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기사

덤프버전 :

분류






産業衛生管理技士
Engineer Industrial Hygiene Management

1. 개요
2. 시험의 구성
2.1. 필기
2.1.1. 산업위생학개론
2.1.2. 작업위생 측정 및 평가
2.1.3. 작업환경 관리대책
2.1.4. 물리적 유해인자 관리
2.1.5. 산업독성학
2.2. 실기



1. 개요[편집]


작업장 및 실내 환경의 쾌적한 환경 조성과 근로자의 건강 보호와 증진을 위하여 작업장 및 실내 환경 내에서 발생되는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그리고 기타 유해요인에 관한 환경 측정, 시료분석 및 평가(작업 환경 및 실내 환경)를 통하여 유해 요인의 노출 정도를 분석⋅평가하고, 그에 따른 대책을 제시하며, 산업 환기 점검, 보호구 관리, 공정별 유해 인자 파악 및 유해 물질 관리 등을 실시하며, 보건 교육 훈련, 근로자의 보건 관리 업무를 통하여 환경 시설에 대한 보건 진단 및 개인에 대한 건강 진단 관리, 건강 증진, 개인위생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와 연관된 자격증이다. 산업안전보건법상 '보건관리자'에 선임되기 위해서 취득한다.[1] 보건관리자는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외에도 대기환경(산업)기사나 의사, 간호사 면허가 있다면 선임될 수 있다.[2]

사회적으로 근로자 산업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해서 인지 응시자수는 매년 20~30% 이상씩 증가하고 있어, 2017년 기준 2010년에 비해 약 3배 정도 많은 인원인 3,910명이 응시했다. 특히 2018년 9월 1일부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이 변경되어 기존에 50명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는 안전/보건관리자 선임이 필수가 아니었으나, 이제는 20명 이상 소규모 사업장도 안전보건관리담당자가 필수가 되었다. 보건관리자 선임을 위해서는 산업위생관리기사 자격증이 필수이기 때문에 자격증 보유자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여 전망이 밝은 자격증 중 하나이다.

1, 2, 3회차 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2. 시험의 구성[편집]


2019년 필기 접수자 수 상위 30개 종목별 기사 시험 통계
[ 펼치기 · 접기 ]
순위
종목
필기 접수자 수 (A)
최종 합격자 수 (B)
합격률 (B/A)
1위
정보처리기사
74,027
22,495
30.4%
2위
전기기사
65,872
12,760
19.4%
3위
산업안전기사
45,831
9,765
21.3%
4위
소방설비기사(전기)
36,146
8,086
22.4%
5위
건축기사
28,605
4,340
15.2%
6위
소방설비기사(기계)
24,566
3,620
14.7%
7위
일반기계기사
19,837
4,141
20.9%
8위
건설안전기사
18,833
4,607
24.5%
9위
전기공사기사
17,009
1,852
10.9%
10위
토목기사
14,377
2,837
19.7%
11위
정보보안기사
12,918
461
3.6%
12위
대기환경기사
11,090
2,220
20.0%
13위
수질환경기사
10,907
1,945
17.8%
14위
식품기사
8,824
1,938
20.0%
15위
화학분석기사
8,675
2,714
31.3%
16위
화공기사
8,294
2,835
34.2%
17위
공조냉동기계기사
7,688
860
11.2%
18위
산림기사
6,328
1,517
24.0%
19위
식물보호기사
5,903
1,611
27.3%
20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5,883
1,361
23.1%
21위
조경기사
5,712
561
9.8%
22위
산업위생관리기사
5,685
1,692
29.8%
23위
에너지관리기사
5,136
1,221
23.8%
24위
가스기사
5,117
452
8.8%
25위
품질경영기사
5,099
835
16.4%
26위
실내건축기사
4,436
997
22.5%
27위
정보통신기사
3,917
985
25.1%
28위
건설재료시험기사
3,538
717
20.3%
29위
설비보전기사
3,353
883
26.3%
30위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3,248
564
17.4%
출처: 대한민국 통계청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이루어진다. 필기는 과목별 40점 이상 득점하고 전과목 60점 이상의 평균을 내면 합격한다. 실기는 총점 60점 이상시 합격. 만점은 평균 100점이지만, 자격증 취득이 목적이기 때문에 평균 60점만 넘는 것을 목표로 공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100점 만점이라고 수능처럼 뉴스에 나오는 것이 아니다.[3]
따라서 확실하게 득점할 수 있는 중요 포인트만 집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한마디로 실수를 줄이고 포인트만 암기할 수 있는 정리가 필요한데, 비전공자들이라면 독학으로는 쉽지 않다. 따라서 강의를 통해 이론 정리를 쉽게 할수 있는데, 산업위생관리기사를 전문으로 하는 학원은 많지 않아 대다수의 강의는 인강을 통해 접하는 경우가 많다. 강사별로 강의 특징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반드시 강의를 들어보고 결정할 것을 추천한다.

필기난이도는 과목별로 골고루 분포되는 반면, 실기 시험은 과목별로 치우치거나 암기형 또는 계산문제로 쏠리기 때문에 과목별로 기초를 탄탄히 해두지 않으면 낭패를 볼 수 있다.


2.1. 필기[편집]


산업위생학개론, 작업위생 측정 및 평가, 작업환경 관리대책, 물리적 유해인자 관리, 산업독성학 5과목으로 이루어진다. 1과목과 5과목인 산업위생학개론과 산업독성학은 이론 위주의 암기과목이고, 3과목인 작업환경 관리대책의 경우 계산문제가 대다수 출제되는 편이다.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시험순서 상, 물리적 유해인자 관리를 후반부에 공부하게 되는데, 물리적 유해인자 관리는 독성물질, 산업채취, 환기에 대한 개념 이해에 중요한 과목으로 학습 초기에 공부하는 것이 좋다.


2.1.1. 산업위생학개론[편집]


모든 과목의 총론 격으로 가장 기초가 되는 과목. 대부분 법규나 암기하기 쉬운 일반상식의 확장형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고득점하기 좋은 과목이다. 과목 전체의 흐름을 파악하여 체계를 세운 뒤, 이해를 바탕으로 암기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2.1.2. 작업위생 측정 및 평가[편집]


주로 측정에 관련된 기계적인 부분과 기술적인 부분 등으로 나뉘어 있다. 내용도 생소하고 문제도 까다롭게 출제되기 때문에, 기본적인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농도 구하기와 측정 및 평가의 여러 가지 기술적인 부분과 유해인자의 채취 및 분석 방법 등을 유의하여 공부하는 것이 좋다.


2.1.3. 작업환경 관리대책[편집]


계산문제 위주의 과목. 공식만 제대로 이해하고 단위를 구별할 수 있다면 산업위생학개론보다 고득점이 가능한 과목으로 작업위생 측정 및 평가나 산업독성학에서 낮아진 평균점수를 끌어올릴 수 있는 과목이다. 그러나 반대로 단위와 공식을 정확하게 암기하지 못할 경우에는 풀이부터 막힐 우려가 있기 때문에, 단위와 공식을 정확하게 암기할 수 있어야 한다.


2.1.4. 물리적 유해인자 관리[편집]


점수를 올릴 수 있는 전략과목중에 하나. 문제가 출제되는 범위가 특화되어 있어 다른 과목에 비해 공부량이 많지 않으며, 내용이 복잡하지 않아 고득점을 받기 유리한 과목이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독성물질, 산업채취, 환기에 대한 개념 이해가 중요하지만 ‘소음’문제에서는 단위와 공식암기도 필요하기 때문에 이해와 암기가 적절히 조화된다면 80점 정도는 무난히 맞을 수 있다.


2.1.5. 산업독성학[편집]


기사 종목 한정.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 과목과 마찬가지로 내용이 생소하고 난이도가 높아, 고득점을 노리기 보다는 60점 이상을 목표로 학습해야 하는 과목이다. 주로 유기인자와 중금속에서 문제가 많이 출제되기 때문에 이 분야를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과락 위험이 높으니 조심하자.


2.2. 실기[편집]


단답형 8~10문제, 계산 10~12문제 정도로 회차당 약 20문제 정도가 출제되며, 필기와 동일하게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을 맞아야 합격이다.
주로 소음, 보일샤를법칙, 레이놀즈, 동압과 속도의 관계, 압력손실(관마찰계수, 기본 압력손실), 송풍기 상사법칙, 송풍기 소요동력, 환기량 및 폭발방지를 위한 환기량에서 시험문제들이 출제된다.
또한 필기과목 중 산업위생학개론, 물리적 유해인자 관리 및 작업환경 관리대책 과목에서 실기문제들이 몰아서 출제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필기 준비 및 실기 시험 대비 시, 이 세 과목을 집중적으로 공부할 필요가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2:58:34에 나무위키 산업위생관리기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산업안전보건법 제16조 제2항, 동법 시행령 18조 및 별표 6 참조.[2] 대기업에서는 주로 간호사를 보건관리자로 선임하는 경우가 많다.[3] 시험마다 1, 2문제씩은 항상 최고난이도의 문제들이 있는데, 이런 문제들을 풀려고 덤벼들다가는 시간만 잡아먹고, 다른 문제들을 못풀어 과락을 맞을 확률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