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07

최근 편집일시 :



파일:1670421987160.jpg

파일:107_서74사5092.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07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동(민락엘레트19단지후문)
종점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6가(동대문)
종점

첫차
04:10
기점

첫차
06:00
막차
22:30
막차
00:10
평일배차
10~13분
주말배차
토요일 14~17분 / 공휴일 17~21분
운수사명
대원여객
인가대수
25대(예비 1대)[1][2]
노선
민락엘레트19단지후문 - 송양초등학교 - 송양고등학교 - 단독주택단지 - 송현고등학교 - 민락주공2단지 - 송산1동주민센터 - 구306보충대 - 동국대사범부속영석고등학교 - 신곡지하차도 - 장암주공5단지 - 도봉차량기지앞 - 도봉산역 - 도봉역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선교.한성대학교 → 혜화동로터리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이화동(이화장) → 동대문 → 종로5가.효제초등학교 → 혜화역.마로니에공원 → 삼선교.한성대학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대원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12-1번 도시형버스(민락동 - 종로5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107번으로 바뀌었다.

  • 2005년 3월 1일 1152번 지선버스가 수유역에서 노원역으로 단축되는 과정에서 증차가 이뤄졌다.

  • 낙양동 차고지 이전 및 민락2지구 교통편 마련을 위해 2012년 12월 12일에 노선이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당시엔 민락동 상가지구와 부용마을3단지 쪽 도로가 개통되지 않아 이마트 의정부점으로 우회하였다.

  • 도로가 완공되면서 민락동 상가지구/부용마을3단지 경유로 변경되었다.

  • 굴곡 완화를 이유로 2016년 8월 22일부터 부용마을아파트정문, 송산초교를 거치지 않고 송양고에서 송산주공아파트 2.3.5.6단지로 바로 간다. 관련 공문

  • 2017년 12월 31일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완공으로 기존 종로6가(종로5가역 4번 출구) 정류소가 폐쇄되면서 무정차 통과한다.

  • 2018년 1월 1일에 106번에서 감차된 차량 중 3대가 투입되었고 막차의 차고지 도착시간을 앞당기기 위해 막차시간이 40분 당겨졌다. 관련 공문[3] 그런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기간 동안 저상버스 4대와 운전 기사까지 지원을 가면서, 연초에 증차했던 의미가 한 동안 사라지다시피했다.

  • 2020년 1월 29일에 정규차 4대와 예비차 1대가 감차되었으며, 감차된 차량들은 모두 같은 날 신설된 01번으로 이동되었다. 이에 따라 운행 댓수가 평일의 경우 4대,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3대씩 줄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16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2회씩 감회되었으며 전일에 걸쳐서 최소 배차간격은 1분씩, 최대 배차간격은 2분씩 늘어났다. 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20년 11월 2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전기버스 출고에 의한 차량 이동 및 그에 따른 재도색 작업 실시를 위해 한시적으로 평일의 운행 댓수가 1대씩 줄었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4회 감회 운영되었다. 다만 이 기간동안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었다.관련 공문

  • 시기미상으로 의정부민락BRT정류소앞 정류장을 양방향 추가 정차하고 있다.

  • 2021년 8월 2일을 기해 송현고등학교-어룡역-충의중학교 구간을 용민로 직통으로, 그리고 민락초등학교-산들마을2단지-민락중학교 구간은 용현로 직통으로 변경하며 이와 동시에 현재 04:00/22:20인 기점 첫막차시각이 04:10/22:30으로 10분씩 늦춰진다. 또한 이번 노선 조정으로 운행거리가 줄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235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 220분, 토요일/공휴일 215분으로 줄어들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증편되었다. 이번 노선조정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는 각각 4회씩, 공휴일의 경우는 3회 증회되었으며, 다만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전일에 걸쳐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관련 공문

  • 2021년 9월 6일을 기해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 230분, 토요일/공휴일 225분으로 늘어나면서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고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24회/104회/87회에서 120회/100회/84회로 감회되었다. 다만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은 없을 예정이다.관련 공문

  • 2021년 10월 5일을 기해 3대가 감차되었다.[4] 이번 감차로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도 3대씩 감축되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120/100/84회에서 108/88/72회로, 전일에 걸쳐 12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동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배차간격도 7~11분/10~13분/11~15분에서 9~12분/11~15분/13~18분으로 크게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1년 11월 22일부터 동년 11월 28일까지 2416번 신설 준비에 따라 운행 댓수가 평일은 2대, 토요일/공휴일은 각각 1대씩 감축되었고, 동년 11월 29일부터는 4대가 정식으로 감차되어[5]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가 4대씩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우선 11월 22일부터 28일까지 1주 동안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4회씩 감회되었고 여기에 11월 29일부터는 평일의 경우 8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2회씩 추가로 감회되었다. 이번 조치에 따라 우선 11월 22일부터 28일까지 1주 동안은 평일 배차간격에는 큰 변동이 없으나 토요일/공휴일의 배차간격이 11~15분/13~18분에서 11~16분/14~19분으로 늘었었고, 11월 29일부터는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배차간격이 기존 9~12분/11~16분/14~19분에서 10~13분/14~17분/17~21분으로 늘어나게 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강북구-성북구 구간을 지나가는 버스들이 다들 그렇듯이 서울 지하철 4호선 노선과 정확히 일치하며 출퇴근 시간에는 양 쪽 다 터져나가면서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 심야에 민락동 주민이라면 유용한 노선으로 이 노선의 막차를 놓칠 가능성이 우려되거나 이미 놓친 상황이라면 노원역/마들역/수락산역 등지로 이동한 뒤에 우선 민락2지구 방향으로는 3600번을, 장암동/신곡동 방향으로는 3100번, 3200번, 3500번, 3600번 중 하나를 이용하면 된다.

  • 민락동 주민들이 보기에는 10-1번, 10-2번, 10-3번과 경쟁하는 노선이기도 하다.[6] 과 둘 다 민락동에서 도봉산역을 가는 데 유용한 노선이기 때문이다. 차이점은 크게 2가지. 이 노선은 도봉산역을 넘어 동대문까지 가지만, 10-1번/10-2번/10-3번은 도봉산역까지만 간다. 대신 민락동에서 도봉산역까지 걸리는 시간은 10-1번과 10-2번이 더 짧은데 이는 저 두 노선들은 신평화로를 이용해 다이렉트로 가는 반면, 이 노선은 용현동도 들르고 신곡동도 들르고 하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큰 차이점은, 10-1번이 107번보다 훨씬 일찍 끊긴다. 00:00 즈음이면 도봉산역에서 민락동 방향 막차가 끊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7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8,179명
-
2014년
17,035명
▽ 1,144
2015년
16,249명
▽ 786
2016년
15,414명
▽ 835
2017년
15,231명
▽ 183
2018년
15,692명
△ 461
2019년
16,305명
△ 613
2020년
12,559명
▽ 3,746
2021년
11,756명
▽ 803
2022년
10,415명
▽ 1,341
※ 하차 인원 미포함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5년에는 새로 생긴 10-2번 버스가 수요를 분산해주고 있어서 승객이 감소하였다.
  • 2021년 민락동 구간 직선화로 어룡역 연계 기능이 사라진데다, 타 노선 신설 또는 증차 목적의 감차가 여러 차례 시행되면서 인가 대수가 줄어든 영향으로 800명 감소하였다.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4432청계산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계산: 청계산옛골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안양시

152교대

500석수

5618석수

6515교대


군포시

441한솔

502한솔

의왕시


과천시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한솔: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파일:의정부시 CI.svg 민락2지구 연계 버스
지역
버스노선
양주시

23송추

1101서울역버스환승센터

G1200상봉역

G1300N잠실역

송추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서울역버스환승센터 5번 승강장 정차 / 상봉역 / 잠실역: 잠실광역환승센터
파주시

포천시

의정부시
고산지구

고산지구, 금오지구

금오지구

회룡역, 망월사역

의정부역

민락엘레트19단지후문

신곡동, 송산동

장암역

장암동

남양주시

서울특별시
노원역

도봉산역

당고개역, 상계역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신내역, 상봉역


잠실역

강남역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26:21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10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18대 / 공휴일 14대 운행[2] 예비차는 106번, 111번과 공동사용.[3] 실은 이미 2016년 2월 말에도 비슷한 이유를 들어 막차를 40분 앞당기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당시 서울시에서 검토 결과 부적절하다면서 무산시켰었다. 출처[4] 감차분은 341번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5] 감차분은 모두 2416번에 투입되었다.[6] 참고로 이 노선을 운행하는 대원여객10-1번, 10-2번, 10-3번을 운행하는 명진여객은 계열사 관계이다.[7] 동대문(흥인지문공원) 하차[8] 송산1동주민센터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