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지명/익주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삼국지/지명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익주






1. 개요
1.1. 촉(蜀) 지방
1.2. 파(巴) 지방 및 북부
1.3. 남중(南中) 지방
2. 촉군(蜀郡)
3. 문산군(汶山郡)
4. 한가군(漢嘉郡)
5. 건위군(犍爲郡)
6. 강양군(江陽郡)
7. 광한군(廣漢郡)
8. 동광한군(東廣漢郡)
9. 자동군(梓潼郡)
10. 파서군(巴西郡)
10.1. 탕거군(宕渠郡)
11. 파군(巴郡), 일명 신파군
12. 파동군(巴東郡)
13. 부릉군(涪陵郡)
14. 한중군(漢中郡)
15. 무도군(武都郡)
16. 음평군(陰平郡)
17. 주제군(朱提郡)
17.1. 남광군(南廣郡)
18. 건녕군(建寧郡)
19. 운남군(雲南郡)
20. 월수군(越巂郡)
21. 영창군(永昌郡)
22. 장가군(牂牁郡)
23. 흥고군(興古郡)
24. 같이보기


1. 개요[편집]


기원전 107년에 처음 자사를 설치할 때, 이 방면을 맡는 자사의 감찰 구역이 원래 예주 이남의 남부 지방을 가리키던 지방 이름인 양주(梁州)와 겹치는 부분이 있었는데, 양(梁)이 위나라를 가리킨다고 여겼는지 익주(益州)라고 명명하였다. 현재의 쓰촨성·충칭시·구이저우성·윈난성산시성·간쑤성의 남부 일부에 해당한다.[1]

익주는 세부적으로 촉(蜀)·파(巴)·한천(漢川)·남중(南中) 지방으로 구분되었다. 각각 진(秦)나라 때의 촉군·파군·한중군 영역과 한무제 때 새로 군이 설치된 지역들에 해당한다. 촉 지방과 파 지방은 현대의 쓰촨 분지에 해당하며, 당대에도 이를 통칭해 파촉(巴蜀)으로 부르기도 했다. 분지라는 지형의 특성상 한천 지방이나 파촉은 사방이 험준한 산으로 둘러싸여 출입이 어려운 곳이었고, 이에 진나라 때부터 유배지로 악명이 높았던 곳이었다.
  • 치소(治所)[2]: [후한]광한군 낙현→[188]광한군 면죽현→[194]촉군 성도현
    • 양주(梁州)자사: [263]한중군 면양현→[282]한중군 남정현
    • 영주(寧州)자사: [271]건녕군 전지현
      • 내항도독: [214]주제군 남창현→[221]장가군 평이현→[229]건녕군 미현
  • 184년?: 촉군 속국도위부를 승격하여 한가군 설치.
  • 188년?: 한가군을 폐지하여 촉군 속국도위부로 환원함. 촉군 북부도위부를 승격하여 문산군 설치.
  • 195년: 파군을 분할해 영녕군·고릉군 설치.[3]
  • 197년: 문산군을 폐지하여 촉군 북부도위부로 환원함.
  • 213년: 건위속국도위부를 승격하여 주제군 설치.
  • 214년: 촉군 북부도위부를 승격하여 문산군 재설치. 파동군을 폐지하여 파군 강관도위부로 격하. 건위속국도위부를 승격하여 주제군 설치.
  • 215년[4]: 파군 강관도위부를 승격하여 고릉군 재설치. 파중(巴中)을 분할해 파서군·파동군(탕거군) 설치. 한중군을 분할해 서성군·상용도위부(상용군)·방릉군 설치. 광한속국도위부를 승격하여 음평군 설치.
  • 217년: 광한군을 분할해 자동군 설치.
  • 219년: 음평군 폐지.[5]
  • 220년: 서성군·상용군·방릉군이 위나라에 점령당하고, 위흥군·신성군으로 재편되어 형주에 소속됨.
  • 221년: 촉군 속국도위부를 승격하여 한가군 재설치.
  • 224년: 광한군을 분할해 동광한군 설치.
  • 225년: 남중 지방의 익주군·월수군·영창군·장가군을 건녕군·운남군·월수군·영창군·장가군·흥고군으로 재편.
  • 226년: 탕거군을 폐지하여 파서군에 합병.
  • 229년: 음평군 재설치. 양주(涼州) 무도군이 이속함.
  • 263년: 동광한군을 폐지하여 광한군에 합병. 음평군을 폐지하여 자동군에 합병. 한중군·광한군·자동군·파서군·파군·파동군·부릉군을 분할해 양주(梁州) 설치. 무도군을 옹주에 이속.
  • 266년: 양주(梁州) 광한군을 분할해 신도군·광한군 설치.[6]
  • 269년: 음평군을 재설치하여 진주에 이속.
  • 271년: 건녕군·영창군·운남군·흥고군을 분할해 영주 설치.

1.1. 촉(蜀) 지방[편집]


본래 진(秦)나라가 설치했던 촉군은 한나라 때에는 촉군·광한군·건위군 3군으로 나뉘었는데, 이를 통칭해 삼촉(三蜀)이라고 불렀다. 『삼국지연의』에선 '서천(西川)' 지방으로 언급되나, 이는 후대의 별명으로 당대에 쓰인 표현은 아니었다. 현대 쓰촨 분지의 서부에 해당하며, 진나라 때부터 수리시설이 정비되어 상당한 개발이 진행되어 왔기에, 다른 지역보다 높은 수준의 안정적인 생산력을 자랑했다. 관중 지방에 재난이 끊이지 않았던 초한전쟁 중에 유방항우에게 번번이 패배하면서도 병력이 부족한 적은 있었으나 물자가 부족한 일은 없던 것도, 촉 지방과 한천 지방의 생산력에 기댄 것이 컸다. 특히 고대부터 촉 지방의 비단은 높은 품질로 유명했기에, 삼국시대에도 촉한의 주요 특산품으로 자리매김했다.

한천 지방에 진입하는 것 자체에 절망(...)하고 있던 유방은 끝내 파촉까지 들어오지는 않았으나, 신–후한 교체기에 익주에서 할거했던 공손술은 촉군 성도현을 수도로 삼았으며, 후한 이후 익주자사의 치소는 모두 촉 지방에 있었다.

1.2. 파(巴) 지방 및 북부[편집]


후한 말 파 지방은 오두미교의 근거지였고, 유언이 당시 오두미교의 교주 장로를 한중태수로 임명했기에, 오두미교 교단은 한천(漢川) 지방까지 장악하게 되었다. '한천'이란 전통적으로 한중군의 별명으로 사용된 이름인데, 『삼국지연의』에선 '동천(東川)' 지방으로 언급되나, 이는 후대의 별명으로 당대에 쓰인 표현은 아니었다.

유장이 장로와 반목하면서, 장로가 태수직을 맡고 있던 한중군은 한녕군으로 개명되어 오두미교의 신정국가(...)가 되어버렸고, 유장은 장로 세력이 그대로 파군까지 장악하는 것을 막고자 195년에 파군을 분할해 영녕군과 고릉군을 설치하고 각각 태수들을 임명해 보냈다. 당시 파군태수로는 방희를 임명해 보내 장로를 막게 했으나, 유장은 곧 방희와도(...) 반목하였고, 200년에 방희가 성도를 포위했다가 화해를 청하자 이를 받아들였다. 방희가 유장과 화해를 결정한 이유는 기록에선 정기와의 일화 때문이라고 설명하나, 실제로는 장로의 위협 때문이라 추측된다. 방희의 치소가 위치한 낭중현은 오두미교의 총본산이었으므로 실제로는 장로의 영역이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이에 방희는 한창현에 주둔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창현 또한 나중에 조조가 차지한 것을 보면 방희는 결국 201년 이후에 장로의 공격을 받아 임지에서 쫓겨난 것으로 판단된다.

장로는 유장이 '파서군'으로 명명한 지역을 장악하고는 내부적으로 이를 '파중(巴中)'으로 불렀다. 215년에 조조가 장로의 항복을 받은 뒤에, '파중'을 나눠 파서군과 파동군을 설치했으며, 한중군을 나눠 새로 서성군을 설치하면서 서성군에 상용도위부를 두었는데, 이 무렵 한중군에서 방릉군도 분할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광한속국도위부에 소속된 저족 집단이 조조에 협력해 장로와 장로에 예속되어 있던 관중제장의 잔여 세력을 공격했기에, 광한속국도위부를 음평군으로 승격시켰다. 이후 유비가 한중 공방전에서 승리하면서 한천 지방 전역을 장악하게 되었는데, 이 시점에는 상용도위부가 상용군으로 승격된 상태였다. 조조는 유비의 북상을 염려하여 무도군·음평군의 주민들과 저족 집단을 옹주 우부풍으로 이주시켜 2군을 무인지대로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군웅할거 시기에 파 지방은 파서군·파군·파동군·부릉군·탕거군 5군으로 분할되었고, 한천 지방은 한중군·서성군·상용군·방릉군 4군으로 분할된 것이다. 그러나 220년에 서성군·상용군·방릉군이 위나라에 점령당해 형주에 소속되었다. 이후 탕거군이 폐지되었고, 229년에 제갈량이 폐지된 무도군·음평군 지역을 점령하여 다시 군·현을 설치했다.[7] 따라서 촉한 시기에는 파 지방은 4군이 되었고, 한중군·무도군·음평군 3군이 익주의 북부를 구성하는 형세가 되었는데, 실제로도 당대에 무도군과 음평군 지역을 한중군과 한 지방처럼 묶어서 통칭하는 경향이 있었다.

촉한이 멸망한 뒤 263년 말 무도군을 옹주로 이속하고, 음평군을 자동군에 동광한군을 광한군에 병합하였으며, 한중군·광한군·동광한군·자동군·파서군·파군·파동군·부릉군을 분할해 양주(梁州)를 설치했다.

1.3. 남중(南中) 지방[편집]


익주 남부지방의 익주군·월수군·영창군·장가군 등 4개 군은 당시에 '남중'이라는 지방 명칭으로 불렸는데, 후한 때부터 이 지방에는 '8성(姓)'으로 통칭되는 대호족들이 매우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214년에 익주를 얻은 유비는 이 남중 호족들을 통제하기 위해 건위속국도위부를 주제군으로 승격시키고, 등방을 주제태수로 삼으면서 안원장군과 내항도독(庲降都督)직을 겸임시켰는데, 남중 4군에 대한 방비를 맡긴 것이었다. 등방이 죽은 뒤인 221년에는 이회를 내항도독의 후임으로 임명하면서 교주자사를 겸임시켰다.[8]

유비가 죽자, 남중 호족 중 하나였던 옹개가 교지군의 사섭을 통해 손권의 후원을 받아, 손권에게 영창태수직을 임명받고는 남중 호족들을 선동하여 촉한에 반기를 들었다. 정작 영창군에서는 여개왕항이 옹개의 진입을 막아냈으나, 장가태수 주포가 반란에 합류했고, 익주군의 호족 맹획 등도 이에 동참했다. 월수군에서는 수족고정이 옹개에 협력했다. 225년에 제갈량이 직접 이 반란을 평정하러 출정했는데, 결국 내분이 일어나 옹개와 주포가 죽고, 고정 또한 사로잡혀 처형당했으며, 이때 맹획은 칠종칠금의 고사를 남기며 제갈량에게 항복했다. 반란이 평정되자, 제갈량은 이때 군공을 세워 활약한 병사들만 성도로 데리고 돌아가고, 그렇지 못한 병사들은 남중의 호족들에게 배분했는데, 이를 빌미로 호족들을 내항도독의 직할부대장으로 임명했다. 이로써 내항도독이 남중 호족들을 직접 통솔하는 역할을 맡게 된 것이다. 남중 4군을 재편해 건녕군·운남군·월수군·영창군·장가군·흥고군으로 만들었고, 여기에 주제군을 더해 남중 7군이 되어 이를 내항도독의 관할 구역으로 삼았다.

229년에 촉한이 오나라와 천하를 분할하는 맹약을 맺었는데, 이때 교주가 오나라의 영역으로 인정되면서 교주자사직을 둘 수 없게 되었다. 이에 이회는 건녕태수로 임명되었는데 내항도독은 그대로 겸임하였고, 이후 이회의 후임자들도 건녕태수와 내항도독을 겸임하게 되었다. 촉한이 멸망한 뒤에는 내항도독을 남중도독(南中都督)으로 고쳤다. 이후 서진 때인 271년에 남중 지방에 영주(寧州)가 설치되었는데, 건녕군·운남군·영창군·흥고군 4군만이 소속되었다. 282년에 영주를 폐지하여 익주에 합병했는데, 303년에 남중 7군을 분할해 다시 영주를 설치했다.

혹자는 내항도독이 관할하는 내항도독부(庲降都督部)가 남중 지방의 이민족들을 제어하기 위한 특별자치구역이라는 주장을 하는데, 이는 『화양국지』에 기록된 내항도독과 내항도독의 예하로 편성된 호족들의 역할과 상충하는 것으로, 전혀 근거가 없는 망상일 뿐이다. 내항도독은 어디까지나 군사분야에서 작전통제권을 갖는 관직이었을 뿐, 이를 통해 건녕태수가 행정영역에서 다른 6군 태수를 지휘하거나 감독할 수 있는 권한은 없었다. 내항도독이 남중 지방의 정치에서 특별했던 것은 225년 이후 남중 호족들이 내항도독의 예하부대장으로 편성되면서 내항도독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게 된 것에 있었다. 『화양국지』에서는 내항도독이 설치됨으로 인해 이민족들이 특별한 자치를 누렸다는 것을 전혀 찾아볼 수 없을뿐더러, 도리어 남중 호족들이 직접 이민족을 관리하게 만들어 그들의 직할부대로 편성하게 했다는 내용만 있을 뿐이다. 특히 후한은 이민족들을 직접 통치하는 것에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중원 내지에 산재한 이민족들조차 군·현에 직접 예속시키기보다는 그저 이민족 작위를 책봉하여 조세와 징집의 의무만을 부과했기 때문에, 삼국시대에 내항도독부의 설치로 남중의 이민족들이 특별한 자치를 누리게 되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삼국지연의』에서는 남중 지방이 남만족들이 우글거리는 두메산골의 별천지처럼 묘사했는데, 역사적으로 익주 지방의 이민족들은 '남만'이라고 부르지 않고 '서남이'라고 통칭했으며, 남중지방은 한무제 이후로 줄곧 군·현이 운영되어 왔기에 각색이 과한 것이다. 특히 남중 호족인 맹획이 남만왕(...)으로 둔갑하여 남중 반란의 주모자인 것처럼 묘사했으나, 실제 반란의 주모자는 옹개였고 그 주모자들이 내분을 일으켜 모두 죽으면서 맹획이 반란군을 이끄는 입장이 되어버렸던 것에 가깝다.

2. 촉군(蜀郡)[편집]


진(秦)나라가 기원전 316년에 사마착을 장수로 삼아 촉나라를 정복하고, 기원전 314년에 촉군을 설치했다. 221년에 유비가 황제가 되었으나, 성도현은 촉한의 임시 수도였기에 촉군태수가 윤(尹)으로 격상되지는 않았다.[9]
소속
진(秦)→[한]익주자사부→[219]한중국(漢中國)→[221]익주→[서진]익주
치소
성도현
분합
[후한]북부도위→[188]문산군→[197]북부도위→[214]문산군: 면제도·전저도·문강도·잠릉현·광유현
출신
성도현: 두경, 장예
봉국
유비–한중왕(219~221)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촉군: 성도현, 공현, 가맹현, 백수현, 전저도, 무양현, 임공현, 엄도, 청의도, 면제도, 신도현, 처현, 자동현, 전저도, 평락도, 부현, 음평도, 비현, 자중현, 포양현, 형산도(荊山道·연혁 미상)
전한
촉군(15현 268,279호 1,245,929구): 성도현[1], 비현, 번현, 광도현, 임공현, 청의현, 강원현, 엄도, 면제도, 모우현, 사현, 전저도, 문강도, 광유현, 잠릉현

광도현→취도정현(就都亭縣), 임공현→감공현(監邛縣), 강원현→공원현(邛原縣), 잠릉현→보창현(步昌縣)
후한
촉군(11성 300,452호 1,350,476구): 성도현, 비현, 강원현, 번현, 광도현, 임공현, 전저도, 문강도, 잠릉현, 광유현, 면제도
서진
촉군(6현 50,000호): 성도현, 광도현, 번현, 강원현, 임공현, 비현

  • 성도현(成都縣): 익주목(194~) 및 촉군 치소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촉군→[서진]익주 촉군
    • 위치: 《30.66125, 104.06332》 쓰촨성 청두시 칭양구(四川省成都市青羊区)
    • 혜릉(惠陵): 《30.64837, 104.04590》
유비의 무덤이나, 성한 무제가 여기에 무후사(武侯祠)를 설치한 이래 제갈량의 사당으로 유명해졌다. 그 유명세 덕분에 여기가 원래 유비의 무덤이라는 사실이 간과되어, 쓰촨성 몇 군데에서 유비의 무덤을 자칭(...)하는 장소가 등장하고 있다.
  • 비현(郫縣)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촉군→[서진]익주 촉군
    • 봉국: 조겸–비후(191~192?)
    • 위치: 《30.80707, 103.88877》 쓰촨성 청두시 피두구(四川省成都市郫都区)
  • 강원현(江原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촉군→[서진]익주 촉군
    • 위치: 《30.59065, 103.80243》 쓰촨성 청두시 솽류구 진차오진 완당촌(四川省成都市双流区金桥镇万凼村)
  • 번현(繁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촉군→[서진]익주 촉군
    • 위치: 247년에 현의 치소를 이전했다.
      • ~247: 《30.95826, 104.11392》 쓰촨성 청두시 펑저우시 멍양진 펑샤촌(四川省成都市彭州市蒙阳镇凤霞村)
      • 247~: 《30.87656, 104.01598》 쓰촨성 청두시 신두구 신판가도(成都市成都市新都区新繁街道)
  • 광도현(廣都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촉군→[서진]익주 촉군
    • 위치: 《30.43774, 104.04018》 쓰촨성 청두시 솽류구 정싱가도(四川省成都市双流区正兴街道)
  • 임공현(臨邛縣)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촉군→[서진]익주 촉군
    • 위치: 《30.41659, 103.45683》 쓰촨성 청두시 충라이시 린총가도(四川省成都市邛崃市临邛街道)
    • 화정(火井): 위치 미상(임공현 남쪽 100리)
  • 포양현(蒲陽縣): [진]촉군→전한 폐지
    • 위치: 《30.34215, 103.71091》 쓰촨성 청두시 충라이시 머우리진 융펑촌(四川省成都市邛崃市牟礼镇永丰村)

3. 문산군(汶山郡)[편집]


전한 때인 기원전 107년에 촉군과 인접한 산간 지역에 거주하는 강족들을 예속시키려는 목적으로 문산군을 설치하였으나, 기원전 67년에 문산군 운영을 포기하여 이미 현이 설치된 지역들을 촉군에 합병시켰고, 이 지역의 경비는 촉군의 북부도위(北部都尉)가 관장하게 했다. 후한 초기 각 군에 설치된 도위가 모두 폐지되었는데, 이때 촉군의 북부도위도 폐지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124년에는 다시 문산군 설치를 시도했으나 오래 유지되지 못하여 촉군북부도위부로 편성되었다. 유언이 188년 무렵에 북부도위부를 문산군으로 승격시켰는데, 197년에 다시 촉군북부도위부로 환원되었고, 214년에 유비가 다시 문산군으로 승격시켰다.
지명
[-107]문산군→[-67]북부도위부, [124]문산군→[후한]북부도위부→[188]문산군→[197]북부도위부→[214]문산군
소속
[-107]익주자사부→[-67]익주자사부 촉군→[30]폐지?, [124]익주자사부→[후한]익주자사부 촉군→[188]익주→[197]익주 촉군→[214]익주→[서진]익주
치소
[전한]문강현, [후한]면제도
전입
[후한]촉군 면제도·전저도·문강도·잠릉현·광유현
설치
[삼국]도안현·백마현·평강현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서진
문산군(8현 16,000호): 문산현, 승천현, 도안현, 광양현, 흥락현, 평강현, 잠릉현, 광유현

  • 면제도(綿虒道): 촉군북부도위–문산군 치소
    • 지명: [전한]면제도(緜虒道), [서진]문산현(汶山縣)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촉군→[188?]문산군→[197]촉군 북부도위부→[214]문산군→[서진]익주 문산군
    • 위치: 《31.35923, 103.49923》 쓰촨성 원촨현 몐쓰진(四川省汶川县绵虒镇)
  • 지도현(氏道縣)
    • 지명: [진]전저도(湔氐道)→[214?]지도현→[서진]승천현(升遷縣)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촉군→[188?]문산군→[197]촉군 북부도위부→[214]문산군→[서진]익주 문산군
    • 위치: 《32.77813, 103.62280》 쓰촨성 쑹판현 촨주쓰진(四川省松潘县川主寺镇)
  • 문강현(汶江縣)
    • 지명: [한]문강도(汶江道)→[서진]광양현(廣陽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촉군→[188?]문산군→[197]촉군 북부도위부→[214]문산군→[서진]익주 문산군
    • 위치: 서진 때 현 치소를 이전하고 광양현으로 개명했다.
      • 문강현: 《31.69484, 103.86322》 쓰촨성 마오현(四川省茂县)
      • 광양현: 《31.82769, 103.66592》 쓰촨성 마오현 사바진 바이부촌(沙坝镇白布村)
  • 잠릉현(蠶陵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촉군→[188?]문산군→[197]촉군 북부도위부→[214]문산군→[서진]익주 문산군
    • 위치: 《32.04317, 103.68100》 쓰촨성 마오현 뎨시진(四川省茂县叠溪镇)
  • 광유현(廣柔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촉군→[188?]문산군→[197]촉군 북부도위부→[214]문산군→[서진]익주 문산군
    • 위치: 《31.55406, 103.31273》 쓰촨성 리현 쉐청진(四川省理县薛城镇)
  • 도안현(都安縣): 236년 이전 설치
    • 소속: [삼국]익주 문산군→[서진]익주 문산군
    • 위치: 《31.00265, 103.71374》 쓰촨성 두장옌시 쉬지아진 쾅지아사구(四川省都江堰市胥家镇匡家社区)
    • 서진: 익주 문산군 도안현
    • 관판(觀坂): 《31.00516, 103.60753》
현대에는 도강언(都江堰·두장옌)으로 불린다.
  • 청성산(靑城山): 《30.91259, 103.56046》
오두미교의 성지. 무협지에서 등장하는 청성파와 관련이 있는 지명이다.
  • 백마현(白馬縣): 247년 이전 설치
    • 지명: [서진]흥락현(興樂縣)
    • 소속: [삼국]익주 문산군→[서진]익주 문산군
    • 위치: 《32.32180, 103.71719》 쓰촨성 쑹판현 전장관진(四川省松潘县镇江关镇)
  • 평강현(平康縣): 삼국시대 중 설치
    • 소속: [삼국]익주 문산군→[서진]익주 문산군
    • 위치: 《32.23206, 103.14473》 쓰촨성 헤이수이현 칭랑향(四川省黑水县晴朗乡)

4. 한가군(漢嘉郡)[편집]


전한 때인 기원전 111년에 작도(莋都)를 복속시키기 위해 침려군(沈黎郡)을 설치했었는데, 기원전 97년에 침려군 운영을 포기하여 이미 현이 설치된 지역들을 촉군에 합병시켰고, 이 지역의 경비는 촉군의 양부도위(兩部都尉)가 관장하게 했다. 후한 초기 각 군에 설치된 도위가 모두 폐지되었을 때 양부도위도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123년에 옛 침려군 지역에 속국도위(屬國都尉)를 설치하여 촉군속국도위부(蜀郡屬國都尉部)가 형성되었다. 184년 무렵에 촉군속국도위부를 한가군으로 승격시켰는데, 188년 무렵에 유언이 다시 촉군속국도위부로 환원했고, 221년에 유비가 다시 한가군으로 승격시켰다.
지명
[-111]침려군→[-97]양부도위부, [123]속국도위부→[184?]한가군→[188]속국도위부→[221]한가군
소속
[전한]익주자사부→[-97]익주자사부 촉군→[30]폐지?, [123]익주자사부 촉군→[184?]익주자사부→[188]익주 촉군→[221]익주→[서진]익주
치소
한가현
출신
신도현: 위계
현 미상: 왕모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후한
촉군속국도위부(4성 111,568호 475,629구): 한가현, 엄도, 사현, 모우현
서진
한가군(4현 13,000호): 한가현, 사양현, 엄도, 모우현

  • 한가현(漢嘉縣): 촉군속국도위–한가군 치소
    • 지명: [진]청의도(靑衣道)→[-182]청의현(靑衣縣)→[133]한가현→[188?]청의현→[221?]한가현
청의도는 이미 후한 때 '한가현'으로 개명되었으나, 220년에 '청의후' 상거가 확인된다. 아마도 한가군이 폐지된 188년에 한가현도 청의현으로 바뀌었다가, 221년에 다시 한가군이 설치되면서 환원되었고, 상거는 그사이에 현후로 책봉된 것이라 짐작된다. 후한 말부터 청의현으로 쓰였다가 서진 때 한가현으로 환원된 것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
  • 소속: [진]촉군→[전한]익주자사부 촉군→[후한]촉군속국도위부→[184?]한가군→[188?]촉군속국도위부→[221]한가군→[서진]익주 한가군
  • 봉국: 상거–청의후(220 이전~?)
  • 위치: 《30.15958, 102.92673》 쓰촨성 루산현(四川省芦山县)
  • 신도현(新道縣)
  • 지명: [진]엄도(嚴道)→[221?]신도현→[서진]엄도
  • 소속: [진]촉군→[전한]익주자사부 촉군→[후한]촉군속국도위부→[184?]한가군→[188?]촉군속국도위부→[221]한가군→[서진]익주 한가군
  • 위치: 《29.79533, 102.83732》 쓰촨성 잉징현(四川省荥经县)
  • 공우(邛郵): 《29.78187, 102.63532》?
  • 사현(徙縣)
  • 지명: [서진]사양현(徙陽縣)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촉군→[후한]촉군속국도위부→[184?]한가군→[188?]촉군속국도위부→[221]한가군→[서진]익주 한가군
  • 위치: 《30.02710, 102.82552》 쓰촨성 톈취안현 스양진(四川省天全县始阳镇)
  • 모우현(旄牛縣)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촉군→[후한]촉군속국도위부→[184?]한가군→[188?]촉군속국도위부→[221]한가군→[서진]익주 한가군
  • 위치: 《29.29939, 102.66261》 쓰촨성 한위안현 다수진(四川省汉源县大树镇)

5. 건위군(犍爲郡)[편집]


전한 때인 기원전 135년에 야랑국(夜郞國)을 복속시키면서 설치한 군인데, 당시 촉군의 일부가 함께 분할되면서 설치되었기에 삼촉(三蜀) 중 하나로 불리게 되었다.
소속
야랑국→[한]익주자사부→[219]한중국(漢中國)→[221]익주→[서진]익주
치소
[-135]폐현→[-130]남광현→[-86]북도→[107]무양현
분합
[삼국]지강도위→[213]강양군: 강양현·한안현·부절현
전출
[214]남광현→주제군
출신
무양현: 양홍, 장익, 양희
남안현: 비시
봉국
유비–한중왕(219~221)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전한
건위군(12현 109,419호 489,486구): 북도, 강양현, 무양현, 남안현, 자중현, 부현, 우비현, 남광현, 한양현, 존마현, 주제현, 당랑현

건위군서순군(西順郡), 북도→북치현(僰治縣), 무양현→집성현(戢成縣), 부현→부신현(符信縣), 한양현→신통현(新通縣), 존마현→잔마현(孱䣕縣)
후한
건위군(9성 137,713호 411,378구): 무양현, 자중현, 우비현, 남안현, 북도, 강양현, 부절현, 남광현, 한안현
서진
건위군(5현 10,000호): 무양현, 남안현, 북도, 자중현, 우비현

  • 무양현(武陽縣): 건위군 치소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건위군→[서진]익주 건위군
    • 위치: 《30.29328, 103.91959》 쓰촨성 메이산시 펑산구 우양진 취수이촌(四川省眉山市彭山区武阳镇泉水村)
    • 팽망취(彭亡聚): 《30.15718, 103.89904》
  • 자중현(資中縣)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건위군→[서진]익주 건위군
    • 위치: 《30.12267, 104.65019》 쓰촨성 쯔양시 옌장구(四川省资阳市雁江区)
  • 우비현(牛鞞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건위군→[서진]익주 건위군
    • 위치: 《30.39023, 104.54475》 쓰촨성 젠양시 젠청진(四川省简阳市简城镇)
  • 남안현(南安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건위군→[서진]익주 건위군
    • 위치: 《29.56444, 103.75589》 쓰촨성 러산시 스중구(四川省乐山市市中区)
    • 어부진(魚涪津·魚符津): 《29.70090, 103.77130》
    • 협구(峽口): 《29.54029, 103.76957》
    • 웅이협(熊耳峽): 《29.75331, 103.54073》
    • 아문산(牙門山): 《29.52162, 103.33584》
  • 북도(僰道)
『화양국지』에는 북도현(僰道縣)으로 기록되어 있다.
  • 소속: [진]파군→[한]익주자사부 건위군→[서진]익주 건위군
  • 위치: 《28.73091, 104.57377》 쓰촨성 이빈시 추이핑구 차이바진 산쯔촌(四川省宜宾市翠屏区菜坝镇扇子村)

6. 강양군(江陽郡)[편집]


원래 건위군 관할의 지강도위부(枝江都尉部)였는데, 지강도위가 언제부터 설치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유언이 설치한 것으로 추측된다. 213년에 지강도위부를 승격시켜 강양군으로 개편했다. 후에는 295년에 신락현(新楽県)이 추가로 설치되었다.
지명
[삼국]지강도위부→[213]강양군
소속
[삼국]익주 건위군→[213]익주→[서진]익주
치소
강양현
전입
[213]건위군 강양현·한안현·부절현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서진
강양군(3현 3,100호): 강양현, 부현, 한안현

  • 강양현(江陽縣): 지강도위–강양군 치소
    • 소속: [진]파군→[한]익주자사부 건위군→[213]강양군→[서진]익주 강양군
    • 위치: 《28.88436, 105.43700》 쓰촨성 루저우시 장양구(四川省泸州市江阳区)
  • 부절현(符節縣)
    • 지명: [전한]부현(符縣)→[후한]부절현→[서진]부현
    • 소속: [한]익주자사부 건위군→[213]강양군→[서진]익주 강양군
    • 위치: 《28.81200, 105.82673》 쓰촨성 허장현(四川省合江县)
    • 부관(符關): 《28.79906, 105.84477》
  • 한안현(漢安縣): 43년 설치
    • 소속: [43]익주자사부 건위군→[후한]건위군→[213]강양군→[서진]익주 강양군
    • 위치: 《29.58092, 105.04543》 쓰촨성 네이장시(四川省内江市)

7. 광한군(廣漢郡)[편집]


전한 초기인 기원전 201년에 촉군과 파군의 일부를 분할해 설치했다. 266년에 신도군(新都郡)으로 개명했다.
지명
[-201]광한군→[266]신도군→[277]신도국(新都國)→[283]신도군
소속
[한]익주자사부→[219]한중국(漢中國)→[221]익주→[263]양주(梁州)→[서진]양주
치소
[전한]자동현→[후한]낙현
분합
[217]자동군: 자동현·부현·가맹현·백수현
[224]동광한군→[263]광한군에 병합→[266]광한군: 처현·광한현·덕양현
설치
[삼국]양천현
폐지
[266?]양천현
출신
면죽현: 진밀
봉국
유비–한중왕(219~221), 사마해(司馬該)–신도왕(277~283)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전한
광한군(13현 167,499호 662,249구): 자동현, 십방현, 부현, 낙현, 면죽현, 광한현, 가맹현, 처현, 신도현, 전저도, 백수현, 강저도, 음평도

광한군취도군(就都郡), 낙현→오락현(吾雒縣), 십방현→미신현(美信縣), 광한현→광신현(廣信縣), 자동현→자동현(子同縣), 부현→통목현(統睦縣), 음평도→최로도(摧虜道), 전저도→치치도(致治道)
후한
광한군(11성 139,865호 509,438구): 낙현, 신도현, 면죽현, 십방현, 부현, 자동현, 백수현, 가맹현, 처현, 광한현, 덕양현
서진
신도군(4현 24,500호): 낙현, 십방현, 면죽현, 신도현

  • 낙현(雒縣): 익주자사(~188) 및 광한군–신도군 치소
    • 지명: 낙성(雒城)
    • 소속: [한]익주자사부 광한군→[266]양주 신도군→[서진]양주 신도군
    • 위치: 《30.99499, 104.30632》 쓰촨성 광한시 진옌가도 윈판촌(四川省广汉市金雁街道云盘村)
    • 대도(大渡): 《30.83831, 104.46630》
    • 안교(雁橋·鴈橋): 《30.99185, 104.27453》
후대에는 '금안교(金雁橋)'로 불리게 되었는데, 『삼국지연의』에서도 금안교로 나온다. 근처에 장임의 무덤이 있는데, 지금도 남아있다.
  • 신도현(新都縣)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광한군→[266]양주 신도군→[서진]양주 신도군
    • 위치: 《30.83234, 104.17057》 쓰촨성 청두시 신두구(四川省成都市新都区)
    • 비교(毗橋): 《30.79301, 104.13877》
  • 면죽현(綿竹縣): 익주목 치소(188~194)
제갈량의 아들 제갈첨과 손자 제갈상은 여기에서 등애를 상대로 농성했으나 전사했다. 『삼국지연의』에서는 '면죽관(綿竹關)'으로 나온다.
  • 지명: [전한]면죽현(緜竹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광한군→[266]양주 신도군→[서진]양주 신도군
  • 봉국: 오반–면죽후(231 이후~?)
  • 위치: 《31.24173, 104.41765》 쓰촨성 더양시 징양구 황쉬진(四川省德阳市旌阳区黄许镇)
  • 십방현(什邡縣)
  • 지명: [전한]십방현(汁方縣)·[서진]십방현(什方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광한군→[266]양주 신도군→[서진]양주 신도군
  • 위치: 《31.13427, 104.17404》 쓰촨성 스팡시(四川省什邡市)
  • 양천현(陽泉縣): 220년 이전 설치→266년 무렵 폐지
  • 소속: [삼국]익주 광한군→[266?]폐지
  • 봉국: 유표–양천후(220 이전~?)
  • 위치: 《31.25282, 104.27914》 쓰촨성 몐주시 샤오더진(四川省绵竹市孝德镇)

8. 동광한군(東廣漢郡)[편집]


224년에 광한군 처현·광한현·덕양현을 분할해 설치했다. 촉한이 멸망한 이후에 폐지되어 광한군에 합병되었으나, 266년에 동광한군을 다시 설치하면서 이를 광한군으로 명명했고, 기존의 광한군은 신도군으로 개명했다.
지명
[224]동광한군, [266]광한군→[277]광한국(廣漢國)→[280]광한군
소속
[224]익주→[263]폐지(광한군에 합병), [266]양주(梁州)→[서진]양주
치소
[224]처현, [266]광한현
전입
[224]광한군 처현·광한현·덕양현
설치
[삼국]오성현, [서진]오성현(재설치)
폐지
[266?]처현·오성현
봉국
사마찬(司馬贊)–광한왕(277~280)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서진
광한군(3현 5,100호): 광한현, 덕양현, 오성현

  • 처현(郪縣): 동광한군 치소→266년 무렵 폐지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광한군→[224]동광한군→[263?]양주 광한군→[266?]폐지
    • 위치: 《30.77327, 105.07533》 쓰촨성 싼타이현 치장진 위둥촌(四川省绵阳市三台县郪江镇鱼洞村)
  • 광한현(廣漢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광한군→[224]동광한군→[263]양주 광한군→[서진]양주 광한군
    • 위치: 《30.72514, 105.41741》 쓰촨성 서훙현 퉈파이진(四川省射洪县沱牌镇)
  • 덕양현(德陽縣): 25년 설치
117년에 현을 이전했다. 원래 현이 있었던 곳은 후세에 '한덕양(漢德陽)'으로 불린 덕양정(德陽亭)이 되었는데, 등애가 음평군 방면으로 내려와 강유관을 점거한 뒤에 산을 넘어와 기습적으로 진입한 곳으로, 이 시점에는 광한군 덕양현과는 다른 곳이었고 자동군 소속이었다.
  • 소속: [25]익주자사부 광한군→[후한]광한군→[224]동광한군→[263]양주 광한군→[서진]양주 광한군
  • 위치: 등애가 산을 넘어온 곳은 117년 이전의 위치임을 유의.
    • ~117: 《32.21735, 105.19838》 쓰촨성 장유시 옌먼진(四川省江油市雁门镇)
    • 117~: 《30.44167, 105.64317》 쓰촨성 쑤이닝시 촨산구 난창진(遂宁市船山区南强镇)
  • 오성현(五城縣): 삼국시대 중 설치→266년 무렵 폐지→278년 재설치
  • 소속: [삼국]익주 동광한군→[263?]양주 광한군→[266?]폐지, [278]양주 광한군→[서진]양주 광한군
  • 위치: 《31.04376, 104.68663》 쓰촨성 중장현(四川省中江县)
  • 평양향(平陽鄕): 《31.124623, 105.00951》?

9. 자동군(梓潼郡)[편집]


'梓'는 '자'와 '재'로 발음할 수 있는데, 현대에는 '재'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아 간혹 이를 '재동군' 또는 '재동현' 등으로 표기한 경우도 보인다. '梓'자는 '杍'와 '榟'의 전서체 표기가 중복되면서 정립된 글자이므로, '杍'에서 기원한 것일 경우는 '자'로, '榟'에서 기원한 것일 경우에는 '재'로 읽는 것이 타당하다 할 수 있다. 왕망이 '子同'으로 개명한 것을 볼 때, '杍'의 전서체에서 기원했음을 추론할 수 있으므로, 梓潼은 '자동'으로 읽는 것이 적절하다. 217년에 유비가 자동현·부현·가맹현·백수현을 분할해 자동군을 설치했다. 263년에 음평군이 폐지되어 자동군에 병합되었으나, 269년에 다시 음평군이 설치되어 환원되었다.
소속
[217]익주→[219]한중국(漢中國)?→[221]익주→[263]양주(梁州)→[서진]양주
치소
자동현
분합
[263]음평군 병합→[269]음평군 재설치
전입
[217]광한군 자동현·부현·가맹현·백수현
설치
[217?]검문현·소환현, [삼국]한덕현, [서진]황안현·무련현
폐지
[서진]소환현
출신
부현: 두미, 윤묵, 이선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서진
자동군(8현 10,200호): 자동현, 부현[1], 무련현, 황안현, 한덕현, 진수현, 검각현, 백수현

  • 자동현(梓潼縣): 자동군 치소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광한군→[217]자동군→[서진]양주 자동군
    • 위치: 《31.63843, 105.15763》 쓰촨성 쯔퉁현(四川省梓潼县)
    • 양면(陽沔): 《31.67411, 105.17608》
    • 강유관(江油關)·강유수(江油戍): 《32.20230, 104.83535》
  • 부현(涪縣)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광한군→[217]자동군→[서진]양주 자동군
    • 위치: 《31.46428, 104.76760》 쓰촨성 몐양시 유셴구(四川省绵阳市游仙区)
    • 잔정(孱亭): 《31.21395, 105.38768》
  • 백수현(白水縣)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광한군→[217]자동군→[서진]양주 자동군
    • 위치: 《32.68299, 105.49562》 쓰촨성 칭촨현 잉판향(四川省青川县营盘乡)
    • 백수관(白水關): 《32.69594, 105.52649》
    • 양안관(陽安關): 《32.965611, 106.03460》
관성(關城)·관두(關頭)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 마명각(馬鳴閣): 《32.43128, 105.64310》
백수현에서 가맹현으로 통하는 교통로를 의미한다.
  • 한수현(漢壽縣)
    • 지명: [진]가맹현(葭萌縣)→[전한]가맹현(葭明縣)→[후한]가맹현(葭萌縣)→[217]한수현→[265?]진수현(晉壽縣)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광한군→[217]자동군→[서진]양주 자동군
    • 위치: 219년에 홍수로 인해 다른 곳으로 이전했다.
      • ~219: 《32.35047, 105.70480》 쓰촨성 광위안시 자오화구 자오화진 시판촌(四川省广元市昭化区昭化镇石盘村)
      • 219~: 《32.32973, 105.96745》 쓰촨성 광위안시 자오화구 위안바진(元坝镇)
    • 가맹관(葭萌關): 가상 지명
『삼국지연의』에서는 등장하는 가상 지명이다. 수나라의 가맹현이었던 소화고성(昭化古城·《32.33753, 105.71635》)을 현지에선 삼국지의 '가맹관'이라며 관광 상품화한 것은 물론이고, 그 지역 이권과 결부된 학술 의견마저 나오는 실정이나, 현존하는 소화고성은 수나라 때 진안현(晉安縣)을 옛 이름인 가맹현으로 변경하면서 축성된 것이며, 실제 역사상 삼국시대에는 가맹관에 관한 기록이 없다. 『화양국지』에는 진안현이 가맹성(葭萌城)이라는 기록이 있으나, 진안현은 219년에 이전한 위치에서 개명된 이름인 만큼, 해당 대목은 성의 위치가 아닌 현의 연혁을 기술한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
  • 검문현(劍門縣): 217년 무렵 설치
    • 지명: [217?]검문현→[서진]검각현(劍閣縣)
    • 소속: [217?]익주 자동군→[서진]양주 자동군
    • 위치: 《32.28527, 105.49878》 쓰촨성 젠거현 샤쓰진(四川省剑阁县下寺镇)
    • 검각(劍閣): 《32.21485, 105.56415》
  • 소환현(昭歡縣): 217년 무렵 설치→서진 폐지
    • 소속: [217?]익주 자동군→[서진]폐지
    • 위치: 《32.61077, 105.86989》 쓰촨성 광위안시 차오톈구 차오톈진 러우팡궈촌(四川省广元市朝天区朝天镇楼房沟村) 저우지아핑(周家坪)
  • 한덕현(漢德縣): 삼국시대 중 설치
    • 소속: [삼국]익주 자동군→[서진]폐지
    • 위치: 《32.13462, 105.51418》 쓰촨성 젠거현 한양진(四川省剑阁县汉阳镇)
  • 황안현(黃安縣): 서진 설치(양주 자동군)
    • 위치: 《31.67416, 105.48313》 쓰촨성 젠거현 저바향(四川省剑阁县柘坝乡)
  • 무련현(武連縣): 서진 설치(양주 자동군)
    • 위치: 《31.88646, 105.27817》 쓰촨성 젠거현 우롄진(四川省剑阁县武连镇)

10. 파서군(巴西郡)[편집]


원래 진(秦)나라가 설치한 파군인데, 195년에 유장이 파군을 분할해 영녕군과 고릉군을 설치했다가, 201년에 파군을 파서군으로 영녕군을 파군으로 고릉군을 파동군으로 개명했다. 그러나 파서군으로 개명된 파군은 이미 장로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고, 201년 이후에 유장이 임명한 파서태수였던 방희를 완전히 쫓아낸 것으로 추측되며, 장로의 오두미교 세력은 파서군으로의 개명을 수용하지 않고 내부적으론 이 지역을 '파중(巴中)'으로 불러왔던 것으로 보인다. 215년에 장로가 조조에게 항복한 뒤, 조조는 파중을 나눠 파서군과 파동군 2군으로 재편했다.
지명
[진]파군→[''201'']파서군
소속
진(秦)→[한]익주자사부→[219]한중국(漢中國)?→[221]익주→[263]양주(梁州)→[서진]양주
치소
[진]강현→[195]낭중현
분합
[195]영녕군→[201]파군: 강주현·지현·임강현·점강현·평도현
[195]고릉군→[201]파동군: 어부현·구인현·부릉현
[215]파동군→[218]탕거군→[226]파서군에 합병: 탕거현·선한현·한창현
설치
[193]남충국현(충국현 분할), [서진]평주현·창계현·기협현
폐지
[서진]선한현
출신
낭중현: 주군, 황권, 마충
안한현: 염포
충국현: 초주, 장억
탕거현: 왕평
한창현: 구부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파군: 강현, 낭중현, 지현, 어현, 구인현, 임강현, 부릉현, 안한현, 탕거도, 강양현, 점강현, 북도
전한
파군(11현 158,643호 708,148구): 강주현, 임강현, 지현, 낭중현, 점강현, 구인현, 안한현, 탕거도, 어부현, 충국현, 부릉현

임강현→감강현(監江縣), 안한현→안신현(安新縣), 부릉현→파정현(巴亭縣)
후한
파군(14성 310,691호 1,086,049구): 강주현, 탕거도, 구인현, 낭중현, 어부현, 임강현, 지현, 부릉현, 점강현, 안한현, 평도현, 충국현, 선한현, 한창현
서진
파서군(9현 12,000호): 낭중현, 서충국현, 창계현, 기협현, 남충국현, 한창현, 탕거현, 안한현, 평주현

  • 낭중현(閬中縣): 파서군 치소
    • 소속: [진]파군→[한]익주자사부 파군→[서진]양주 파서군
    • 봉국: 장로–낭중후(215~218?)
    • 위치: 《31.58316, 105.96703》 쓰촨성 랑중시 바오닝가도(四川省阆中市保宁街道)
  • 안한현(安漢縣)
    • 소속: [진]파군→[한]익주자사부 파군→[서진]양주 파서군
    • 봉국: 왕평–안한후(237~263?)
    • 위치: 《30.81911, 106.10583》 쓰촨성 난충시(四川省南充市)
  • 서충국현(西充國縣)
    • 지명: [전한]충국현(充國縣)→[193]서충국현
    • 소속: [한]익주자사부 파군→[서진]양주 파서군
    • 위치: 《31.43531, 105.86450》 쓰촨성 랑중시 톈궁향 창루촌(四川省阆中市天宫乡常绿村)
  • 남충국현(南充國縣): 193년 설치
    • 소속: [193]익주자사부 파군→[서진]양주 파서군
    • 위치: 《31.35962, 106.05859》 쓰촨성 난부현(四川省南部县)
  • 평주현(平州縣): 280년 설치(양주 파서군)
    • 위치: 《31.57364, 107.10965》 쓰촨성 핑창현 우궁사구(四川省平昌县蜈蚣社区)
  • 창계현(蒼溪縣): 서진 설치(양주 파서군)
    • 위치: 《31.74310, 105.93304》 쓰촨성 창시현(四川省苍溪县)
  • 기협현(岐愜縣): 서진 설치(양주 파서군)

10.1. 탕거군(宕渠郡)[편집]


215년에 조조가 파군(파서군)을 나눠 설치한 파동군(巴東郡)으로, 218년에 유비가 이를 점령한 뒤에 탕거군으로 개명했는데, 당시에 원래 파동군이었던 고릉군과 혼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226년에 폐지되어 파서군에 합병되었다. 서진 때인 296년 무렵에 다시 탕거군과 선한현이 설치되었다. 『화양국지』에는 연희(延熙) 연간인 238~257년 중에 탕거군이 다시 설치되어 잠깐 운영되었다고 쓰였으나, 이는 서진 때 다시 탕거군을 설치해 운영했던 것을 잘못 기재한 것으로 판단된다.
  • 탕거현(宕渠縣): 탕거군 치소
    • 지명: [진]탕거도(宕渠道)→[215?]탕거현
    • 소속: [진]파군→[한]익주자사부 파군→[215]파동군(탕거군)→[226]파서군→[서진]양주 탕거군
    • 봉국: 구부–탕거후(?~?)
    • 위치: 《31.00700, 107.06875》 쓰촨성 취현 투시진 청바촌(四川省渠县土溪镇城坝村) 유지
    • 와구(瓦口): 《30.85160, 106.97738》
'범구(汎口)'·'축구(築口)' 등으로도 불렸다.
  • 몽두(蒙頭): 《30.84351, 107.00482》
장합이 탕거–몽두–탕석(蕩石)을 지나 장비와 교전했다고 하는데, 『삼국지』 선주전에서는 장비가 와구에서 장합을 격파했다고 나온다. 와구와 몽두가 사실상 동일한 지역임을 생각하면, 탕석 또한 몽두와 인접한 지역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 선한현(宣漢縣): 96년 설치→서진 폐지
    • 소속: [96]익주자사부 파군→[후한]파군→[215]파동군(탕거군)→[226]파서군→[서진]폐지
    • 위치: 《31.22697, 107.50009》 쓰촨성 다저우시 퉁촨구(四川省达州市通川区)
  • 한창현(漢昌縣): 96년 설치
    • 소속: [96]익주자사부 파군→[후한]파군→[215]파동군(탕거군)→[226]파서군→[서진]양주 탕거군
    • 위치: 《31.84901, 106.75476》 쓰촨성 바중시 바저우구(四川省巴中市巴州区)

11. 파군(巴郡), 일명 신파군[편집]


원래 195년에 설치된 영녕군(永寧郡)으로 파군의 강주현·지현·임강현·점강현·평도현을 분할해 설치되었다. 201년에 영녕군이 파군으로 개명하고 원래의 파군은 파서군으로 개명되었는데, 이에 따라 신파군(新巴郡)이란 별칭이 생겼다.
지명
[195]영녕군→[201]파군
소속
[195]익주→[219]한중국(漢中國)→[221]익주→[263]양주(梁州)→[서진]양주
치소
강주현
전입
[195]파군 강주현·지현·임강현·점강현·평도현
설치
[221]낙성현·상안현
폐지
[254]평도현·낙성현·상안현
출신
강주현: 감녕
봉국
유비–한중왕(219~221)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서진
파군(4현 3,300호): 강주현, 점강현, 임강현, 지현

  • 강주현(江州縣): 파군 치소
    • 지명: [진]강현(江縣)→[전한]강주현
    • 소속: [진]파군→[한]익주자사부 파군→[195]영녕군→[서진]양주 파군
    • 위치: 《29.57969, 106.55600》 충칭시 장베이구(重庆市江北区)
    • 양관(陽關): 《29.58616, 106.63439》
  • 임강현(臨江縣)
    • 소속: [진]파군→[한]익주자사부 파군→[195]영녕군→[서진]양주 파군
    • 위치: 《30.29858, 108.03158》 충칭시 중현(重庆市忠县)
  • 지현(枳縣)
    • 소속: [진]파군→[한]익주자사부 파군→[195]영녕군→[서진]양주 파군
    • 위치: 《29.71241, 107.41134》 충칭시 푸링구 장둥가도(重庆市涪陵区江东街道)
    • 황석(黃石): 《29.90014, 107.47303》
  • 점강현(墊江縣)
    • 소속: [진]파군→[한]익주자사부 파군→[195]영녕군→[서진]양주 파군
    • 위치: 《30.00394, 106.25956》 충칭시 허촨구 피싱청가도(重庆市合川区钓鱼城街道)
  • 평도현(平都縣): 90년 설치→254년 폐지
    • 소속: [90]파군→[후한]익주자사부 파군→[195]영녕군→[254]폐지
    • 위치: 《29.88740, 107.71456》 충칭시 펑두현 밍산가도(重庆市丰都县名山街道) 펑두구이청(丰都鬼城)
  • 낙성현(樂城縣): 221년 설치→254년 폐지
    • 소속: [221]익주 파군→[254]폐지
    • 위치: 《29.21251, 106.13408》 충칭시 장진구 유시진(重庆市江津区油溪镇)
  • 상안현(常安縣): 221년 설치→254년 폐지
    • 소속: [221]익주 파군→[254]폐지
    • 위치: 《29.43197, 106.21891》 충칭시 비산구 라이펑가도(重庆市璧山区来凤街道)

12. 파동군(巴東郡)[편집]


원래 195년에 설치된 고릉군(固陵郡)으로 파군의 어부현·구인현·부릉현을 분할해 설치되었다. 201년에 파동군으로 개명되었고, 새로 파동속국도위를 설치하여 부릉현을 관할하게 했다. 214년에 파동군을 폐지하여 파군에 병합하고 강관도위(江關都尉)를 설치해 옛 파동군 지역을 관할하게 했다가, 216년에 강관도위부를 고릉군으로 승격시켰다. 219년에 손권이 형주를 점령했을 때 무현도 점령된 것으로 보이며, 손권은 무현과 형주 의도군 자귀현을 고릉군으로 구성하고 유장을 익주목으로 임명해 그 고릉군에 주둔시켰다. 222년에 유비가 손권과 화해하면서 손권이 만든 고릉군은 폐지되어 형주 의도군에 합병되었다. 269년에 태창현을 설치하고, 북정현·태창현을 형주 무릉군 건평도위부로 이속했다.
지명
[195]고릉군→[201]파동군→[214]강관도위부→[216]고릉군→[221]파동군
소속
[195]익주→[214]익주 파군→[216]익주→'[219]한중국(漢中國)?→[221]익주→[263]양주(梁州)→[서진]양주
치소
영안현
분합
[201]파동속국도위→[218]부릉군: 부릉현·영녕현
전입
[195]파군 어부현·구인현·부릉현, [216]형주 의도군 무현·북정현
설치
[189?]영녕현, [216]양거현·한풍현, [269]형주 무릉군 건평도위부 태창현
전출
[219]무현→형주 의도군, [269]북정현→형주 무릉군 건평도위부
폐지
[서진]한풍현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서진
파동군(3현 6,500호): 어부현, 구인현, 남포현

  • 영안현(永安縣): 강관도위–파동군 치소
    • 지명: 백제성(白帝城), [진]어현(魚縣)→[전한]어부현(魚復縣)→[222]영안현→[280]어부현
유비이릉대전 패전 이후 이름을 영안현으로 고쳤다. 백제성공손술이 세운 성인데, 유비가 최후를 맞은 '영안궁(永安宮)'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 소속: [진]파군→[한]익주자사부 파군→[195]고릉군→[214]강관도위부→[216]고릉군→[서진]양주 파동군
  • 위치: 《31.04339, 109.57039》 충칭시 펑제현 바이디진(重庆市奉节县白帝镇) 백제성
  • 기문(夔門)·기관(夔關): 《31.03897, 109.57989》
  • 한관(扞關)·강관(江關): 《31.09830, 109.55652》
  • 구인현(胊䏰縣)
  • 지명: [진]구인현(胊忍縣)→[후한]구인현(胊䏰縣)
  • 소속: [진]파군→[한]익주자사부 파군→[195]고릉군→[214]강관도위부→[216]고릉군→[서진]양주 파동군
  • 위치: 《30.93095, 108.74291》 충칭시 윈양현 솽장가도(重庆市云阳县双江街道)
  • 북정현(北井縣): 209년 설치
  • 소속: [209]형주 의도군→[216]익주 고릉군→[269]형주 무릉군 건평도위부→[275]건평군→[서진]형주 건평군
  • 위치: 《31.19512, 109.87968》 충칭시 우산현 솽룽진 바우촌(重庆市巫山县双龙镇巴雾村)
  • 양거현(羊渠縣): 216년 설치
  • 지명: [서진]남포현(南浦縣)
  • 소속: [216]익주 고릉군→[서진]양주 파동군
  • 위치: 《30.81286, 108.37360》 충칭시 완저우구 타이바이가도(重庆市万州区太白街道)
  • 한풍현(漢豊縣): 216년 설치→서진 폐지
  • 소속: [216]익주 고릉군→[서진]폐지
  • 위치: 《31.18791, 108.41950》 충칭시 카이저우구 한펑가도(重庆市开州区汉丰街道)
  • 태창현(泰昌縣): 269년 설치
  • 소속: [269]형주 무릉군 건평도위부→[275]건평군→[서진]형주 건평군
  • 위치: 《31.27374, 109.79695》 충칭시 우산현 다창진 펑황촌(重庆市巫山县大昌镇凤凰村)

13. 부릉군(涪陵郡)[편집]


201년에 설치된 파동속국도위부(巴東屬國都尉部)에 근원을 둔 군으로, 214년에 파동군이 폐지되어 파군에 소속되었다가, 216년에 다시 고릉군이 설치되어 고릉군 소속이 되었다. 218년에 부릉군으로 개편되었다.
지명
[201]파동속국도위부→[218]부릉군
소속
[201]익주 파동군→[214]익주 파군→[216]익주 고릉군→[218]익주→[219]한중국(漢中國)?→[221]익주→[263]양주(梁州)→[서진]양주
치소
부릉현
전입
[201]파동군 부릉현·영녕현
설치
[201]한발현·단흥현, [218]한부현, [250]한평현
폐지
[서진]단흥현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서진
부릉군(5현 4,200호): 한부현, 부릉현, 한평현, 한가현, 만녕현

  • 부릉현(涪陵縣): 파군속국도위–부릉군 치소
    • 소속: [진]파군→[한]익주자사부 파군→[195]고릉군→[201]파동속국도위부→[218]부릉군→[서진]양주 부릉군
    • 위치: 《29.29206, 108.17096》 충칭시 펑수이자치현(重庆市彭水自治县)
  • 만녕현(萬寧縣): 189년 이전 설치
    • 지명: [189?]영녕현(永寧縣)→[222]만녕현
    • 소속: [189?]익주 파동속국도위부→[218]부릉군→[서진]양주 부릉군
    • 위치: 《27.93755, 108.25388》 구이저우성 쓰난현(贵州省思南县)
  • 한발현(漢髮縣): 201년 설치
    • 지명: [서진]한가현(漢葭縣)
    • 소속: [201]익주 파동속국도위부→[218]부릉군→[서진]양주 부릉군
    • 위치: 《29.52117, 108.48887》 충칭시 펑수이자치현 위산진 주사촌(重庆市彭水自治县郁山镇朱砂村)
  • 단흥현(丹興縣): 201년 설치→서진 폐지
    • 소속: [201]익주 파동속국도위부→[218]부릉군→[서진]폐지
    • 위치: 《29.52827, 108.78482》 충칭시 첸장구(重庆市黔江区)
  • 한부현(漢復縣): 218년 설치
    • 소속: [218]익주 부릉군→[서진]양주 부릉군
    • 위치: 《28.99885, 108.24202》 구이저우성 옌허자치현 탕바진(贵州省沿河自治县塘坝镇)
  • 한평현(漢平縣): 250년 설치
    • 소속: [250]익주 부릉군→[서진]양주 부릉군
    • 위치: 《29.57870, 107.46815》 충칭시 푸링구 바이타오진 옌장촌(重庆市涪陵区白涛镇沿江村)

14. 한중군(漢中郡)[편집]


진(秦)나라초나라 땅을 빼앗아 기원전 312년에 설치했다. 유방이 이곳에 한왕(漢王)으로 봉해진 것이 한나라 국호의 유래이다. 194년 무렵에 유장과 반목하게 된 한중태수 장로가 한녕군(漢寧郡)으로 개명하며, 이곳을 오두미교 신정국가(...)로 마개조 했다. 215년에 조조가 장로의 항복을 받은 뒤에 다시 한중군으로 환원되었다.
지명
[-312]한중군→[24]한중국(漢中國)→[27]한중군→[194?]한녕군→[215]한중군
소속
진(秦)→[한]익주자사부→[219]한중국→[221]익주→[263]양주(梁州)→[서진]양주
치소
[진]남정현→[전한]서성현→[후한]남정현
분합
[215]서성군→[220]형주 위흥군: 서성현·안양현
[215]서성군 상용도위부→[219?]상용군→[220]형주 신성군에 합병: 상용현·석현
[215?]방릉군→[220]형주 신성군: 방릉현
설치
[219]남향현, [서진]포지현·황금현·흥도현
봉국
유비–한중왕(219~221)
출신
서성현: 염온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한중군: 남정현, 서성현, 성고현, 상용현, 석현, 운양현, 방릉현, 저현, 전양현, 안양현, 장리현, 무릉현, 형산도(荊山道·연혁 미상)
전한
한중군(12현 101,570호 300,614구): 서성현, 순양현, 남정현, 포중현, 방릉현, 안양현, 성고현, 면양현, 양현, 무릉현, 상용현, 장리현

한중군신성군(新成郡), 양현→양치현(鍚治縣)
후한
한중군(9성 57,344호 267,402구): 남정현, 성고현, 서성현, 포중현, 면양현, 안양현, 석현, 상용현, 방릉현
서진
한중군(8현 15,000호): 남정현, 포지현, 포중현, 면양현, 성고현, 서향현, 황금현, 흥도현

  • 남정현(南鄭縣): 한중군 치소
    • 소속: [진]한중군→[한]익주자사부 한중군→[서진]양주 한중군
    • 봉국: 위연–남정후(230~234)
    • 위치: 《33.07615, 107.04581》 산시성 한중시 한타이구(陕西省汉中市汉台区)
    • 남산(南山): 《32.63521, 106.87761》
  • 낙성현(樂城縣)
    • 지명: [진]성고현(成固縣)→[229]낙성현→[263]성고현
    • 소속: [진]한중군→[한]익주자사부 한중군→[서진]양주 한중군
    • 위치: 《33.14825, 107.37160》 산시성 한중시 청구현 롄화가도 먀오포촌(陕西省汉中市城固县莲花街道庙坡村)
    • 규허(嬀墟): 《33.21327, 107.27166》
    • 흥세산(興勢山): 《33.33381, 107.68116》
당락도(儻駱道)를 따라 낙곡을 거쳐 3령(三嶺)을 넘으면 당곡(儻谷·《33.50116, 107.62396》)에 이르게 되는데, 마지막으로 흥세산을 넘어야 한중 지역으로 진입할 수 있다. 흥세 전투가 이곳에서 일어났다.
  • 포중현(襃中縣)
    • 지명: [서진]포중현(褒中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한중군→[서진]양주 한중군
    • 위치: 《33.18897, 106.95345》 산시성 한중시 몐현 바오청진(陕西省汉中市勉县褒城镇)
    • 적애(赤崖)·적안(赤岸): 《33.80321, 107.08828》
본래 익주의 경계는 야곡 입구에 위치한 야곡관으로 여겨졌는데, 야곡관은 관중 지방에 인접했기에 삼국시대 당시에 촉한과 위나라의 국경은 야곡관에 형성되지 않았고, 보통 적안으로 여겨졌던 것으로 보인다. 적애는 잔도(棧道) 북부노선의 시작점이다.
  • 포야도(襃斜道): 《33.42399, 106.99363》
야곡관에서 출발하여 포곡(襃谷·《34.05840, 107.31911》)–적애를 지나면 잔도를 건너야 하는데, 잔도를 건너 기곡(箕谷)을 지나면 남곡구(南谷口·《33.22055, 106.96030》)에 이르게 되어, 이 노선을 포야도라고 부른다. 남곡구는 포야도의 시종점이라는 의미에서 포곡구(襃谷口)로도 불렸고, 그 주변에 소하조참이 축조한 산하언(山河堰)이 있다. 그 두 사람을 기리는 사당인 소조사(蕭曹祠)도 현재까지 남아있다. 포곡 위치에서 동쪽으로 야곡관으로 향하지 않고 정북 방향의 골짜기를 통해 지나면 진창현에 도달하는데, 이를 수양소곡(綬陽小谷·《34.20839, 107.30020》)이라고 불렀다. 원래 군대의 행군로로는 적합하지 않은 노선이나, 제갈량이 이 노선을 개척해 진창을 급습하기도 했다.
  • 한성현(漢城縣): 양주자사 치소(263~)
    • 지명: [한]면양현(沔陽縣)→[229]한성현→[263]면양현
    • 소속: [한]익주자사부 한중군→[서진]양주 한중군
    • 위치: 《33.14754, 106.70516》 산시성 한중시 몐현 몐양가도 주저우촌(陕西省汉中市勉县勉阳街道旧州村)
    • 양평관(陽平關): 《33.14761, 106.60975》
    • 양안구(陽安口): 《33.14137, 106.59983》
    • 황사(黃沙): 《33.13778, 106.79116》
    • 정군산(定軍山): 《33.11738, 106.67025》
하후연이 전사한 곳이다. 인근에 제갈량의 무덤(《33.12553, 106.64771》)이 있다.
삼국시대 당시에 공식적으로 설치된 유일한 제갈량의 사당이다. 현재는 후대에 유비의 혜릉에 설치된 무후사에 인지도가 밀리는 듯.
  • 남향현(南鄕縣): 219년 설치
    • 지명: 정원(定遠)→[219]남향현→[서진]서향현(西鄕縣)
    • 소속: [219]익주 한중군→[서진]양주 한중군
    • 위치: 《32.94411, 107.77933》 산시성 한중시 시샹현 양허진 하오바타이촌(陕西省汉中市西乡县杨河镇蒿坝台村)
  • 포지현(蒲池縣): 서진 설치(양주 한중군)
    • 위치: 《33.30602, 108.04422》 산시성 안캉시 닝산현 메이쯔진(陕西省安康市宁陕县梅子镇)
  • 황금현(黃金縣): 서진 설치(양주 한중군)
    • 위치: 《33.27674, 107.85461》 산시성 한중시 양현 진수이진(陕西省汉中市洋县金水镇)
  • 흥도현(興道縣): 서진 설치(양주 한중군)
    • 위치: 《33.22109, 107.54173》 산시성 한중시 양현(陕西省汉中市洋县)
    • 적판(赤阪): 《33.21714, 107.59863》

15. 무도군(武都郡)[편집]


전한 때인 기원전 111년에 설치했다. 전한 때에는 익주자사부 소속이었지만, 후한 때에는 양주(涼州)자사부에 소속되었다. 219년 한중 공방전에서 패퇴한 조조유비가 계속 북상해 올 것을 염려하여 무도군과 음평군의 주민들을 우부풍 괴리현의 소괴리로 옮겼기에, 2군은 무인지대가 되어 사실상 폐지되었다. 229년에 옛 무도군과 음평군 지역을 장악하고 군·현을 다시 설치했는데, 이때 다시 익주로 편입되었다. 촉한이 멸망한 뒤에 다시 옹주 소속이 되었다.
소속
[전한]익주자사부→[후한]량주자사부→[219]폐지, [229]익주→[263]옹주→[269]진주(秦州)→[서진]진주
치소
[전한]무도도→[후한]하변도
폐지
[219]상록현, [서진]강도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전한
무도군(9현 51,376호 235,560구)[1]: 무도도, 상록현, 고도현, 하지현, 평락도, 저현[2], 가릉도, 순성도, 하변도

무도군낙평군(樂平郡), 무도도→순로도(循虜道), 고도현→선치현(善治縣), 하지현→낙평정현(樂平亭縣), 하변도→양덕도(楊德道)
후한
무도군(7성 20,102호 81,728구): 하변도, 무도도, 상록현, 고도현, 하지현, 저현, 강도
서진
무도군(5현 3,000호): 하변현, 하지현, 저현, 무도현, 고도현

  • 하변현(下辨縣): 무도군 치소, 219년 사실상 폐지→229년 복구
    • 지명: 무가(武街), [진]하변도(下辨道)→[229?]하변현
    • 소속: [진]농서군→[전한]익주자사부 무도군→[후한]량주자사부 무도군→[219]폐지, [229]익주 무도군→[서진]진주 무도군
    • 위치: 《33.70653, 105.65129》 간쑤성 룽난시 청현 파오사진 광화촌(甘肃省成县抛沙镇广化村)
    • 고산(固山): 《33.94802, 105.59814》
  • 무도현(武都縣): 219년 사실상 폐지→229년 복구
    • 지명: [진]무도도(武都道)→[229?]무도현
    • 소속: [진]농서군→[전한]익주자사부 무도군→[후한]량주자사부 무도군→[219]폐지, [229]익주 무도군→[서진]진주 무도군
    • 위치: 《33.83714, 105.23875》 간쑤성 룽난시 시허현 뤄위진(甘肃省西和县洛峪镇)
    • 건위(建威): 《34.05096, 105.31305》
258년에 강유가 이곳에 건위위(建威圍)를 설치했다.
  • 적정(赤亭): 《33.96485, 105.41924》?
  • 고도현(故道縣): 219년 사실상 폐지→229년 복구
  • 소속: [진]농서군→[전한]익주자사부 무도군→[후한]량주자사부 무도군→[219]폐지, [229]익주 무도군→[서진]진주 무도군
  • 위치: 《33.91417, 106.51838》 산시성 펑현(陕西省西凤县)?
  • 산관(散關): 《34.27175, 107.01002》
  • 진창도(陳倉道): 《34.16267, 106.76925》
고도(故道)·진창고도(陳倉故道)로도 불리는 길로, 원래 관중 지방과 한중 지방을 지날 때 사용하던 길이었는데, 산관을 통과한 뒤 고도현–하지현–무흥–저현을 거쳐 양평관에 도달하는 우회 노선으로, 잔도가 놓이면서 포야도가 개척되자 그야말로 '옛길'이 되었다. 그 노선에 아무런 현(縣)이 없는 포야도는 군사적인 목적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길이였기에, 조조는 이 길을 통해 한중으로 진입했었고, 한중 공방전에서 패퇴하게 되자 유비가 이 방면의 길을 사용하지 못하게 막기 위해 무도군을 무인지대로 만들었다.
  • 하지현(河池縣): 219년 사실상 폐지→229년 복구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무도군→[후한]량주자사부 무도군→[219]폐지, [229]익주 무도군→[서진]진주 무도군
    • 위치: 《33.80236, 106.04818》 간쑤성 룽난시 후이현 인싱수진(甘肃省徽县银杏树镇)
    • 흥화(興和): 위치 미상
  • 저현(沮縣): 219년 사실상 폐지→229년 복구
    • 소속: [진]한중군→[전한]익주자사부 무도군→[후한]량주자사부 무도군→[219]폐지, [229]익주 무도군→[서진]진주 무도군
    • 위치: 《33.19511, 106.46382》 산시성 몐현 차뎬진(陕西省勉县茶店镇)
    • 동랑곡(東狼谷): 《33.64090, 106.72588》
  • 강도(羌道): 219년 사실상 폐지→229년 복구→서진 폐지
    • 소속: [진]농서군→[전한]량주자사부 농서군→[후한]량주자사부 무도군→[219]폐지, [229]익주 무도군→[서진]폐지
    • 위치: 《33.82163, 104.31490》 간쑤성 저우취현 핑딩향(甘肃省舟曲县坪定乡)
    • 답중(沓中): 《33.98376, 103.98196》?
    • 감송(甘松): 《33.80743, 104.24960》?
    • 양계(陽谿): 《34.00390, 103.93980》?
    • 공함곡(功函谷): 《33.69588, 104.48186》
음평현과 답중으로 통하는 골짜기이다.
  • 상록현(上祿縣): 219년 폐지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무도군→[후한]량주자사부 무도군→[219]폐지
    • 위치: 《33.73933, 105.42476》 간쑤성 룽난시 시허현 시가오산진 허핑촌(甘肃省陇南市西和县西高山镇和坪村)
  • 평락도(平樂道): 후한 폐지
    • 소속: [진]촉군→[전한]익주자사부 무도군→[후한]폐지
    • 위치: 《33.60137, 105.45472》 간쑤성 룽난시 캉현 타이스향 양산촌(甘肃省陇南康县太石乡阳山村)
  • 가릉도(嘉陵道): 후한 폐지
    • 지명: [후한]무흥(武興)
    • 위치: 《33.33592, 106.15523》 산시성 한중시 뤠양현(陕西省汉中市略阳县)
  • 순성도(循成道): 후한 폐지
'수성도(修成道)'로 표기된 예가 있다.
  • 위치: 《33.51620, 105.91635》 산시성 한중시 뤠양현 시후아이바진(陕西省汉中市略阳县西淮坝镇)

16. 음평군(陰平郡)[편집]


후한 때인 108년에 설치된 광한속국도위부(廣漢屬國都尉部)에 근원을 둔 군으로, 원래는 광한군 소속이었다. 저족이 주로 살던 지역으로 보이는데, 215년에 조조장로를 공격할 때 이 지역의 저족 집단들이 조조를 지원하여 장로와 장로에 예속되어 있던 관중제장의 잔당을 공격했기에, 장로가 항복한 뒤에 속국도위부를 음평군으로 승격시켰다. 219년 한중 공방전에서 패퇴한 조조유비가 계속 북상해올 것을 염려하여 무도군과 음평군의 주민들을 우부풍 괴리현의 소괴리로 옮겼기에, 2군은 무인지대가 되어 사실상 폐지되었다. 당시에 원주민이었던 저족들 또한 관중 지방으로 이주했는데, 이때의 사민 조치가 관념상으론 무도군과 음평군을 통폐합하는 조치였던지, 한중 공방전 중에 '음평군' 소속으로 언급되던 저족 수장 강단이 235년에는 '무도군' 소속 저왕(氐王)으로 등장한다. 사실상 폐지된 2군 지역은 옹주자사가 수비를 담당했다. 229년에 제갈량이 진창현을 공격하면서 양동작전을 펼쳐, 옛 무도군과 음평군 지역을 장악하고 군·현을 다시 설치했다. 촉한이 멸망한 뒤에 음평군이 폐지되어 자동군에 합병되었으나, 269년에 다시 설치되었다.
지명
[108]광한속국도위부→[215]음평군
소속
[108]익주자사부 광한군→[215]익주→[219]폐지, [229]익주→[263]폐지, [269]진주(秦州)→[서진]진주
치소
음평현
분합
[263]자동군에 병합→[269]음평군 재설치
폐지
[219]전저도
출신
저족: 강단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후한
광한속국도위부(3성 37,110호 205,652구): 음평도, 전저도, 강저도
서진
음평군(2현 3,000호): 음평현, 평무현[1]

  • 음평현(陰平縣): 광한속국도위–음평군 치소, 219년 사실상 폐지→229년 복구
    • 지명: [진]음평도(陰平道)→[229?]음평현
    • 소속: [진]촉군→[전한]익주자사부 광한군→[후한]광한속국도위부→[215]음평군→[219]폐지, [229]음평군→[263]양주 자동군→[269]진주 음평군→[서진]진주 음평군
    • 봉국: 노지–음평백(264~)→후(265~)
    • 위치: 《32.94800, 104.67808》 간쑤성 원현 청관진(甘肃省市文县城关镇)
    • 교두(橋頭): 《32.80937, 105.14435》
    • 경곡(景谷): 《32.76475, 105.32936》
음평현과 자동군 백수현과 통하는 길인 경곡도(景谷道)가 놓인 골짜기이다.
  • 광무현(廣武縣): 219년 사실상 폐지→229년 복구
    • 지명: [전한]강저도(剛氐道)→[229?]광무현→[서진]평무현(平武縣)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광한군→[후한]광한속국도위부→[215]음평군→[219]폐지, [229]음평군→[263]양주 자동군→[269]진주 음평군→[서진]진주 음평군
    • 위치: 《32.37752, 104.63473》 쓰촨성 핑우현 구청진(四川省平武县古城镇)
  • 전저도(甸氐道): 219년 폐지
『화양국지』에는 전저현(甸氐縣)으로 표기되어 있다.
  • 소속: [진]촉군→[전한]익주자사부 광한군→[후한]광한속국도위부→[215]음평군→[219]폐지
  • 위치: 《32.82046, 104.30428》 쓰촨성 핑우현 바이마자치향(四川省平武县白马自治乡)?

17. 주제군(朱提郡)[편집]


원래 건위군에 소속된 지역으로, 전한 때 이 지역의 경비는 건위군의 남부도위(南部都尉)가 관장했는데, 후한 초기 각 군에 설치된 도위가 모두 폐지되었을 때 남부도위도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107년에 옛 남부도위 관할 구역에 속국도위를 설치하여 건위속국도위부(犍爲屬國都尉部)가 형성되었다. 214년 유비가 익주를 차지한 뒤에 남중 지방을 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위속국도위부를 승격시켜 주제군으로 개편했고, 등방을 주제태수로 임명하며 내항도독을 겸직하게 했다. 등방이 죽은 뒤에 내항도독은 교주자사 이회가 맡게 되었으나, 주제군은 계속 유지되었다. 225년 남중의 반란으로 인하여 치소가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맹획군이 주제에 성채를 건설했습니다.
지명
[107]건위속국도위부→[214]주제군
소속
[107]익주자사부 건위군→[214]익주→[서진]익주
치소
[214]남창현→[225?]주제현
남광군: 남광현
분합
[''241?'']남광군→[''250?'']폐지: 남광현 및 월수군 잠가현·안상현·마호현
전입
[214]건위군 남광현
설치
[214]남창현, [서진]당랑현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후한
건위속국도위부(2성 7,938호 37,187구): 주제현, 한양현
서진
주제군(5현 2,600호): 주제현, 남광현, 한양현, 남진현, 당랑현

  • 주제현(朱提縣): 주제군 치소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건위군→[후한]건위속국도위부→[214]주제군→[서진]익주 주제군
    • 위치: 《27.34328, 103.71526》 윈난성 자오퉁시(云南省昭通市)
  • 한양현(漢陽縣)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건위군→[후한]건위속국도위부→[214]주제군→[서진]익주 주제군
    • 위치: 《26.79835, 104.58929》 윈난성 웨이닝자치현 둥펑진(云南省威宁自治县东风镇)?
  • 남창현(南昌縣): 214년 설치, 내항도독 치소(214~221)
    • 지명: [서진]남진현(南秦縣)
    • 소속: [214]익주 주제군→[서진]익주 주제군
    • 위치: 《27.40132, 104.87801》 윈난성 전슝현 주푸가도(云南省镇雄县旧府街道)
  • 당랑현(堂琅縣): 후한 폐지→서진 재설치
    • 지명: [서진]당랑현(堂狼縣)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건위군→[후한]폐지, [서진]익주 주제군
    • 위치: 《26.93341, 103.29665》 윈난성 차오자현 라오뎬진(云南省巧家县老店镇)
    • 노진(瀘津): 《26.96433, 102.89327》

17.1. 남광군(南廣郡)[편집]


『화양국지』에 따르면 연희(延熙) 연간인 238~257년 중에 9년 동안 남광군이 설치되어 운영되었다고 전해진다. 주제군 남광현을 포함하여 월수군 소속인 잠가현·안상현·마호현 등, 도합 4개 현이 소속되어 운영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위키백과 중문판에는 241년 이후에 운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동진 때 남광군이 재설치되면서 임리현(臨利縣)·상천현(常遷縣)·신흥현(新興縣) 등이 신설되었다.
  • 남광현(南廣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건위군→[214]주제군→[''241?'']남광군→[''250?'']주제군→[서진]익주 주제군
    • 위치: 《28.0755, 104.24786》 윈난성 옌진현 옌징진(云南省盐津县盐井镇)


18. 건녕군(建寧郡)[편집]


원래 전한 때인 기원전 109년에 한무제가 전(滇)나라를 복속시켜서 설치한 익주군(益州郡)이다. 225년 제갈량이 남중의 반란을 평정한 뒤에 익주군을 재편하여 건녕군을 설치했다. 271년에 영주(寧州)에 소속되었다. 서진에서 평낙군(平樂郡)을 설치해 흥천현(興遷縣)·평낙현(平樂縣)·삼차현(三沮縣)을 두었으나, 평낙군은 성한 소속이 되면서 폐지되었다.
지명
[-109]익주군→[225]건녕군
소속
전(滇)→[한]익주자사부→[271]영주(寧州)→[서진]영주
치소
[전한]전지현→[225]미현
분합
[225]운남군: 농동현
전입
[225]장가군 동병현·무단현
설치
[삼국]존마현·신정현·수운현·영구현, [서진]담고현(재설치)·누강현(재설치)·동락현
전출
[225]무절현·분고현→흥고군, [서진]승휴현→흥고군
폐지
[삼국]담고현·누강현, [서진]동로현·건령현·동병현
출신
유원현: 이회
현 미상: 맹획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전한
익주군(24현 81,946호 580,463구): 전지현, 쌍백현, 동로현, 동뢰현, 연연현, 유원현, 수미현, 곡창현, 진장현, 야롱현, 미현, 곤택현, 섭유현, 율고현, 불위현, 운남현, 전당현, 농동현, 비소현, 분고현, 무절현, 승휴현, 건령현, 내유현

익주군취신군(就新郡), 무절현→유절현(有棳縣), 승휴현→승북현(勝僰縣)
후한
익주군(17성 29,036호 110,802구): 전지현, 승휴현, 유원현, 율고현, 분고현, 무절현, 건령현, 곡창현, 목미현, 미현, 곤택현, 동뢰현, 동로현, 쌍백현, 연연현, 농동현, 진장현
서진
건녕군(17현 29,000호): 미현, 곤택현, 존마현, 신정현, 담고현, 무단현, 동뢰현, 누강현, 목마현, 곡창현, 연연현, 진장현, 쌍백현, 유원현, 수운현, 영구현, 전지현

  • 미현(味縣): 건녕군 및 내항도독(229~) 치소
'味'를 '매'로 읽을 수도 있어, '매현'이라 읽기도 한다.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5.53108, 103.73244》 윈난성 취징시 치린구 추이펑가도(云南省曲靖市麒麟区翠峰街道)
  • 전지현(滇池縣): 영주자사 치소(271~)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4.70312, 102.74321》 윈난성 쿤밍시 진닝구 진청가도(云南省昆明市晋宁区晋城街道)
  • 전지(滇池)·지택(池澤): 《24.81291, 102.71049》
  • 승휴현(勝休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건녕군→[서진]영주 흥고군
  • 위치: 《24.33549, 102.73263》 윈난성 위시시 장촨구 첸웨이진(云南省玉溪市江川区前卫镇)?
  • 하수(河水): 《24.33552, 102.78190》
  • 유원현(兪元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4.67462, 102.90431》 윈난성 청장시(云南省澄江市)?
  • 건령현(建伶縣): 서진 폐지
  • 지명: [전한]건령현(健伶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건녕군→[서진]폐지
  • 위치: 《24.67154, 102.59208》 윈난성 쿤밍시 진닝구(云南省昆明市晋宁区)
  • 곡창현(穀昌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4.96896, 102.79455》 윈난성 쿤밍시 관두구(云南省昆明市官渡区)
  • 목마현(牧麻縣)
  • 지명: [전한]수마현(收靡縣)→[후한]목마현
동진 때 승마현(升麻縣)으로 개명된 것으로 추정되어, 당나라 때 승마현으로 불린 것이 확인된다.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5.56220, 103.25372》 윈난성 쉰뎬자치현(云南省寻甸自治县)
  • 곤택현(昆澤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4.96305, 103.17325》 윈난성 이량현 베이구청진 구청촌(云南省宜良县北古城镇古城村)
  • 동뢰현(同瀨縣)
  • 지명: [전한]동뢰현(銅瀨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5.42843, 103.58021》 윈난성 취징시 마룽구(云南省曲靖市马龙区)
  • 동로현(同勞縣): 서진 폐지
동진 때 현을 분할하여 동안현(同安縣)을 설치했다.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건녕군→[서진]폐지
  • 위치: 《25.04599, 103.56492》 윈난성 루량현 샤오바이후진(云南省陆良县小百户镇)
  • 쌍백현(雙柏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4.67262, 102.14977》 윈난성 이먼현(云南省易门县)
  • 연연현(連然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4.91844, 102.47412》 윈난성 안닝시(云南省安宁市)
  • 진장현(秦臧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5.15011, 102.07902》 윈난성 루펑현(云南省禄丰县)
  • 동병현(同幷縣): 서진 폐지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225]건녕군→[서진]폐지
  • 위치: 《24.51907, 103.59421》 윈난성 루시현 우제푸진(云南省泸西县午街铺镇)?
  • 무단현(毋單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225]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4.58013, 103.10837》 윈난성 이량현 주산진(云南省宜良县竹山镇)
  • 존마현(存䣖縣): 후한 폐지→삼국시대 중 재설치
  • 지명: [전한]존마현(𨚲䣕縣)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건위군→[후한]폐지, [삼국]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6.21884, 104.10641》 윈난성 쉬안웨이시(云南省宣威市)
  • 신정현(新定縣): 삼국시대 중 설치
  • 소속: [삼국]익주 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5.79011, 104.95212》 윈난성 푸안현(云南省普安县)
  • 수운현(修雲縣): 삼국시대 중 설치
  • 소속: [삼국]익주 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4.27875, 103.40888》 윈난성 미러시 신사오진 둥펑농장생활구(云南省弥勒市新哨镇东风农场生活区)?
  • 영구현(伶丘縣): 삼국시대 중 설치
  • 소속: [삼국]익주 건녕군→[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5.46489, 104.33078》 윈난성 푸위안현 잉상진(云南省富源县营上镇)
  • 담고현(談稿縣): 삼국시대 중 폐지→서진 재설치
  • 지명: [후한]담고현(淡槀縣)
  • 소속: [전]익주자사부 장가군→[삼국]폐지, [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5.53064, 104.53447》 윈난성 판저우시 러민진 웨이칭촌(云南省盘州市乐民镇威箐村)
  • 누강현(漏江縣): 삼국시대 중 폐지→서진 재설치
  • 소속: [전]익주자사부 장가군→[삼국]폐지, [서진]영주 건녕군
  • 위치: 《24.62572, 103.67169》 윈난성 루시현 주청진(云南省泸西县旧城镇)?
  • 동락현(同樂縣): 서진 설치(영주 건녕군)
  • 위치: 《25.01623, 103.66272》 윈난성 루량현(云南省陆良县)

19. 운남군(雲南郡)[편집]


225년 제갈량이 남중의 반란을 평정한 뒤에 설치했다. 271년에 영주(寧州)에 소속되었다. 후에는 313년에 하양군(河陽郡)을 설치해 하양현(河陽縣)을 두었고, 양수군(梁水郡)을 설치해 양수현(梁水縣)을 두었다.

소속
[225]익주→[271]영주(寧州)→[서진]영주
치소
농동현
전입
[225]익주군 농동현 및 영창군 엽유현·야룡현·운남현 및 월수군 수구현·청령현·고복현
설치
[서진]운평현·영녕현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서진
운남군(9현 9,200호): 운평현, 운남현, 농동현, 청령현, 고부현, 야룡현, 엽유현, 수구현, 영녕현

  • 농동현(梇棟縣): 운남군 치소
    • 지명: [전한]농동현(弄棟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운남군→[서진]영주 운남군
    • 위치: 《25.57395, 101.19849》 윈난성 야오안현 광루진 주청촌(云南省姚安县光禄镇旧城村)
  • 엽유현(楪楡縣)
    • 지명: [전한]엽유현(葉楡縣)→[후한]엽유현(楪楡縣)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익주군→[후한]영창군→[225]운남군→[서진]영주 운남군
    • 위치: 《25.85473, 100.13114》 윈난성 다리시 시저우진(云南省大理市喜洲镇)
    • 섭유택(楪楡澤·葉楡澤): 《25.77887, 100.18707》
  • 야룡현(邪龍縣)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익주군→[후한]영창군→[225]운남군→[서진]영주 운남군
    • 위치: 《25.23003, 100.30888》 윈난성 웨이산자치현(云南省巍山自治县)
  • 운남현(雲南縣)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익주군→[후한]영창군→[225]운남군→[서진]영주 운남군
    • 위치: 《25.42481, 100.68533》 윈난성 샹윈현 윈난이진 윈난이촌(云南省祥云县云南驿镇云南驿村)
  • 수구현(遂久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월수군→[225]운남군→[서진]영주 운남군
    • 위치: 《26.87603, 100.23212》 윈난성 리장시 구청구(云南省丽江市古城区)
  • 청령현(靑蛉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월수군→[225]운남군→[서진]영주 운남군
    • 위치: 《25.72573, 101.32531》 윈난성 다야오현(云南省大姚县)
  • 고부현(姑復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월수군→[225]운남군→[서진]영주 운남군
    • 위치: 《26.68422, 100.75079》 윈난성 융성현(云南省永胜县)?
  • 운평현(雲平縣): 서진 설치(영주 운남군)
    • 위치: 《25.83027, 100.57784》 윈난성 빈촨현(云南省宾川县)
  • 영녕현(永寧縣): 서진 설치(영주 운남군)
    • 위치: 《27.75695, 100.66148》 윈난성 닝랑자치현 융닝진(云南省宁蒗自治县永宁镇)

20. 월수군(越巂郡)[편집]


'巂'은 지명을 가리킬 때 '전'으로 읽을 수 있어 '월전군'으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越巂'는 이 지역에 존재하던 이민족을 지칭하는 것인 만큼, '월수'로 읽는 것이 적절하다. 전한 때인 기원전 111년에 한무제남월 정복을 위한 목적으로 공도(邛都) 등 서남이를 복속시켜서 설치한 군으로, 익주자사부에 소속되었다. 223년에 남중의 반란으로 치소를 안상현으로 이전하였다가 240년에 환원했다. 후에는 월수군 일부와 장가군 일부를 떼어서 303년에 진녕군(晉寧郡)을 설치했다.
소속
서남이→[한]익주자사부→[서진]익주
치소
[전한]공도현→[223]안상현→[240]공도현
설치
[223]안상현, [삼국]잠가현·마호현·신도
전출
[225]수구현·청령현·고복현→운남군, [241?]잠가현·안상현·마호현→남광군
전입
[250?]남광군 잠가현·안상현·마호현
폐지
[삼국]영관도·대작현·작진현, [서진]삼봉현·천현·소기현·잠가현·안상현·마호현·신도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전한
월수군(15현 61,208호 408,405구): 공도현, 수구현, 영관도, 대등현, 정작현, 회무현, 작진현, 대작현, 고부현, 삼강현, 소시현, 난현, 비수현, 첨가현, 청령현

월수군집수군(集巂郡)
후한
월수군(14성 130,120호 623,418구): 공도현, 수구현, 영관도, 대등현, 청령현, 비수현, 삼봉현, 회무현, 정작현, 천현, 소시현, 대작현, 작진현, 고부현
서진
월수군(5현 53,400호): 회무현, 공도현, 비수현, 정작현, 대등현

  • 공도현(邛都縣): 월수군 치소
    • 지명: [진]공현(邛縣)→[전한]공도현
    • 소속: [진]촉군→[한]익주자사부 월수군→[서진]익주 월수군
    • 위치: 《27.89501, 102.27332》 쓰촨성 시창시(四川省西昌市)
  • 대등현(臺登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월수군→[서진]익주 월수군
    • 위치: 《28.34742, 102.26590》 쓰촨성 몐닝현 루구진 궈성촌(四川省冕宁县泸沽镇果胜村)
  • 비수현(卑水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월수군→[서진]익주 월수군
    • 위치: 《28.29495, 102.86078》 쓰촨성 자오줴현 쩌푸향(四川省昭觉县则普乡)?
  • 삼봉현(三縫縣): 서진 폐지
    • 지명: [전한]삼강현(三絳縣)→[후한]삼봉현
    • 소속: [한]익주자사부 월수군→[서진]폐지
    • 위치: 《26.06855, 101.90954》 윈난성 위안머우현 장이향(云南省元谋县姜驿乡)
  • 회무현(會無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월수군→[서진]익주 월수군
    • 위치: 《26.65907, 102.24429》 쓰촨성 후이리현(四川省会理县)
  • 정작현(定莋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월수군→[서진]익주 월수군
    • 위치: 《27.42264, 101.50918》 쓰촨성 옌위안현(四川省盐源县)
  • 천현(闡縣): 서진 폐지
    • 지명: [전한]난현(闌縣)→[후한]천현
    • 소속: [한]익주자사부 월수군→[서진]폐지
    • 위치: 《28.67197, 102.60386》 쓰촨성 웨시현 톄시향(四川省越西县铁西乡)
  • 소기현(蘇祁縣): 서진 폐지
    • 지명: [전한]소시현(蘇示縣)→[223~237?]소기현
    • 소속: [한]익주자사부 월수군→[서진]폐지
    • 위치: 《28.13366, 102.18701》 쓰촨성 시창시 웨화향(四川省西昌市月华乡)
  • 잠가현(潛街縣): 후한 폐지→삼국시대 중 재설치→서진 폐지
    • 지명: [전한]첨가현(灊街縣)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월수군→[후한]폐지, [삼국]월수군→[241?]남광군→[250?]월수군→[서진]폐지
    • 위치: 《28.38986, 103.46357》 쓰촨성 레이보현 란바쯔향(四川省雷波县烂坝子乡)?
  • 안상현(安上縣): 223년 설치→서진 폐지
    • 소속: [223]익주 월수군→[241?]남광군→[250?]월수군→[서진]폐지
    • 위치: 《28.65582, 104.14604》 쓰촨성 핑산현 진핑진(四川省屏山县锦屏镇)?
  • 마호현(馬湖縣): 건흥(223~237년) 중 설치→서진 폐지
    • 소속: [삼국]익주 월수군→[241?]남광군→[250?]월수군→[서진]폐지
    • 위치: 《28.37594, 103.76801》 쓰촨성 레이보현 마후향(四川省雷波县马湖乡)?
  • 신도(新道): 삼국시대 중 설치→서진 폐지
    • 소속: [삼국]익주 월수군→[서진]폐지
    • 위치: 《28.59209, 103.96897》 윈난성 쑤이장현(云南省绥江县)?
  • 영관도(靈關道):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한]익주자사부 월수군→[삼국]폐지
    • 위치: 《29.23042, 103.26204》 쓰촨성 어볜자치현(四川省峨边自治县)
  • 대작현(大莋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한]익주자사부 월수군→[삼국]폐지
    • 위치: 《26.93708, 101.67507》 쓰촨성 옌볜현 간위향(四川省盐边县鳡鱼乡)?
  • 작진현(莋秦縣): 삼국시대 중 폐지
    • 소속: [한]익주자사부 월수군→[삼국]폐지
    • 위치: 《28.54088, 101.97435》 쓰촨성 몐닝현 마터우향(四川省冕宁县马头乡)?

21. 영창군(永昌郡)[편집]


후한 때인 69년에 서남이인 애뢰(哀牢)가 내부하자 익주군을 일부 분할해 설치했다.
소속
애뢰→[69]익주자사부→[271]영주(寧州)→[서진]영주
치소
[69]전당현→[후한]불위현
설치
[삼국]옹향현·영수현·남부현
전출
[225]섭유현·야룡현·운남현→운남군
출신
불위현: 여개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후한
영창군(8성 231,897호 1,897,344구): 불위현, 전당현, 비소현, 섭유현, 야롱현, 운남현, 애뢰현, 박남현
서진
영창군(8현 38,000호): 불위현, 영수현, 비소현, 옹향현, 남부현[1], 전당현, 애뢰현, 박남현

  • 불위현(不韋縣): 영창군 치소
여불위의 후손들이 많이 산다고 '불위'현으로 명명되었다.피휘를 감안하면 고인능욕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익주군→[후한]영창군→[서진]영주 영창군
  • 위치: 《25.15477, 99.25789》 윈난성 바오산시 룽양구 진지향(云南省保山市隆阳区金鸡乡)
  • 제갈영(諸葛營): 《25.08770, 99.18063》
현지에서는 제갈량이 주둔했던 장소라는 전승이 있고, 실제로 서진 시대로 판정되는 성곽 유적이 발굴되기도 했다. 제갈량이 축조했다고 하는 제갈언(諸葛堰)이 인근에 있다.
  • 전당현(巂唐縣)
    • 지명: [전한]전당현(嶲唐縣)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익주군→[후한]영창군→[서진]영주 영창군
    • 위치: 《25.66194, 99.12735》 윈난성 윈룽현 차오젠진(云南省云龙县漕涧镇)
  • 비소현(比蘇縣)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익주군→[후한]영창군→[서진]영주 영창군
    • 위치: 《25.89317, 99.37489》 윈난성 윈룽현(云南省云龙县)
  • 애뢰현(哀牢縣): 69년 설치
    • 소속: [69]익주자사부 영창군→[후한]영창군→[서진]영주 영창군
    • 위치: 《24.70752, 97.93679》 윈난성 잉장현(云南省盈江县)
  • 박남현(博南縣): 69년 설치
    • 소속: [69]익주자사부 영창군→[후한]영창군→[서진]영주 영창군
    • 위치: 《25.38211, 99.45359》 윈난성 융핑현 보난진 화차오촌(云南省永平县博南镇花桥村)
  • 옹향현(雍鄕縣): 225년 이후 설치
    • 소속: [삼국]익주 영창군→[서진]영주 영창군
    • 위치: 《24.58042, 99.92845》 윈난성 펑칭현(云南省凤庆县)?
  • 영수현(永壽縣): 225년 이후 설치
    • 소속: [삼국]익주 영창군→[서진]영주 영창군
    • 위치: 《23.54048, 99.39639》 윈난성 겅마자치현 겅마진(云南省耿马自治县耿马镇)
  • 남부현(南涪縣): 225년 이후 설치
    • 소속: [삼국]익주 영창군→[서진]영주 영창군
    • 위치: 《24.43335, 98.58489》 윈난성 더훙자치주(云南省德宏自治州)?
남부현의 특산품은 공작새로 유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역사지도집』에서는 징훙시(景洪市)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는데, 이 경우 남부현은 영창군의 다른 지역들과 지나치게 이격된 형세를 보인다. 이런 비정은 촉한의 영역을 지금의 윈난성 일대를 넘어서는 것처럼 부풀리기 위한 목적으로 보이는데, 단순히 공작의 분포만으로 따지자면 애뢰현 인근의 더훙 자치주로 추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여긴다.


22. 장가군(牂牁郡)[편집]


기원전 111년에 한무제남월 정복을 위한 목적으로 서남이를 복속시키고자 건위군을 분할해 설치했는데, 설치 당시에는 폐현에 치소를 두었으나, 그 해에 차란(且蘭)이 한나라의 통치에 저항하자 차란을 학살하고 고차란현을 설치하여 장가군의 치소를 옮겨왔다. 서진 이후인 303년에는 장가군과 월수군을 분할하여 진녕군(晉寧郡)을 설치했고, 311년에는 장가군과 주제군·건녕군을 분할하여 야랑군(夜郎郡)을 설치하였으며, 313년에는 평이군(平夷郡)을 설치했다.
소속
[한]익주자사부→[서진]익주
치소
[-111]폐현→[-111]고차란현
분합
[225]흥고군: 완온현·심봉현·누와현·구정현·진승현·서수현
설치
[삼국]병거현, [서진]만수현
전출
[225]동병현·무단현→건녕군
폐지
[삼국]담고현·누강현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전한
장가군(17현 24,219호 153,360구): 고차란현, 심봉현, 폐현, 누와현, 평이현, 동병현, 담지현, 완온현, 무렴현, 야랑현, 무단현, 누강현, 서수현, 도몽현, 담고현, 진상현, 구정현

장가군동정군(同亭郡), 무렴현→유렴현(有斂縣), 야랑현→동정현(同亭縣), 구정현→종화현(從化縣)
후한
장가군(16성 31,523호 267,253구): 고차란현, 평이현, 폐현, 무렴현, 담지현, 야랑현, 동병현, 담고현, 누강현, 무단현, 완온현, 심봉현, 누와현, 구정현, 진승현, 서수현
서진
장가군(8현 1,200호): 만수현, 차란현, 담지현, 야랑현, 무검현[1], 병거현, 폐현, 평이현

  • 차란현(且蘭縣): 장가군 치소
'且蘭'은 서남이 종족 이름으로, 『사기』에는 '두란(頭蘭)'으로 적혔다. '且'는 '차'·'저'·'조'로도 발음할 수 있어서 '차란'·'저란'·'조란' 등으로 발음될 수 있으나, '두란'과 유사한 발음은 없어 무엇이 옳다고 하긴 어렵다. 어조사가 아닐 경우에는 '조'로 읽는 편이 타당하겠지만, 국내 연구 자료들에 '차란'으로 표기한 경우가 많아 이를 '차란'으로 표기하였다.
  • 지명: [전한]고차란현(故且蘭縣)→[225?]차란현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서진]익주 장가군
  • 위치: 《26.99298, 107.77515》 구이저우성 황핑현 주저우진(贵州省黄平县旧州镇) 일대
  • 평이현(平夷縣): 내항도독(221~229) 치소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서진]익주 장가군
  • 위치: 《27.28395, 105.29164》 구이저우성 비제시(贵州省毕节市)?
  • 폐현(鄨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서진]익주 장가군
  • 위치: 《27.73053, 106.80657》 구이저우성 쭌이현 훙화강구 진딩산진(贵州省遵义市红花岗区金鼎山镇)
  • 무렴현(毋斂縣)
  • 지명: [서진]무검현(毋劍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서진]익주 장가군
  • 위치: 《25.82953, 107.54277》 구이저우성 두산현(贵州省独山县)
  • 담지현(談指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서진]익주 장가군
  • 위치: 《25.59868, 105.62939》 구이저우성 전펑현 베이판장진(贵州省贞丰县北盘江镇)
  • 야랑현(夜郞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서진]익주 장가군
  • 위치: 《25.87149, 105.38912》 구이저우성 관링자치현 신푸향(贵州省关岭自治县新铺乡) 서부
  • 병거현(幷渠縣): 삼국시대 중 설치
『송서』 지리지에는 야랑군(夜郞郡)에 광담현(廣談縣)이 소속되어 있으며 『태강지리지』에 장가군 소속이었다고 쓰였으나, 『진서』 지리지에선 광담현을 발견할 수 없다. 『화양국지』에는 야랑군에 광담현이 있는 것으로 나온다. 『송서』와 『화양국지』에는 병거현이 누락되어 있으므로, 아마도 병거현이 동진 때 광담현으로 개명한 것으로 판단된다.
  • 소속: [삼국]익주 장가군→[서진]익주 장가군
  • 위치: 《26.35812, 106.23938》 구이저우성 안순시 핑바구 바이윈진(贵州省安顺市平坝区白云镇)
  • 만수현(萬壽縣): 서진 설치(익주 장가군)
  • 위치: 《27.17255, 107.57254》 구이저우성 웡안현 차오탕진(贵州省瓮安县草塘镇)

23. 흥고군(興古郡)[편집]


225년 제갈량이 남중의 반란을 평정한 뒤에 설치했다.
소속
[225]익주→[271]영주(寧州)→[서진]영주
치소
[225]완온현→[서진]승휴현
전입
[225]장가군 완온현·심봉현·누와현·구정현·진승현·서수현과 익주군 무절현·분고현, [서진]건녕군 승휴현
설치
[275]율고현(재설치), [삼국]한흥현, [서진]도당현(재설치)
폐지
[삼국]율고현

【 서진 이전 연혁 펼치기·접기 】
서진
흥고군(11현 6,200호): 율고현, 구정현, 완온현, 누와현, 무절현, 분고현, 승휴현, 심봉현, 한흥현, 진승현, 도당현[1]

  • 완온현(宛溫縣): 흥고군 치소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225]흥고군→[서진]영주 흥고군
    • 위치: 《23.80985, 104.24997》 윈난성 옌산현 웨이모자치향(云南省砚山县维摩自治乡)
  • 심봉현(鐔封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225]흥고군→[서진]영주 흥고군
    • 위치: 《23.75522, 103.75346》 윈난성 옌산현 핑위안진 핑위안촌(云南省砚山县平远镇平远村)
  • 누와현(漏臥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225]흥고군→[서진]영주 흥고군
    • 위치: 《24.88309, 104.30344》 윈난성 뤄핑현(云南省罗平县)
  • 구정현(句町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225]흥고군→[서진]영주 흥고군
    • 위치: 《24.05282, 105.06200》 윈난성 광난현(云南省广南县)
  • 진승현(進乘縣)
    • 지명: [전한]진상현(進桑縣)→[후한]진승현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225]흥고군→[서진]영주 흥고군
    • 위치: 《22.98355, 103.68761》 윈난성 핑볜자치현(云南省屏边自治县)?
    • 진상관(進桑關): 《22.88835, 103.55765》
  • 서수현(西隨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장가군→[225]흥고군→[서진]영주 흥고군
    • 위치: 《22.77954, 103.22644》 윈난성 진핑자치현(云南省金平自治县) 일대?
  • 서풍현(西豊縣)
    • 지명: [전한]무절현(毋棳縣)→[225]서풍현→[269]무절현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흥고군→[서진]영주 흥고군
    • 위치: 《24.03755, 102.91145》 윈난성 화닝현 화시진 샤오자이촌(云南省华宁县华溪镇小寨村)?
  • 분고현(賁古縣)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225]흥고군→[서진]영주 흥고군
    • 위치: 《23.31267, 103.44472》 윈난성 멍쯔시 신안쒀진(云南省蒙自市新安所镇) 남측
  • 한흥현(漢興縣): 삼국시대 중 설치
    • 소속: [삼국]익주 흥고군→[서진]영주 흥고군
    • 위치: 《25.08734, 104.89630》 윈난성 싱이시(云南省兴义市)
  • 율고현(律高縣): 삼국시대 중 폐지→275년 재설치
    • 소속: [한]익주자사부 익주군→[삼국]폐지, [서진]영주 흥고군
    • 위치: 《24.02043, 103.37490》 윈난성 미러시 펑푸진 칭라이촌(云南省弥勒市朋普镇庆来村)?
  • 도몽현(都夢縣): 후한 폐지(구정현에 합병)→서진 재설치
    • 지명: [서진]도당현(都篖縣)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장가군→[후한]폐지, [서진]영주 흥고군
    • 위치: 《23.37613, 104.23555》 윈난성 원산시(云南省文山市)
  • 내유현(來唯縣): 후한 폐지
    • 소속: [전한]익주자사부 익주군→[후한]폐지
    • 위치: 《22.38622, 103.47026》 라이쩌우성 라이쩌우시(Tỉnh Lai Châu Thành phố Lai Châu)?

24. 같이보기[편집]


파일:실제 지도 후한 13주.png
[1] 지금의 간쑤성 남부 지역인 무도군은 이 당시 익주에 소속되었으나, 익주가 지나치게 넓어서였는지 후한 때는 양주(涼州)에 소속되었는데, 삼국시대에 제갈량이 점령하면서 다시 익주로 편입되었다.[2] 유언이 익주목으로 부임하면서 면죽현을 치소로 삼았으나, 194년에 큰 화재가 발생하면서 성도현으로 옮겼다.[3] 유장장로와 반목하면서 취한 조치이다. 201년엔 기존의 파군을 파서군으로 개명하고, 영녕군을 파군으로 개명했으며, 고릉군을 파동군으로 개명했다. 이를 통칭하여 '삼파(三巴)'라고 부른다. 새롭게 파군으로 개명된 옛 영녕군은 '신파군(新巴郡)'이란 별칭을 얻었다.[4] 고릉군 설치 이외엔 모두 조조가 한중을 장악한 뒤에 취한 조치이다. 방릉군이 설치된 시점은 명확하지 않다. 이때 조조가 설치한 파동군은 고릉군과 다른 지역으로 218년에 유비가 점령하면서 탕거군으로 개명했다.[5] 조조가 양주(涼州) 무도군과 함께 폐지했다.[6] 기존의 광한군이 신도군으로 개명하고, 옛 동광한군은 광한군으로 재설치되었다.[7] 무도군은 전한 때 익주자사부 소속이었으나 후한 때 양주(涼州)자사부 소속으로 바뀌었는데, 이때 다시 익주 소속으로 변경되었다.[8] 이 자사직은 태수가 아닌 이회에게 자사의 감군(監軍) 권한을 마련하기 위한 것일 뿐, 실제 남중을 교주로 분할한 조치는 아니다.[9] 손권이 황제를 칭할 때 천하를 분할하는 맹약을 하면서 사례교위부 지방의 함곡관 이동 지역은 오나라의 영역으로 인정했던 만큼, 관념상 촉한이 정식 수도로 둔 것은 경조윤 장안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4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
, 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4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
, 4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5:27:46에 나무위키 삼국지/지명/익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