린 장면을 그냥 부러뜨린 것으로 수정하거나 히요리의 몸이 신창에 베여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분리된 장면을 검에 관통 당하는 것으로 바꾼 장면들이 예시.
하지만 천년혈전 편부터는 방송 시간을 심야로 옮겨서인지 원작에서 표현되는 신체 절단 묘사들이 그대로 표현된다. 1화부터 대놓고 원작에서도 묘사된 참수와 사지절단 장면을 그대로 옮겨왔으며, 이후에도 원작에서도 묘사된 사신이나 퀸시들이 반으로 갈려나가 죽는 장면들이나 오리히메와 차드가 키르게의 화살을 맞고 신체 일부가 관통 당하는 장면 등 잔인한 장면들이 검열 없이 그대로 묘사되었다.

  • 스토리
스토리 전개에 대한 평도 좋은 편이다. 원작에서 스토리 전개상 크게 중요하지 않은 장면이나 쓰잘데기 없는 개그성 대사들은 과감하게 스킵해버리고, 그 자리에 원작에서 개연성이 부족한 장면들과 액션씬을 보강하는 장면을 추가하였다.[23] 여기에 쿠보가 인터뷰에서 언급했듯이 원작에서는 분량이 적었던 슈테른릿터와 대장급 사신들 간의 전투 장면 등 부족했던 액션 장면 역시 추가되었으며, 이 중에서는 원작에선 등장하지 않은 신기술을 선보이는 장면들 역시 포함되어 있기에 원작에서는 등장하지 않고 넘어간 사신들의 만해나 퀸시들의 슈리프트들이 공개될 것으로 기대하는 의견들이 많다.
덕분에 원작에서 60화 가까이 되는 분량을 13화 내에 전부 담아낼 정도로 굉장히 빠른 템포로 전개하여서 이미 원작을 본 시청자들도 답답함 없이 애니메이션을 즐길 수 있으며, 동시에 원작에서는 부족했던 개연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다. 이는 블리치 원작 만화가 워낙 매 화마다 분량이 적어서 가능한 것도 있지만 원작이 이미 완결난 상태에서 애니메이션이 제작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기도 하다. 이전 TVA에서는 애니메이션 전개가 원작 전개를 거의 따라잡자 일부러 전투 장면을 늘리거나 오리지널 에피소드를 추가하여서 전개가 늘어지는 부분이 많았고, 심지어 쿠보 작가의 검수도 제대로 안 받은 것인지 이 과정에서 설정붕괴도 굉장히 자주 발생하였다. 하지만 천년혈전 편 애니메이션은 이미 원작이 완결난 상태이기 때문에 쓸데 없는 오리지널 장면들을 억지로 추가할 필요 없이 원작의 내용에서 알짜배기 내용들만 뽑아내서 빠르게 전개하거나 자잘한 디테일을 전개가 늘어지지 않는 선에서 추가하는 식으로 자유롭게 연출과 전개가 가능한 것이다. 4쿨 분량에서 이 정도 속도를 유지한다면 원작을 다 애니화하고도 분량이 상당히 남기에 이후에 나오는 시즌들에서 추가될 원작 보강용 추가 장면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 OST
음악에 관해선 기존의 OST를 새롭게 리믹스한 것과 이번에 새로 추가된 곡, 1화의 특별 엔딩 모두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다. 또 10년이나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음을 유지한 점이 팬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 캐스팅
일부를 제외한 기존의 성우들이 전부 유지되었다. 신캐들이 대부분이 원로나 베테랑, 현재 절정을 누비는 인기 성우로 구성 되있으며, 모두 각 캐릭터의 개성에 맞는 연기를 보여주고 있다.

11. 작화로 유명한 에피소드[편집]


종종 다른 에피소드보다 고급 인력을 쓰고 작화 매수를 많이 써서 작화가 뛰어난 에피소드가 있다.

천년혈전 편 이전 시즌은 작화가 좋은 편과 안 좋은 편의 격차가 컸지만 천년혈전 편 파트1은 꾸준히 좋은 편이었다.[24] 다른 편이 작화가 나쁘다는 것이 아니고 상대적으로 좋다는 것이다.

회차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원화
비고
1화
타구치 토모히사
무라타 히카루
(村田 光)

Cindy H. Yamauchi
정영훈[A][E]
(鄭泳勲)

쿠도 마사시
타카야나기 쿠미코(高柳久美子), 정영훈, Kay Yu, 사카이 사토시, 야마시타 히로유키논크레딧
쿠로사키 이치고 VS 아즈기아로 이반
6화
사이토 에마
(齊藤えま)

야마시타 히로유키논크레딧
-
추지아허, saucelot, Ryan White, 유우겐 RB, 이마이즈미 켄(今泉 健), 나츠키 히로시(夏木 洋)
야마모토 겐류사이 시게쿠니 VS 유하바하
7화
츠루 토시유키
우에다 신이치로
(上田慎一郎)

Cindy H. Yamauchi
칸노 요시히로[A][E]

타카야나기 쿠미코
칸노 요시히로, 쿠보 츠구유키, 신영순, Gabriel Ugbodaga, 타카야나기 쿠미코, 하세가와 미치오(長谷川亨雄)작화감독 협력 겸임
쿠로사키 이치고 VS 유하바하
10화[25]
무라타 히카루
스즈키 리나
(鈴木里奈)
무라사키 미나미
(紫 美波)
카와사키 레이나
칸노 요시히로[A][E]

타카아냐기 쿠미코작화감독 협력 겸임, 신영순, 유우겐 RB, Cindy H. Yamauchi작화감독 협력, 하세가와 미치오작화감독 협력
자라키 켄파치 VS 우노하나 레츠
13화
타구치 토모히사
타구치 토모히사
사토 미츠토시
(サトウ光敏)
오다카 요시노리
(小高義規)

Cindy H. Yamauchi
칸노 요시히로[A][E]

쿠보 츠구유키, 하시모토 타카시, 신영순, Mahmoud, 하세가와 미치오작화감독 협력, 코마츠바라 키요시작화감독 협력
참월


12. 기타[편집]


  • 소설도 함께 애니화 될 것인지 궁금해 하는 팬들이 많다. 팬클럽 Q&A에서 이에 대한 언급이 나왔다. 주역들의 후일담을 다룬 WE DO knot ALWAYS LOVE YOU의 경우엔 분량이 허락한다면 다룰 수 있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지만, Can't Fear Your Own World의 경우 힘들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물론 TVA 인기가 많아져 수익도 긍정적이라면 OVA로 나올 가능성은 있다.
Q. 천년혈전 편의 애니화가 이미 결정되었는데 외전 소설의 애니화는 하지 않는 건가요? 특히 루키아와 렌지의 결혼이나 이치고와 오리히메의 진전이 묘사된 'WE DO knot ALWAYS LOVE YOU'를 애니로 보고 싶습니다.
A. 아ー그렇군. 빈 자리가 있으면 해도 되겠네.

  • 정식 공개 하루 전인 2022년 10월 10일, 1화 방영분 파일이 토렌트를 통해 유출되어 서양 불법 애니 공유 사이트에 업로드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 2022년 10월 24일, 3화 방영분이 또다시 유출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팬들은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블리치 애니메이션의 흥행에 영향이 갈 것이 우려된다며 디즈니 플러스의 허술한 보안을 비판하고 있다.

  • 2022년 11월 14일, 정식 공개 직전에 방영분이 유출되는 사고가 또 일어났다. 이번으로 세번째인데다 6화가 1쿨의 하이라이트이기에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 1쿨 오프닝에서 호정 13대가 나올 때 배경에 나오는 꽃은 쿠보가 설정한 각 부대를 상징하는 대화(隊花)이다. 이러한 연출은 감독인 타구치가 고안한 것인데 이치고의 배경에 등장한 꽃은 글로리오사로 꽃말인 용기가 어울린다는 감독의 판단이다.

  • 매화 마지막 차회 예고에서 단행본의 권두시를 해당 캐릭터의 성우가 읊는데 팬들의 반응이 좋다. 단행본 만으론 숫자가 부족하므로 쿠보가 몇 편의 시를 직접 추가했다.

  • 영어 더빙은 전편과 마찬가지로 Studiopolis에서 담당했으며, 성우진은 인종 문제로 자진 하차한 일부 성우들, 메인스트림 성우로 부상해서 교체가 불가피해진 성우들, 그리고 성추행 논란으로 성우 활동을 중단된 잇카쿠 역의 빅 미뇨나를 제외하면 전작의 성우들이 어느 정도 유지되었다 또한 전작과 마찬가지로 중복 캐스팅이 있는편이다.

  • 파트 1 13화의 제목이 단행본 61권에 수록된 내용인 'THE BLADE IS ME'인 것으로 보아 파트 1은 원작 61권까지의 내용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었고 실제로 그렇게 됐다.[26] 이렇게 되면 단 1쿨만에 원작 55권에서 61권 2화까지 총 6권 이상의 내용을 소화한 셈이 되며, 그만큼 후반부 설정 보완에 힘을 쏟을 여유가 마련되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 로고에 있는 천년혈전 편이란 글자는 디자이너가 한 거고 쿠보가 한 것은 아니라고 쿠보의 팬클럽 Q&A에서 밝혀졌다.


13. 외부 링크[편집]



[1] 전혀 관여하지 않았던 건 아니고 주인공 일행의 성우 배정, 아란칼 편부터는 대본 체크를 하긴 했다. 다만 이게 전부 이루어진 건 아니어서 원작자인 자신과 제작진이 협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마찰이 있었다. 이 때문에 생긴 가장 큰 피해자가 오리히메.[2] 출처[3] 출처: 천년혈전 편 공식 홈페이지 인터뷰.[4] 훌루도 디즈니 계열이므로 사실상 한국 외에는 전부 디즈니+ 독점이다. 한국은 OTT 컨텐츠 심의 지연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타사에 넘기고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5] 엄밀히 말하면 “제일 끝”이라는 의미가 더 정확하다. “이 길의 제일 끝부분” 등이 그 예시.[6]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박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A] A B C D E F G H I J K L M N 액션 작화감독[E] A B C D E F G H I J K L M N 이펙트 작화감독[NC] 논크레딧[7] 출처: #, # [8] 애니메이션 감독 츠루 토시유키의 필명.[9] Seezn에서도 VOD가 업로드되었으나 TVING과의 합병 예정으로 2022년 12월 31일을 끝으로 서비스 종료했다.[10] 오프닝→1화→1화 포엠→2화→2화 포엠→엔딩[11] 다만 더빙판의 수익성을 해치지 않기 위해 채팅으로만 참여하고, 각자 TV나 티빙 등의 어플로 시청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12] 자세한 성우진은 문서 상단의 캐스팅 목록 참조.[13] 송준석은 그 당시 대원방송에서 방영하는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서 엔데버를 계속 맡고 있어서 그런 듯 하다.[14] 실제로 고구인은 전속 시절 부터 부적합한 배역들을 지속적으로 맡은지라 이전부터 이미지가 좋지 않았기에, 극단적으로는 차라리 다른 신인 성우들을 쓰는게 더 좋았을거라는 쓴소리마저 들었을 정도.[15] 오죽하면 불호측에선 실사판에 비하면 연기력이 퇴보했다는 지적을 할 정도다.[16] 이후 과거 회상에서 재등장한 11화에서는 톤을 좀 더 낮추어 원작 팬들에게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7] 대원은 이누야샤와 원피스 등에서도 발음하기 어려운 이름을 멋대로 개명해오곤 했었는데, 그 관행인 모양이다. 그러나 엄연히 뱌쿠야가 맞는 이름이며 이전의 두 더빙판에선 뱌쿠야라고 제대로 발음했음을 생각하면 아쉬운 번안이다.[18] 원작엔 없던 아이젠 소스케와 유하바하의 무간 대면 씬이 쿠보가 검수하여 바뀐 대표적인 씬이다. 각본가 딴에는 아이젠다운 대사라고 적어왔지만, 쿠보가 손을 대자 그 전의 대사는 따위로 취급될만큼 아이젠의 캐릭터성을 살리는 대사로 변모하였다고 증언하였으며, 실제로 해당 씬은 극히 짧았음에도 팬들이 꼽는 천년혈전 1쿨의 베스트 씬 중 하나다.[19] 또, 이치고가 우나기야 이쿠미를 상대로 누나라고 부르는데, 원작에서 이치고가 이쿠미에게 나이차이가 10살은 넘게 나는데 누나는 아니지 않느냐며 너스레를 떨던 장면이 있던 걸 생각하면 설정오류다. 굳이 한국 정서에 맞게끔 로컬라이징을 했다면 둘의 관계성을 살려 "사장님" 정도의 호칭이 더 알맞았다.[20] 공식에서도 이게 기뻤는지 감사하다는 인증글을 남겼다.#[21] 내용이야 욕을 많이 먹었고 작화도 사실 배경 문제는 좀 있지만, 캐릭터나 기술의 작화만 놓고 보면 에피소드 내내 상당히 안정적으로 고퀄리티를 뽑아냈다.[22] 특히나 유하바하와 이치고의 1차전은 원작에서는 상당한 빌드업에 비해 이치고가 무력하게 패배하면서 아쉬운 부분이 컸지만 애니에선 전투씬이 길어지고 어느정도 합을 맞추는 장면을 추가하면서 이를 보완했다.[23] 예를 들어 원작에서는 시해로도 충분히 에스 노트의 블루트를 깨며 대등히 싸우던 뱌쿠야가 만해를 꺼내들고 강탈당하는 바람에 많은 비판을 받았었다. 그러나 애니판에선 천본앵과 작봉 이격필살이 퀸시들에게 안 통하는 장면을 추가함으로써 만해를 사용하는 개연성 확보에 성공했다.[24] 다만 파트 2부터 파트1의 작화를 크게 책임지던 칸노 요시히로, Cindy H. Yamauchi가 중책에서 하차하므로 새로운 실력자를 많이 불러오지 않으면 파트1 수준의 작화가 안 나올 우려가 있다. 일단 하시모토 타카시, 와카바야시 아츠시를 새로 불러왔으며 보루토: 나루토 넥스트 제너레이션즈의 애니메이터 여러 명이 참가 표명을 했다.[25] 블루레이 판에서 많이 수정되었다.[26] 오프닝에서 이치고의 천타와 진 참월까지 공개된 것을 생각하면 참월에 대한 진실과 진 참월을 얻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1쿨을 마무리할 것으로 보였고 실제로 그렇게 이루어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
, 7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
, 7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14:11:53에 나무위키 블리치 천년혈전 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