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자리

덤프버전 : r20230302


현대 88개 별자리 목록
국제천문연맹 공인


[ 펼치기 · 접기 ]

고래
고물
공기펌프
공작
궁수
그물
극락조
기린
까마귀
나침반
날치
남십자
남쪽물고기
남쪽삼각형
남쪽왕관
도마뱀
독수리
돌고래
두루미
마차부
망원경
머리털
목동
물고기
물뱀
물병
바다뱀
방패
백조
뱀주인
봉황
북쪽왕관
비둘기
사냥개
사자
살쾡이
삼각형
세페우스
센타우루스
시계
쌍둥이
안드로메다
에리다누스
염소
오리온
외뿔소
용골
육분의
이리
인디언
작은개
작은곰
작은사자
작은여우
전갈
제단
조각가
조각칼
조랑말
직각자
처녀
천칭
카멜레온
카시오페이아
컴퍼스
큰개
큰곰
큰부리새
테이블산
토끼
파리
팔분의
페가수스
페르세우스
현미경
헤라클레스
화가
화로
화살
황새치
황소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황도 12궁 / 밑줄 :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사자자리
Leo / Leo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leo.gif
학명
Leo
약자
Leo
기호

주요 별 수
9, 15
가장 밝은 별
Regulus (α Leo, 1.35 등급)
가장 가까운 별
Wolf 359 (7.78 광년)
한자명
獅子宮(사자궁)
인접 별자리
작은사자자리, 게자리, 바다뱀자리, 육분의자리, 컵자리, 처녀자리, 머리털자리, 큰곰자리, 살쾡이자리
관측 가능 여부
O
살쾡이자리는 사자자리 경계선과 꼭짓점에서 간접적으로 인접하고 있다.
1. 개요
2. 설명
3. 주요 천체
5. 이 별자리와 관련된 것들
6. 여담



1. 개요[편집]


황도 12궁의 제 5궁. 수호성은 태양이며 12궁으로는 7월 23일 (대서) ~ 8월 22일, 13성좌로는 8월 11일 ~ 9월 16일에 해당된다. 겹치는 기간은 8월 11일부터 8월 22일까지이며, 별자리의 모델은 헤라클레스가 쓰러트린 네메아의 사자.[1]


2. 설명[편집]


동아시아에서 이 별자리는 헌원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동서양 모두 황제의 별자리로 취급한 별자리.

수메르에서는 사랑과 전쟁의 여신인 인안나(이슈타르)를 상징한다고 한다.

구약성경에서 '유다의 사자'라는 표현 때문에 유다 지파와 함께 12지파를 각각 황도 12궁에 연결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딱히 근거는 없다.

사자의 머리에 해당하는 별들을 이으면 물음표를 옆으로 돌려놓은 형태가 되는데, 이것을 '사자의 커다란 낫'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영어권에서 'The Sickle'이라고 하면 사자자리를 가리키는 또 다른 이름이 된다. 거기에 머리털자리는 원래 사자자리의 꼬리 부분으로 취급되다 17세기 정도에 완전히 독립된 별자리로 나뉘어졌다.

별자리 이름과 형태가 가장 적절하게 매치되는 케이스. "백수(百獸)의 왕"에 걸맞게 하늘 중간에 엎드려 누운 사자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그냥 봐도 "아 저거 사자구나"라고 딱 연상될 정도. 구성하는 별들도 1등성 레굴루스를 비롯해 전부 1~4등성 이내의 밝은 별들로 되어 있다.

이 별자리의 α별 레굴루스는 그 이름의 의미가 "작은 왕"이며 고대 페르시아에서 하늘의 네 수호자로 불린 "네 개의 황제별"들의 우두머리로 여겨졌다. 이 별들은 기본방위인 동서남북의 사방을 차지하는데, 그 중 레굴루스는 남쪽에 해당된다. 나머지는 남쪽물고기자리의 포말하우트(북), 황소자리의 알데바란(동), 전갈자리의 안타레스(서). 그런데 이것도 정확한 해석에 대한 의견이 나뉜다. 어쨌거나 초기 점성술계에서는 이 레굴루스가 '왕의 별'로 여겨져서 이 별 아래에서 태어난 이는 부와 명예, 권력을 모두 얻는다고 믿었다.


3. 주요 천체[편집]


  • α Leo (레굴루스: Regulus)
  • β Leo (데네볼라: Denebola)
  • γ Leo (알기에바: Algieba)
  • δ Leo (조스마: Zosma)
  • M65, M66, NGC3628(세 은하를 합쳐 사자자리 세쌍둥이 은하: Leo Triplet이라 부른다.)
  • M95M96
  • M105
  • U1.27[2]
  • MACS J1149+2223 LS1[3]


4. 사자자리인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사자자리/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이 별자리와 관련된 것들[편집]


단순히 생일이 사자자리인 경우 말고 캐릭터상 기믹이나 기본 컨셉에 주도적으로 관련된 경우만 기재한다.



6. 여담[편집]


초고대문명 신봉자들에게는 중요한 별자리인데, 기자의 피라미드스핑크스 건설 연대와 연관짓기 때문이다.

이는 기자의 대 피라미드가 오리온자리 가운데 세 별의 위치와 같다는 가설에서부터 출발하는데, 별은 각자 아주 조금씩 움직이기 때문에 피라미드 배치와 똑같은 모양으로 오리온 자리가 배치되려면 기원전 10,500년 경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그런데, 이 시기 춘분날 스핑크스가 바라보는 동쪽 하늘을 보면 사자자리가 떠오른다. 그러므로 피라미드+스핑크스 단지는 적어도 기원전 10,500년 이전에 계획된 것이다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그 시기에 사자자리가 만들어지고 사용되었다는 유물이나 증거가 나오지 않았으므로 근거는 없다.

한편 이 이론은 몸통에 비해 지나치게 머리가 작은 스핑크스가 원래는 사자머리였다는 주장의 근거로도 사용된다. 요는 원래 이집트 지역의 선 문명인들이 사자모양 상을 만들었는데 이집트 시기에 사자머리를 깎아서 파라오 머리를 조각했다는 것. 사자가 아니라 아누비스라는 바리에이션도 있다.

매년 11월 중순 밤하늘에 사자자리와 함께 볼 수 있는 유성우가 있어, '사자자리 유성우'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물론 당연하게도 사자자리에서 날아오는 유성은 아니다. 매년 그무렵 지구가 지나는 위치가 '템펠-터틀 혜성'[5]이 충돌의 궤도와 겹쳐, 이 혜성이 뿌리고 간 잔해조각이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떨어지는 것. 해당 혜성은 약 33년 주기로 공전하기 때문에 혜성이 지나간 바로 다음 11월에는 평년보다 훨씬 화려한 유성우를 볼 수 있다고 한다. 다음번 주기는 2031년 무렵.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12-11 00:07:02에 나무위키 사자자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 헤라클레스는 활과 창, 몽둥이 따위의 무기를 들고 싸웠지만 이놈의 사자 가죽이 장난 아니게 단단해서 나중에는 맨손으로 목졸라 죽였다고 하며, 또한 사자의 가죽도 죽인 사자의 발톱을 써서야 잘라 벗길 수 있었다고 한다. 헤라클레스의 트레이드 마크인 사자가죽옷이 바로 이 녀석의 가죽.[2] 초거대 퀘이사군(Huge Large Quasar Group, Huge-LQG)이다.[3] 이카로스라고 불리며 관측 사상 두 번째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발견된 항성계이다.[4] 정확히는 사자자리 유성군인 레오니트가 상징물이다.[5] NASA가 혜성의 정보분석을 위해 탐사선 딥 임팩트을 충돌시킨 혜성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