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덤프버전 :

분류




천문학
Astronomy


[ 펼치기 · 접기 ]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천체역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21cm 중성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모의실험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
우주 달력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주극성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Arp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 록맨홀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 천문학 관련 정보


1. 개요
2. 유도
2.1. 평행 도플러 효과
2.2. 수직 도플러 효과
3. 고전적 극한
3.1. 도플러 효과
3.2. 광행차 현상
4. 적색편이와 청색편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relativistic Doppler effect

파원이나 관측자가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움직이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도플러 효과. 주로 우주를 배경으로 빛의 도플러 효과를 다루므로 본 문서에서도 빛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매질이 없으며, 역학적 파동과는 달리 광원·관측자의 운동을 결정하는 뚜렷한 좌표계가 없다.[1]

2. 유도[편집]


관찰자는 [math(\mathcal{O'})]계에 있으며, 광원은 [math(\mathcal{O}')]계에 대하여 [math(+x')]방향으로 [math(v)]의 속력으로 움직있는 [math(\mathcal{O})]계에 있다. 광원과 관찰자의 거리가 충분히 멀다면 광원에서 방사된 빛은 평면파로 근사 가능하다. 유도를 이어가기 전 다음과 같은 4-벡터를 정의하자.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b{K} = \biggl(\frac{\omega}{c},\, \mathbf{k} \biggr) \end{aligned} )]
[1] 역학적 파동은 일반적으로 매질을 기준 좌표로 한다.

[math(\mathbf{k})]는 평면파의 파수 벡터이다. 이때,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K_{i}x^{i}=\omega t -\mathbf{k} \boldsymbol{\cdot} \mathbf{r} \end{aligned} )]

은 좌표계에 상관 없이 불변량이다. 즉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omega t -\mathbf{k} \boldsymbol{\cdot} \mathbf{r}=\omega' t' -\mathbf{k'} \boldsymbol{\cdot} \mathbf{r'} \end{aligned} )]

인 것이다.

[math(\mathcal{O'})]계에서 평면파의 물리량은 다음과 같은 로런츠 역변환을 통해 얻을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omega '}{c}=\gamma \biggl( \frac{\omega}{c}+\boldsymbol{\beta} \boldsymbol{\cdot} \mathbf{k'} \biggr) \end{aligned} )]

[math(\boldsymbol{\beta}=\mathbf{v}/c)]이고, [math(\gamma)]는 로런츠 인자이다. [math(\mathcal{O})]계에서 측정한 [math(\boldsymbol{\beta})]와 [math(\mathbf{k})]와의 각을 [math(\theta)]라 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omega '}{c}=\gamma \biggl( \frac{\omega}{c}+\beta k\cos{\theta} \biggr) \end{aligned} )]

[math(kc=\omega)], [math(2\pi f=\omega)]임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 \frac{1+\beta\cos{\theta}}{\sqrt{1-\beta^{2} }} f \quad \cdots \, \small{(\ast)} \end{aligned} )]


이제 이것을 [math(\mathcal{O}')]에서 측정된 각도 [math(\theta')]으로 쓰자. 참고로 일반적으로 [math(\theta \neq \theta')]을 만족하는데, 이를 광행차(aberration of light)라 한다. 이때,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tan{\theta}=\frac{k_{\bot}'}{k_{x}'}=\frac{k_{\bot}}{\gamma \biggl(k\cos{\theta}+\dfrac{\beta\omega}{c} \biggr)} \end{aligned} )]

[math(k_{\bot})]는 [math(\mathbf{k})]의 [math(k_{x})]와 수직한 방향의 성분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tan{\theta'}=\frac{\sin{\theta} \sqrt{1-\beta^{2} }}{\cos{\theta}+\beta} \end{aligned} )]

이 식을 통해 조금 계산함으로써 다음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cos{\theta}=\frac{\beta -\cos{\theta'}}{\beta \cos{\theta'}-1} \end{aligned} )]

이것을 [math(\small{(\ast)})]에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 \frac{\sqrt{1-\beta^{2} }}{1-\beta\cos{\theta'}} f \end{aligned} )]

파장과 진동수의 관계 [math(\lambda f =c)]를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ambda'= \frac{1-\beta\cos{\theta'}}{\sqrt{1-\beta^{2} }} \lambda \end{aligned})]

이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는 관측자와 광원의 상대 운동만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반대의 경우를 구해보아도 각 변수의 차이에 의한 부호 차이만 있을 뿐 동일하게 나온다.

아래는 파장이 [math(540\,{\rm nm})]인 빛()을 방사하는 광원이 각각 [math(0.25c)], [math(0.5c)], [math(0.8c)]로 관측자에 대하여 움직일 때, 각 위치에서 관측자가 관찰하는 빛의 색을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math(0.5c)]일 경우, 검은색 영역은 빛이 관측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적색편이 혹은 청색편이의 정도가 심하여 적외선 혹은 자외선 영역의 빛을 관측하게 되는 것이다. 이 사이트에서 시뮬레이션 가능하다.

[상대론적 전자기학을 사용해보기]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를 상대론적 전자기학 문서의 결과를 빌려 증명해보자. 정지한 관성계 [math(\mathcal{O})]에 대하여 [math(+x)]방향, [math(v)]의 속력으로 움직이는 관성계 [math(\bar{\mathcal{O}})]에 [math(+\bar{x})]방향으로 진행하는 전자기파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bar{E}}&=\mathbf{\hat{\bar{y} }}\bar{E}\cos{(\bar{k} \bar{x}-\bar{\omega} \bar{t})} \\ \mathbf{\bar{B}}&=\mathbf{\hat{\bar{z} }}\bar{B}\cos{(\bar{k} \bar{x}-\bar{\omega} \bar{t})} \end{aligned})]

를 고려하자. 다행히도 두 관성계의 상대 속도와 수직인 장만 존재하므로 그 변환은 아래와 같이 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E}&=\mathbf{\hat{y}}\gamma (\bar{E}+v\bar{B}) \cos{(\bar{k} \bar{x}-\bar{\omega} \bar{t})} \\ \mathbf{B}&=\mathbf{\hat{z}}\gamma \biggl( \frac{v\bar{E}}{c^2}+\bar{B} \biggr) \cos{(\bar{k} \bar{x}-\bar{\omega} \bar{t})} \end{aligned})]

그런데, 패러데이 법칙을 [math(\bar{\mathcal{O}})]계에서 적용함으로써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ar{k}\bar{E}=\bar{\omega} \bar{B} \quad \to \quad \bar{E}=c\bar{B} \end{aligned})]

이를 이용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bf{E}&=\mathbf{\hat{y}} \sqrt{\frac{1+\beta}{1-\beta}}\bar{E} \cos{(\bar{k} \bar{x}-\bar{\omega} \bar{t})} \\ \mathbf{B}&=\mathbf{\hat{z}}\sqrt{\frac{1+\beta}{1-\beta}}\bar{B} \cos{(\bar{k} \bar{x}-\bar{\omega} \bar{t})} \end{aligned})]

이제 시간과 위치를 [math(\mathcal{O})]계로 바꾼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bar{k} \bar{x}-\bar{\omega} \bar{t}&= \bar{k}[\gamma (x-\beta ct) ]-\bar{\omega}[\gamma (t-c^{-1}\beta x) ] \\ &=\gamma [ (1+\beta)\bar{k}x- (1+\beta)\bar{\omega}t ] \\&=\biggl[\sqrt{\frac{1+\beta}{1-\beta}} \bar{k} \biggr]x- \biggl[\sqrt{\frac{1+\beta}{1-\beta}} \bar{\omega} \biggr]t \end{aligned})]

이상의 결과에서 다음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 =\sqrt{\frac{1+\beta}{1-\beta}} \bar{f} \end{aligned})]

이 상황은 광원이 관찰자를 기준으로 왼쪽으로 무한히 떨어져있으면서 다가오는 상황과 같으므로 위에서 구했던 것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재미있는 현상은 또 하나 있는데, 빛의 세기는 전기장 제곱에 비례하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I}{\bar{I}}=\frac{E^{2}}{\bar{E}^2}=\frac{1+\beta}{1-\beta} \end{aligned})]

[math(\beta \to 1)]일 경우 [math(I \to \infty)]가 된다.

또,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omega}{k}=\frac{\bar{\omega}}{\bar{k}}=c \end{aligned})]

로 광속 불변의 법칙이 증명된다.


2.1. 평행 도플러 효과[편집]


광원이 관측자에게 가까워지는 경우
--
이 경우 [math(\theta=0)]이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frac{\sqrt{1-\beta^2} }{1-\beta}f \\ &=\sqrt{\frac{1+\beta}{1-\beta}} f\\&=\sqrt{\frac{c+v}{c-v}}f \end{aligned} )] }}}
한편, [math(c+v>c-v)]임은 자명하므로 본래의 진동수보다 큰 진동수로 관측된다. 즉, 청색편이가 일어난 것이다.

광원이 관측자에게 멀어지는 경우
--
이 경우 [math(\theta=\pi)]이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frac{\sqrt{1-\beta^2} }{1+\beta}f \\ &=\sqrt{\frac{1-\beta}{1+\beta}}f \\&=\sqrt{\frac{c-v}{c+v}}f \end{aligned} )] }}}
위와 같은 이유로 진동수보다 작은 진동수로 관측된다. 즉, 적색편이가 일어난 것이다.


2.2. 수직 도플러 효과[편집]


광원이 관측자를 스쳐 지나는 경우
--
이 경우 [math(\theta= \pi/2)]이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sqrt{1-\beta^2} f_{0} \\ &=\frac{f_{0}}{\gamma}\end{aligned} )] }}}
특히 이 경우 고전적으로는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데 비해 나타난 결과로, 이를 검증한 실험이 바로 아이브스-스틸웰 실험이다.


3. 고전적 극한[편집]


[math(\beta \ll 1)]인 경우에 고전적인 물리 현상으로 돌아가는지 확인해보자.


3.1. 도플러 효과[편집]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 \frac{\sqrt{1-\beta^{2} }}{1-\beta\cos{\theta'}} f \\ &\approx \frac{1}{1-\beta\cos{\theta'}} f &=\frac{c}{c-v\cos{\theta}} \\ &\approx 1+\beta \cos{\theta'} &=\frac{c+v\cos{\theta}}{c} \end{aligned} )]

으로, 결국 고전적인 도플러 효과 식으로 돌아가게 된다.


3.2. 광행차 현상[편집]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cos{\theta} & =\frac{\beta -\cos{\theta'}}{\beta \cos{\theta'}-1} \\ & \approx -(\beta-\cos{\theta'})(1+\beta\cos{\theta'}) \\ &\approx \cos{\theta'}-\beta\sin^{2}{\theta} \end{aligned} )]

이상에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cos{\theta'} - \cos{\theta}= \beta\sin^{2}{\theta'} \end{aligned} )]

이때, 광행차 [math(\Delta = \theta-\theta' \ll 1 )][2]을 도입하자.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cos{\theta'}-(\cos{\theta'}\cos{\Delta }-\sin{\theta'}\sin{\Delta})= \beta\sin^{2}{\theta'} \end{aligned} )]
[2] 실제로 고전적인 관측 결과 이러한 조건을 만족한다.

[math(\cos{\Delta} \approx 1 )], [math(\sin{\Delta} \approx \tan{\Delta})]임을 이용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tan{\Delta}&=\beta\sin{\theta'} \\&=\frac{v}{c}\sin{\theta'} \end{aligned} )]

으로 고전적인 결과로 환원된다.

4. 적색편이와 청색편이[편집]


일반적으로 둘 사이가 가까워지면 청색편이, 멀어지면 적색편이가 나타난다. 이 현상을 이용하여 특정 천체가 태양계로 접근하는 속도(혹은 후퇴한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청색편이의 대표적인 예로 바너드가 있다. 적색편이는 멀리 떨어진 은하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청색편이를 보이는 은하안드로메다 은하가 거의 유일한데 허블 법칙을 안드로메다 은하에 적용시키면 거리가 마이너스가 나온다.

우리 은하의 막대 구조를 발견하는 데에 역시 청색편이와 적색편이가 이용 되었으며, 우리 은하 내부 구조 중 하나인 페르미 거품의 팽창 속도를 계산하는 데도 이용되었다.

5. 감마선 폭발[편집]


블랙홀제트가 방출되는 천체에서, 제트가 아광속으로 방출될 때 여기서 방출되는 복사는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로 인해 극단적으로 파장이 짧아지게 된다. 이때 이 복사의 파장이 감마선 대까지 도달하게 되면 이를 감마선 폭발이라고 한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4:57:19에 나무위키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