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브라더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빅 브라더(동음이의어) 문서
빅 브라더(동음이의어)번 문단을
빅 브라더(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attachment/빅 브라더/Big Brother.jpg
"빅 브라더[大兄]는 당신을 보고 있다."
1. 개요
2. 상세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Big Brother
빅 브라더는 소설 1984에 등장하는 가공의 국가인 오세아니아의 독재자이다.

번역서에서는 보통 고유명사로 여기고 "빅 브라더"라고 음역하며, 굳이 번역을 할 경우에는 한자어인 "대형(大兄)"[1] 또는 의역인 "위대한 동지"로 옮기기도 한다.[2] "두목"이란 번역도 있는 듯하나 아무리 봐도 이건 오역.[3] 우리말로 하면 큰형님 정도.


2. 상세[편집]


조지 오웰디스토피아 소설 1984에 등장하는 가공의 국가 오세아니아의 권력집단인 당의 지도자이자 최고권력자.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그림의 눈과 시선이 마주치도록 정면을 바라보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포스터를 보는 사람에게 감시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음을 경고한다.[4] 원작 소설에서는 빅 브라더의 초상화에 콧수염이 있다고 묘사된다.

전체주의적 정신 풍토와 절대권력의 위험성을 그린 이 소설에는 영국에서 가장 흔한 성과 가장 유명한 영국 정치인의 이름을 합친 윈스턴 스미스가 주인공이다. 주인공은 "빅 브라더"라 불리는 절대권력에 대항하면서 자유와 진실을 추구하지만 호된 고문 끝에 인간성을 말살 당한다.

모델은 너무나도 당연한 말이지만 소설 집필 당시의 소련독재자이오시프 스탈린. 콧수염부터 시작해서 말투와 습관까지 여러 측면에서 닮았는데 자세한 건 이오시프 스탈린 문서로. 혹은 비슷하게 콧수염 달린 라이벌 독재자도 모티브일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1984년에 개봉된 마이클 래드포드 감독의 영화판에선 생긴 것도 닮았다. 소설상에서는 구체적인 인물상이 나오기보다는 절대권력으로 인민들이 끊임없이 탄압, 감시받는 전체주의 체제의 아이콘으로 묘사한다. 또한 빅 브라더는 텔레스크린이나 도청장치를 써 대중에게 이데올로기를 강요한다. 거대화한 독재권력이 도달하는 마지막 모습이라 할 수 있다.

<1984>에서 "빅 브라더"가 실존 인물인가 아닌가는 끝까지 수수께끼인데, 오브라이언의 어투 등으로 보아 실제로 없는 가공인물이며, 당(党)이라는 권력 집단이 내세운 가공의 지도자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작중에 등장하는 오세아니아의 반역자 존스, 애런슨, 러더퍼드가 권력 투쟁 과정에서 빅 브라더(대형)가 없는 인물이라고 폭로하지 못하는 걸 보면 실존했을 수도 있다. 단, 카리스마적인 정치가라기보다는 당의 아이콘인 면모가 컸을 것이고, 그가 죽건 말건 당은 그의 얼굴과 칭호를 아이콘으로 쓸 듯하다. 그래서 결코 죽지 않는다.[5]

지도자 빅 브라더는 국민들의 사고(思考)의 폭을 좁혀 사상의 자유를 근본적으로 근절하려는 목적으로 신어를 창제하여 영어의 단순화를 추진하였다. 《1984》의 부록인 '신어의 설명'[6]을 읽어보면 실제의 영어와 신어의 차이를 알 수 있다. 그래서 빅 브라더 역시 원문에서는 (약칭임과 동시에) 빅 브라더를 칭하는 신어인 'B.B.'로 자주 호칭된다.

이 자 때문에 21세기인 지금 빅 브라더라는 말은 소설 속의 오세아니아 사회와 같이 개인의 모든 정신과 생활까지 체제가 빠짐없이 감시하는 상황, 또는 정보의 독점으로 사회를 통제하는 관리 권력, 그러한 사회체계를 비유하는 대명사로까지 정착했다.

소설 발표 당시는 이념의 끝장을 보여주는 미래 이야기일 뿐이었지만,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단체가 개인정보를 쉽게 입수하면서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20세기와 소련의 종말, 그리고 러시아 정보기관들의 축소로 인해 미국의 원톱 체제가 만들어졌으며, 현재 떠오르는 가장 유력한 빅 브라더 후보는 이미 전 세계의 통신망을 도청한다는 미국NSA와, 자신들의 의도는 아니겠지만 가만 보면 전 세계의 모든 정보를 캐시에 담겠다고 벼르는 구글이 현대 가장 대표적인 빅브라더 이며,[7][8] 그리고 정보를 캐시에 모을 필요도 없이 사람들이 알아서 정보를 바치는 페이스북. 중국의 디지털 만리장성세서미 크레딧 또한 현실 빅브라더 후보의 예시이다. 그 외에도 개인의 생활을 도청, 감시하고 그 개인정보를 자신들의 서버까지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보고하며 우회도 거의 불가능한 앱인 모바일펜스도 있다. 한국의 전자정부도 악용하면 빅 브라더가 될 수 있는데, 대한민국 모든 국민들의 개인정보를 대부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9]

또한 21세기에는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개인조차도 누구든지 빅 브라더로 바뀔 만한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짐 캐리 주연의 영화 트루먼 쇼는 그러한 사례를 우려하는 내용을 담는다. 파놉티콘과 시놉티콘 이론의 훌륭한 예시.


3. 관련 문서[편집]



[1] 문예출판사 역본(김병익 역)이라던지. 은근히 삭막한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번역이다. 소설 마지막 문장인 "그는 대형을 사랑했다."에 나온다.[2] 이건 북한식 어휘를 활용한 셈이다. 1984 소설 자체가 스탈린주의로 변질된 소련공산주의에 대한 비판적 소설이라 그 스탈린주의에서 출발하여 주체사상이라는 더욱 괴랄한 형태로 나아간 북한과도 어울리는 번역이다.[3] 일반적으로 두목으로 번역되는 것은 빅 대디이다.[4] 사실 평면에 표현되는 것들 자체의 특징이다.[5] 영화 "이퀄리브리엄"에 등장하는 영도자도 그렇다.[6] 또는 신어의 원리.[7] 실제로 2011년 1월에 구글이 그 사이 전 세계에서 개인 신상정보를 모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구글 스트리트 촬영 중 와이파이 통신 내용을 수집한 사건에서, 구글 코리아는 "실수로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감청하여", "실수로 통신내용을 해독하고", "실수로 서버에 저장하였으며" 그 과정의 프로그래밍은 "미국 본사에서 실수로 했다"라고 주장한다. 구글의 주장처럼 단순히 와이파이 핫스팟의 위치만 파악하려는 것이었다면 전혀 필요 없는 작업들이다. 구글의 이런 일에 "사악해지지 말자"는 구글의 사훈을 얘기하는 일이 많은데, 정말 안타깝게도 이 사훈은 비공식 사훈이다.[8] 특히 어떤 키워드 검색에도 19금을 걸어버리는 세이프서치 서비스는 인스타그램에서 사진 단속의 원흉이 되었다. 국내 구글 서버에서는 비로그인, 미성년자 사용자에게 이것이 강제 적용된다.[9] 한국 전자정부의 높은 효율과 편리성은 그 곳에 국민들의 거의 모든 개인정보가 데이터화 되어 보관되기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빅 브라더 문서의 r26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빅 브라더 문서의 r26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22:12:33에 나무위키 빅 브라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