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평역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임철우의 단편소설 '사평역'에 대한 내용은 사평역에서 문서
사평역에서번 문단을
사평역에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평역
파일:Seoulmetro9_icon.svg
개화 방면
고속터미널
← 1.1 ㎞
9호선
(924)

[[중앙보훈병원역|

중앙보훈병원 방면
]]신논현
0.9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Sapyeong
한자
砂平
간체자
가나
砂平(サピョン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지하285 (반포동 128-7)
운영 기관
9호선
서울시메트로9호선
개업일
9호선
2009년 7월 24일
역사 구조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2면 4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연계 버스
7. 기타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9호선 924번.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지하285 (반포동 128-7)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사평역 도시철도2.jpg
역 안내도

파일:mK8r9d0.gif
역 구조도[1]

역명의 모티브가 된 사평대로는 과거 신사·압구정 일대의 지명 중 하나인 사평(沙平)리에서 따왔으나 사평대로의 한문 표기(砂平大路)[2]와도 연관된다. 사평리의 다른 흔적은 신사동(새말[新村]+사평(沙坪))과 서울 지하철 3호선 신사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역명으로는 인근에서 자주 쓰이던 유서 깊은 를 제치고 특이하게 를 쓰게 되었는데, 어차피 이 두 한자는 한문계에서 동자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수요 자체는 상당히 없는 편이다. 바로 앞뒤에 있는 역이 급행 정차역인 고속터미널역신논현역이기 때문이다. 2009년 하루 평균 이용객이 예상 이용객의 40%가 채 안 된다. 참조

반대편 승강장 횡단이 불가능한 신방화역과 함께 9호선에서 둘 뿐인 상하행 개찰구가 방향별로 분리되어 있는 역이다. 개찰구는 지하 1층,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는데, 에스컬레이터 옆 비상계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광장처럼 넓은 지하 2층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넘어갈 수 있다. 한때는 플라스틱 펜스로 막혀 있었는데 소수의 관리 인원만 상주하는 역이다 보니 관리상의 편의를 위해 막아버린 것으로 보인다. 계단이 개방된 걸 모르는 사람이 많은지 현재는 비상게이트 안쪽에 반대쪽 승강장으로 넘어가려면 계단을 내려가 중간층을 이용하라는 표지도 붙어 있다.

역 근처에 반포IC가 있기 때문에 강남터미널 출/도착 버스들은(단, 센트럴 출발은 잠원IC로 진입) 삼호가든 사거리를 지나가므로 사평역을 볼 수 있다.

예전엔 역사 내에 만화방이 있었다. 이 근처 유일한 만화방이다보니 심심찮게 사람들이 드나드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취미로 하는 것인지 열려있는 시간이 랜덤이다. 그러나 현재는 이 만화방이 없어지고 무인 카페가 생겼다.

원래 이 역에는 CU 편의점이 있었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2019년 9월에는 그 자리에 GS25 편의점이 새로 생겼다.

폴사인과 환풍구를 퓨전한 건축물이 있어 화제가 된 바 있다. 주변 미관상으로도 꽤나 아이디어가 좋다고 볼 수 있겠다.

선유도역, 샛강역, 삼성중앙역, 삼전역처럼 급행열차 대피선이 있는 역이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동작역이 아닌 샛강역과 이 역에서 대피가 이루어진다.

9호선 계획 당시 임시역명은 네거리명을 본뜬 "삼호가든앞역"이었다.[3]


3. 역 주변 정보[편집]


주변에는 학교와 아파트 단지가 많이 있으며, 출구는 2개뿐이다. 그래도 그중 한 개는 아파트 단지인 반포자이 내에 있다. 2번 출구는 역 이용객 수에 걸맞지 않게 매우 크고 아름다운데, 가운데 계단이 있고 양쪽에 상하행 에스컬레이터가 두 줄씩 있다. 게다가 각 에스컬레이터는 두 줄 서기가 가능하다. 즉 에스컬레이터에 사람이 가득 서 있으면 8줄이다. 사람도 없는데 전부 작동시키는 건 당연히 전력 낭비이기에 어느 시간대에 가봐도 상하행 각 한 줄씩만 작동하고 있다.

근처에 반포고등학교가 있다 보니 지하철로 통학하는 해당 학교 학생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역이다.[4] 특히 신반포역, 구반포역 주변의 아파트에 사는 학생들은 버스를 놓쳐도 안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북쪽에 있는 7호선 반포역과의 거리는 400m 정도이다. 반포자이를 통해서 갈 수 있다.

서초래미안도 도보로 15분 거리에 있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9_icon.svg
비고
2009년
3,137명
[5]
2010년
3,961명

2011년
4,991명

2012년
5,574명

2013년
5,903명

2014년
5,886명

2015년
5,409명

2016년
5,334명

2017년
5,169명

2018년
5,341명

2019년
6,326명

2020년
4,635명

2021년
5,363명

2022년
6,409명

출처

[1] 삼호가든사거리 근처에 역이 있다.[2] 보통 沙平大路라고 빈번히 쓴다.[3] 서울 지하철노선 구상 초기시절에는 원촌 이라는 역이름이였다.[4] 사평역에서 반포고등학교까지 걸어서 2분 정도 걸린다.[5] 개통일인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9호선 전체에서 2022년 기준으로 6,409명으로 7번째로 승하차객 수가 적은 역이다.[6] 그런데 동작역은 4호선과의 환승역이라는 점과 급행열차 정차역을 고려하면[7] 실질적으로 네 번째로 승객 수가 적은 역인데 한성백제역둔촌오륜역마저도 3차 구간에 와서야 신설된 역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상대적으로 승객이 많은 1, 2차 개통 구간에서는 공항시장역 다음으로 승객이 적은 역이다.[8] 역세권이라고는 반포자이, 반포 리체, 반포 써밋 등 주변 아파트 단지가 전부로서 그나마도 7호선 반포역이 불과 500m 거리에 있어 수요가 분산된다. 또한 이 지역은 한국을 대표하는 부촌이어서 대중교통 의존률이 굉장히 낮은 곳이며, 생활권 또한 강남권으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차로 5~10분만 가면 되는 지역에 대부분의 생활을 의존하는 터라 지하철을 이용할 일이 거의 없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이를 고려하면 사평역은 역세권 안에서도 굉장히 존재감이 낮다.

게다가 9호선 급행열차의 혼잡도 문제로 인하여 2015년경 급행과 완행의 간격을 조정한 까닭에 이곳의 열차 배차간격은 무려 10분이 넘는다. 완행의 배차간격은 무려 4호선과천선, 안산선3호선일산선, 5호선 강동역 동쪽 구간 및 2호선지선과 비슷한 수준이다. 근본적인 문제가 개선될 여지가 없기 때문에 사평역의 저조한 이용률은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하지만 개통 초기보다 수요는 2배 이상 증가했다. 2019년에 이용객 수가 늘면서 공항시장역보다 이용객이 많아졌고 2022년에는 오히려 이용객이 더 늘어났다. 3단계 구간이 개통하여 강동구, 송파구 지역으로 쉽게 오갈 수 있게 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5. 승강장[편집]



파일:사평역 도시철도1.png

9호선 승강장

고속터미널






신논현



6. 연계 버스[편집]


[6] 이 역 보다 승하차객 수가 적은 역은 공항시장역, 한성백제역, 개화역, 동작역, 구반포역, 둔촌오륜역 단 6개 뿐이다.[7] 환승 통로와 승강장은 사람들로 항상 북적인다.[8] 한성백제역은 230m거리에 8호선 몽촌토성역이 있어서 이용객 일부가 흡수되는 경향도 있다.




7. 기타[편집]


  • 곽재구의 '사평역에서'라는 시에서 나오는 사평역은 작가가 지어낸 상상의 역이다. 작가 본인이 티비 프로그램에서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역'이라고 말하였다. 또한 시 <사평역에서>는 1981년에 나왔으며 사평역은 2009년에 개통했으므로 둘 사이에 전혀 관련이 없다. 또한 해당 시에서 묘사된 사평역은 서민적이고 시골스러운 느낌인데 반해 이 사평역은 고가 아파트들이 밀집한 부촌 한복판에 위치한 역이다. 또한 시에서 나오는 사평역의 한자 역명은 砂가 아니라 沙를 쓴다. 시 '사평역에서'와 이 원작으로 임철우가 1983년에 쓴 소설 '사평역'에 관련된 내용은 사평역에서 문서를 참조. 그런데 KBS에서 이 시가 소개될 때 다름아닌 9호선 사평역을 자료화면으로 송출한 적도 있다.

  • 승객이 탈 수 있는 9호선의 막차가 떠난 후 중앙보훈병원에서 출발한 통과열차 한 대가 사평역에서 멈추고 나서야 그날 하루의 9호선의 모든 운행이 끝난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0:36:15에 나무위키 사평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