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72

최근 편집일시 :


파일:IMG_4765(172_6338).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사건.사고
6.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7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72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한성여객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상암DMC홍보관.YTN)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18
막차
22:45
막차
00:03
평일배차
8~12분
주말배차
토요일 8~12분 / 공휴일 10~12분
운수사명
한성여객
인가대수
26대[1]
노선
한성여객종점 - 하계역 - 인덕대학교 - 장위래미안아파트 - 국민은행장위동지점 - 장위동고개 - 창문여고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선교.한성대학교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안국역 - 조계사 - 을지로입구역.시청입구 - 서소문 - 충정로역 - 아현역 - 이대역 - (→ 신촌아트레온 → 연세로 →/← 신촌기차역 ← 세브란스병원 ←) - 연세대학교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성산2동주민센터 - 성산아파트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 상암초등학교 → 월드컵파크2단지·에스플렉스센터 → 월드컵파크3단지.난지천공원 → 월드컵파크4단지후문.JTBC → 상암DMC홍보관.YTN → 상암초등학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한성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7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34-1번 도시형버스(하계역 - 이대입구)가 전신이다. 이 때는 현 세이브존노원점 주차장으로 사용 중인 곳[2]이 기점이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기점을 한성여객 차고지로 변경, '창경궁 - 신촌' 구간을 율곡로, 서소문 경유로 변경하고, 개편전 12-3번(현 472번) 을 대체하기 위해 '이대입구 - 상암동' 구간을 연장했다. 번호 또한 172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4년 7월 31일 월계로 직통에서 장곡초교, 장위동고개 경유로 바뀌었다.[3]

  • 2005년 10월 20일 월드컵파크2~3단지 회차 후 DMC홍보관까지 가는 걸로 연장되었다.

  • 2009년 1월 1일부로 유상감차 정책에 따라 예비차 2대가 감차되었다.

  • 2018년 11월 16일부터 막차시각이 22:45로 기존보다 15분 앞당겨지고, 1일 운행횟수가 조정되어 평일과 토요일의 운행횟수는 각각 5회씩, 그리고 공휴일의 운행횟수는 4회 감회되었다. 이와 동시에 전반적인 배차간격 조정도 단행되어 평일 배차간격은 2분 가량 증가한 반면, 토요일의 경우 최대 배차간격이 1분 감소되고 공휴일의 경우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모두 좁혀졌다(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은 15분에서 12분으로 3분 감소).관련 공문

  • 2020년 3월 2일에 잉여예비차 1대가 감차되었다. 감차분은 같은 날에 신설된 8112번으로 이동됐다. 관련 공문

  • 2022년 4월 18일을 기해 1대가 감차되면서[4] 평일의 경우 3대 존재하던 단축운행차량 중 1대가 감축되고 토요일의 경우 정상운행차량 1대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16회/115회에서 114회/110회로 감회되었다.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상세 배차 조정도 실행되어 운행횟수가 감회되는 평일/토요일의 경우 최소, 최대 배차간격 자체는 변동 없이 유지되나, 정작 운행횟수 변동이 없는 공휴일의 경우 최대 배차간격이 12분에서 13분으로 늘어나게 되었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22년 5월 2일을 기해 1대가 감차되면서[5] 평일의 경우 2대 존재하던 단축운행차량 중 1대가 감축되고 토요일/공휴일의 정상운행차량까지 1대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는 114회/110회/106회에서 112회/106회/103회로 감회되었으며 토요일의 최소, 최대 배차간격이 8~12분에서 공휴일과 동일한 10~13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2023년 2월 1일부터 8112번 폐선분 차량 출신 1대가 증차되었다. 해당 차량이 평일 단축운행차량으로 지정되어,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2회 증회되었다. 이로 인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은 없으나, 정작 운행횟수 변동이 없는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향후 소급 조치로 10~13분이던 배차간격이 토요일/공휴일 각각 8~12분/10~12분으로 축소 조정되었다. 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171번과 겹치는 부분이 은근히 많은 노선이지만 수요처는 엄연히 다르다. 미아리고개 - 안국역, 아현역[6] - 상암초교 구간이 완벽히 겹친다. 그래서그런지 171번 인사하는 경우도 자주 보이고 두 버스가 같이 붙어 올 때도 많다. 그러나 나머지 구간의 차이가 굉장히 크게 난다.

  • 동사 100번과 달리 중계동, 하계동을 한 바퀴 돌고 시내 쪽으로 내려가지 않고, 바로 하계역을 거쳐 도심으로 향한다. 이후 월계2교사거리에서 바로 장위동을 경유하며[7] 다시 미아리고개 축선을 타고 혜화동로터리를 거쳐 상암동 방면으로 가는 노선이다.

  • 첫차부터 새벽시간대는 지선버스들의 차고지 주차로 인해 세이브존 주차장에서 출발하고, 그 외 시간대는 본 차고지 건물 옆측 전용 승차위치에서 출발한다.

  • 하계동 방면 종점 정류장이 차고지 바깥 정류소(11429)[8]으로 잘못 표기되어 있으니 이용 시 주의해야 한다. 이 노선은 1144번처럼 하계미성아파트.을지병원 정류소를 지난 뒤 을지병원 사거리에서 좌회전해서 차고지로 들어간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72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7,015명
-
2014년
16,070명
▽ 945
2015년
16,058명
▽ 12
2016년
15,466명
▽ 592
2017년
15,071명
▽ 395
2018년
14,182명
▽ 889
2019년
14,031명
▽ 151
2020년
10,842명
▽ 3,189
2021년
10,772명
▽ 70
2022년
11,967명
△ 1,195
※ 하차 인원 미포함

  • 장위동 재개발 영향으로 수요가 감소했다.


5. 사건.사고[편집]


  • 이 노선의 버스기사가 음주운전을 하다가 적발되었다. 그런데 한성여객에서 서울시에 보고를 하지 않고 쉬쉬한 정황이 드러남에 따라 파문이 일고 있다.#


6.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종각역[9], 시청역[A]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시청역[A], 충정로역, 아현역, 이대역, 신촌역[10]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안국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충정로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11], 디지털미디어시티역[A]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하계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A], 신촌역[12]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A]
  • 파일:Ui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성신여대입구역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28:42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17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23대 / 공휴일 22대 운행[2] 그래봐야 지금 기점에서 길 건너서 있는 곳이었고 지금도 주박용으로 잘 쓴다.[3] 장위동 지역의 교통불편 문제 때문. 기존 32, 34, 35번은 서울 도심까지 가던 노선이었으나 개편을 맞아 각각 청계7가, 동대문운동장, 미아사거리로 단축되어 도심접근성이 나빠지고 말았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172번을 장위동으로 보낸 것이다.[4] 감차분은 서울시의 심야전용 노선(일명 N버스 혹은 올빼미버스) 확대 조치의 일환으로 신설된 N51번으로 이동되었다. 다만 172번 출신 차량이 N51번에 그대로 투입된 건 아니고, 1144번에서 대형 저상차량 1대를 N51번으로 이동시킨 뒤 그 빈자리를 172번에서 운행하던 대형 일반차량이 채우도록 하는 방식의 이른바 차돌리기가 동반되었다.[5] 감차분은 1144번 증차분으로 이동하였다.[6] 충정로역은 정류장 위치가 다르다. 이 노선은 중림동과 서소문으로 들어가므로 2호선 쪽, 171번은 5호선 쪽 경유[7] 개편 직후에는 월계로 직통으로 운행하였다. 장위동 주민은 지선버스를 이용해서 환승하라는 뜻이였지만 장위동 주민의 반발이 상당히 심해서 2004년 7월 31일부로 장위동길을 경유하게 되었다. 버스를 타보면 알겠지만 장위동 일대의 2차선 도로를 ㄱ자로 가는지라 거의 마을버스 수준이다. 그래도 다행히 100번과 시간 차이가 크게 나는 편은 아니다. 10분에서 길게는 15분 정도. 평상시 시간대엔 10분 안짝으로 차이난다. 그러니 앉아서 귀가하고 싶다면 이 노선도 괜찮다.[8] 이 정류소는 하계역에서 하계동 차고지로 (바로) 들어가지 않는 버스들이 이용하는 정류소이다.[9] 조계사 하차[A] A B C D E 상암동 방향 한정 2번 출구 정차[10] 상암동 방향 한정[11] 월드컵경기장북측 하차[12] 하계동 방향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