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라이온즈/2001년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1982
1983
1984
1985
1986
2위

4위
2위

'''1위
'''
2위

1987
1988
1989
1990
1991
2위

3위

4위

2위


3위

1992
1993
1994
1995
1996
4위

2위

5위
5위
6위
1997
1998
1999
2000
2001
4위

3위

4위

3위

2위

2002
2003
2004
2005
2006
'''1위
'''
4위

2위

'''1위
'''
'''1위
'''
2007
2008
2009
2010
2011
4위

4위

5위
2위

'''1위
'''
2012
2013
2014
2015
2016
'''1위
'''
'''1위
'''
'''1위
'''
2위

9위
2017
2018
2019
2020
2021
9위
6위
8위
8위
3위

2022
2023
2024
2025
2026
7위
8위
?위
?위
?위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1995~2007).svg
{{{+1 KBO 리그 2001 시즌 {{{#FFFFFF |}}} 삼성 라이온즈 }}}
순위



승차
승률
2[1] / 8
81
0
52
-13.5
0.609

1. 스토브리그
1.1. 코칭스태프 이동
1.2. 선수 이동
1.3. 신인 지명
1.4. 외국인선수
1.5. 전지훈련
2. 정규 시즌
2.1. 선수 이동
3. 포스트시즌
4. 선수별 개인 성적
4.1. 투수
4.2. 타자
5. 수상 및 기록



1. 스토브리그[편집]



1.1. 코칭스태프 이동[편집]


김응용 해태 타이거즈 감독을 계약 기간 5년에 계약금 3억, 연봉 2억원이라는 유례없이 파격적인 대우로 영입했다.

하지만 김응용을 영입하면서 코칭스태프도 유남호, 김종모, 조충열 등 김응용과 함께 했던 해태 사단으로 채우면서 김봉근, 장효조, 이순철 등 1군 코치 3명과 김성근 2군 감독, 박정환, 장호연 등 2군 코치를 포함해 총 6명의 코칭스태프가 해임됐다. 하지만 대구상고 감독으로 있던 김한근과 영남대학교에서 코치를 하고 있던 양일환 등 삼성 출신도 코치로 영입하긴 했다.

이후 김성근은 LG의 2군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고, 이순철은 LG의 주루코치, 김봉근은 해태의 투수코치, 장호연은 효천고 감독, 박정환은 포철공고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1.2. 선수 이동[편집]


2000년 시즌 후 몸풀 때만큼은 좌완 선동열이 따로 없던 감병훈 등이 방출돼 은퇴했다.

김재걸이 공익근무를 마치고 복귀했고, 권오준해병대 상근예비역으로 입대했다.

2001년 2월 1일, 김주찬이계성롯데 자이언츠마해영을 상대로 트레이드됐다. 마해영은 롯데의 중심타자였지만 선수협, 연봉협상 때문에 롯데 구단과 마찰이 있었다. 김주찬은 입단 당시에는 대형 유격수 감으로 평가받았지만, 2000년 7월 16일 마산 롯데 자이언츠전에서 관중석에다 공을 던지는 실책을 저지르고 말았다. 원래 삼성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던 이계성은 트레이드로 친정팀에 돌아온지 1년만에 또다시 다른 팀으로 이적하게 됐다.

3월 21일에는 신동주해태 타이거즈강영식을 상대로 트레이드됐다. 강영식은 당시 김응용 감독이 해태 시절부터 아끼던 선수였다. 신동주는 2000년에도 코칭스태프와의 갈등으로 트레이드설이 많았었고, 2001년 전지훈련 때도 부상을 빌미로 중도 귀국했다.


1.3. 신인 지명[편집]


  • 포지션은 지명 당시 기준.
  • ※표시는 지명권 포기 등으로 입단하지 않은 선수.
  • #표시는 대학 진학이나 유급으로 이후에 지명 당해가 아닌, 그 이후에 입단한 선수.

이름
포지션
경력
계약금
1차
이정호
투수
대구상고
5억 3000만원[2]
2차
1라운드
김덕윤
투수
경남상고
1억 5000만원
2라운드
조영훈[3]
투수
속초상고
-
3라운드
김명규#[4]
내야수
원주고
-
4라운드
박성훈[5]
투수
강릉고
-
5라운드
정한상※[6]
외야수
전주고
-
6라운드
손승현#[7]
포수
속초상고
-
7라운드
고윤성※[8]
외야수
경남고
-
8라운드
박재민#[9]
내야수
청주기계공고
-
9라운드
이면우※[10]
외야수
휘문고
-
10라운드
김동범※[11]
내야수
마산상고
-
11라운드
강유삼#[12]
투수
세광고
-
12라운드
김선명※[13]
외야수
광주상고
-
기지명
황영구(1997년 고졸우선)
포수
포철공고 - 경남대
2000만원
이성수(1997년 2차 5라운드)
투수
서울고 - 홍익대
1억 2000만원
박한이(1997년 2차 6라운드)
외야수
부산고 - 동국대
3억원
신고선수
박희성
내야수
서울고
없음
서승원
투수
성남고 - 영남대

삼성은 2001 신인지명에서 김덕윤을 제외한 2차 지명자 모두를 대학 진학시켜 신인선수가 적었다. 하지만 1차 지명자인 이정호는 계약금 5억 3천만원을, 1997 기지명자인 박한이는 계약금 3억원을 받는 등 거물급 유망주로 평가받았다. 이정호의 계약금은 이후 KIA 타이거즈김진우한기주가 경신하지만 당시 신인 계약금 최고액이었다. 박한이 역시 삼성 신인 타자 중 계약금 최고액. 이후 10년이 넘도록 삼성에는 이정호는 커녕 박한이의 3억원만큼 받고 입단하는 신인이 없다.


1.4. 외국인선수[편집]


부진한 마이클 가르시아, 수비가 아쉬웠던[14] 그리고 선수들에게 시어머니처럼 깐깐했던[15] 훌리오 프랑코와 재계약을 포기했다. 프랑코의 수비와 주루가 수준 이하였기 때문이라고 발표했는데, 프랑코는 한국에 오기 전에 외야수로 뛴 적도 없었고 무엇보다 당시 프랑코는 마흔을 넘겼던 걸[16] 감안하면 뛰어난 성적이었음에도 프랑코는 코치진에 밉보였다는 이유로 인해 평가 절하까지 당하며 팀을 떠나야 했다.

외국인 선수 정원이 3명으로 늘면서, 투수 보강 차원에서 한신 타이거즈에서 마무리 투수를 맡았던 벤 리베라와 메이저리그 출신 투수 살로몬 토레스를 영입했고, 발이 빠르다는 이유만으로 외야수 매니 마르티네스를 영입했다.


1.5. 전지훈련[편집]


2000년 말 하와이에서 특별훈련을 가졌고,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애리조나에서 전지훈련을 실시했다. 선동열 KBO 홍보위원이 김응용 감독과의 인연으로 인스트럭터로 잠시나마 참가했다.[17]

전지훈련 중 신인 이정호가 무려 157km/h를 던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사실은 계형철 투수코치가 일부러 선수들 기 살려 준다고 선수들이 공 던질 때마다 원래 구속보다 빠른 구속을 외쳤고, 주변에 있던 기자들이 곧이 곧대로 받아적었던 것.


2. 정규 시즌[편집]


리베라의 영입으로 선발로 전향한 임창용은 14승을 기록했고, 고졸 2년차 배영수도 13승을 올렸다.

부진한 살로몬 토레스[18]를 2경기만에 퇴출시키고, 일본 프로야구에서도 활약한 악명 높은 발비노 갈베스를 대신 영입했다. 15경기에 등판해 10승을 올렸는데, 시즌 중반 잠적했다가 한참 뒤에야 복귀하는 일이 있었다.

임창용을 대신해 마무리를 맡은 벤 리베라는 전반기에만 36경기에 등판해 21세이브를 올릴 정도로 확실한 마무리였지만 등판하면 1이닝 이상씩을 소화하는 등, 그만큼 혹사당하기도 했다. 결국 허리 부상을 당했고 올스타 브레이크 중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으면서 결국 퇴출됐다. 리베라를 대신해 3차례 올스타에 선정된 카를로스 바에르가를 영입했으나, 이때 바에르가는 노쇠화를 겪고 있던 터라 외국인 관광객이라는 취급만 받았다.

김기태는 슬럼프로 제대로 출장하지 못했지만 새로 가세한 마해영과 당초 예상과 달리 장타력을 뽐내며 20-20 클럽에 가입한 매니 마르티네스가 그 공백을 메웠다. 8월 17일 대구 한화 이글스전에서는 프로야구 최초로 4타자 연속 홈런[19]을 기록했다.

2위 현대 유니콘스와 6.5경기 차로 여유롭게 1위를 정규시즌 1위를 확정지었다. 1987년 이후 14년만에 정규시즌 1위.


2.1. 선수 이동[편집]


4월 16일, 김지훈해태 타이거즈로 현금 트레이드됐다.

4월 27일, 최악의 포수 김영진과 조정권이 한화 이글스의 내야수 김승권을 상대로 트레이드됐다.

7월 30일, 이강철이 현금 트레이드로 해태로 돌아갔다. 무릎 수술 후 좀처럼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본인이 트레이드를 요청했는데, 친정팀으로 돌아간 후 귀신 같이 부활해 4년 더 활동하고 은퇴했다. 이로써 먹튀 확정


3. 포스트시즌[편집]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성적




2
0
4
한국시리즈 패배

정규시즌 3위였던 두산 베어스와 상대했다. 두산은 10승 투수도 없었고 마무리 진필중이 팀내 최다승(9승) 투수일 정도로 투수진이 처참했다. 게다가 두산은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를 거치면서 체력적인 문제가 있었기에, 이번만큼은 삼성이 우승할 것이라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우세했으나, 삼성이 졌다. 자세한 경기 결과는 2001년 한국시리즈 항목 참조.


4. 선수별 개인 성적[편집]


  • 진한 표시는 리그 5위내 성적.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 투수는 이닝이 많은 순서대로, 타자들은 타수가 많은 순서대로.
  • 시즌 중 이적한 선수들은 당해 삼성 소속 성적만 기록.

4.1. 투수[편집]


  • 우완
 
이름
경기수
선발등판
이닝


세이브
홀드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39
임창용
30
29
184⅔
(5위)
14
(3위)
6
1
0
3.90
(10위)
169
79
136
(4위)
25
배영수
35
25
169⅔
(7위)
13
(7위)
8
0
0
3.77
(7위)
169
97
96
51
김진웅
43
14
141
11
7
12
(8위)
2
3.96
132
63
129
(5위)
41
갈베스
15
15
116⅔
10
4
0
0
2.47
100
42
85
46
김현욱
54
(8위)
0
95⅔
6
6
4
14
(2위)
4.42
90
36
97
18
노장진
22
15
85⅔
7
2
1
1
4.62
88
67
57
34
이용훈
21
16
71⅔
4
4
0
0
5.53
86
35
45
23
라형진
31
3
69⅔
2
2
0
2
5.43
69
44
37
14
리베라
36
0
58⅓
6
3
21
(3위)
0
2.62
52
33
63
21
박동희
18
5
45⅓
1
2
0
0
6.15
54
22
22
30
박영진
20
0
39⅓
1
2
1
3
3.43
43
17
19
31
김상진
16
3
30⅔
2
3
2
0
7.04
39
24
15
16
이강철
13
4
29⅔
1
1
0
0
6.07
32
14
29
65
정성훈
12
0
10
0
0
0
0
5.40
14
7
3
33
이정호
8
0
9⅔
0
0
1
0
4.66
8
11
2
41
토레스
2
2
5⅓
0
2
0
0
20.25
8
10
5
50
이준호
3
0
4
0
0
0
0
27.00
13
2
2
40
김덕윤
4
0
3⅔
0
0
0
0
0.00
5
3
1

  • 좌완
 
이름
경기수
선발등판
이닝


세이브
홀드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17
전병호
34
1
40
3
1
1
1
4.95
46
20
15
26
이동은
9
1
8⅓
0
1
0
0
7.56
7
5
2
37
강영식
7
0
4⅔
0
0
0
0
0.00
6
3
1
28
김태한
7
0
2⅓
0
0
0
0
11.57
5
0
2
29
이성수
7
0
0⅔
0
0
0
0
13.50
3
5
0


4.2. 타자[편집]


  • 포수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20
진갑용
89
314
.306
96
25
2
7
57
54
2
2
김동수
89
181
.276
50
11
0
5
30
18
0
24
장성국
19
16
.188
3
1
0
0
2
2
0
60
조상수
1
0
-
0
0
0
0
0
0
0

  • 내야수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9
마해영
133
470
.328
(6위)
154
(4위)
18
0
30
(4위)
95
(8위)
86
(9위)
1
36
이승엽
127
463
.276
128
31
(3위)
2
39
(1위)
95
(8위)
101
(2위)
4
5
김한수
117
427
.311
133
29
(6위)
2
13
61
59
3
9
정경배
105
279
.247
69
19
0
3
30
34
2
8
박정환
84
217
.263
57
8
3
5
36
30
0
7
김재걸
70
138
.261
36
5
1
1
9
18
6
10
김승권
71
133
.278
37
8
0
6
22
22
0
12
바에르가
39
120
.275
33
3
2
4
17
18
0
6
김태균
61
118
.203
24
5
0
0
8
14
0
55
김수관
41
32
.250
8
2
0
0
1
4
1
35
김승관
7
6
.000
0
0
0
0
0
0
0
64
구민호
4
2
.000
0
0
0
0
0
0
0
58
정정오
1
0
-
0
0
0
0
0
0
0

  • 외야수
 
이름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19
마르티네스
128
482
.278
134
27
(9위)
2
25
(9위)
96
(6위)
93
(6위)
28
(4위)
32
박한이
130
420
.279
117
25
3
(9위)
13
61
77
17
1
강동우
125
347
.251
87
15
2
6
42
54
6
3
김종훈
93
245
.290
71
7
1
5
21
43
2
11
김기태
44
85
.176
15
2
1
0
9
5
0
59
장영균
35
31
.226
7
3
0
0
3
4
0
13
김인철
11
11
.091
1
0
0
0
0
2
1
0
황성관
11
6
.000
0
0
0
0
0
0
0
27
남기헌
6
4
.000
0
0
0
0
0
0
0


5. 수상 및 기록[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5:38:19에 나무위키 삼성 라이온즈/2001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페넌트레이스에서는 1위였으나 한국시리즈에서 3위 두산 베어스에게 업셋을 당해 준우승으로 최종 순위는 2위.[2] 당시 신인 최고 계약금. 다만 이는 언론 발표상이고 실제로는 5억원이었다. 당시 SK 와이번스에 입단한 정상호와 차이를 두기 위해 계약금을 살짝 부풀렸다.[3] 건국대 진학 이후 2005년 입단.[4] 경희대 진학 이후 2005년 입단.[5] 한양대 진학 이후 2005년 입단.[6] 동의대 진학 이후 지명권 포기.[7] 인하대 진학 이후 2005년 입단.[8] 동아대 진학 이후 지명권 포기.[9] 인하대 진학 이후 2005년 입단.[10] 고려대 진학 이후 지명권 포기.[11] 경성대 진학 이후 지명권 포기.[12] 경희대 진학 이후 2005년 입단.[13] 영남대 진학 이후 지명권 포기.[14] 애초에 내야수로 뛰던 선수를 외야수로 기용한것 자체가 비상식적인 기용이었다.[15] 선수들에게 타격기술 및 자기관리 등 조언을 하면서 코치진들에게 밉보였다고 한다.[16] 프랑코의 정확한 나이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어쨌든 KBO 공식 프로필인 1961년보다 전에 태어났다.[17] 결과적으로 보면 이는 선동열을 수석코치로 2004년에 영입하는 초석이 된다. 그리고 선동열이 감독이 되자 어떤 이 났는지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8] 원래 토레스는 1997년 은퇴해 코치로 일하다가 3년만에 선수로 복귀를 하면서 삼성에 입단했다. 토레스는 미국 귀국 후 7년 더 메이저리그에서 활동하고 은퇴했다.[19] 이승엽-매니 마르티네스-카를로스 바에르가-마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