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국가 목록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사회주의

1. 개요
2. 공산주의
2.1. 현재
2.2. 과거
3. 공산주의가 아닌 사회주의
3.1. 현재
3.2. 과거
4. 미승인국·제한적 승인국
4.1. 현재
4.2. 과거


1. 개요[편집]


역사상 사회주의 체제였던 국가 목록. 공산주의 문서에 기재된 국가 상당수도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간단히 말하면 사회주의의 하위 개념 중 하나로 공산주의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공산주의는 보통 사회주의에 전부 포함되지만 사회주의 국가라고 공산주의인 것은 아닌 셈. 현대에선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의 뜻을 똑같다 착각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은근히 착각하기 쉬운 부분이기도 하다.

2. 공산주의[편집]



2.1. 현재[편집]


헌법에 공산주의가 명시된 국가


헌법에 공산주의가 명시된 국가는 아니지만, 공산당이 단독집권 중인 국가

  • 북한[1]

공산당이 단독여당이 아닌 연립여당인 국가[2]

  • 네팔[3]
  • 벨라루스[4]
  • 스페인[5]
  • 칠레[6]
  • 콜롬비아[7]
  • 페루[8]

2.2. 과거[편집]


과거의 공산주의 정당이 민주사회주의 노선으로 전향하여 집권 중인 경우 ☆로 표시.[9]



3. 공산주의가 아닌 사회주의[편집]



3.1. 현재[편집]


헌법상 사회주의를 명시한 국가.

  • 가이아나
  • 기니비사우
  • 네팔[10]
  • 방글라데시
  • 상투메 프린시페
  • 스리랑카
  • 인도
  • 탄자니아
  • 포르투갈[11]

헌법에 사회주의가 명시된 국가는 아니지만, 공산당을 제외한 사회주의 정당이 집권 중인 국가[12][13][14]

  • 스페인
  • 콜롬비아
  • 포르투갈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독일
  • 노르웨이
  • 칠레
  • 나미비아
  • 니카라과
  • 에티오피아
  • 에리트리아
  • 덴마크
  • 볼리비아
  • 스웨덴
  • 시리아[15]
  • 핀란드
  • 뉴질랜드
  • 파나마
  • 아이슬란드
  • 알바니아
  • 알제리
  • 몽골
  • 가이아나[16]
  • 베네수엘라
  • 콩고 공화국
  • 모잠비크
  • 앙골라

3.2. 과거[편집]


  • 그레나다
  • 리비아
  • 세이셸
  • 수단
  • 칠레
  • 이라크
  • 이집트[17]
  • 카보베르데
  • 바누아투
  • 인도네시아
  • 볼리비아
  • 부르키나파소
  • 페루
  • 수리남
  • 버마(미얀마)[18]


4. 미승인국·제한적 승인국[편집]



4.1. 현재[편집]


  • 로자바[19]
  • 치아파스[20][21]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22]
  • 티그라이
  • 남부과도위원회
  • 팔레스타인[23][24]

4.2. 과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1:54:22에 나무위키 사회주의/국가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헌법에는 공산주의가 없고 조선로동당의 규약인 조선로동당규약(2021년 1월 개정)에 공산주의와 사회주의가 명시되어 있다. 참고로 헌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에는 사회주의만 명시되어 있다.[2] 아래의 공산주의가 아닌 사회주의 국가 목록에 있어도 추가함.[3]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이 연립여당으로 참여. 그리고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은 야당이다.[4] 포괄정당인 하얀 루스가 실질적인 여당이지만 법적으로는 무소속 의원들의 정치단체로 명목상 법외정당이다. 벨라루스 공산당은 연립여당 중 하나다.[5] 스페인 공산당이 통합포데모스의 일원으로 연립여당으로 참여[6] 칠레 공산당이 존엄성을 인정하라의 일원으로 연립여당으로 참여[7] 코뮌(구 FARC)이 연립여당으로 참여[8] 자유 페루가 연립여당으로 참여[9] 독일처럼 사회주의 정당이 집권 또는 연립여당 상태라고 해도, 분단 시절 서독 정당이였던 독일 사회민주당동독사회주의통일당을 계승한 좌파당이 다른 세력이였던 것처럼 다른 사회주의 정당일 경우 등록하지 아니함.[10] 별개로, 공산당이 연립여당으로 집권 중[11] 정확히는 헌법 전문에 적혀 있다.[12] 연립여당 포함[13] 위의 공산주의 국가 목록에 서술된 경우라도 공산주의가 아닌 사회주의 정당이 여당이나 연립여당으로 집권하고 있으면 서술하였다.[14] 과거 공산주의 정당이 민주사회주의로 전향한 후 재집권한 경우 포함.[15] 아랍권에서 국교도 없고 세속화된 국가인데다 사회주의 성향의 아사드 정권의 세습으로 집권하다보니 공산주의로 오해받고 있다.[16] 이전 문서에서 위의 공산주의 목록에도 포함되었지만 가이아나의 인민진보당은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민주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로 전향한 것으로 여겨짐.[17] 다만 현재에도 나세르주의 성향의 군부들이 정권을 장악하고 있다.[18] 여기는 사회주의 정권이 무너진 현재에도 기존 버마식 사회주의를 이끌던 군부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고 있으나 내부적으로는 파벌과 좌우 세력이 갈린다.[19] 무정부 공산주의이기 때문에 미승인'국'이 아니긴 함.[20] 좋은 정치 위원회(사파티스타)[21] 무정부 공산주의이기 때문에 미승인'국'이 아니긴 함.[22]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정당이자 무장단체인 폴리사리오 전선이 이끌고 있다.[23] 파타가 있다.[24] 엄밀히 말하자면 제한적 승인국이긴 하다.[25] 이승만이 주석이라서 에매하긴 하지만, 민주사회주의에 가까웠던 건 사실이니 다시 추가.[26]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는 다르다.[A] 무정부주의 성향의 CNT가 장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