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지명/예주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삼국지/지명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예주







파일:260년예주지도.png

1. 개요
2. 여남군(汝南郡)
2.1. 양안도위부(陽安都尉部)
2.2. 여음군(汝陰郡)
3. 익양군(弋陽郡)
4. 영천군(潁川郡)
4.1. 양성군(襄城郡)
5. 양국(梁國)
6. 진군(陳郡)
7. 노국(魯國)
8. 패국(沛國)
9. 초군(譙郡)
10. 안풍군(安豊郡)
11. 같이보기


1. 개요[편집]


기원전 107년에 처음 자사를 설치할 때, 이 방면을 맡는 자사의 감찰 구역이 원래 하수(河水) 중류의 이남과 회수(淮水) 이북 사이의 중원 지방을 가리키던 지방 이름인 예주(豫州)와 겹치는 부분이 있어 예주자사부가 되었다. 현재의 안후이성허난성 일대에 해당한다.

군웅할거 시기 초기에는 원술이 예주 지방에서 가장 큰 세력을 형성했었다. 원술은 손견을 예주자사로 내세우며 형주 남양군과 양주 구강군·여강군에 이르는 판도를 형성했지만, 이는 원술의 후장군이란 직책과 여남군 원씨 가문의 영향력에서 나오는 권위에 기댄 것으로, 진왕(陳王) 유총처럼 독자 세력을 형성하고 있던 경우도 있고, 연주를 장악한 조조나 서주를 장악한 도겸이 예주의 일부를 점유한 것으로도 분석되는 등, 예주 지방의 공권력을 완전히 장악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결국 조조가 협천자에 성공하여 한나라 중앙 조정의 공권력을 장악하고 원술의 황제 참칭에 맞물려, 예주는 급속히 원술에게서 이탈하여 조조가 장악하게 된다.

도겸유비를 예주자사로 멋대로 임명하여 소패(小沛)에 주둔시켰었다. 도겸의 영역이 서주에 한정되었다는 고정관념이 있고, 자사가 태수의 상관이란 잘못된 인식 때문에 잘 이해되는 일이 아닌지, 각종 매체에서는 소패를 서주에 소속된 곳으로 보고 유비가 예주자사가 된 사실을 거론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당시에 자사는 태수의 상관이 아니었으며, 독자적으로 징병할 수 있는 권한은 없으나 감군(監軍) 직위를 겸해 독립적인 부대를 지휘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관직이었고, 이에 대형 군벌 중에는 측근이나 자신의 예하에 있던 군소 군벌을 자사로 임명한 경우가 종종 있었다. 공손도가 청주의 일부 현을 장악하고 영주자사(營州刺史)를 둔 것이 대표적인 예. 유비가 도겸에게 서주목 지위를 물려받은 뒤, 여포가 찾아왔을 때 마찬가지로 여포를 예주자사로 임명해 소패로 보냈었다. 여포에게 서주를 뺏긴 뒤에 유비가 조조에게 귀순하자, 조조는 유비를 정식으로 예주목으로 임명했으나, 예주의 태수들은 사실상 조조가 임명한 것이었기에, 유비가 독자적인 세력을 갖는 것은 아니었다.
  • 치소(治所)[1]: [후한]패국 초현→[226?]여음군 항현→[243]여남군 안성현→[서진]진군 진현
  • 213년: 사례교위부 하남윤이 이속됨.
  • 213~218년 사이: 여남군 및 형주 강하군을 분할하여 익양군 설치.
  • 220년: 하남윤이 사례교위부로 환원됨. 양주(揚州) 안풍군이 이속됨. 패군을 분할해 초군 설치.
  • 222년: 여남군을 분할해 여음군 설치.
  • 253년: 여음군을 폐지하여 여남군에 합병.
  • 264년: 둔전제가 폐지되면서 영천군 양성전농중랑장부가 양성군으로 승격.
  • 266년: 여음군 재설치.

2. 여남군(汝南郡)[편집]


전한 때 팽월의 영역이었던 회양군(淮陽郡)을 분할하면서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후한 때인 82년에 여남군의 8현을 분할해 서평국(西平國)을 설치했었으나, 88년에 서평왕이 전봉(轉封)되면서 환원되었다.
지명
[-196?]여남군→[72]여남국(汝南國)→[79]여남군→[270]여남국
소속
[한]예주자사부→[서진]예주
치소
[한]평예현→[삼국]신식현
양안도위: 낭릉현
여음군: 여음현
분합
[198]양안도위→[200]폐지: 낭릉현·양안현
[213?]익양군: 익양현·기사현
[222]여음군→[253]여남군에 합병→[266]여음국(汝陰國)→[277]여음군: 여음현·신양현(新陽縣)·여양현·동양현·신현·신채현·부파현·포신현·원록현·고시현·항현·송현
전입
[253]여음군 여양현, [서진]양국 남돈현 및 초군 송현→여음군
전출
[220?]산상현→패군, [238]여음군 송현→초군, [277]남돈현→양국, [서진]소릉현→영천군 및 여음군 항현→양국
폐지
[213]의록현, [삼국]세양현·사선국, [서진]은강현·서화현·정강현 및 여음군 신양현·부파현
출신
평예현: 허정·허소 등 여남 허씨 일가
남돈현: 응창, 정병
세양현: 여범, 장제(후한 사공)
여양현: 원소·원술·원유 등 원씨 가문
부파현: 여몽
고시현: 호종
현 미상: 진도
봉국
사마준–여음왕(266~277), 사마간(司馬柬)–여남왕(270~277), 사마량–여남왕(277~), 손굉(孫𩃙)–여남왕(264~265)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전한
여남군(37현 461,587호 2,596,148구): 평예현, 양안현, 양성국, 은강현, 부파현, 여양현, 동양현, 오방현, 안성국, 남돈현, 낭릉현, 세양현, 의춘국, 여음현, 신채현, 신식현, 구양현, 기사현, 신양현(愼陽縣), 신현, 소릉현, 익양국, 서평현, 상채현, 침현, 서화현, 장평현, 의록현, 항현, 신처현, 귀덕국, 신양현(新陽縣), 안창국, 안양국, 박양국, 성양국, 정릉현

여남군여분군(汝汾郡·汝坟郡), 양성국→신안현(新安縣), 안성국→지성현(至成縣), 세양현→낙경현(樂慶縣), 의춘국→선잔현(宣孱縣), 여음현→여분현(汝墳縣), 신채현→신천현(新遷縣), 신식현→신덕현(新德縣), 구양현→화망현(華望縣), 신현→신치현(愼治縣), 서평현→신정현(新亭縣), 침현→윤치현(閏治縣), 장평현→장정현(長正縣), 의록현→상도정현(賞都亭縣), 신처현→신연현(新延縣), 귀덕국→귀혜현(歸惠縣), 신양현(新陽縣)→신명현(新明縣), 안창국→시성현(始成縣), 안양국→균하현(均夏縣), 박양국→낙가현(樂家縣), 성양국→신리현(新利縣)
후한
여남군(37성 404,448호 2,100,788구): 평예현, 신양국, 서평현, 상채현, 남돈현, 여음현, 여양현, 신식국, 북의춘현, 은강국, 구양현, 기사현, 양안현, 항현, 서화현, 세양현, 안성국, 오방현, 동양국, 신양현, 신현, 신채현, 안양국, 부파국, 의록현, 낭릉국, 익양국, 소릉현, 정강국, 사선국, 송국, 포신국, 원록국, 정영국, 고시국, 산상국, 성보현
서진
여남군(15현 21,500호): 신식현, 남안양현, 안성현, 신양현, 북의춘현, 낭릉현, 양안현, 상채현, 평예현, 정영현, 구양현, 남돈현, 여양현, 오방현, 서평현
여음군(8현 8,500호): 여음현, 신현, 원록현, 고시현, 동양현, 신채현, 송현, 포신현

  • 안성현(安城縣): 예주자사 치소(243~)
    • 지명: [전한]안성국(安成國)→[후한]안성국(安城國)
    • 소속: [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위치: 《32.80570, 114.56767》 허난성 주마뎬시 루난현 왕강진 쿵자이촌(河南省驻马店市汝南县王岗镇孔寨村)
  • 신식현(新息縣): 여남군 치소
    • 지명: [후한]신식국(新息國)
    • 소속: [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위치: 《32.34227, 114.73777》 허난성 신양시 시현(河南省信阳市息县)
  • 평예현(平輿縣)
'輿'는 '여'·'예'로 발음되므로 '평여현'으로 읽을 수도 있으나, 『후한서』 허소열전의 음주(音註)에 따라 '예(預)'로 발음한다.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봉국: 조무–평여후(218~222)
  • 위치: 《33.15550, 114.56728》 허난성 주마뎬시 핑위현 서차오진 마좡촌(河南省驻马店市平舆县射桥镇马庄村)
  • 침정(沈亭): 《33.17299, 114.56648》?
  • 서평현(西平縣)
  • 소속: [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위치: 《33.38411, 113.95687》 허난성 주마뎬시 시핑현 탄뎬향 저우판촌(河南省驻马店市西平县譚店鄉周范村)
  • 상채현(上蔡縣)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봉국: 화유(和逌)–상채후(264~)
  • 위치: 《33.19308, 114.19977》 허난성 주마뎬시 상차이현 황부진 상좡촌(河南省驻马店市上蔡县黄埠镇尚庄村)
  • 북의춘현(北宜春縣)
  • 지명: [전한]의춘국(宜春國)→[후한]북의춘현
  • 소속: [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위치: 《32.82440, 114.26909》 허난성 주마뎬시 루난현 동관좡진 관좡촌(河南省驻马店市汝南县东官庄镇官庄村)
  • 은강현(㶏强縣): 서진 폐지
  • 지명: [후한]은강국(㶏强國)→[178]은강현
  • 소속: [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폐지
  • 위치: 《33.75076, 114.07458》 허난성 뤄허시 린잉현 천좡향 후좡촌(河南省漯河市临颍县陈庄乡胡庄村)
  • 구양현(灈陽縣)
  • 소속: [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위치: 《33.16566, 114.102668》 허난성 주마뎬시 쑤이핑현 창좡진 우지촌(河南省驻马店市遂平县常庄镇吴集村)
  • 서화현(西華縣): 서진 폐지
  • 소속: [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폐지
  • 위치: 《33.68238, 114.35185》 허난성 저우커우시 상수이현 장밍향 쓰왕촌(河南省周口市商水县张明乡寺王村)
  • 오방현(吳房縣)
  • 소속: [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위치: 《33.14784, 113.98911》 허난성 주마뎬시 쑤이핑현(河南省驻马店市遂平县)
  • 신양현(愼陽縣)
  • 소속: [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위치: 《32.78049, 114.37146》 허난성 주마뎬시 루난현 량주진(河南省驻马店市汝南县梁祝镇)
  • 안양현(安陽縣)
  • 지명: [진]안양현→[한]안양국(安陽國)→[165]안양현→[280]남안양현(南安陽縣)
전한·후한 때는 안양현에 열후가 책봉되어 있었으며, 서진 때 사주 안양현에 설치되자 여남군 안양현을 '남안양현'으로 구분했다.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위치: 《32.43954, 114.26306》 허난성 주마뎬시 정양현 란칭향 리우후촌(河南省驻马店市正阳县兰青乡刘胡村)
  • 소릉현(召陵縣·邵陵縣)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예주 영천군
  • 봉국: 조진–소릉후(226~239), 조방–소릉현공(265~)
  • 위치: 《33.60156, 114.14843》 허난성 뤄허시 샤오링구 샤오링진 린좡촌(河南省漯河市召陵区召陵镇林庄村)
  • 정강현(征羌縣): 서진 폐지
  • 지명: [전한]양성국(陽城國)→[후한]정강국(征羌國)
  • 소속: [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폐지
『중국역사지도집』에서는 삼국시대에 정강현을 누락시켰으나, 『삼국지』에서 언급되고 있는 지명이다. 서진 때 폐지된 것으로 판단된다.
  • 위치: 《33.51611, 114.31552》 허난성 저우커우시 상수이현 다우향 다왕촌(河南省周口市商水县大武乡大王村)
  • 정영현(定潁縣): 108년 설치
  • 지명: [108]정영현→[125]정영국(定潁國)→[144?]정영현
  • 소속: [108]예주자사부 여남군→[후한]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위치: 《33.39860, 114.07180》 허난성 주마뎬시 시핑현 펀야오진 훙강촌(河南省驻马店市西平县盆尧镇洪港村)
  • 남돈현(南頓縣)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222]여음군→[253]여남군→[277]양국→[서진]예주 여남군
  • 봉국: 순개–남돈자(264~)
  • 위치: 《33.44423, 114.83670》 허난성 저우커우시 샹청시 난둔진 저우러우촌(河南省周口市项城市南顿镇周楼村)
  • 의록현(宜祿縣): 213년 폐지
  • 소속: [한]예주자사부 여남군→[213]폐지
  • 위치: 《33.48011, 115.24590》 허난성 저우커우시 단청현 이루진(河南省周口市郸城县宜路镇)
  • 세양현(細陽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삼국]폐지
  • 위치: 《33.18829, 115.74445》 안후이성 푸양시 타이허현 관지진(安徽省阜阳市太和县关集镇)
  • 사선국(思善國): 88년 설치→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88]예주자사부 여남군→[후한]여남군→[삼국]폐지
  • 위치: 《33.53850, 115.78110》 안후이성 보저우시 차오청구 구청진(安徽省亳州市谯城区古城镇)
  • 귀덕국(歸德國): 후한 폐지
  • 안창국(安昌國): 후한 폐지
  • 위치: 《32.79088, 113.89268》 허난성 주마뎬시 췌산현 와강진 싱뎬촌(河南省驻马店市确山县瓦岗镇邢店村)
  • 박양국(博陽國): 후한 폐지
  • 지명: 낙가현(樂嘉縣)
  • 위치: 《33.57853, 114.73217》 허난성 저우커우시 촨후이구 리부커우향(河南省周口市川汇区李埠口乡)
  • 성양국(成陽國): 후한 폐지
  • 지명: [진]성양현(成陽縣)
  • 소속: [진]회양군→[전한]예주자사부 여남군→[후한]폐지
  • 위치: 《32.24096, 114.18869》 허난성 신양시 핑차오구 양허진(河南省信阳市平桥区洋河镇)
  • 정릉현(定陵縣): 후한 폐지

2.1. 양안도위부(陽安都尉部)[편집]


『삼국지』 이통전에 "여남 2현을 나눠, 이통을 양안도위로 삼았다.'라는 부분이 있고, 조엄전에는 순욱이 보낸 편지에 '양안군(陽安郡)'이 언급되고 있다. 『위략』에는 이통이 양안태수로 기록되어 있다. 다른 기록들에선 양안군이 등장하지 않고, 이통은 엄연히 양안도위로 임명되었다가 여남태수로 승진했음을 감안하면, '양안태수'로 기록한 것은 오전(誤傳)이라 판단된다. 원래 도위는 전한 때 군의 치안을 담당하는 관직이었으나, 후한 때는 원칙적으로 군에는 도위를 두지 않고 태수가 해당 업무를 전담하게 했는데, 태수가 모든 영역의 치안을 감당하기 어려울 땐 별도로 도위를 두기도 했다. 도위는 원칙적으로 태수의 속관이기 때문에 엄연히 태수를 상관으로 두고 그의 지휘를 받는 입장이었으나, 후한 때는 태수의 치민(治民) 권한까지 위임받는 도위도 생겼다.

이통은 낭릉현에서 거병한 반독립적인 군소 군벌이었는데, 198년에 여남의 2현을 나눠 이통을 양안도위로 삼은 것은 여남군에서 양안군을 새로 독립시킨 것이 아니라, 2현에 대한 이통의 독자적인 통치를 인정하면서 원칙적으론 여남태수의 관할을 받게 하는 '도위부'를 설치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조엄전에서도 호구세[戶調] 부과를 결정하는 주체가 '태수'가 아닌 '도위' 이통으로 나온다. 앞의 기록은 당대 사람들도 도위 이통을 태수로 오인한 사례라 여겨지며, 특히 도위부가 설치된 지 불과 2년 뒤인 200년 무렵에 이통이 여남태수로 승진하였기에 이러한 오해가 더 깊어진 듯하다. 치민권을 갖는 도위부는 당대에도 군(郡)과 동격의 행정구역으로 인식되었고, 실제 군으로 통칭된 사례도 있는데, 순욱의 편지도 그 사례 중 하나다. 이통이 여남태수가 된 시점에 다시 따로 양안도위를 임명해 보냈을리는 없으므로, 도위부 또한 이때 폐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낭릉현(郎陵縣): 양안도위부 치소
    • 지명: [후한]낭릉국(郎陵國)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봉국: 하증–낭릉후(264~)→현공(265~278)
    • 위치: 《32.74715, 113.75430》 허난성 주마뎬시 췌산현 스군허향(河南省驻马店市确山县石滚河乡)
  • 양안현(陽安縣)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위치: 《32.88197, 114.04666》 허난성 주마뎬시 이청구 구청가도(河南省驻马店市驿城区古城街道)

2.2. 여음군(汝陰郡)[편집]


222년에 여남군 여음현·신양현·여양현·동양현·신현·신채현·부파현·포신현·원록현·고시현·항현·송현을 분할해 설치되었으며, 238년에 송현이 초군으로 이속되었다. 253년에 폐지되어 여남군에 환원되었다가, 서진 때인 266년에 다시 설치되었다. 서진 때 부파현이 폐지되었고 항현이 양국으로 이속되었다.
  • 여음현(汝陰縣): 여음군 치소
    • 지명: [전한]여음현(女陰縣)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222]여음군→[253]여남군→[266]여음군→[서진]예주 여음군
    • 위치: 《32.90306, 115.80901》 안후이성 푸양시(安徽省阜阳市)
  • 신양현(新陽縣): 서진 폐지
    • 지명: [후한]신양국(新陽國)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222]여음군→[253]여남군→[266]여음군→[서진]폐지
    • 위치: 《33.427834, 115.36457》 안후이성 푸양시 제서우시 빙지향 지좡촌(安徽省阜阳市界首市邴集乡纪庄村)
  • 여양현(汝陽縣)
    • 지명: [진]여양현(女陽縣)→[후한]여양현(汝陽縣)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222]여음군→[253]여남군→[서진]예주 여남군
    • 봉국: 조표–여양공(221~222), 사마형(司馬衡)–여양자(264~265)
    • 위치: 《33.59460, 114.46083》 허난성 저우커우시 상수이현 장좡향(河南省周口市商水县张庄乡)
  • 동양현(鮦陽縣)
    • 지명: [한]동양국(鮦陽國)
    • 소속: [한]예주자사부 여남군→[222]여음군→[253]여남군→[266]여음군→[서진]예주 여음군
    • 위치: 《33.08230, 114.96882》 안후이성 푸양시 린취안현 퉁청진(安徽省阜阳市临泉县鲖城镇)
  • 신현(愼縣)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222]여음군→[253]여남군→[266]여음군→[서진]예주 여음군
    • 봉국: 하진–신후(184~189), 진온(陳溫)–신자(264~)
    • 위치: 《32.78975, 116.19902》 안후이성 푸양시 잉상현 장커우진(安徽省阜阳市颍上县江口镇)
  • 신채현(新蔡縣)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222]여음군→[253]여남군→[266]여음군→[서진]예주 여음군
    • 위치: 《32.75126, 114.97392》 허난성 주마뎬시 신차이현(河南省驻马店市新蔡县)
    • 갈피(葛陂): 《33.04782, 114.70903》
  • 부파현(富波縣): 서진 폐지
'부피현(富陂縣)'으로 오기(誤記)한 사례도 보인다.
  • 지명: [후한]부파국(富波國)
  • 소속: [한]예주자사부 여남군→[222]여음군→[253]여남군→[266]여음군→[서진]폐지
  • 위치: 《32.60126, 115.82030》 안후이성 푸양시 푸난현 두안타이향(安徽省阜阳市阜南县段台乡)
  • 포신현(褒信縣): 79년 설치
  • 지명: [79]포신국(褒信國)
  • 소속: [79]예주자사부 여남군→[후한]여남군→[222]여음군→[253]여남군→[266]여음군→[서진]예주 여음군
  • 위치: 《32.55597, 114.98543》 허난성 신양시 시현 바오신진(河南省信阳市息县包信镇) 서측
  • 원록현(原鹿縣): 39년 설치
  • 지명: [39]원록국(原鹿國)
  • 소속: [39]예주자사부 여남군→[후한]여남군→[222]여음군→[253]여남군→[266]여음군→[서진]예주 여음군
  • 위치: 《32.55328, 115.64360》 안후이성 푸양시 푸난현 왕화진 딩자이촌(安徽省阜阳市阜南县王化镇丁寨村)
  • 고시현(固始縣)
  • 지명: [진]침현(寢縣)→[전한]침현(𥧲縣·浸縣)→[후한]고시국(固始國)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222]여음군→[253]여남군→[266]여음군→[서진]예주 여음군
  • 봉국: 사마괴–고시자(264~265)
  • 위치: 《33.05304, 115.26537》 안후이성 푸양시 린취안현(安徽省阜阳市临泉县)
  • 항현(項縣): 예주자사 치소(226?~243)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222]여음군→[253]여남군→[266]여음군→[서진]예주 양국
  • 위치: 《33.39749, 115.06371》 허난성 저우커우시 선추현(河南省周口市沈丘县)
  • 무구(武丘)·구두(丘頭): 《33.31632, 115.23458》
  • 백척언(百尺堰): 《33.44565, 115.06138》
  • 공로성(公路城): 원술이 쌓은 성이 항현에 있다고 전하나 위치를 알 수 없다.

3. 익양군(弋陽郡)[편집]


사서에는 위나라 때 설치된 군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208년에 강하태수로 임명된 문빙의 임지가 맹현으로 국한되었던 점으로 보아 이미 그 이전부터 전농관이 관할하고 있던 지역으로 보이며, 전예가 익양태수로 있다가 218년에 조창무신저를 공격할 때 이에 종군하면서 세운 공으로 남양태수로 전임되었으므로, 213~218년 사이에 익양군으로 승격한 것으로 보인다.
지명
[213?]익양군→[222]익양국(弋陽國)→[222]익양군
소속
[213?]예주→[서진]예주
치소
익양현
분합
[280]양주 기춘군 합병: 기춘현·주현
전입
[213?]여남군 익양국·기사현 및 형주 강하군 서양현·대국, [280]형주 강하군 서릉현
봉국
조표(曹彪)–익양왕(222)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서진
익양군(7현 16,700호): 서양현, 대현, 기춘현, 주현, 서릉현, 기사현, 익양현

  • 익양현(弋陽縣): 익양군 치소
    • 지명: [한]익양국(弋陽國)
    • 소속: [진]형산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213?]익양군→[서진]예주 익양군
    • 위치: 《32.16932, 114.99725》 허난성 신양시 황촨현 룽구향(河南省信阳市潢川县隆古乡)
  • 기사현(期思縣)
    • 소속: [진]형산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213?]익양군→[서진]예주 익양군
    • 위치: 《32.34082, 115.48051》 허난성 신양시 화이빈현 치쓰진(河南省信阳市淮滨县期思镇)
  • 서양현(西陽縣)
    • 소속: [한]형주자사부 강하군→[213?]예주 익양군→[서진]예주 익양군
    • 위치: 《32.05650, 114.80601》 허난성 신양시 광산현 양둔향(河南省信阳市光山县杨墩乡) 두안강(段岗)유지
  • 대현(軑縣)
    • 지명: [후한]대국(軑國)
    • 소속: [한]형주자사부 강하군→[213?]예주 익양군→[서진]예주 익양군
    • 위치: 《32.22458, 114.70993》 허난성 신양시 시현 바리차향(河南省信阳市息县八里岔乡) 서측

4. 영천군(潁川郡)[편집]


'穎川郡'으로 쓰기도 한다. 196년에 영천군 허현이 수도가 되어 허도(許都)로도 불리게 되었고, 이때 영천군의 치소 또한 이전한 것으로 보이나, 임시수도였기 때문인지 영천태수가 영천윤(潁川尹)으로 승격되지는 않았다. 조조가 기도위 시절 이 군에서 황건적을 토벌했고, 삼국시대에 영천군 출신의 재사들도 많았기에, 각종 매체에서 등장하는 일이 많다.
소속
진(秦)→[전한]예주자사부→[9]보충신향→[23]예주자사부→[서진]예주
치소
양책현→[196?]허현
양성군: 양성현
분합
[삼국]양성전농중랑장부→[264]양성군: 양성현·겹현·곤양현·정릉현·무양현·보성현·번창현
전입
[277]진국 장평현, [서진]여남군 소릉현
설치
[220]번창현(영음현 분할)
전출
[삼국]양책현·양성현·윤지현→하남윤
폐지
[서진]영양현
출신
허현: 진군
영음현: 순욱·순유 등 순씨 일가
장사현: 종요·종회 일가, 서서
정릉현: 두습
양책현: 곽가·곽혁, 신비·신헌영·신창
현 미상: 한복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영천군: 양책현, 영양현, 양성현(襄城縣), 언릉현, 허현, 양성현(陽城縣), 장사현, 신보성현, 신정현, 위지현, 무양현, 겹현, 성안현, 언현, 영음현, 정릉현, 밀현, 원릉현, 곤양현, 신양성현(新襄城縣·연혁 미상), 대귀현(大騩縣·연혁 미상), 한양현(閑陽縣·연혁 미상), 응현(應縣·연혁 미상) 이외 미상
전한
영천군(20현 432,491호 2,210,973구): 양책현[1], 곤양현, 영양현, 정릉현, 장사현, 신급현, 양성현, 언현, 겹현, 무양현, 영음현, 숭고현, 허현, 언릉현[2], 임영현, 보성현, 성안국, 주승휴국, 양성현, 윤지현

영천군→보충신향 좌수군(左隊郡), 양책현→영천현(潁川縣), 정릉현→정성현(定城縣), 언릉현→좌정현(左亭縣), 임영현→감영현(監潁縣), 주승휴국→가미현(嘉美縣), 양성현→상성현(相城縣)
후한
영천군(17성 263,440호 1,436,513구): 양책현, 겹현, 양성현, 곤양현, 정릉현, 무양읍, 언현, 임영현, 영양현, 영음현, 허현, 신급현, 언릉현, 장사현, 양성현, 보성현, 윤지현
서진
영천군(9현 28,300호): 허창현, 장사현, 영음현, 임영현, 언현, 소릉현, 언릉현, 신급현, 장평현
양성군(7현 18,000호): 양성현, 번창현, 겹현, 정릉현, 보성현, 곤양현, 무양현

  • 허창현(許昌縣): 영천군 치소(196?~)
196년부터 후한의 임시수도로 쓰여 '허도'란 별칭이 생겼으나 사실상 마지막 수도가 되었다. 조비가 선양 이후에 허창으로 이름을 고쳤다.
  • 지명: [진]허현(許縣)→[221]허창현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서진]예주 영천군
  • 위치: 《33.99463, 114.01836》 허난성 쉬창시 젠안구 장판진 구청촌(河南省许昌市建安区张潘镇古城村) 한·위허도(汉魏许都)고성
  • 동구성(桐丘城): 위치 미상(허창현 동북쪽)
  • 언현(郾縣)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서진]예주 영천군
  • 위치: 《33.57136, 113.97672》 허난성 뤄허시 위안후이구 구청촌(河南省漯河市源汇区古城村)
  • 임영현(臨潁縣)
  • 소속: [한]예주자사부 영천군→[서진]예주 영천군
  • 봉국: 가충–임영후(265), 조○–임영현공(265~?)
  • 위치: 《33.86964, 113.91074》 허난성 뤄허시 린잉현 구샹향 청딩촌(河南省漯河市临颍县固厢乡城顶村)
  • 영양현(潁陽縣): 서진 폐지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서진]폐지
  • 위치: 《33.97408, 113.58825》 허난성 쉬창시 샹청현 잉차오자치진(河南省许昌市襄城县颍桥自治镇)
  • 영음현(潁陰縣)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서진]예주 영천군
  • 봉국: 진군–영음후(226~264)
  • 위치: 《34.03139, 113.81975》 허난성 쉬창시(河南省许昌市)
  • 신급현(新汲縣)
  • 소속: [한]예주자사부 영천군→[서진]예주 영천군
  • 위치: 《33.99268, 114.33253》 허난성 저우커우시 푸거우현 루탄향 탕좡촌(河南省周口市扶沟县吕潭乡唐庄村)
  • 광성(匡城): 위치 미상
  • 언릉현(鄢陵縣)
  • 지명: [전한]언릉현(傿陵縣)·[후한]언릉현(焉陵縣)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서진]예주 영천군
  • 봉국: 조창–언릉후(216~)→공(221~222), 조○–언릉현공(265~?)
  • 위치: 《34.18715, 114.17869》 허난성 쉬창시 옌링현 펑뎬진 구청촌(河南省许昌市鄢陵县彭店镇古城村)
  • 장사현(長社縣)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서진]예주 영천군
  • 봉국: 사마부–장사후(249~264)
  • 위치: 《34.22990, 113.85049》 허난성 쉬창시 창거시 라오청진(河南省许昌市长葛市老城镇)
  • 장갈성(長葛城)·갈성(葛城): 《34.29676, 113.84107》
  • 촉진(蜀津): 위치 미상
  • 숭고현(崈高縣): 후한 폐지
  • 위치: 《34.45582, 113.02462》 허난성 정저우시 덩펑시(河南省郑州市登封市)
  • 성안국(成安國): 후한 폐지
  • 지명: [진]성안현(成安縣)
  • 소속: [진]영천군→[전한]예주자사부 영천군→[후한]폐지
  • 위치: 《34.09150, 112.9121》 허난성 핑딩산시 루저우시 샤오툰진 겅탕촌(河南省平顶山市汝州市小屯镇耿堂村)
  • 정국(鄭國): 후한 폐지
  • 지명: [-113]주자남읍(周子南邑)→[-44]주승휴국(周承休國)→[4]정국→[23]주승휴국→[37]항향(邟鄕)
이왕삼각에 따른 주나라 후예들의 식읍이었다. 기원전 113년에 식읍을 수여해 주자남군(周子南君)으로 불렸는데, 기원전 44년에 정식으로 주승휴후(周承休侯)에 책봉되었다. 기원전 8년에는 공(公)의 존칭을 받아 주승휴공(周承休公)으로 불리고 제후왕보다 높은 예우를 받게 되었는데, 기원후 4년에 정공(鄭公)이 되었다. 왕망 때 장모공(章牟公)으로 전봉(轉封)되었으나, 신나라가 망한 뒤에 주승휴공으로 환원되었다. 37년에 위공(衛公)으로 전봉되어 정국이 폐지되었다.
  • 위치: 《34.28187, 112.87566》 허난성 핑딩산시 루저우시 링터우진 두안쯔푸촌(河南省平顶山市汝州市陵头镇段子铺村)

4.1. 양성군(襄城郡)[편집]


둔전 시행 때 전농중랑장이 관할하던 지역으로 260년 시점에선 양성전농중랑장부(襄城典農中郞將部)가 정식 명칭이나, 당대에도 사실상 양성군으로 통칭했던 것으로 보인다. 264년에 둔전제가 폐지되면서 정식으로 양성군으로 승격했다.
  • 양성현(襄城縣): 양성전농중랑장–양성군 치소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264]양성군→[서진]예주 양성군
    • 위치: 《33.85369, 113.47237》 허난성 쉬창시 샹청현(河南省许昌市襄城县)
    • 마피(摩陂): 《33.93991, 113.35236》
    • 서불갱성(西不羹城): 《33.84380, 113.55613》
    • 성고정(城皐亭): 위치 미상(양성현 동남쪽)
  • 겹현(郟縣)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264]양성군→[서진]예주 양성군
    • 위치: 《33.97205, 113.20341》 허난성 핑딩산시 자현(河南省平顶山市郏县)
  • 곤양현(昆陽縣)
광무제곤양대전이 치러졌던 곳이다.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264]양성군→[서진]예주 양성군
  • 봉국: 조○–곤양현공(265~?)
  • 위치: 《33.62330, 113.34553》 허난성 핑딩산시 셰현(河南省平顶山市叶县)
  • 정릉현(定陵縣)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264]양성군→[서진]예주 양성군
  • 봉국: 종요–정릉후(226~)
  • 위치: 《33.61924, 113.68587》 허난성 뤄허시 우양현 베이우두진(河南省漯河市舞阳县北舞渡镇)
  • 동불갱정(東不羹亭): 《33.65570, 113.66503》
  • 무양현(舞陽縣)
  • 지명: [후한]무양읍(舞陽邑)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264]양성군→[서진]예주 양성군
  • 봉국: ○흥–무양군(181~189), 사마의–무양후(249~264)
  • 위치: 《33.49147, 113.47816》 허난성 핑딩산시 셰현 셴타이진 자오좡촌(河南省平顶山市叶县仙台镇赵庄村)
  • 보성현(父城縣)
  • 지명: [진]신보성현(新父城縣)?
  • 소속: [진]영천군→[한]예주자사부 영천군→[264]양성군→[서진]예주 양성군
  • 위치: 《33.84697, 113.25924》 허난성 핑딩산시 바오펑현 리좡향(河南省平顶山市宝丰县李庄乡) 고성
  • 번창현(繁昌縣): 220년 설치
220년에 조비가 여기서 선양을 받고 난 뒤에 이를 기념하여 설치했다. 번창이 현대 한국어에서도 쓰이는 그 번창 맞다.
  • 지명: 번양정(繁陽亭)→[220]번창현
  • 소속: [220]예주 영천군→[264]양성군→[서진]예주 양성군
  • 위치: 《33.87267, 113.80137》 허난성 뤄허시 린잉현 판청자치진(河南省漯河市临颍县繁城自治镇)
  • 수선대(受禪臺): 《33.86624, 113.80428》
220년에 조비가 정식으로 선양받는 사실을 널리 알리고자 축조한 곳으로, 이곳에서 선양식이 거행되고 이를 기념하여 번창현을 설치했다. 이렇듯 요란하게 선양쇼를 펼쳐봤지만, 정작 동생 조식마저 조비가 헌제를 시해하고 제위를 강탈했다고 착각해 곡을 했다.(...)

5. 양국(梁國)[편집]


둔전이 시행된 시기에는 전농교위(典農校尉)가 임명되었다.
지명
[진]탕군(碭郡)→[-202]양국→[26]양군(梁郡)→[27]양국→[29]양군→[79]양국→[220]양군→[232]양국
소속
진(秦)→[한]예주자사부→[서진]예주
치소
탕현→[-202]수양현→[79]하읍현→[232]수양현
분합
[277]진국 합병: 진현·양가현·영평현·무평현
전입
[277]여남군 남돈현, [서진]여음군 항현 및 초국 고현
설치
[서진]곡숙현
전출
[서진]남돈현→여남군
폐지
[삼국]곡숙현·박현, [서진]탕산현·언현
출신
수양현: 교현·교모 일족
영릉현: 왕수
봉국
유미(劉彌)–양왕(~220), 조제(曹悌)–양왕(232~265), 사마융–양왕(265~), 유리(劉理)–양왕(221~230), 손망(孫壾)–양왕(264~?)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탕군: 탕현, 망현, 하읍현, 초현, 계봉현, 진류현, 수양현, 어현, 옹구현, 외황현, 선보현, 제양현, 몽현, 우현, 양읍현, 곡현, 대량현, 차현, 원척현, 창읍현, 동민현, 율현, 기현(岐縣·연혁 미상) 이외 미상
전한
양국(8현 38,709호 106,752구): 탕현, 치현, 저추현, 몽현, 이지현, 우현, 하읍현, 수양현

양국진정군(陳定郡), 탕현→절탕현(節碭縣), 치현→이선현(已善縣), 저추현→여추현(予秋縣), 몽현→몽은현(蒙思縣), 이지현→이선현(已善縣), 우현→진정정현(陳定亭縣), 하읍현→하흡현(下洽縣)
후한
양국(9성 83,300호 431,283구): 하읍현, 수양현, 우현, 탕산현, 몽현, 곡숙현, 언현, 영릉현, 박현
서진
양국(12현 13,000호): 수양현, 몽현, 우현, 하읍현, 영릉현, 곡숙현, 진현, 항현, 장평현영평현[1], 양가현, 무평현, 고현

  • 수양현(睢陽縣): 양국 치소
    • 소속: [진]탕군→[한]예주자사부 양국→[서진]예주 양국
    • 위치: 《34.38270, 115.61150》 허난성 상추시 쑤이양구(河南省商丘市睢阳区) 고성
  • 하읍현(下邑縣)
    • 소속: [진]탕군→[한]예주자사부 양국→[서진]예주 양국
    • 위치: 《34.42696, 116.34562》 안후이성 쑤저우시 당산현 룽하이향(安徽省宿州市砀山县陇海乡) 고성
  • 우현(虞縣)
    • 소속: [진]탕군→[한]예주자사부 양국→[서진]예주 양국
    • 위치: 《34.51561, 115.91007》 허난성 상추시 위청현 리민진(河南省商丘市虞城县利民镇) 고성
  • 탕산현(碭山縣): 서진 폐지
    • 지명: [진]탕현(碭縣)→[후한]탕산현
    • 소속: [진]탕군→[한]예주자사부 양국→[서진]폐지
    • 위치: 《34.17409, 116.48501》 허난성 상추시 융청시 망산진(河南省商丘市永城市芒山镇)
    • 탕산(碭山): 《34.18972, 116.49825》
현재는 이곳 주변의 고지대를 통칭하여 망탕산(芒碭山)으로 부르고 있으나, 고대에는 망(芒)과 탕산은 별개의 지명으로, 망은 탕산현 서남쪽에 위치한 임수현의 옛 이름이다. 한고제가 거병할 때 은거했다는 '망·탕산의 늪[芒碭山澤]'은 망탕산을 가리키는게 아니라 망현과 탕산 사이의 늪지대를 지칭하는 것이다. 『삼국지연의』에서 망탕산은 흩어졌던 유비·관우·장비가 다시 모이는 '고성회(古城會)'의 배경이기도 한데, 앞서 언급했듯 망탕산이란 지명은 고대에는 실재하지 않았으며, 『초한지』『수호전』 등에서 망탕산이 의협이 모이는 장소로 등장하는 만큼 그 영향을 받아 설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 몽현(蒙縣)
    • 소속: [진]탕군→[한]예주자사부 양국→[서진]예주 양국
    • 위치: 《34.54089, 115.64034》 허난성 상추시 량위안구 솽바진 추이베이촌(河南省商丘市梁园区双八镇崔北村)
  • 언현(鄢縣·𨻳縣): 서진 폐지
    • 지명: [전한]언현(傿縣)→[후한]언현(鄢縣)
    • 소속: [전한]연주자사부 진류군→[후한]예주자사부 양국→[서진]폐지
    • 위치: 《34.21413, 115.30587》 허난성 상추시 저청현 위안샹진(河南省商丘市柘城县远襄镇)
  • 영릉현(寧陵縣)
    • 지명: [후한]영릉현(甯陵縣)
    • 소속: [진]회양군→[전한]연주자사부 진류군→[후한]예주자사부 양국→[서진]예주 양국
    • 봉국: 조태–영릉후(223~?)
    • 위치: 《34.44598, 115.31537》 허난성 상추시 닝링현(河南省商丘市宁陵县)
  • 곡숙현(穀熟縣): 26년 설치→황초 연간(220~226) 폐지→서진 재설치
    • 지명: [26]곡숙국(穀熟國)→[37]곡숙현
    • 소속: [26]예주자사부 양군→[후한]양국→[삼국]폐지, [서진]예주 양국
    • 위치: 《34.27525, 115.77325》 허난성 상추시 위청현 구수진(河南省商丘市虞城县谷熟镇)
  • 박현(薄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전한]연주자사부 산양군→[후한]양국→[삼국]폐지
    • 위치: 《34.72515, 115.5415》 산둥성 허쩌시 차오현 옌뎬러우진 왕헤이러우촌(山东省菏泽市曹县阎店楼镇王黑楼村)

6. 진군(陳郡)[편집]


원래 진(秦)나라의 회양군(淮陽郡)이었다. 277년에 진국이 폐지되어 양국에 합병되었다.
지명
[진]회양군(淮陽郡)→[전한]회양국(淮陽國)→[26]회양군→[39]회양국→[73]회양군→[79]회양국→[88]진국(陳國)→[197]진군→[223]진국→[224]진군→[232]진국→[232]진군→[266]진국
소속
진(秦)→[전한]연주자사부→[후한]예주자사부→[277]양국에 합병
치소
진현
폐지
[266?]신평현, [서진]자현·부락현
출신
자현: 양습
부락현: 원환
봉국
유총–진왕(~197), 조옹(曹邕)–진왕(223~224), 조식–진왕(232), 사마빈(司馬斌)–진왕(265~277), 손보(孫𠅨)–진왕(264~?), 손건(孫虔)–회양왕(269~273)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회양군: 진현, 양안현, 여양현, 남돈현, 여음현, 장평현, 신채현, 신현, 자현, 평예현, 양가현, 신처현, 신양현, 낭릉현, 고현, 서평현, 상채현, 성양현, 안양현, 소릉현, 고릉현, 침현, 항현, 영릉현, 세양현, 유현(楡縣·연혁 미상), 형산현(陘山縣·연혁 미상), 안릉현(安陵縣·연혁 미상) 이외 미상
전한
회양국(9현 135,544호 981,423구): 진현, 고현, 양가현, 영평현, 부구현, 고시현, 어현, 신평현, 자현

회양국신평군(新平郡), 진현→진릉현(陳陵縣), 고현→뇌릉현(賴陵縣), 어현→익세현(益歲縣)
후한
진국(9성 112,653호 1,547,572구): 진현, 양가현, 영평현, 고현, 자현, 신평현, 부락현, 무평현, 장평현

  • 진현(陳縣): 진군 치소
    • 소속: [진]회양군→[전한]연주자사부 회양국→[후한]예주자사부 진국→[277]양국→[서진]예주 양국
    • 봉국: 조인–진후(220~223)
    • 위치: 《33.73398, 114.88245》 허난성 저우커우시 회이양구(河南省周口市淮阳区)
  • 양가현(陽夏縣)
'夏'는 '하' 또는 '가'로 발음되므로 '양하현'으로도 읽을 수 있으나, '陽夏'는 반절(反切)에 따라 '양가'로 읽는다.
  • 소속: [진]회양군→[전한]연주자사부 회양국→[후한]예주자사부 진국→[277]양국→[서진]예주 양국
  • 위치: 《34.06387, 114.85638》 허난성 저우커우시 타이캉현(河南省周口市太康县)
  • 영평현(寧平縣)
  • 지명: [후한]영평현(甯平縣)
  • 소속: [전한]연주자사부 회양국→[후한]예주자사부 진국→[277]양국→[서진]예주 양국
  • 위치: 《33.66484, 115.32458》 허난성 저우커우시 단청현 닝핑진(河南省周口市郸城县宁平镇)
  • 자현(柘縣): 서진 폐지
  • 소속: [진]회양군→[전한]연주자사부 회양국→[후한]예주자사부 진국→[277]양국→[서진]폐지
  • 위치: 《34.07661, 115.29646》 허난성 상추시 저청현(河南省商丘市柘城县)
  • 신평현(新平縣): 266년 무렵 폐지
  • 소속: [전한]예주자사부 여남군→[후한]예주자사부 진국→[266?]폐지
  • 위치: 《33.82343, 114.95606》 허난성 저우커우시 회이양구 린차이진(河南省周口市淮阳区临蔡镇)
  • 부락현(扶樂縣): 44년 설치→서진 폐지
  • 소속: [44]예주자사부 여남군→[73]회양군→[후한]진국→[서진]폐지
  • 위치: 《34.12762, 114.65655》 허난성 저우커우시 타이캉현 칭지진 시푸촌(河南省周口市太康县清集镇西扶村)
  • 무평현(武平縣): 25년 설치
  • 소속: [25]예주자사부 회양군→[후한]예주자사부 진국→[277]양국→[서진]예주 양국
  • 봉국: 조조–무평후(196~213)
  • 위치: 《33.93942, 115.28152》 허난성 저우커우시 루이현 추지향 다바이촌(河南省周口市鹿邑县邱集乡大白村)
  • 장평현(長平縣)
  • 소속: [진]회양군→[전한]예주자사부 여남군→[후한]예주자사부 진국→[277]영천군→[서진]예주 영천군
  • 봉국: 조휴–장평후(226~?)
  • 위치: 《33.86335, 114.58909》 허난성 저우커우시 시화현 톈커우향 링첸촌(河南省周口市西华县田口乡陵前村)
  • 신정(辰亭): 《33.89593, 114.43844》
'진정'으로도 읽을 수 있다.
  • 광향국(廣鄕國): 135년 설치→후한 폐지
    • 지명: 사구정(蛇丘亭)→[135]광향국
    • 소속: [135]예주자사부 진국→[후한]폐지
    • 위치: 《33.92711, 115.28300》 허난성 저우커우시 루이현 추지향 우핑청촌(河南省周口市鹿邑县邱集乡武平城村)
  • 고시현(固始縣): 후한 폐지(양가현에 합병)
    • 지명: [진]고릉현(固陵縣)?→[전한]고시현→[후한]고릉취(固陵聚)
    • 소속: [진]회양군→[전한]연주자사부 회양국→[후한]폐지
    • 위치: 《33.80199, 114.76242》 허난성 저우커우시 회이양구 치라오향 리우베이촌(河南省周口市淮阳区齐老乡柳北村)

7. 노국(魯國)[편집]


원래 진나라가 설치한 설군(薛郡)이었으나, 전한 때 노왕(魯王)의 식읍이 되면서 개명되었다. 후한 때에는 광무제의 황태자였던 동해왕 유강이 죽은 뒤, 이를 계승한 동해왕들은 그 봉호(封號)와는 다르게 실제로는 노군을 그 식읍으로 삼았다. 213년에 황자 유돈(劉敦)이 동해왕으로 책봉되었는데, 그 당시에는 기존의 동해왕을 계승한 유선(劉羨)이 존재하고 있었다. 기록에 기재되지는 않았으나 봉호가 중복되는 제후는 존재할 수는 없는 만큼, 아마도 이때 유선은 그 봉토의 원래 이름에 따라 노왕으로 개봉(開封)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지명
[진]설군→[-182]노국→[-179]설군→[-154]노국→[10]노군(魯郡)→[25]노국→[52]노군→[58]노국→[220]노군→[232]노국→[265]노군→[275]노국
소속
진(秦)→[전한]예주자사부→[23?]서주자사부→[26?]예주자사부→[서진]예주
치소
노현
전입
[277]패국 공구현
출신
노현: 공융
추현: 당빈
봉국
유선(劉羨)–동해왕(~220), 조온(曹溫)–노왕(232~265), 가충–노군공(265~), 유영(劉永)–노왕(221~230), 손패(孫霸)–노왕(242~250), 손건(孫虔)–노왕(273~280)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설군: 노현, 무염현, 임성현, 설현, 번현, 방여현, 추현, 영양현, 문양현, 변현, 승현, 음평현, 건양현, 강현, 등현, 하구현, 항보현, 수창현, 시현, 평륙현(平陸縣·연혁 미상), 평양현(平陽縣·연혁 미상), 호릉현(胡陵縣·연혁 미상), 상비현(上邳縣·연혁 미상), 장현? 이외 미상
전한
노국(6현 118,045호 607,381구): 노현(52,000호), 변현, 문양현, 번현, 추현, 설현

문양현→문정현(汶亭縣), 추현→추정현(騶亭縣)
후한
노국(6성 78,447호 411,590구): 노현, 추현, 번현, 설현, 변현, 문양현
서진
노군(7현 3,500호): 노현, 문양현, 변현, 추현, 번현, 설현, 공구현

  • 노현(魯縣): 노국 치소
    • 소속: [진]설군→[한]예주자사부 노국→[서진]예주 노국
    • 위치: 《35.59755, 116.98606》 산둥성 지닝시 취푸시(山东省济宁市曲阜市)
    • 궐리(闕里): 《35.61038, 116.98712》
공자의 출신지로 그의 생가가 위치한 곳이다.
  • 추현(騶縣)
맹자가 이 현에 있던 추나라 출신이다.
  • 지명: [진]추현(鄒縣)→[전한]추현(騶縣)
  • 소속: [진]설군→[한]예주자사부 노국→[서진]예주 노국
  • 위치: 《35.30132, 116.99194》 산둥성 지닝시 쩌우청시 이산진(山东省济宁市邹城市峄山镇)
  • 번현(蕃縣·番縣)
  • 소속: [진]설군→[한]예주자사부 노국→[서진]예주 노국
  • 위치: 《35.08502, 117.15701》 산둥성 짜오좡시 텅저우시(山东省枣庄市滕州市)
  • 설현(薛縣)
  • 소속: [진]설군→[한]예주자사부 노국→[서진]예주 노국
  • 봉국: 무해–설후(264~)
  • 위치: 《34.91616, 117.21185》 산둥성 짜오좡시 텅저우시 관차오진 시왕좡촌(山东省枣庄市滕州市官桥镇西王庄村)
  • 변현(卞縣)
  • 소속: [진]설군→[한]예주자사부 노국→[서진]예주 노국
  • 위치: 《35.62962, 117.4981》 산둥성 지닝시 쓰수이현 취린진(山东省济宁市泗水县泉林镇)
  • 문양현(汶陽縣)
  • 소속: [진]설군→[한]예주자사부 노국→[서진]예주 노국
  • 위치: 《35.91158, 116.97633》 산둥성 타이안시 닝양현 장지진(山东省泰安市宁阳县蒋集镇)
  • 등현(滕縣): [진]설군→전한 폐지
  • 위치: 《35.04405, 117.08502》 산둥성 짜오좡시 텅저우시 장툰진(山东省枣庄市滕州市姜屯镇) 텅청(滕城)고성

8. 패국(沛國)[편집]


진(秦)나라의 사천군이었는데, 역사 기록에서는 사수군(泗水郡)으로 잘못 기록되었다. 전한 때 한고제의 고향 이름을 따와 패군이 되었는데, 그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없다. 한나라 때는 단순히 패(沛)라고 약칭하면 패군(상현)과 패현이 서로 구분되지 않았기에, 패현을 가리킬 때는 '소패(小沛)'라고 부르게 되었다.
지명
[진]사천군(四川郡)→[전한]패군(沛郡)→[37]패군→[44]패국→[220]패군→[232]패국
소속
진(秦)→[한]예주자사부→[서진]예주
치소
[진]패현→[전한]상현→[238]패현
분합
[삼국]초군도위?→[220]초군: 초현·차현·다현·건평현·임수현·태구현
전입
[220]여남군 산상현, [238]서주 팽성국 광척현, [서진]초국 상현·소현·효현·죽읍현·부리현·공현
전출
[238]상현·소현·효현·기현·질현·죽읍현·용항현·부리현·공현·산상현→초군, [277]공구현→노국 및 광척현→서주 팽성국
폐지
[삼국]곡양현·향현
출신
풍현: 장로오두미도 교주들
초현: 조조 등 위나라 황실, 하후돈 등 하후씨 일족, 허저, 화타
상현: 유정
기현: 누현
죽읍현: 무주·무해 등 무씨 가문, 설종
봉국
유계(劉契)–패왕(~220), 조림(曹林)–패왕(232~265), 사마경(司馬景)–패왕(232~265)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사천군: 패현, 상현, 부양현, 부리현, 하상현, 취려현, 구유현, 질현, 풍현, 공현, 평아현, 서현, 여현, 팽성현, 동현, 하채현, 산상현, 기현, 치구현, 오현, 성보현, 죽읍현, 소현, 유현, 척현 이외 미상
전한
패군(37현 409,079호 2,030,480구): 상현, 용항현, 죽현, 곡양현, 소현, 향현, 질현, 광척국, 하채현, 풍현, 다현, 초현, 기현, 공현, 첩여현, 산상현, 공구국, 부리현, 경구국, 하구현, 효국, 패현, 망현, 건성국, 성보현, 건평국, 차현, 율국, 부양국, 고국, 고시국, 표양현, 평아국, 동향현, 임도현, 의성현, 기향국

패군오부군(吾符郡), 상현→오부정현(吾符亭縣), 죽현→독정현(篤亭縣), 광척현→역취현(力聚縣), 풍현→오풍현(吾豊縣), 다현→단성현(單城縣), 초현→연성정현(延成亭縣), 기현→기성현(蘄城縣), 공현→공현(貢縣), 첩여현→화락현(華樂縣), 부리현→부합현(符合縣), 하구현→귀사현(歸思縣), 효국→육성현(育成縣), 망현→박치현(博治縣), 성보현→사선현(思善縣), 건평국→전평현(田平縣), 차현→찬치현(贊治縣), 율국→성부현(成富縣), 부양국→합치현(合治縣), 평아국→평녕현(平寧縣), 기향국→회곡현(會谷縣)
후한
패국(21성 200,495호 251,393구[1]): 상현, 소현, 패현, 풍현, 차현, 곡양현, 초현, 효현, 기현, 질현, 다현, 건평현, 임수현, 죽읍국, 공구현, 용항현, 향현, 부리현, 공현, 태구현, 저추현
서진
패국(9현 5,096호): 상현, 패현, 풍현, 죽읍현[2], 부리현, 저추현, 효현, 공현, 소현

  • 패현(沛縣): 패국 치소
패국 치소가 상현에 있었을 때에는 패군 치소와 구분하기 위해 '소패현(小沛縣)'으로도 불렸다. 군웅할거 시기 초반에는 도겸이 여기까지 진출하여 자신의 영역으로 삼았고, 유비를 멋대로 예주자사로 임명해 이곳에 주둔시켰는데, 이로 인해 '소패'가 『삼국지연의』에서만 등장하는 서주에 소속된 가상 지명이라 오해하기도 한다.
  • 소속: [진]사천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서진]예주 패국
  • 위치: 《34.73800, 116.92695》 장쑤성 쉬저우시 페이현(江苏省徐州市沛县)
  • 사수정(泗水亭): 《34.73863, 116.99125》
한고제가 정장을 역임했던 곳. 이곳의 이름으로 인해 사천군이 사수군으로 오전(誤傳)된 듯하다.
  • 중회성(仲虺城): 《34.90614, 117.03094》
  • 풍현(豊縣)
한고제가 이 현의 중양리(中陽里) 출신이다. 역사 기록에서는 패현 '풍읍(豊邑)'으로 기록되어 패현의 하위 구역으로 이해되는데, 간독 등에서는 엄연히 진나라 때부터 '풍현'으로 나온다. 아마도 당시 사천군의 치소가 패현에 있었고, 젊은 시절 고제의 주요 행적도 패현에서 일어난 일이라 후세에 이렇게 오전(誤傳)된 듯하다. 238년에 패국으로 개편되었을 때, 풍현이 팽성국 소속 풍국(豊國)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당시 풍현에는 봉국이 운영되지 않았으며, 풍현이 팽성국 소속이었다면 월경지가 되기에 오류로 판단된다.
  • 소속: [진]사천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24?]서주 팽성군→[238]예주 패국→[서진]예주 패국
  • 봉국: 조완(曹琬)–풍왕(254~265?)
  • 위치: 《34.69950, 116.58705》 장쑤성 쉬저우시 펑현(江苏省徐州市丰县) 고성
  • 공구현(公丘縣)
  • 지명: [전한]공구국(公丘國)
  • 소속: [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77]노국→[서진]예주 노국
  • 위치: 《35.06631, 117.06455》 산둥성 짜오좡시 텅저우시 장툰진 시좡촌(山东省枣庄市滕州市姜屯镇奚庄村)
  • 저추현(杼秋縣)
  • 소속: [전한]예주자사부 양국→[후한]패국→[서진]예주 패국
  • 위치: 《34.40098, 116.56785》 안후이성 쑤저우시 당산현 원좡진 마오탕촌(安徽省宿州市砀山县文庄镇毛堂村)
  • 정피(鄭陂): 《34.30046, 116.74592》
  • 광척현(廣戚縣)
  • 지명: [전한]광척국(廣戚國)→[후한]광척현
  • 소속: [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서주자사부 팽성국→[238]예주 패국→[서진]서주 팽성국
  • 위치: 《34.51814, 116.91773》 장쑤성 쉬저우시 페이현 징안진 쉬좡촌(江苏省徐州市沛县敬安镇许庄村)
  • 곡양현(穀陽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삼국]폐지
  • 위치: 《33.31458, 117.31171》 안후이성 벙부시 구전현(安徽省蚌埠市固镇县)
  • 향현(向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삼국]폐지
  • 위치: 《33.08128, 117.14322》 안후이성 벙부시 화이위안현 구청진(安徽省蚌埠市怀远县古城镇)
  • 첩여현(輒與縣): 후한 폐지
  • 건성국(建成國): 후한 폐지
  • 위치: 《33.88723, 116.42841》 허난성 상추시 융청시 허우링향(河南省商丘市永城市侯岭乡)
  • 율국(栗國): 후한 폐지
  • 지명: [진]율현(栗縣)
  • 소속: [진]탕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폐지
  • 위치: 《34.23156, 116.11922》 허난성 상추시 샤이현(河南省商丘市夏邑县) 고성
  • 부양국(扶陽國): 후한 폐지
  • 위치: 《34.12048, 116.91875》 안후이성 쑤저우시 샤오현 딩리진 딩리촌(安徽省宿州市萧县丁里镇丁里村)
  • 고국(高國): 후한 폐지
  • 고시국(高柴國): 후한 폐지
  • 표양현(漂陽縣): 후한 폐지
  • 동향현(東鄕縣): 후한 폐지
  • 임도현(臨都縣): 후한 폐지
  • 기향국(祈鄕國): 후한 폐지
  • 위치: 《34.40723, 116.16189》 허난성 상추시 샤이현 양지진(河南省商丘市夏邑县杨集镇)

9. 초군(譙郡)[편집]


초군이 신설된 해가 213년인지 220년인지 의견이 분분하다. 일단 역사 기록상으로는 황초(黃初) 원년인 220년으로 기록되었거나 위나라에서 세운 것으로 나와 있으나, 217년에 죽은 왕찬의 시 중에 '초군'이 언급되기 때문에, 213년 조조구주를 재편한 이후인 후한 말 때의 일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가충이 급군전농중랑장(汲郡典農中郞將)이 된 시점이 255년 관구검의 반란을 진압하기 이전에 해당되는데, 급군은 서진 때인 266년에야 군으로 독립한 사례가 있다. 이를 통해 본다면, 220년 초군이 정식으로 패군에서 분할되기 이전에 213년 이후 '도위부(都尉部)'가 형성되었거나 그 이전부터 '초군전농'이 임명되어 패국에서 사실상 분리되어 있었던 것으로 해석한다면, 왕찬의 시에 '초군'이 등장하는 것이 이해하지 못할 일은 아니다. 즉 초군이 패군에서 정식 분할된 것은 220년이 옳다고 판단된다.
지명
[220]초군→[222]초국(譙國)→[224]초군→[265]초국
소속
[220]예주→[서진]예주
치소
초현
전입
[220]패군 초현·차현·다현·건평현·임수현·태구현 및 여남군 성보현, [238]패국 상현·소현·효현·기현·질현·죽읍현·용항현·부리현·공현·산상현 및 여음군 송현 및 진군 고현
전출
[서진]상현·소현·효현·죽읍현·부리현·공현→패국 및 고현→양국 및 송현→여음군
폐지
[삼국]다현·건평현·임수현·태구현
출신
초현: 문흠·문앙·문호 부자
봉국
조림(曹林)–초왕(222~224), 사마손–초왕(265~)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서진
초군(7현 1,000호): 초현, 성보현, 차현, 산상현, 용항현, 기현, 질현

238년에 패국에서 이속된 10현이 『삼국지』에서는 여음군으로 이속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여음군 송군을 초군으로 이속해 온 것을 잘못 기록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그 해석을 따른다.
  • 초현(譙縣): 예주자사(~226?) 및 초군 치소
    • 소속: [진]탕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20?]초군→[서진]예주 초국
    • 봉국: 조림(曹林)–초후(217~)→공(221~222)→왕(224~226)
    • 위치: 《33.87929, 115.7709》 안후이성 보저우시(安徽省亳州市)
  • 차현(酇縣)
'酇'는 패군(초군) 소속의 현일 때 '차'로 읽고, 남양군 소속의 현일 때 '찬'으로 읽는다. 『삼국지』에는 '贊'으로 오기되었다.
  • 소속: [진]탕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20?]초군→[서진]예주 초국
  • 봉국: 조곤–차후(217~)→공(221~222)→왕(224~226), 조심(曹尋)–차왕(235~248)
『삼국지』에는 조곤이 차왕이 된 것이 황초 4년(223)으로 되어있으나, 왕의 식읍이 현 단위가 된 것이 224년의 일이므로 이를 정정하였다.
  • 위치: 《33.95912, 116.10895》 허난성 상추시 융청시 춰청진(河南省商丘市永城市酂城镇)
  • 비정(費亭): 《33.86511, 116.25901》
조등의 식읍이었다.
  • 성보현(城父縣)
    • 소속: [진]사천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여남군→[220?]초군→[서진]예주 초국
    • 위치: 《33.63886, 115.99254》 안후이성 보저우시 차오청구 청푸진(安徽省亳州市谯城区城父镇)
  • 상현(相縣)
    • 소속: [진]사천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38]초군→[서진]예주 패국
    • 봉국: 조잠(曹潛)–상왕(233~236·255~265?)
    • 위치: 《33.97873, 116.65063》 안후이성 화이베이시 샹산구 취궈진 리우러우촌(安徽省淮北市相山区渠沟镇刘楼村)
    • 영벽(靈壁): 《33.94727, 116.67657》
  • 소현(蕭縣)
    • 소속: [진]사천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38]초군→[서진]예주 패국
    • 봉국: 조병(曹炳)–소왕(234~238)
    • 위치: 《34.20547, 116.92397》 안후이성 쑤저우시 샤오현 성취향 성취촌(安徽省宿州市萧县圣泉乡圣泉村)
  • 효현(洨縣)
    • 지명: [전한]효국(洨國)
    • 소속: [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38]초군→[서진]예주 패국
    • 위치: 《33.32044, 117.54943》 안후이성 벙부시 구전현 하오청진(安徽省蚌埠市固镇县濠城镇)
    • 해하취(垓下聚): 《33.32809, 117.54917》
항우가 패망한 해하 전투가 일어난 위치이다. 해하 전투가 일어난 위치에 있어서 다소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일단락된 이야기이다. 우선 『사기』의 주석서인 『사기정의(史記正義)』에 따라 해하가 고현(苦縣)에 소속된 지역으로 보는 이른바 '녹읍(鹿邑)설'은, 다른 문헌들에서 일제히 해하가 효현 소속인 지역이라고 한 것과 충돌한다. 또한 항우의 마지막 전투가 해하가 아닌 '진하(陳下)'라고 주장하는 설은, 진하 전투가 해하 전투 이전에 치러진 별개의 전투임을 파악하지 못하여 주장되는 학설이다.[2]
  • 기현(蘄縣)
    • 지명: [진]점현(蔪縣)→[전한]기현
    • 소속: [진]사천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38]초군→[서진]예주 초국
    • 위치: 《33.44256, 117.01277》 안후이성 쑤저우시 융차오구 치셴진(安徽省宿州市埇桥区蕲县镇)
  • 질현(銍縣)
    • 소속: [진]사천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38]초군→[서진]예주 초국
    • 위치: 《33.58245, 116.73623》 안후이성 화이베이시 쑤이시현 쑨팅진 리우웨이촌(安徽省淮北市濉溪县孙町镇刘圩村)
  • 죽읍현(竹邑縣)
    • 지명: [진]죽읍현→[전한]죽현(竹縣)→[후한]죽읍국(竹邑國)
    • 소속: [진]사천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38]초군→[서진]예주 패국
    • 위치: 《33.76696, 116.96673》 안후이성 쑤저우시 융차오구 푸리진(安徽省宿州市埇桥区符离镇)
  • 용항현(龍亢縣)
    • 소속: [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38]초군→[서진]예주 초국
    • 위치: 《33.13891, 116.89249》 안후이성 벙부시 화이위안현 룽캉진(安徽省蚌埠市怀远县龙亢镇)
  • 부리현(符離縣)
    • 소속: [진]사천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38]초군→[서진]예주 패국
    • 위치: 《33.68702, 117.20868》 안후이성 쑤저우시 융차오구 하오궈향(安徽省宿州市埇桥区蒿沟乡)
  • 공현(虹縣)
    • 지명: [전한]공현(𧈬縣)
    • 소속: [진]사천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38]초군→[서진]예주 패국
    • 위치: 《33.18223, 117.72432》 안후이성 벙부시 우허현 샤오쉬진(安徽省蚌埠市五河县小圩镇)
  • 산상현(山桑縣)
    • 지명: [후한]산상국(山桑國)
    • 소속: [진]사천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여남군→[220?]패군→[238]초군→[서진]예주 초국
    • 봉국: 문흠–산상후(?~254)
    • 위치: 《33.40799, 116.5526》 안후이성 보저우시 멍청현 루이지촌(安徽省亳州市蒙城县芮集村)
  • 고현(苦縣)
    • 소속: [진]회양군→[전한]연주자사부 회양국→[후한]예주자사부 진국→[238]초군→[서진]예주 양국
    • 위치: 《33.86077, 115.48136》 허난성 저우커우시 루이현(河南省周口市鹿邑县)
    • 평성(平城): 《33.75567, 115.46749》
  • 송현(宋縣)
    • 지명: [진]신처현(新郪縣)→[-8]은소가국(殷紹嘉國)→[2]송국(宋國)→[23]은소가국→[37]송국→[220?]송현
    • 소속: [진]회양군→[한]예주자사부 여남군→[222]여음군→[238]초군→[서진]예주 여음군
    • 봉국: 공○–송공(2~220?)→현후(265~)
이왕삼각에 따른 예우를 받는 왕조의 후예인 송공(宋公)의 식읍이다.[3] 기원전 8년에 은소가후(殷紹嘉侯)로 책봉되었다가 4개월 뒤 은소가공(殷紹嘉公)이 되었으며 기원후 2년에 송공(宋公)으로 승격했는데, 신나라 때 장소후(章昭侯)로 격하되었다가 신나라가 멸망하면서 은소가공으로 환원되었으나, 37년에 다시 송공이 되었다. 위나라 때는 공식적으로 '송현'이 되었던 것을 보면, 상나라 후예들에 대한 이왕삼각은 중단된 것으로 판단된다. 서진 때 현후로 책봉되었다.
  • 위치: 《33.41061, 115.61267》 안후이성 푸양시 타이허현 니추진(安徽省阜阳市太和县倪邱镇)
  • 다현(鄲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20?]초군→[삼국]폐지
  • 위치: 《33.74846, 116.34171》 안후이성 보저우시 워양현 단청진(安徽省亳州市涡阳县丹城镇)
  • 건평현(建平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지명: [전한]건평국(建平國)
  • 소속: [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20?]초군→[삼국]폐지
  • 위치: 《34.08171, 115.94837》 허난성 상추시 샤이현 마터우진 쉬야오촌(河南省商丘市夏邑县马头镇徐窑村)
  • 임수현(臨睢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지명: [진]망현(芒縣)→[후한]임수현
  • 소속: [진]탕군→[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20?]초군→[삼국]폐지
  • 위치: 《34.03668, 116.43211》 허난성 상추시 융청시 천지진(河南省商丘市永城市陈集镇)
  • 태구현(太丘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지명: [전한]경구국(敬丘國)→[후한]태구현
  • 소속: [전한]예주자사부 패군→[후한]패국→[220?]초군→[삼국]폐지
  • 위치: 《34.11170, 116.28903》 허난성 상추시 융청시 타이추진(河南省商丘市永城市太丘镇)

10. 안풍군(安豊郡)[편집]


전한 때인 기원전 121년에 이 지역에 육안국(六安國)이 설치되었는데, 후한 때인 37년에 폐지되어 여강군에 합병되었다. 원래 양주자사부 지역이나 220년에 여강군 안풍현(安風縣)·우루현·요현·안풍현(安豊縣)을 분할해 안풍군을 설치하고 예주에 소속시켰다.
지명
[-121]육안국(六安國), [220]안풍군(安豊郡)
소속
[전한]양주자사부→[37]여강군에 합병, [220]예주→[서진]예주
치소
[전한]육현, [220]안풍현(安風縣)
전입
[220]양주 여강군 안풍현(安風縣)·우루현·요현·안풍현(安豊縣), [280]오 양주 여강군 송자현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전한
육안국(5현 38,345호 178,616구): 육현, 요현, 안풍현(安豊縣), 안풍현(安風縣), 양천현

육안국안풍군(安風郡), 안풍현(安風縣)→안풍정현(安風亭縣), 안풍현(安豊縣)→미풍현(美豊縣)
서진
안풍군(5현 1,200호): 안풍현(安風縣), 우루현, 안풍현(安豊縣), 요현, 송자현

  • 안풍현(安風縣): 안풍군 치소
    • 지명: [후한]안풍국(安風國)
    • 소속: [전한]양주자사부 육안군→[후한]여강군→[220]예주 안풍군→[서진]예주 안풍군
    • 위치: 《32.31417, 116.23528》 안후이성 루안시 훠추현 청관진 쩌궈촌(安徽省六安市霍邱县城关镇泽沟村)
    • 안풍진(安風津): 《32.48415, 116.25028》
  • 우루현(雩婁縣)
    • 지명: [후한]우루국(雩婁國)
    • 소속: [진]구강군→[한]양주자사부 여강군→[220]예주 안풍군→[서진]예주 안풍군
    • 봉국: 하정–우루후(264~)
    • 위치: 《31.85905, 115.87859》 허난성 신양시 구스현 천린쯔진 난구청촌(河南省信阳市固始县陈淋镇南古城村)
  • 요현(蓼縣)
    • 지명: [후한]요국(蓼國)
    • 소속: [전한]양주자사부 육안군→[후한]여강군→[220]예주 안풍군→[서진]예주 안풍군
    • 위치: 《32.37073, 115.75157》 허난성 신양시 구스현 펑강향 자오웨이촌(河南省信阳市固始县丰港乡赵围村)
  • 안풍현(安豊縣)
    • 소속: [진]구강군→[전한]양주자사부 육안군→[후한]여강군→[220]예주 안풍군→[서진]예주 안풍군
    • 위치: 《32.02245, 115.80592》 허난성 신양시 구스현 장라오부향 화위안촌(河南省信阳市固始县张老埠乡花园村)
    • 가피(茄陂): 《32.02726, 115.82699》

11. 같이보기[편집]


파일:실제 지도 후한 13주.png
[1] 『삼국지』 가규전에 조예가 즉위할 무렵에 예주의 치소는 항현으로 나온다. 243년에 당시 도독형·예제군사(都督荊豫諸軍事) 왕창은 형주의 치소를 완현에서 신야현으로 보다 전진 배치했는데, 이때 예주의 치소도 형주 전선과 가까운 안성현으로 이전한 것으로 보인다.[2] 관영근흡이 진하에서 항우를 격파한 뒤에, 관영은 유방에 합류하여 해하 전투에 참전해 항우를 최후까지 추격했고, 근흡은 그대로 남진하여 남군(南郡) 일대를 평정했다.[3] 공자가 상나라 왕실의 후예였기에, 실제로는 공자의 방계 후손이 책봉되었다. 공자의 직계 자손들은 전국시대부터 식읍을 수여받아 전한 때까지 군(君)으로 불리다가, 기원후 1년에 포성후(褒成侯)로 책봉되었는데, 후한 때에는 정후(亭侯)로 취급되었다. 위나라 때는 명호후의 일종인 종성후(宗聖侯)로 격이 낮아졌다가, 서진 때 다시 정후로 승격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3;"
, 2.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3;"
, 2.3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5:46:11에 나무위키 삼국지/지명/예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