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에 젖은 흔적들이다/등장인물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비에 젖은 흔적들이다






1. 개요
2. 주요 등장인물
3. 동경 주변 인물
4. 주헌 주변 인물
5. 진희궁 사람들
5.1. 왕족
5.2. 궁인
6. 후궁 및 백관들
7. 이제군 주변 인물
8. 가씨


1. 개요[편집]


웹툰 비에 젖은 흔적들이다의 등장인물 목록.


2. 주요 등장인물[편집]



파일:비에 젖은 흔적들이다 로고 2.png 의 중심 인물

[[이동경(비에 젖은 흔적들이다)|

파일:비다이동경프사.jpg
]]
[[이주헌(비에 젖은 흔적들이다)|

파일:비다이주헌프사.jpg
]]
[[이제군|

파일:이제군프사.jpg
]]
[[사아(비에 젖은 흔적들이다)|

파일:비다사아프사.jpg
]]





핵심 세력

[[진혜왕(비에 젖은 흔적들이다)|

파일:진혜왕프사.jpg
]]
[[경빈 예씨|

파일:경빈예씨프사.jpg
]]
[[중전(비에 젖은 흔적들이다)|

파일:중전고씨프사.jpg
]]
[[황희숙|

파일:비다황희숙프사.jpg
]]






3. 동경 주변 인물[편집]


동경이 의식을 찾자마자 찾았던 사람이지만 동경 조차 기억의 많은 부분이 흐릿해져있다. 환야와의 기억을 때때로 인지하더라도 환야의 존재를 계속 부정당해온 탓에 떠올리지 않으려한다.

  • 미애
동경의 동급생으로 구하읍 초등생 살인 사건 피해자이다.

  • 선배 PD

  • 육상부 선생님
동경이 육상을 하게 만든 사람.


4. 주헌 주변 인물[편집]


  • 교하
파일:비다 교하.jpg
주헌의 호위 겸 심부름 꾼. 무술 실력이 매우 뛰어나다.

  • 수선
주헌을 모시는 사람.

5. 진희궁 사람들[편집]



5.1. 왕족[편집]


가국 제 7대 왕.

가국 진혜왕의 공주.

가국 진소왕의 손자.


가국 진혜왕의 정비
세현왕후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세현왕후.jpg}}}||

불명

불명
가족
배우자
진혜왕
자녀 ||{{{#!wiki
1녀
  • 딸 이주헌}}} ||
기타
친인척

시모 진명대비
주헌을 임신했을 무렵 왕은 어느 신탁때문에 태어날 아이를 두려워하고 있었다.[1] 아이를 낳아보니 아이의 눈이 선명한 푸른 빛으로 현색(뚜렷이 드러나보이는 색)에 해당했다. 또한 보통 동양인들과는 다른 푸른 색이니 이색(異色)이기도 했다.

진혜왕으로부터 딸을 잃을까봐 불안해진 세현왕후는 주헌을 지키기 위해 어의에게 공주가 앞을 못본다는 거짓말을 하게 만들었다. 이 거짓말 덕에 주헌의 눈을 가릴 수는 있었지만 주헌은 늘 어둠 속에서 살아야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주헌이 안대를 절대 풀지 말라는 말을 어기고 안대를 푼 적이 있는데, 이때 주헌의 눈을 본 궁녀 '들'을 입막음하기 위해 죽여버렸다. 들은 세현왕후 본인도 아끼던 궁녀였지만 딸을 지키기 위해 매정하게 죽여버렸다. 이 궁녀 살해 사건 이후 주헌 주변의 궁인들을 전부 치워버린다.

그러나 결국 주헌의 눈 색이 들통나버리고 진혜왕은 주헌을 죽이려한다. 세현왕후는 주헌을 지키기 위해 왕과 주헌 사이에 끼어들었고, 왕의 칼을 대신 맞아 사망한다.

죽기 직전 왕과 딸에게 유언을 남기는데, 왕에게는 우리는 겁을 덜 내어야 하고 청명이 우리의 자리를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가국을 지켰어야한다는 걸 알았어야한다고 말한다. 주헌에게는 자신의 겁이 주헌을 외롭게 만든 것을 사과하고 숨을 거둔다.


가국 진혜왕의 왕자
효림군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효림군.jpg}}}||


나이
14세
가족
부모
부왕 진혜왕
양모 고씨
생모 경빈 예씨
형제
•자매
||{{{#!wiki
1남 1녀 중 장남
  • 이복누나 이주헌}}} ||
기타
친인척

할머니 진명대비
친사촌 이제군
진혜왕이 효림군을 선위로 결정하였으나 급격히 위독해진다.

아버지와 어머니에 비하면 마음씨가 곱고 여린 탓에 백성들의 신뢰를 얻고있지만 신하들은 효림군을 만만하게 보고 있다.

위독해지자마자 주헌을 찾고, 왕은 아들의 부탁대로 주헌에게 입궐을 명하지만 끝내 효림군은 주헌과 만나지 못한 채 사망한다.

어릴 때부터 주헌을 잘 따랐다고한다. 주헌이 제사를 지내는 설곡으로 보내졌을 때도 주헌을 따라 옆에서 함께 제사를 지내줄 정도였다.

진혜왕의 계비.


가국 진소왕조 왕세자
무영대군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영대군.jpg}}}||

불명
나이
불명[2]
가족
부모
부왕 진소왕
어머니 진명대비
형제
•자매
||{{{#!wiki
2남 중 장남[3]
  • 남동생 진혜왕[4]}}} ||
배우자
민씨
자녀 ||{{{#!wiki
1남
  • 이제군}}} ||
진혜왕 이전에 세자였으나 흉포한 성정으로 폐세자가 된다. 진혜왕이 왕위에 오르고 역모를 꾸미고 있었으나 발각되어 처형당한다. 이후 진혜왕은 역모의 싹을 말리겠다며 많은 사람들을 역모 가담 여부와 상관없이 죽이거나 유배 보냈다.


가국 진소왕의 비
가국 진혜왕조 대비
진명대비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진명대비.jpg}}}||




나이
불명
가족
배우자
진소왕
자녀 ||{{{#!wiki
2남[5]
  • 장남 무영대군
  • 아들 진혜왕}}}||
자손
손자 이제군
손녀 이주헌
손자 효림군
기타
친인척
||맏며느리 민씨
{{{#!wiki
작은 며느리
  • 처 세현왕후
  • 처 고씨
  • 첩 경빈 예씨}}} ||
주헌을 왕 앞에서 청귀라는 멸칭으로 칭함으로써 이제군의 편이라는 게 드러난다. 과거 무영대군의 역모 사건 때 이제군을 몸으로 지킨 것부터 현재에는 중전 고씨의 뒷배가 되어 이제군을 왕위 계승 후보로 내세운 것도 진명대비다. 주헌을 노골적으로 적대하고 이제군을 보호하는 걸 보면 진혜왕의 적모이자 무영대군의 친모일 가능성이 크다.

  • 진소왕
선왕. 진혜왕과 무영대군의 아버지로 난폭한 성격이었다. 무영대군의 성격은 진소왕의 성격을 닮은 거라고 한다.

5.2. 궁인[편집]



  • 단약기
어의. 세현왕후가 공주가 앞을 못본다는 거짓말을 하도록 시킨다.

향주 외곽 빈민가에서 생활하는 소식통. 궁궐의 상황도 전부 꿰고 있는데다 주헌이 공주인 것을 알아보는 것으로 보아 보통 인물이 아니나 거지로 변장한 듯하다.

  • 상선

6. 후궁 및 백관들[편집]


진혜왕의 후궁

가국의 영의정


가국의 우찬성
고부경 | 高富景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부경.jpg}}}||
나이
불명
가족
형제
•자매

여동생 고은
기타
친인척

매제 진혜왕
사부인 진명대비
의붓 생질녀 이주헌
양생질 효림군
이제군을 차기 왕으로 옹립하려 애쓰지만 이제군이 허수아비 역할을 해줄 성격은 도저히 아닌 것 같아 불안해하고있다.


7. 이제군 주변 인물[편집]



  • 반월
    파일:비다 반월.jpg

  • 홍시

  • 유사
    파일:비다 유사.jpg

8. 가씨[편집]


  • 가예
파일:비다 가예.jpg
가씨 집안의[6] 가주. 신기가 아주 강하고 신통하다. 그러나 아이를 낳다가 사망하고 만다.

  • 가령
파일:비다 가령.jpg
가예의 아들. 대대로 가씨 집안은 여인만이 신기를 갖고 태어난다. 가예의 신기를 잇지 못했다는 뜻이었지만 권력에 흔들린 가씨 집안은 가령을 딸이라 속인다. 가령은 간절하게 신탁을 내려달라고 부탁했지만 늘 받을 수 없었는데, 가령이 죽던 날 처음으로 과거의 신탁에서 말한 현색을[7] 보게 된다.

그러나 경빈에게 정체를 들켜버렸고, 아직 어리고 순수한 령은 경빈의 악의도 몰라본 채 청명이 경빈의 자식이 아니라는 말까지 해버린다. 경빈이 왕 앞에서 령의 옷에 물을 쏟은 후 옷을 벗겨버리고, 왕은 권력을 탐하고 신탁을 속이려들었다며 가씨를 멸문케한다. 령에게는 청명이 누구인지 평생 말하고 살지 말라는 뜻에서 령의 혀를 잘라버린다.

주헌에게 명륜에 관한 이야기를 해준 적이 있다. 손가락에 그어지는 고리같은 것인데, 주헌이 동경의 손가락에 있는 것이 명륜인 것 같다고 말해준다.

  • 가령의 할머니
파일:가령할머니.jpg
가령을 딸로 속이는 것을 주도한 인물. 제사를 가령이 지내면 신탁은 할머니가 대신 내려주었다. 결국 발각되어 참수당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21:26:46에 나무위키 비에 젖은 흔적들이다/등장인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붉은 용이 해를 훔쳐 효암에 두 개의 달이 뜨니 그 찬란한 빛은 살별을 가리고 새로운 세상으로 인도하네. 마침내 효암을 밝힐 청명이 현색으로 빛날 때 그 찬란한 이색이 가국을 삼키리라.' 라는 신탁이었다. 진혜왕의 이름자 暳에서 해 日을 가리면 살별 彗가 된다. 따라서 이혜는 신탁을 자신이 죽거나 폐위된다고 해석했다.[2] 진혜왕보다 많음.[3] 여자 형제 불명.[4] 진명대비 항목에서 후술하듯 이복 남동생일 확률이 매우 높다.[5] 대비 소생의 아들이 더 있다면 이미 효림군의 대체자가 되었을 것인데 그러지 않고 이제군을 지원하는 것으로 보아 둘 외의 아들이 없거나 있어도 이미 유명을 달리했을 것이다. 측실의 아들 조차도 더 없는 듯하다. 딸은 불명.[6] 가국의 미래를 점치는 예언가 집안.[7] 현색이 가국을 삼킬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