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소행성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에서 '사랑하는 행성'이라는 제목으로 개봉한 영화에 대한 내용은 중경삼림 문서
중경삼림번 문단을
중경삼림#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랑하는 소행성(애스터로이드
恋する小惑星(アステロイド


파일:300308980.jpg

장르
일상, 4컷 만화, 지구과학, 천문학
작가
Quro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호분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씨아이
연재처
망가타임 키라라 캐럿
레이블
망가타임 KR 코믹스
연재 기간
2017년 3월호 ~ 연재 중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5권 (2023. 01. 2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권 (2022. 05. 27.)

1. 개요
2. 줄거리
3. 발매 현황
5. 설정
6. 미디어 믹스
7. 기타



1. 개요[편집]


천문학지질학을 소재로 한 일본의 일상 만화. 작가는 Quro. 지식 전달 수준이 꽤 높아서 학습만화적 성격도 어느 정도 띠고 있지만 기본적인 초점이 4컷 일상에 맞춰져 있어서 학습만화라고 보기에는 애매하다.[1]

어떤 마술의 [ruby(금서목록, ruby=인덱스)]처럼 제목 표기는 '사랑하는 소행성(小惑星)'이지만 읽을 땐 '사랑하는 애스터로이드(Asteroid)'라고 한다.[2] 약칭은 '코이아스(恋アス)'. 한국에선 '사소행[3]/사소성' 아니면 그냥 '소행성' 등으로 불린다. 사행성으로도 줄이는 경우도 있다.


2. 줄거리[편집]


천문+지질' 생각보다 재미있다?

어릴 적 약속을 지키고 싶은 소녀의 소행성 찾기 START!

어릴 적 캠핑장에서 만난 남자아이와 '소행성 찾기'라는 약속을 한 미라. 고등학교에서는 천문부에 들어가려고 했으나, 올해부터 '천문부'와 '지질연구회'가 합병해 '지학부'가 된다는데?! 그날 약속한 소행성을 함께 찾으러 가는 이야기.



3. 발매 현황[편집]


01권
02권
03권
파일:300308980.jpg
파일:300309009.jpg
파일:312394856.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03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3월 2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9년 05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3월 2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0년 02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월 08일 25일

04권
05권
-권
파일:사랑하는소행성4권.jp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파일:일본 국기.svg 2021년 05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5월 27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01월 2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일본 국기.svg 미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망가타임 키라라 캐럿에서 연재 중이며 단행본은 망가타임 KR 코믹스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한국어판은 대원씨아이를 통해 발매되었다. 이례적으로 애니메이션이 한국에 정식 수입되지 않아 미방영된 작품인데도 정발이 되었다.[4]

2020년 8월 12일 1권이 e북으로 발매되었다. 원작자도 한국 정발본을 받았는데, 후기까지 잘 번역되어서 좋다고. #


4.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사랑하는 소행성/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코이아스 타이틀.png
호시자키 고등학교 지학부


파일:mirasd.png


파일:aosd.png


파일:inosenpai.png


파일:sakurasenpai.png


파일:monroesenpai.png




{{{#!wiki style="margin: 0px -6px;"
사쿠라이 미카게
(CV. 토야마 나오)
{{{#!wiki style="margin: 0px -6px;"
모리노 마리
(CV. 우에사카 스미레)





5. 설정[편집]


  • 무대
지명이 언급되지는 않지만 사이타마현 카와고에시가 주요 배경. 그 외에 엔도 선생의 친가이자 여름 합숙 장소인 이바라키현 츠쿠바시나 반짝별 챌린지 개최 장소인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도 무대로 나온다. 자세한 것은 사랑하는 소행성/무대탐방 문서 참조.

  • 호시자키 고등학교(星咲高校)[5]
작중 배경이 되는 학교. 키라라 계열을 포함한 모에계 일상물 대부분이 그렇듯 남녀공학이지만 주연은 전원 여성. 그나마 1화의 입학식 장면에서도 남녀 성비가 1:1로 나오고 문화제를 다룬 원작 2권(애니 6화)에서는 남학생들이 직접적으로 나오는 등 키라라계 치고는 남성 캐릭터의 비중이 비교적 높은 편. 교복은 전형적인 가쿠란/세일러복.

  • 지학부의 설립과정
본래 천문부와 지질 연구회로 나뉘어 있었는데, 각 부의 인원수가 적어 폐부될 위기에 놓인 걸 통폐합하는 형식으로 무마한 것으로 보인다. 엔도 선생의 말에 의하면 그 외에 이런저런 어른의 사정이 있었던 모양.

  • 시간대
연재 시작 시기와 같은 2017-2018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6. 미디어 믹스[편집]



6.1. 애니메이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사랑하는 소행성/애니메이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기타[편집]


  • 공교롭게도 영화 중경삼림의 일본판 제목이 '사랑하는 행성(恋する惑星)'으로, 본작의 제목과 글자 하나 차이밖에 안난다. 이를 노리고 지은 것인지는 불명.

  • 작가인 Quro의 데뷔작은 키라라 캐럿 2015년 8~9월호에 실린 '오리히메 넘버 2(織姫ナンバー2)'라는 단편만화인데, 이 작품 역시 고등학교 지학부가 배경이다. 작가의 말에 따르면 사랑하는 소행성의 바탕이 된 작품이라고. 해당 작품은 단행본 3권에 권말 부록으로 실려있는데, 주인공과 친구가 금빛 모자이크의 요우코와 카렌을 닮은 것이 특징. 해당 작품의 주연 3인방은 각각 미라, 스즈야, 먼로의 베이스가 된 것으로 추정.

  • 작가가 지학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고등학교 시절 실제로 지학부에 있었다고 하며, 연재 전에도 우주복을 입은 히다마리 스케치 등장인물을 그린 적 있다. 트위터도 우주 관련 내용과 아들 자랑이 많다.

  • 한 권당 진행되는 시간은 약 반 년 정도. 사자에상 시공이 아닌 작품들이 일반적으로 권당 3달 정도 진행되는 걸 고려해보면 작품 템포가 상당히 빠른 편이다.

  • 지학 관련 지식이 많고 고증이 잘되어 있어 일하는 세포에 이은 학습애니라고 불리기도 한다.[6]

  • 애니화 이후로는 제작사와 감독이 같아서 그림체가 비슷하다보니 나에게 천사가 내려왔다!와 자주 엮인다. 특히 주연들의 머리색이 와타텐 주연들과 같기도 하고...[7] 와타텐 고딩 버전이라고 하는 사람도 많은 편.

  • 또한 생일이 공개된 조연들 중 3명이 다른 키라라 작품인 아니마 옐!의 주연들과 생일이 겹친다.[8] 두 작품 모두 동화공방에서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국내 미방영작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 미라가 지질박물관에서 감정받은 화석은 실제로 원작자 Quro가 발견한 화석이다. 링크 지질박물관에서 기간한정으로 해당 화석을 전시하기도 했다.

  • 애니화를 통해 인지도가 높아진 후로는 소재 덕에 많은 천문기관에서 취재 협력이라던지 자체 포스터에 등장인물을 그리는 식으로 홍보를 겸한 콜라보를 하고 있다. 본작 제목에서 이름을 따온 COIAS라는 소행성 탐사앱도 출시.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3:36:27에 나무위키 사랑하는 소행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식 전달 수준은 일하는 세포만큼 높은 편이다.[2] 한국어판 제목에선 이 점이 생략되었다. 에초에 한국어는 A라 쓰고 B라 읽는 일은 교체 축약을 제외하면 거의 없기 때문이다.[3] 정발판에서는 이 쪽으로 줄인다.[4] 물론 아주 이례적인 일은 아니다. 주문토끼 1기는 국내에서 동시방영을 하지 않았는데도 방영 시기에 정발된 적이 있다. 다만 이 작품이 주문토끼마냥 압도적 인기를 얻지는 못한걸 생각하면 특이하다.[5] 정작 호시자키 고교의 모티브가 된 현립 카와고에 여자 고등학교는 남녀공학이 아닌 단성고교다.[6] 다만 작가 본인은 학습 만화보다는 일상에 중점을 두고있다고 한다.[7] 코노하타 미라 - 호시노 히나타, 마나카 아오 - 시로사키 하나, 이노세 마이 - 히메사카 노아, 사쿠라이 미카게 - 타네무라 코요리, 모리노 마리 - 코노모리 카논[8] 우사미 아야노 - 사와타리 우키(4월 12일), 스즈야 메구 - 타테지마 코테츠(3월 14일), 이베 사유리 - 우시쿠 카나(11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