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13/특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삼국지 13



1. 개요
1.1. 특기
1.1.1. 내정 특기
1.1.2. 전투 특기



1. 개요[편집]


삼국지 시리즈의 무장들은 능력치 외에도 각자 특기를 부여받음으로서 개성을 얻으며, 이번 삼국지13의 특기는 레벨 제도라서 레벨을 높여야 특정 행동을 같은 능력치의 특기 레벨이 낮은 무장들보다 더 잘 해낼수 있다. 또 특기가 1레벨이라도 있냐 없냐에 따른 차이가 어마어마하다.

원하는 특기를 부여받기 위해서는 그 특기를 "전수특기"로 가진 무장과 붕우 이상의 관계를 가지면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고, 이미 플레이어가 가지고 있는 특기를 높은 레벨로 가진 무장과 친해져 사사를 하여 레벨 업을 할 수도 있다.[1][2] 단 일기토나 설전에서 이겨야하므로 무력이나 지력이 낮은 무장 플레이시엔 좀 까다로운 편이다.

가장 우수한 특기로는 문관은 귀모, 무관은 호걸이다. 네임드 무장 중에서 전수특기가 귀모, 호걸이 아닌 경우도 있지만,[3] 귀모, 호걸이 전수특기인 무장은 최소 A급 이상 확정이다. 특히 귀모를 보유한 무장은 어지간히 레벨이 낮지 않은 이상 이게 전수특기일 정도로 극히 희귀한 특기이다.[4] 또 귀모는 호걸을 카운터치는 특기인데,[5] 위 두 개의 특기를 동시에 보유한 무장은 강유 딱 한 명밖에 없다.[6]

1.1. 특기[편집]



1.1.1. 내정 특기[편집]


  • 상업(商業): '시장' 에서의 실행방침 효과 증가. 레벨이 높을 수록 추가 성과량 증가. 노숙(9), 순욱(8), 장소(8), 진규(8), 제갈량(7), 손권(7), 진등(7) 등이 보유.
  • 농업(農業): '농지' 에서의 실행방침 효과 증가. 레벨이 높을 수록 추가 성과량 증가. 순욱(9), 장굉(9), 유비(8), 제갈량(8), 장로(7), 사마의(7) 등이 보유.
  • 문화(文化): '학사' 에서의 실행방침 효과 증가. 레벨이 높을 수록 추가 성과량 증가. 조조(9), 조식(9), 종요(9), 주유(8), 조비(8), 진군(8) 등이 보유.
  • 훈련(訓鍊): '병영' 에서의 실행방침 효과 증가. 레벨이 높을 수록 추가 성과량 증가. 관우(9), 제갈량(8), 손책(8), 조조(8), 사마의(8), 양호(8), 조운(7) 등이 보유.
  • 순찰(巡察): '순찰' 에서의 실행방침 효과 증가. 레벨이 높을 수록 추가 성과량 증가. 제갈량(9), 조조(9), 손책(8), 사마의(8), 조운(8), 주유(8), 손견(8), 장료(8), 육손(8) 등이 보유.
  • 설파(説破): 회유 커맨드 '설파'(취락에 실행하면 일정 시간 후 설전이 일어나며, 설전에서 이기면 해당 취락을 한번에 자신의 세력에 종속시킬 수 있다) 사용 가능. 레벨이 높을 수록 설전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 (PK) 회유 커맨드 '설파' 사용 가능. 설전시 초기 기력 증가. 레벨이 높을 수록 초기 기력 증가. 제갈량(9), 사마의(9), 가후(9), 조조(8), 주유(8), 진궁(8), 이유(8) 등이 보유.
  • 교섭(交渉): 외교 임무 시 초기 교섭률 증가. 상대 군주군사중신과의 설전 없이 외교 커맨드를 성공시키려면 교섭률 100%가 필요하다. 레벨이 높을 수록 초기 교섭률 증가. 제갈량(9), 주유(9), 순욱(8) 등이 보유.
  • 언변(弁舌, 변설): 설전시 추가 피해량 및 초기 재기량 증가. 레벨이 높을 수록 추가 피해량 강화. (PK) 설전시 추가 피해량. 레벨이 높을 수록 추가 피해량 강화. 특수 커맨드 '무시' 사용 가능. 제갈량(9), 방통(9), 조식(8), 순욱(8), 가후(8), 곽가(8) 황월영(8), 조조(8), 사마의(8) 등이 보유.
  • 인덕(人徳): 면식 없는 무장을 소개장 없이 면회 가능.[7] 및 등용 시 성공률 증가. 레벨이 높을 수록 등용 시 성공률 증가. 유비(9), 제갈량(8), 순욱(7), 장각(6), 주유(5) 등이 보유.

1.1.2. 전투 특기[편집]


  • 위풍(威風): 지휘병력 증가. 레벨이 높을 수록 병력 증가(레벨x500 + 1500). 조조(9), 관우(8), 손견(7), 여포(7), 손책(7), 사마염(7) 등이 보유.
  • 신속(神速): 육전 한정으로 기동력 상승. 레벨이 높을 수록 상승량 증가. 마초(9), 여포(8), 조운(8), 조조(8), 손책(8), 장료(8), 제갈량(8), 사마의(8), 두예(8) 등이 보유.
  • 분전(奮戦): 병력 수가 3000이하일 때 공격/방어 상승(9레벨에 공격력 80 방어력 36 상승 / PK의 경우 공방 22 상승). 레벨이 높을수록 공격/방어 상승 증가(원본 : 공격=레벨x5+35, 방어=레벨x3+15 / PK : 공방=레벨x2+4[8]) 강화. 장비(9), 여포(8), 조운(8), 관우(8), 감녕(8), 마초(7), 장료(7), 손견(7), 황충(7), 하후돈(7), 허저(7), 전위(7), 조인(7), 화웅(7) 등이 보유.
  • 연전(連戦): 적 부대 격파시 사기 회복. 레벨이 높을 수록 사기 회복량 증가(레벨x2.5+7.5). 손책(9), 여포(8), 관우(8), 손견(8), 장합(8), 감녕(8) 등이 보유.
  • 공성(功城): 적의 성문, 진영, 병기에게 추가 피해. 레벨이 높을 수록 피해량 증가(레벨x5.5%+16.5%). 등애(9), 감녕(8), 여포(8), 관우(8), 제갈량(8), 두예(8), 고순(8) 등이 보유.
  • 병기(兵器): 수비측에 특기 보유 무장이 있을 경우 수성병기 '상노' 가 '연노' 로 변화 및 조립한 병기 내구력 증가. 레벨이 높을 수록 조립한 병기 내구력 증가(레벨x20%+20%). 마균(9), 제갈량(7), 황월영(7), 유엽(5) 등이 보유.
  • 견수(堅守): 진영 및 성벽에 있을 시 부대 방어 상승. 레벨이 높을수록 방어 상승 증가(레벨x2.5%+14%). 사마의(9), 육손(9), 제갈량(8), 양호(8), 가후(7), 여포(7), 장료(7), 조인(7), 주유(7), 진등(7) 등이 보유.
  • 수영(水練)[9]: 보유시 수상전에서 사기 저하 및 물살의 효과 무효. 레벨이 높을 수록 연격(2회 특수공격 발생) 확률 상승. 손책(9), 손견(9), 주유(9), 육손(9), 감녕(8), 손권(7), 황개(6), 한당(6), 손익(6), 정보(6) 등이 보유.
  • 일기(一騎): 일기토 시 피해량 및 초기 투지량 증가. 레벨이 높을 수록 추가 피해량 증가. (PK) 일기토 시 피해량 증가 및 일기 특기 격차에 따라 적의 패가 보임. 여포(9), 관우(8), 조운(8), 전위(7), 장비(7), 문추(7), 안량(7), 마초(7), 황충(7), 방덕(7), 허저(7) 등이 보유.
  • 호걸(豪傑): 같은 병과끼리도 특수공격이 발동.[10] 레벨이 높을 수록 특수공격의 위력 강화(레벨x8%+28%, 호걸의 효과는 같은 병과만 영향을 받으며 9레벨이 되어야 유리한 상성 병과에 가하는 특수공격 대미지와 같다). 여포(9), 관우(8), 장비(8), 장료(8), 조운(7), 마초(7), 황충(7), 감녕(7), 태사자(6) 등이 보유.
  • 귀모(鬼謀): 특수공격을 받을 때 일정 확률로 회피. 레벨이 높을 수록 회피 확률 상승(레벨x8%+28%. 9레벨에 100% 회피율). 제갈량(9), 사마의(8), 주유(7), 가후(7), 장각(7), 방통(7), 육손(6), 조조(5), 서서(5), 순욱(5) 등이 보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8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8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5:29:52에 나무위키 삼국지 13/특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순수하게 보유하고 있어야 사사로 레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자병법서를 통해 0레벨 귀모 특기를 1레벨로 획득한 다음, 제갈량한테 사사를 해서 귀모 레벨을 증가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귀모 특기가 전수특기인 무장과 인연을 만들어 일단 획득을 해야 사사를 해서 높이든 말든 뭔가 할 수 있어진다.[2] 친밀도가 높을수록 전수특기를 사사할 확률이 높아진다.[3] 하후돈, 장비, 태사자, 강유 등등[4] 육손의 경우 견수, 수영이 9레벨인데 6레벨 귀모가 전수특기일 정도[5] 호걸: 같은 병과 병격 발동, 귀모: 확률적 병격 회피[6] 고대무장까지 포함하면 악비까지 총 두 명이고, 인연으로 보유한 경우까지 포함하면 유비, 손책, 주유까지 되겠다.[7] 인덕 특기가 없을 경우, 초면인 무장과 면회하려면 그 무장과 인연이 있으면서(부부, 가족 등) 나와 구면인 무장과 친밀도를 50 이상 올린 후 소개장을 받아서 만나는 방법, 또는 연회를 개최하는 방법이 있다. 연회의 경우 100의 자금을 사용하여 개최하면 랜덤으로 참석하고, 술 명품을 하나 소모하여 개최하면 관계가 원수 급으로 험악하지 않는 이상 확정적으로 초대할 수 있다.[8] 오리지널 때 분전 특기가 너무 사기 특기라는 비판을 많이 받아서 그랬는지 PK에서는 오리지널 때에 비해 분전에 따른 능력치 상승량이 너프가 되도 너무 되었다. 오리지널 때 분전 특기에 따른 공격력 상승 계산식은 너무 오버였던 것은 맞지만 PK의 계산식을 오리지널 때 방어력 계산식 정도로만 했어도 충분했을텐데 굳이 더 낮춰서 9레벨 만렙이어도 공격력과 방어력이 고작 22씩 밖에 안 오르게 바꿔버려 분전이 큰 의미가 없게 바꿔버렸다. 이로 인해 플레이어가 굳이 분전 레벨을 높일 필요가 없어진 것은 물론, 오리지널 시절엔 신속 등의 특기는 부실해 애매했지만 높은 분전 레벨로 밥값 그 이상을 해내던 장비, 조인 등이 PK 들어 더욱 사용하기 애매해졌다.[9] 한자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는 훈련할 '련(練)'자를 쓴 '수련(水練)'이다. 그런데 수련이라는 단어가 우리에겐 낯설기에 '수영'으로 번역한 것 같다. 일어에서도 '수련(水練)'이 '수영' 또는 '수영을 잘 하는 사람'을 뜻하긴 하지만 한국어로는 개인이 수영을 잘하는 정도의 영 괴상한 어감이 되어버리고 만다. 그냥 원래대로 수련이라고 쓰거나 수군, 수전 등으로 쓰는게 훨씬 나았을 듯.[10] 원래 창병>기병>궁병>창병 식으로, 창병으로 기병을 때리는 식으로 약점을 노리면 발동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