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마르셀 뒤샹)

덤프버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Marcel_Duchamp_Fountain_at_Tate_Modern_by_David_Shankbone.jpg

Fountain, 1917 [1]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마르셀 뒤샹(1887~1968)의 1917년 작품.

평범한 소변기로 보이는 작품이지만, 예술의 정의 자체를 바꿔버린, 현대 미술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2. 상세[편집]


이것은 뒤샹이 세심하게 만든 도자기....가 아니다. 당시 화장실에서 쉽게 볼 수 있었던 평범한 남성용 소변기였다. 뒤샹이 한 것은 단 하나, 소변기에 제작사 이름(R. Mutt)의 서명을 한 것뿐이다.[2][3]굳이 따지자면 소변기를 뒤집어놓은것도 있다. 당연히 나오자마자 신진 미국 독립미술가 협회 위원들에게 “이게 무슨 예술이야!” 소리를 들었고, 전시회의 큐레이터는 이걸 전시장 한 구석으로 치워버렸다. 뒤샹은 이때 평론가들과 같은 위원직함을 달고 있었고, 심지어 위원장이기도 했다. 그는 끝까지 자신의 작품이라고 밝히지 않고, 저런 것도 미술관에 있을 수 있는 거 아니냐고 옹호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즐겼다고 한다. 결국 당시 전시된 작품은 쓰레기인 줄 알고 버려져서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후 이 작품이 큰 파급력을 갖자 뒤샹이 17개의 복제품을 만들었다. 복제품이지만 엄연한 진본으로, 세계 곳곳의 미술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지금에 와서는 레디메이드 개념을 최초로 예술에 도입한 작품으로 기억되고 있다. 이 작품이 나오던 시기는 예술이란 예술가의 손을 거쳐서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 암묵적인 규칙이었다. 여기서 예술가의 손을 거쳐야 한다는 것은 예술가가 어떤 대상을 보고 그것을 직접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작품은 예술에서 중요한 것은 대상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개념을 만드는 것이다!"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평가가 어떻든, 20세기 이후의 예술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작품 중 하나라는 것은 분명하다.

사물을 볼 때, 기존의 선입견 내지는 고정관념을 배제한 채로 본다면, 전혀 다른 것으로 보일 수 있지 않은가라는 개념을 강조하는 예술로 볼 수 있다. 특별히 제작하고 잰 체할 조각 미술품을 만들 것이 아니라, 저 변기 역시 고정관념을 백지화한 채로 본다면, 적당한 곡선과 눈부신 흰 색을 갖춘, 가치를 가진 아름다운 예술품으로 볼 수 있다는 소리다. 멀리 갈 것도 없이, 각종 코미디물에서 등장인물이 처음 보는 물건을 엉뚱한 용도로 잘만 사용하는 장면들이 나오는 걸 생각해보면 된다. 원시인이나 아프리카의 원주민들이 현대문명의 물건을 보고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어리둥절해 하다가 자신들의 생활에 알맞게 개조해서 쓴다든가[4], 요강을 예쁜 도자기라고 생각해서 장식품으로 쓴다는 등 각종 사례들이 많다. 이 작품활동 이후 앤디 워홀 등이 토마토 수프 캔을 쓴다거나 하며 팝아트를 등장시키는 것에도 큰 영향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내가 우리집 화장실에 마르셀 뒤샹의 <샘>을 들여놨지 뭐야."라고 하는 스노비즘 유머가 있다.[5]

국립현대미술관에서 2018년 12월 22일부터 2019년 4윌 7일까지 이 작품을 전시했다. 큰 유리와 에땅 도네의 원본은 파손 위험으로 인해 오지 못했고 완전한 관람에 무리가 있었고 그의 일대기를 영웅시하며 주입식으로 정보를 제시하는 레이아웃이었다는 평가가 있었지만, 샘과 자전거바퀴 의자 등은 층과 흑백 공간 경계를 구분하여 나누는 등 최대한 공간을 신경써서 뒤샹을 모르던 사람들에게 그를 소개하는 장으로서의 역할은 충분했다는 평가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2:41:26에 나무위키 샘(마르셀 뒤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어이름 샘(sam)이 아니라 지형 샘(泉)이다.[2] 대충 보면 저게 어딜 봐서 소변기냐고 할 수 있는데, 사진을 90도 꺾어서 보면 흔히 볼 수 있는 구식 소변기의 모습이 나온다. 벽면에 뜷린 세 개의 구멍은 소변을 흘려보내기 위한 배수구.[3] 사족으로, Mutt(머트)라는 성씨의 철자도 뒤샹이 당시 재밌게 읽었던 만화 "Mutt and Jeff"에 나오는 등장인물의 성씨로 한번 더 말장난한 것이라고 한다. 알고 있던 사람들은 기분이 더 나빴을지도 모른다.[4] 실제로 어느 아프리카의 원주민들은 비행기에서 떨어진 콜라병을 망원경이나 악기, 음식을 다지는 용도로 쓰고 있다. 영화 부기맨의 지팡이 장식같이 레디메이드 제품이 제의적 형태를 띄고 있는 표현도 있다.[5] 이 유머가 수록된 서적은 프랑스 철학 도서인 "원숭이는 왜 철학교사가 될 수 없을까". 국내 정발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