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다이너스티

덤프버전 :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svg
서울 다이너스티
Seoul Dynasty
창단
2017년 8월 22일
해체
2023년 11월 21일
연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디비전
동부 (Eastern)
홈 경기장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테마곡
PH-1 - 82[1]
Junoflo - BOMB! (prod. Davidior)
모기업
㈜케이에스브이이스포츠코리아
소유주
[[케빈 추|케빈 추

Kevin
]]
어드바이저
크리스 박

Chris

CEO
아놀드 허

Arnold

상무
[[이지훈(e스포츠)|이지훈

Jihun
]]
스카우트
박시훈

Lime

약칭
DYN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우승 기록
토너먼트
(1회)
2022 킥오프 클래시
해체 당시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3. [[박준영(프로게이머)|박준영

Profit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6. [[이지한(프로게이머)|이지한

Ezhan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7. [[강준우(프로게이머)|강준우

Void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 [[황규태|황규태

Belosrea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1. [[정영훈(프로게이머)|정영훈

Krilli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1. [[박준우(프로게이머)|박준우

Vindaim
]]

팀 컬러 및 유니폼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2023 시즌 유니폼
파일:서울 다이너스티(앞).png
파일:서울 다이너스티(뒤).png
앞면
뒷면



1. 개요
2. 수상 기록
3. 대회 기록
3.1. 시즌별 일람
3.1.1. 출범 시즌
3.1.2. 2019 시즌
3.1.3. 2020 시즌
3.1.4. 2021 시즌
3.1.5. 2022 시즌
3.1.6. 2023 시즌
4. 상세
4.1. 창단 과정
4.2. 한국의 인기팀
4.3. 리그 최초의 한국 연고팀
5. 홈 경기장: DDP
6. 스폰서
7. 구성원
7.1. 로스터 연혁
7.2. 스태프 연혁
7.3. 영구 결번
8. 서포터즈 클럽
9. 역대 유니폼
10. 아카데미 팀
11. 기타
1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2023_Seoul_Dynasty_2.jpg

#TigerNation
오버워치 리그에 참가하는 서울특별시 연고 팀.

2. 수상 기록[편집]


수상 기록
2022 오버워치 리그 킥오프 클래시 - 동부 우승
출범

서울 다이너스티

LA 글래디에이터즈
2020 오버워치 리그 5월 난투 - 아시아 준우승
대회 출범

서울 다이너스티

상하이 드래곤즈
2020 오버워치 리그 그랜드 파이널 준우승
밴쿠버 타이탄즈

서울 다이너스티

애틀랜타 레인
2022 오버워치 리그 서머 쇼다운 - 동부 준우승
샌프란시스코 쇼크

서울 다이너스티

미정
2021 NEXT CUP 준우승
미정

서울 다이너스티

미정


3. 대회 기록[편집]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날짜
순위
대회
결과
상대
상금
2017년 12월 9일
1-3위
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프리시즌
3/0
풀 리그
-
2018년 6월 17일
8위
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정규시즌
22/18
풀 리그
$75,000
2018년 12월 29일
무승부
퍼시픽 챌린지
2:2
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
2019년 3월 25일
4강
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1 플레이오프
0:4
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밴쿠버 타이탄즈
$50,000
2019년 7월 15일
8강
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3 플레이오프
1:3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 샌프란시스코 쇼크
$25,000
2019년 8월 26일
8위
2019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15/13
풀 리그
-
2019년 9월 8일
7-8위
2019 오버워치 리그 포스트시즌
1:4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200,000
2020년 5월 24일
준우승[2]
2020 오버워치 리그 5월 난투 - 아시아
3:4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20,000
2020년 7월 5일
4강[3]
2020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 - 아시아
0:3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 5,000
2020년 8월 8일
6강
2020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 아시아
2:3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
2020년 8월 24일
11위
2020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12/12
풀 리그
-
2020년 10월 10일
준우승
2020 오버워치 리그 그랜드 파이널
2:4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 샌프란시스코 쇼크
$750,000
2021년 1월 31일
준우승
2021 Netease Esports X Tournaments : The Nexus
1:4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
2021년 5월 2일
4강
2021 오버워치 리그 5월 토너먼트 넉아웃 - 동부
1:3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1.svg 청두 헌터즈
-
2021년 6월 6일
4강
2021 오버워치 리그 6월 토너먼트 넉아웃 - 동부
0:3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
2021년 7월 11일
4강
2021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 넉아웃 - 동부
2:3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1.svg 청두 헌터즈
-
2021년 8월 21일
4위
2021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0:3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1.svg 청두 헌터즈
$20,000
2021년 8월 21일
7위
2021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12/4
풀 리그
-
2021년 9월 5일
4위
2021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인 - 동부 2라운드
1:3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
2022년 6월 5일
우승
2022 오버워치 리그 킥오프 클래시 - 동부
4:0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50,000
2022년 7월 21일
12강
2022 오버워치 리그 미드시즌 매드니스
2:3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 애틀랜타 레인
-
2022년 9월 11일
준우승
2022 오버워치 리그 서머 쇼다운 - 동부
2:4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30,000
2022년 10월 16일
4위
2022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19/5
풀 리그
-
2022년 11월 04일
6강
2022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오프
0:3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 샌프란시스코 쇼크
$100,000
2023년 8월 6일
4위
2023 오버워치 리그 동부 정규시즌
6/7
풀 리그
-
2023년 9월 18일
4위
2023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 인 - 동부
1:3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댈러스 퓨얼
-

3.1. 시즌별 일람[편집]






3.1.1. 출범 시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다이너스티/출범 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2. 2019 시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다이너스티/2019 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3. 2020 시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다이너스티/2020 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4. 2021 시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다이너스티/2021 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5. 2022 시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다이너스티/2022 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6. 2023 시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다이너스티/2023 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상세[편집]



4.1. 창단 과정[편집]


2017년 7월 12일 처음으로 발표된 오버워치 리그의 연고지에 서울이 포함되었다. 오너는 대만계 미국인 케빈 추(Kevin Chou)로 모바일 게임 제작사 카밤 공동 설립자로, Gen. G e.sport의 공동대표다. 케빈 추는 APEX 시즌 3 우승팀 루나틱 하이 오버워치 1팀의 결승 멤버[4]를 영입했다. 루나틱 하이의 멤버 6명을 데려온 만큼 사실상 기존 루나틱 하이를 기반으로 한 팀.[5]

루나틱 선수들이 서울팀에 참가하면서 루나틱 하이의 소속 여부에 대해 여러 추측이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서울 다이너스티라는 오버워치 리그에서 활동할 신생팀으로 루나틱 기존 6인 멤버가 완전 이적을 한 것이다.

한때 공식 팀명이 서울 플레이어즈(Seoul Players)라는 설이 돌았다.

해외 오버워치 커뮤니티인 오버워치 스코어에서는 공식 팀명으로 서울 다이너스티(Seoul Dynasty)라고 언급하고 있다.# 오버워치 스코어 뿐만 아니라 여러 해외 사이트에서도 서울 다이너스티라고 언급하고 있다.#12 이후 공식적으로 서울팀의 이름이 '서울 다이너스티'임으로 공개되었다.

10월 27일 팀명이 '서울 다이너스티(Seoul Dynasty)'로 확정되었다. 팀명의 채택 이유는 먼저 500년 동안 서울을 수도로 삼은 조선 왕조에 대한 경의, 그리고 으로 왕좌에 앉은 우승팀만 차지할 수 있는 고귀한 별명이기 때문에 다이너스티로 채택했으며 팀 컬러인 검정색은 고귀함을 상징, 황금색은 먼 옛날부터 왕조들이 사용했던 고유의 색이다. 팀 엠블러의 호랑이 이마에 있는 얼룩은 왕(王)을 상징한다. 한글을 연상시키는 폰트도 특징. 왕의 권위를 뜻하는 레알 마드리드와 유사한 팀명답게 루나틱 출신 멤버들의 커리어가 매우 화려하다.


4.2. 한국의 인기팀[편집]


한국에서 많은 관심을 받는 팀이다. 서울 경기가 없는 날에도 채팅창에서 꾸준히 언급되며, 경기가 있는 날은 시청자수가 평소보다 크게 많아진다. 또한 리그팀 중 가장 문서가 방대하고 수정횟수도 많다. 이는 전술되었듯이 전신 팀이 루나틱 하이인것과 유일한 한국 연고 팀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렇다 보니 서울 팀의 팬덤은 과거 루나틱 하이 팬덤의 문제점을 그대로 답습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에 비례해 극성 안티팬들도 많아 서울의 경기가 있을 때마다 트위치 채팅창에서 다툼이 벌어지곤 하니 채팅을 끄고 보는 것을 권장한다. 결국 트위치 측에서 서울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엔 채팅창에 슬로우 모드[6]를 적용하고 있다.



4.3. 리그 최초의 한국 연고팀[편집]


상기 항목과 비슷한 이유로 선수/코치 사이에서도 '유일한 한국 연고팀'으로 많은 주목을 받는다. 라스칼, 엔비 같이 외국인과의 소통 부재나, 파인처럼 본국에 대한 향수병 등을 앓는 것을 생각하면 '서울'이라는 연고지는 충분히 매력적으로 어필 가능하다. 게다가 한국에 숙소와 연습실까지 마련되어 있어 있고 리그 내 절반이 넘는 선수가 한국 국적임을 고려하면 오버워치 리그 내에서의 영향력은 상당할 것으로 평가받는다.

2020 시즌 청사진이 발표되면서 서울이 가지는 이점은 극대화 되었다. 태평양 컨퍼런스 동부 디비전에 속한 서울은 중국 연고 4팀과 함께 묶여 북미나 유럽 연고팀과의 대결은 손에 꼽을 만큼 적어질 예정이다. 중국은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기에 시차 적응, 선수들의 컨디션 관리, 투-웨이 계약 활동에서 수월할 것으로 평가 받는다. 또한 의사소통 문제와 해외 적응 문제 등을 안고 있는 해외팀과는 달리 서울을 연고로 하기 때문에, 리그 오브 레전드 선수인 페이커, 룰러, 쇼메이커 등의 선수들처럼 경제적인 이익을 조금 포기하더라도, 생활의 안정성 면에서는 압도적으로 선호를 받기에 향후 선수 수급 면에서도 한국 연고팀이라는 점을 어필하면[7] 의외로 수준급의 선수를 쉽게 영입할 수도 있을 듯 하다 [8]

그러나 2023시즌부터 필라델피아 퓨전이 연고지를 대한민국 서울로 이전하고, 서울 인페르날로 이름을 바꾸면서 리그 유일 연고팀은 아니게 되었다.


5. 홈 경기장: DDP[편집]



2019년 12월 12일 정식 발표되었다. # DDP는 수용 인원 1500명의 알림 1관, 700명의 알림 2관, 150명의 부속시설이 있다. 1관 규모만 보더라도 OWL 정규 시즌이 진행됐던 블리자드 아레나(450석)의 3배 규모인데다, 이전 APEX가 치뤄졌던 OGN e스타디움(1050석)의 1.5배 규모이다.
3월 홈스탠드 때는 700명 규모의 알림2관을, 5월 홈스탠드 때는 1500명 규모의 알림1관을 사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의 여파로 모두 취소되면서 첫 홈경기는 빨라야 2022년, 더 심해지면 2023년대 중후반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2023년 말을 끝으로 오버워치 리그가 사라지고 11월 21일 부로 팀 해체가 결정되면서 단 한번도 홈경기를 치루지 못한 구단으로 남았다.

6. 스폰서[편집]





7. 구성원[편집]



7.1. 로스터 연혁[편집]


로스터 연혁
번호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
EscA
김인재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lh2017.png Lunatic-Hai
2017년 8월 22일
2017년 11월 13일
파일:ksvlogo.png KSV AseL[PUBG]
3
Miro
공진혁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2018년 10월 1일
파일:Gen.G 로고.svg Gen.G Esports
스트리머
5
zunba
김준혁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2019년 12월 21일
은퇴
4[9]
tobi
양진모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2020년 11월 27일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13
Gido
문기도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2018년 9월 3일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14
ryujehong
류제홍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2019년 11월 28일
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밴쿠버 타이탄즈
1
Fleta
김병선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600px-Flashluxlogo.png Flash Lux
2017년 10월 15일
2019년 11월 13일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27
Munchkin
변상범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external/en.game-tournaments.com/pic-20170320-774x600-8519561989.pngLaser Kittenz
2019년 7월 25일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보스턴 업라이징
39
xepheR
구재모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Cloud9 아이콘.svg Cloud 9
2018년 9월 11일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1.svg 플로리다 메이헴
0
Wekeed
최석우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lw_large.png LW RED
2017년 10월 27일
2018년 9월 3일
파일:MVPSPACE.png MVP Space
8
Bunny
채준혁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lh2017.png Lunatic-Hai
2017년 11월 4일
2018년 3월 31일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 LA 발리언트
11
KuKi
김대극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MVPSPACE.png MVP Space
2018년 9월 14일
9
Gambler
허진우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BlossoM_logo_200_200.png Team BlossoM
2018년 2월 27일
2018년 10월 1일
파일:Gen.G 로고.svg Gen.G Esports
스트리머
0
Fissure
백찬형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 LA 글래디에이터즈
2018년 8월 21일
2019년 6월 27일
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밴쿠버 타이탄즈
11
Marve1
황민서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600px-Lucky_Future_Zenith_New_Logo.png Lucky Future Zenith
2018년 10월 19일
2021년 10월 10일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보스턴 업라이징
99
Michelle
최민혁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2020년 11월 25일
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 토론토 디파이언트
13
Jecse
이승수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pic-20170822-200x200-6850597588.png Element Mystic
2019년 11월 1일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휴스턴 아웃로즈
1[10]
Fits
김동언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GoinWaterS.png GoinWaterS
2018년 12월 6일
2022년 11월 19일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21
ILLICIT
박제민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BlossoM_logo_200_200.png Team BlossoM
2019년 3월 4일
2020년 11월 20일
파일:Team BM.png Team BM
10
Highly
이성혁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
2019년 11월 23일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
13
Profit
박준영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
2019년 10월 23일
2022년 11월 30일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2023년 1월 16일


7
Gesture
홍재희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
2019년 10월 23일
2021년 10월 12일
은퇴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코치
20
Creative
김영완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Gen.G 로고.svg Gen.G
2019년 10월 30일
2022년 8월 23일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휴스턴 아웃로즈
10
Bdosin
최승태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
2020년 1월 13일
2020년 11월 20일
은퇴
28
SLIME
김성준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밴쿠버 타이탄즈
2020년 5월 14일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플로리다 메이헴
6
ToYou
임현우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Gen.G 로고.svg Gen.G Esports
2020년 8월 6일
2021년 10월 10일
파일:Sin Prisa Gaming logo.png Sin Prisa Gaming
9
SAEBYEOLBE
박종렬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2020년 11월 30일
은퇴
97
Anamo
정태성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플로리다 메이헴
7
Stalk3r
정학용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Gen.G 로고.svg Gen.G Esports
2021년 10월 15일
2022년 11월 24일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 애틀랜타 레인
5
smurf
유명환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 샌프란시스코 쇼크
2021년 10월 21일
2022년 11월 19일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보스턴 업라이징
44
JJonak
방성현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2021년 10월 22일
2022년 2월 15일
휴식
21
Vindaim
박준우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167px-Tiger_nation_logo.png Tiger Nation
(→파일:O2 BLAST 2019 logo.png임대)
2021년 10월 23일
2022년 11월 19일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 샌프란시스코 쇼크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 샌프란시스코 쇼크
2023년 7월 18일


20
ir1s
김승현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휴스턴 아웃로즈
2022년 8월 23일
2022년 11월 19일
파일:PANTHERA 2022.png PANTHERA
5
Prophet
김현빈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
2023년 3월 13일
2023년 6월 10일
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
57
Void
강준우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11
Krillin
정영훈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29
LEESOOMIN
이수민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Sin Prisa Gaming notext.png Sin Prisa Gaming
2023년 7월 17일
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
82
Belosrea
황규태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PANTHERA 2022.png PANTHERA
2023년 4월 28일


6
Seonjun
박선준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Team_Diamond_S2_Logo.png Team Diamond
2023년 5월 19일
2023년 6월 19일

26
Ezhan
이지한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Dreamers overwatch.png Dreamers
2023년 6월 13일




7.2. 스태프 연혁[편집]


스태프 연혁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beast
백광진
단장/감독
파일:lh2017.png Lunatic-Hai
2017년 8월 22일
2018년 7월 16일
파일:Gen.G 로고.svg Gen.G Esports
수석 총괄 매니저
alwaysoov
채호정
코치
파일:Meta_A_logo_534.png Meta Athena 감독
nuGget
김요한
코치
파일:MVPSPACE.png MVP Space
2017년 9월 13일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단장
Hocury
이호철
코치→단장[11]
파일:GC_BUSAN.png GC Busan 감독
2017년 11월 18일
2020년 10월 16일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코치
Bubbly
조윤호
코치
파일:운시아아이.png KONGDOO UNCIA
2017년 11월 20일
2018년 7월 16일
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 토론토 디파이언트
KDG
김동건
감독
파일:6nakes 로고.png 6nakes
2018년 8월 28일
2019년 10월 14일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Changgoon
박창근
코치→감독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 코치
2019년 10월 30일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감독
감독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코치
2019년 10월 30일
2021년 10월 10일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감독
WhyNot
이주협
코치
파일:O2_Ardeont_logo.png O2 Ardeont
2018년 10월 19일
2019년 11월 1일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jinwu
남진우
분석
AEGIS 코치
2019년 4월 23일
2019년 9월 30일
파일:GCBUSANWAVE_OW.png GC BUSAN WAVE 코치
ILGAKSU
안유진
분석
N/A
파일: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로고.png PSU Lions 코치
RaccoonPanda
김이준
분석
파일:NRG_Esports.png NRG Esports
2019년 6월 20일
2019년 9월 30일
은퇴
MMA
문성원
코치
파일:Gen.G 로고.svg Gen.G
2019년 10월 30일


WizardHyeong
김형석
코치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감독
2019년 11월 8일
2020년 11월 2일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전략 코치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전략 코치
2021년 11월 4일
2022년 11월 28일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 애틀랜타 레인 코치
BongWooRi
이봉구
분석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 애틀랜타 레인 분석
2019년 12월 16일
2020년 11월 4일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코치
코치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분석
2020년 11월 4일
2021년 11월 4일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분석
분석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코치
2021년 11월 4일
2022년 11월 19일
파일:Timeless 로고.svg Timeless 코치
Dorong
권도윤
분석
N/A
2019년 12월 16일
2020년 5월 13일
은퇴
Mas
박정우
분석
2020년 2월 24일
2020년 8월 31일
nginx
김근홍
분석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분석
tobi
양진모
감독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2021년 11월 4일




7.3. 영구 결번[편집]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SEO Uniform Retired Number List
번호
선수
04
tobi
14
ryujehong


8. 서포터즈 클럽[편집]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Tiger Nation Club
2019년 11월 6일자로 '타이거네이션 클럽'(Tiger Nation Club)이라고 명명되었다.
2020년 첫 클럽 창립회원의 회원권 구입가격은 33만원으로 책정되었다.


9. 역대 유니폼[편집]


2018 시즌 유니폼[12]
파일:SeoulDynastyHome_Ryujehong_Mens_Jersey_Front.png
파일:SeoulDynastyAway_Miro_Mens_Jersey_Front.jpg

어웨이

2019 시즌 유니폼
파일:seo2019home.jpg
파일:seo2019away.jpg

어웨이

2020 시즌 유니폼[13]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2020 홈.jpg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2020 어웨이.jpg

어웨이


10. 아카데미 팀[편집]



10.1. Gen.G Esports[편집]


서울 다이너스티의 첫 아카데미 팀.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n.G Esports/오버워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2. Gen.G Global Academy[편집]


Gen.G Esports 해체 이후 2023년 창단된 서울 다이너스티의 두번째 아카데미 팀이자 연습생 팀.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en.G Global Academy/오버워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기타[편집]


  • 서울 다이너스티 텍스트 로고에서 D를 뒤집으면 "다"가 된다.#

  • 해설자로 유명한 쏘린은 한국 오버워치 리그 팀에 꽤 불만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일단 삼성전자, SK텔레콤 등의 한국의 대기업이 아니라 미국의 실리콘밸리에 기반으로 둔, e스포츠에 대해서 배경이 없는 회사가 이번 리그에서 제일 중요한 지역인 한국을 가져갔다는 것. 두 번째로는 한국 내 훌륭한 팀이 많은데 고작 팀이 서울 하나뿐이냐는 것이다. 한국 도시 중 인지도가 가장 독보적인 서울을 외국 기반 회사에 빼앗긴 것에 기분이 나쁜 듯하다. 하지만, 아시아나항공을 모회사로 둔 에어부산이 후원하는 GC Busan이 유일했으며 네이밍 스폰서는 아예 없었을 정도로 국내 오버워치는 대기업이 후원한 적이 거의 없다.

  • 검정 바탕에 포인트를 금색으로 둔 홈스킨이 매우 호평받고 있다. 특히 황금 무기와 조합이 좋다. 하지만 출범 시즌 프리시즌의 세 경기 전부 어웨이 팀으로 나오면서 홈스킨을 보여주지 못해 해설진을 포함한 많은 시청자가 안타까워했다.

  • f(x)의 멤버인 엠버가 서울 다이너스티의 팬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엠버는 서울 경기를 직관 간 사진을 SNS에 올렸으며, 서울 다이너스티 공식 유튜브 채널에 류제홍 선수와 피셔 선수가 함께 오버워치를 플레이하는 영상이 업로드 되었다.

  • 2020년 11월 27일 창단 멤버였던 토비가 팀을 나가게 되어 21시즌에는 창단 멤버가 없었지만, 22시즌에 토비가 감독으로 복귀했다.


  • 상술했든 2023년 이전까지 유일했던 한국 연고의 인기팀이기도 해서 극성팬과 극성 안티가 타 팀들보다 많이 존재한다. 극성팬 같은 경우는 서울이 진짜로 못해서 졌을 때도 상대 팀이 매우 잘했거나 운이 안 좋았다는 핑계 등으로 올려치기를 하고, 반대로 극성 안티는 서울이 이겼을 때는 이겨도 압승이 아니라는 이유로 서울을 평가절하하기도 하고 아예 졌을 때는 팀을 해체해야 한다느니 하는 온갖 비난을 쏟아내 시청자들의 눈쌀을 찌푸리게 한다.[14]


11.1. 상하이 드래곤즈[편집]


상하이와는 출범 시즌부터 리그에 참가한 유이한 아시아 팀이고 서로 호랑이와 용이 상징이다보니 용호상박으로 엮인다. 서울 vs 상하이 매치를 쉽게 서상전/상서전 또는 용호상박 매치라고도 부른다. 오버워치 리그의 대표적인 라이벌리라 해외에서도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몇몇 북미 해설자들은 엘 클라시코라고도 부른다.

이 라이벌리의 특이점이라고 한다면 역시나 엄청난 전적 수. 23시즌을 기준으로 무려 27경기나 했고 이것은 오버워치 리그 역사상 최다 매치업이다. 본격적인 라이벌리가 시작된 20시즌부터로 한정하면 2년동안 12경기나 한 셈이다. 시즌이 과도하게 짧다는 비판을 듣는 오버워치 리그에서 같은 매치업이 성사돼봐야 정규시즌에 많아야 네 번, 적으면 두 번 정도밖에 못만다는 점을 고려하면 엄청난 전적 수이다. 잊을 만 하면 경기가 성사되는 수준이라 양 팀의 팬들은 또 얘네랑 붙냐는 반응을 자주 낸다. 또, 팀의 흥망성쇠가 빨리 진행되는 오버워치 리그에서 이렇게 오랫동안 라이벌리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 역시 용호상박 매치의 묘미이다.

서울의 19시즌까지 간판 선수였던 Fleta가 상하이로 이적하면서 본격적으로 엮이기 시작하였다. 지금은 단순히 Fleta와 관련된 경기 이상의 의미를 갖는 더비가 되었기 때문에 적어졌으나, Fleta가 이 라이벌 매치의 서사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플레타 더비라고도 불린다.

또, 서울이 Fleta가 떠난 자리에 Profit을 영입한 것도 있고, 두 선수가 같은 포지션(서브딜러)에서 활약한다는 사실과 오버워치 역대 최고 선수를 논하면 무조건적으로 언급되는 두 선수이기 때문에[15] 이 둘의 경쟁 관계 역시 많은 얘깃거리를 만들어낸다. 단, Profit이 라이벌로 생각하는 선수가 있냐는 질문에 같은 포지션에서 Fleta 선수가 잘한다고 답변한 것 외에는 두 선수가 직접적으로 라이벌 감정을 드러낸 적이 없고 애초에 플레타는 감정 자체를 안 드러낸다 서울 팬들은 여전히 Fleta를 아끼기 때문에 예전의 급식 겐지 대전처럼 양 팬덤이 불붙는 종류의 관계는 아니다.

출범 시즌에도 접점이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서울과 상하이는 출범 시즌 오직 둘 뿐인 동부 팀이었고 이것 때문인지 실제 오프라인 상에서 양 팀의 교류도 있었고[16] 상하이가 스크림 상대를 구하지 못하여 고생할 때 서울이 같이 스크림을 해주기도 했다. 또, 서울이 그 40연패를 했던 전설의 18상하이를 상대로 지리멸렬한 경기를 하자[17] 넷상에서 둘을 못하는 팀으로엮기도 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0승 40패의 상하이와 서울간에 스토리가 생기기엔 상하이가 압도적으로 너무 못하는 팀이었다. 19시즌에는 양쪽 모두 플레이오프권 팀으로 성장을 했지만 상하이는 스테이지3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과정에 상위권 팀들을 차례로 꺾었던 것에 비해 서울은 플레이오프에서 강팀들을 상대로 뚜렷한 한계를 보여서 직접적으로 충돌할 만한 계기가 없었고[18][19] 양 팀의 매치업도 두 번 밖에 성사되지 않았기 때문에 당시 최대 라이벌리였던 샌프란시스코 쇼크 vs 밴쿠버 타이탄즈에만 시선이 쏠렸다.[20]

하지만 리빌딩된 20시즌 상하이와 서울이 상위권 팀으로 예측되었고, 이에 따라 처음에는 단순히 Fleta의 친선 경기 수준이었던 관심이 20시즌 메이 밀리 결승의 상하이의 4선승제 리버스 스윕 승리로 끝남에 따라 본격적으로 엮이게 되었다. 서울 팬들이 하염없이 병선아 미안해를 울부짖은 그 경기 맞다 그리고 그 시즌에만 무려 8번이나 만나고 많은 명경기들을 만들어내며 오버워치 리그 팬들에게 확실한 라이벌리로 인정받게 되었다.

정작 엮이기 시작한 이후로 서울은 도깨비도 한 수 접어줄 널뛰기 기복[21]으로 중위권으로 추락하고, 상하이는 동부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최상위 팀으로 날아오르면서 그냥 잊히나 싶었는데, 플레이-인 들어 서울이 각성하고, 좋은 경기력으로 이후 플레이오프, 그랜드 파이널에서 상하이와 3:2 명승부를 2번이나 보여주면서[22] 본격적으로 더비의 강도가 더 세졌다. 21년에도 이상할 정도로 자주 만났는데 서울은 정규 시즌만 따지면 상하이와 같은 승률(12승 4패 승률 75%)을 보였던 것이 무색하게 유독 상하이만 만나면 무기력하게 졌으며,[23][24] 22년에 와서야 그나마 치열한 매치가 자주 나오게 되었다.

라이벌리와 별개로 객관적인 전적과 성과만 따지면 상하이의 명백한 우위이다. 더비 매치로 인정받기 시작한 20시즌부터의 상대전적은 상하이의 18승 5패 우위로 압도적인 차이가 나고 그동안 상하이는 한 번의 그랜드 파이널 우승, 두 번의 정규시즌 우승, 다섯 번의 스테이지 우승을 하고 정규시즌 MVP, 그랜드 파이널 MVP, 그리고 열한 명의 롤스타를 배출한 것에 비해 서울은 22시즌 킥오프 클래시를 우승과 22시즌 프로핏의 롤스타 수상이 전부다. 이것도 그나마 22시즌에 서울이 좋은 성적을 내고 상하이가 흔들리는 기간이 있어서 많이 따라잡은 거다. 게다가 2345 경기[25], 승승승패패패패, 이재곤의 낙사 신기록 매치, 뛰는 립 위에 나는 피츠 처럼 서울 입장에서는 매우 아쉬운 경기들도 많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호상박 매치가 지속적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상하이가 확실한 우위에 있는 와중에도 서울이 끝까지 좋은 싸움을 했던 적이 있고, 서울이 한 번씩, 특히 중요한 경기[26]에서 상하이를 잡아내는 사례들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계 때문에 서울 팬들은 상하이를 주인님이라 부르며 저승사자 보듯이 하는 동시에 상하이 팬들 역시 서울을 맞붙기 부담스러운 팀으로 여긴다. 그리고 좋은 의미로나 밈적인 의미로나 많은 명경기들이 만들어진 것 역시 한 몫 한다.

23시즌에는 두 팀 다 사이좋게 하위권으로 추락하며 밑바닥에서 용호상박 매치가 열리게 되었는데 이번에도 두 번 만나서 두 번 모두 상하이가 이겼다. 두 팀 모두 매우 안 좋은 성적을 거두었어도 서울의 성적이 그나마 나은 편이었고 특히 상하이는 동부리그 압도적인 꼴등이 예상됐는데 그것과는 전혀 무관하게 이번에도 서울은 상하이를 만나면 고전을 면치 못했다.

  • 20시즌부터 상하이 vs 서울 용호상박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펼치기 ㆍ 접기]
토너먼트 경기는 굵게 표시.
  • 20시즌 12주 - 3:0 상하이
  • 20시즌 14주 - 3:2 서울
  • 20시즌 메이 밀리 결승 - 4:3 상하이
  • 20시즌 21주 - 3:1 상하이
  • 20시즌 썸머 쇼다운 4강 - 3:0 상하이
  • 20시즌 25주 - 3:0 상하이
  • 20시즌 플레이오프 승자 결승 - 3:2 상하이
  • 20시즌 그랜드 파이널 패자 결승 - 3:2 서울
  • 21시즌 7주 - 3:1 상하이
  • 21시즌 8주 넉아웃 - 3:0 상하이
  • 21시즌 12주 - 3:0 상하이
  • 21시즌 17주 - 3:2 상하이
  • 22시즌 4주 - 3:1 상하이
  • 22시즌 킥오프 클래시 4강 - 3:2 상하이
  • 22시즌 킥오프 클래시 패자 결승 - 3:2 서울
  • 22시즌 8주 - 3:0 서울
  • 22시즌 18주 - 3:0 상하이
  • 22시즌 서머 쇼다운 승자조 - 3:0 상하이
  • 22시즌 서머 쇼다운 결승 - 4:2 상하이
  • 22시즌 21주 - 3:0 서울
  • 23시즌 2주 - 3:1 상하이
  • 23시즌 12주 - 3:1 상하이
  • 도합 경기 수 21경기 상하이 17승 - 서울 5승[1], 세트 전적 상하이 61승 - 서울 29승



11.2. 서울 인페르날[편집]


2022시즌 필라델피아 퓨전이 2023년부터 연고지를 서울특별시로 옮기면서 시작된 오버워치 리그서울 더비

또한 퓨전이 인페르날로 리브랜딩을 하면서 운영주체도 T1으로 바뀌며 모구단이 서로 유서깊은 라이벌인 젠지와 T1간의 대결이 성사되어 리그 오브 레전드, 발로란트에 이은 또다른 젠티전이 성립되었다.

이기면 서울, 지면 경성 또는 한양이 된다

11.3. 출범 시즌[편집]


  • 루나틱 하이가 APEX 시즌4에 들어서 MVP Space에게 3:2로 발목을 잡히더니, GC부산에게 3:0으로 2연패를 당해 8강에서 탈락하면서 케빈 추가 서울팀을 환불한다는 글이 속출했었다. 하지만 서울컵 OGN 슈퍼매치에서 새로 영입된 선수들이 엄청난 기량을 보여주면서 추가 선발 선수들을 알아본 케빈 추의 통찰력을 재평가하는 글이 올라왔다.


  • 숙소는 캘리포니아스튜디오 시티(Studio City)에 위치한 개인 저택이었다. 2019 시즌부터 블리자드 아레나 내 연습실이 제공되지 않는 것으로 바뀌어, 리그 구단이 제공하는 연습실에서 지내게 되었다. 서울 다이너스티는 숙소-연습실이 분리되어있으며, 숙소는 아파트식으로 작년보다 좋지 않아졌다는 평. 하지만 연습실이 위치한 젠지 LA 사옥의 시설은 좋다고 한다.

  • 출범 시즌 초중반, 국내외 오버워치 커뮤니티를 들썩이게 했던 "어둠의 4인큐"의 정체는 서울팀이었다. 북미 경쟁전 천상계에 뛰어난 실력을 보이는 4인큐가 등장했는데,[27] 아마추어 실력이 아니었기에 오버워치 리그 팀들이 새로 신입을 시험한다는 추측에 힘이 실렸다. 한 때 게구리를 포함해 리그에 새로 합류하는 상하이 선수가 4명이었기 때문에 이들이라는 추측도 있었으나 공진혁 선수가 개인 방송 중 실수로 4인큐 중 하나인 JJJR로 접속을 하여 이들이 서울 멤버임이 밝혀졌다.[28]

  • 출범 시즌, 서울 다이너스티 SNS 계정 담당자는 잦은 실수와 기행[29]을 보여 부진한 성적에 가뜩이나 뿔이 난 팬들을 더 분노하게 했다. 이후 2019시즌 새로 바뀐 담당자는 나아진 그래픽 및 영상 디자인을 보여주며 경기 관련 소통을 중심으로 운영해 더욱 나아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2.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23:49에 나무위키 서울 다이너스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BOMB! 가 나오기 전까지 사용[2] 정규시즌 2승 추가[3] 정규시즌 1승 추가[4] 류제홍, 양진모, 공진혁, 김준혁, 문기도, 김인재[5] 백광진 감독과 채호정 수석코치 또한 루나틱의 코치진이었다.[6] 100여 초에 한 번만 채팅을 입력할 수 있다.[7] 컨텐더스에서 활동하고있는 인재 풀은 세계최고의 질을 자랑한다. 컨텐, 리그 오프 시즌이 되면, 최상급 선수들의 리그 진출은 이제 당연한 수순[8] 실제로 이 점을 이용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최근 2시즌 강팀에서 내로라하는 선수들 (제스처, 프로핏, 비도신, 새별비, 아나모)을 5명씩 영입하여 fa로 풀린 강팀의 선수들을 영입하고 있다.[PUBG] 배틀그라운드 전향[9] 7 → 4[10] 16 → 1[11] 2018년 7월 16일 직함변경[12] 출범 시즌의 어웨이 유니폼은 홈유니폼의 바탕색만 흰색으로 바꾼것이다.[13] 리그 유니폼이 리뉴얼되면서 어웨이는 모두 검정 계통으로 통일, 따라서 서울, 필라델피아 등 검정색 계열을 즐겨쓰는 팀은 자연스럽게 홈 유니폼을 흰색으로 가져가게 되었다.[14] 대표적으로 22시즌 킥오프 클래시 예선. 항저우, 상하이한테 3:1로 패배하고 나머지 팀은 이겨서 4승 2패 +6으로 3위 진출했고, 상하이전은 3:1로 졌지만 경기 내용은 한 끗차이로 굉장히 치열했을 뿐더러 아직 토너먼트 본선이 시작하지도 않았는데 벌써 ㅈ울이나 팀을 해체하라 같은 극성 안티의 무지성 비난들이 곳곳에 나오기도 했다.[15] 정확히 말하면 실력과 별개로 우승 커리어만 따졌을 때 이 이적 시점을 기준으로는 비교하는 것이 실례일 정도로 Profit이 훨씬 앞섰으나 Fleta가 상하이로 이적하고 우승과 개인 수상을 쓸어담았다.[16] 리그 영상에서 상하이와 서울의 팀원들이 바베큐 파티를 하는 모습이 나오기도 했다.[17] 실제로 압도적 최약팀을 상대로 서울은 스테3까지 유난히 상하이 상대로 자꾸 1세트를 내주는 모습을 보였다. 서울이 스테이지3을 기점으로 추락하는 기량을 보여주면서 스테4 시점에서 상하이의 1승 제물이 서울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진지하게 나오기도 했고. 그나마 스테4에서는 4:0으로 서울이 상하이를 격파하긴 했지만...[18] 두 팀의 정규시즌 성적은 오히려 서울이 앞섰다. 상하이가 스테3을 우승하면서 서울을 제치고 플옵 직행 TOP 6 말석을 차지할 거란 예상이 나왔었지만, 222 고정 이후로 스테4에서 1승 6패, 전체 11위로 급격히 추락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19] 두 팀은 스테이지 4에서 두 번 만난 게 전부다. 두 팀 다 스테이지 4에서는 예상과 달리 부진한 성적을 보였고 두 팀의 경기 결과도 1승 1패로 그렇게 튀는 결과도 아니었다.[20] 이 19시즌 최대의 라이벌리였던 쇼크-밴쿠버는 20시즌 초반에 밴쿠버가 터져버리면서 끝나게 되었다.[21] 기량이 최고조일 때에는 상하이와 접전을 펼치면서도, 안 좋을 때는 런던 제외 나머지 동부팀한테도 맥없이 쓸려나갔다. 문제는 정규시즌 후반으로 갈수록 맥없이 쓸려나가는 경우가 많아졌다는 것. 20시즌 막바지에는 무려 6연패까지 기록했다.[22] 1승 1패. 특히 그 1승이 패자 결승이다.[23] 어느 정도 유일하게 접전을 벌인 경기는 상하이가 사실상 휴식을 선언한 카운트다운컵 시즌의 경기였다. 그리고 심지어 그 경기에서도 서울은 C9을 저지르고 플레타에게 얻어맞으면서 패했다.[24] 특히 리장 타워에서 상하이의 LeeJaeGon이 기존 낙사 최고 기록이었던 서울의 tobi의 9킬을 갱신하기도 했다.[25] 5전 3선승제 경기가 총 플레이 타임 23분 45초만에 3대0으로 끝났다. Fleta가 상하이로 이적하고 처음 성사된 용호상박 매치였고 두 팀 모두 매우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 있던 시점이라 해설진들의 설레발(특히 북미 해설들)과 더불어 팬들의 이목이 집중됐는데 정작 실제 경기는 너무 원사이드하게 끝나서 하나의 밈이 되었다.[26] 20시즌 그랜드 파이널 패자 결승, 22시즌 킥오프 클래시 패자 결승.[27] 상위권 프로들도 애를 먹고, 심지어 상위권 프로들의 다인큐도 이길 정도였다. 물론 6대6 그룹 대결은 아니므로 실력으로 완전히 패배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어둠의 4인큐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엄청난 위용을 보여주었다.[28] 참고로 오버워치 리그 선수는 경쟁전에서 3인큐 제한이 있으나 스트리밍 방송 활동에 한하므로 위의 4인큐는 문제 되지 않는다.[29] 경기 결과가 송출되기 전에 패배를 알리는 내용을 올리거나, 승리했는데 패배했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으며, 한글 번역을 잘못해 플레타 선수의 플레이 영상에 진지하게 애미가 미친 재능이라는 비속어를 내보냈었다. 해당 내용은 사과문 게시 이후 제대로 된 내용으로 수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