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370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구 300번 간선버스에 대한 내용은 서울 버스 300 문서
서울 버스 300번 문단을
서울 버스 300#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7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370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강동공영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3가(충정로역)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15
막차
22:50
막차
00:10
평일배차
1~6분
주말배차
토요일 4~8분 / 공휴일 5~8분
운수사명
대원여객 / 송파상운
인가대수
44대(예비 5대)[1][2][3]
노선
강동공영차고지 - 강일리버파크1~8단지 - 강동공영차고지 - 해뜨는주유소 - 강동첨단업무단지.상일여고입구 - 초이동 -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 - 강동역 - 천호역 - 천호대교 - 광나루역 -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 군자역·용마초등학교 - 장한평역 - 답십리역사거리 - 동대문구청 -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 동대문역 - 종로1~6가 - 광화문 -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 → 서대문경찰서 → 한국경제신문사 → 충정로역서대문역사거리 →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대원여객송파상운에서 공동 배차로 운행 중인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버스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으로 메트로버스가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이 때는 은평공영차고지까지 갔다. 161번에 묻혀서 그렇지, 엄청난 장거리 노선이었다.

  • 컨소시엄 지분을 가진 송파상운이 탈퇴하면서 일부 차량이 송파상운 소유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 2010년 7월 31일부터 공동 배차하였다.



  • 2012년 3월 16일에 '은평차고지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연세대 - 서대문역’ 구간이 단축되었고, 서대문고가차도 아래에서 U턴하여 농협 본사에 정차한 후 다시 세종대로네거리 방면으로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4년 1월 16일에 운행업체가 메트로버스에서 대원여객으로 변경됐다.(송파상운 차량들은 그대로 운행)

  • 2015년 7월 10일부터 서대문고가차도가 철거에 들어가면서, 회차 경로가 '경찰청 → 염천교 → 한국경제신문사 → 종근당 → 충정로역'으로 변경되었다. 최초 단축안은 회차지점을 종로1가와 무교동 쪽으로 바꾸고 노선을 단축하려는 안이였는데 서대문역까지는 그대로 가는 걸로 바뀌었다. 관련 공문

  • 2017년 8월 23일 송파상운 소속 차량 9대가 거여동 차고지 사수를 위해 운행을 중단했고, 대원여객 차량 일부도 송파상운 노선 임시 대체 운행에 차출되어 총 10여대 가량의 결행이 발생했다. 당일 송파상운과 재개발 조합 측의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다음날 첫차부터는 정상화되었다.

  • 2018년 1월 1일부터 과밀도 완화을 위해 106번의 감차분 중 2대가 투입되었다. 관련 공문

  • 2018년 6월 11일에 2312번으로 2대가 차출되어 다시 44대로 운행할 예정이었으나 준비기간 부족으로, 2주 늦어진 6월 25일에 시행되었다. 관련 공문1, 관련 공문2

  • 2020년 1월 29일을 기해 예비차 1대가 감차되었다. 비투입 예비차량 감차이므로 운행횟수에 생기는 변동은 없다.관련 공문

  • 2020년 11월 2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전기버스 출고에 의한 차량 이동 및 그에 따른 재도색 작업 실시를 위해 한시적으로 평일의 운행 댓수가 1대씩 줄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5회 감회 운영되었다. 다만 이 기간동안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었다.관련 공문

  • 수소전기버스 시범 투입과 그에 의한 충전 및 공차회송 소요시간 추가 발생으로 인해, 2020년 12월 15일과 2020년 12월 21일자로 총 2번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도 2번에 걸쳐 평일의 경우 도합 4회, 토요일/공휴일의 각각의 경우 도합 2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 변동은 없을 예정이다.관련 공문 참고로 수소전기버스는 총 4대 도입되었다.

  • 2021년 7월 1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65분에서 195분으로 늘었고,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6분/4~8분/5~8분이던 배차간격도 5~7분/6~7분/6~8분으로 조정되었다.(단,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행횟수에는 변동 없음)관련 공문

  • 2022년 5월 14일부터 9월 2일까지 천호역 중앙차로 정류장이 스마트쉘터 설치 공사로 인해 천호역 가로변 정류소에 정차한다.

  • 2022년 6월 27일에 대원여객 소속 4대가 감차되어 0411번으로 이동하고 2312번으로부터 2대가 이 노선으로 넘어왔다. 결과적으로 이 노선에서는 두 대 감차된 셈이다. 또한, 전일에 걸쳐 운행횟수가 10회씩 줄어들지만, 배차간격 변동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이 노선은 지금은 흑역사가 된, 1기 지하철 계획 당시 5호선으로 계획된 지하철 노선의 원안을 그대로 이어받은 노선이다. 이와 관련된 글 이러한 역사 때문에 중앙차로가 일부 끊겨 있는 상황에서도 도심 진입에 있어서 지하철보다 분명히 장점이 많다. 강동구엔 수도권 전철 5호선이 운행하고 있지만, 도심의 모든 지역이 5호선 라인에 다 몰려있는 것도 아니고 5호선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거나 내리려면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한다.

  • 천호대로 버스전용중앙차로 중 일부 구간(동대문구청 - 강동역)은 130번과 정확히 겹친다.

  • 메트로버스 시절 이 노선을 보조하기 위한 노선으로 8300번이 있었다. 급행 버스 목적으로 이 노선의 지하철 환승역과 맞먹는 매우 적은 정류장 수가 특징이었다.

  • 초이동 정류장이 하남시에 있다보니 짧지만 경기도를 경유하는 노선이다.

  • 송파상운의 유일한 간선노선이다.

  •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을 굉장히 길게 타는 노선이다. 초이동부터 경희궁 방향면으로는 완전히 중앙버스전용차로만 이용하며, 반대방향 이용시에도 숭인동부터 용두역까지의 짧은 구간을 제외하면 모두 중앙버스전용차로이다.

  • 회차구간인 충정로역 일대가 말이 서대문구지, 지도상으로나 서대문구(혹은 이를 넘은 서북권(7권역))의 최동단이고, 실질적으로는 도심권의 최서단으로 보는 것이 현실 인식에 부합하지만, 그래도 7권역 정류소를 거치는 것은 사실이므로, 회차지 권역번호는 여전히 7이다.[4]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70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28,135명
-
2014년
27,261명
▽ 874
2015년
27,728명
△ 467
2016년
26,435명
▽ 1,293
2017년
25,999명
▽ 436
2018년
27,309명
△ 1,310
2019년
27,234명
▽ 75
2020년
22,066명
▽ 5,168
2021년
20,739명
▽ 1,327
2022년
21,477명
△ 738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6~2017년 2312번 버스의 활성화로 수요분산이 가속해 승객이 1,700명 감소했다.
  • 2021년 341번 버스의 이 버스와 동일한 천호역~강동공영차고지 변경으로 승객이 1,300명 감소했다.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70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충정로역2호선
13137

충정로역5호선
13238



한국경제신문사.서소문역사공원
02109


서대문역사거리
13047




서대문경찰서
13252
이상 회차 구간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01007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01008
광화문
01009




광화문
01010
종로1가
01011




종로1가
01012
종로2가
01013




종로2가
01014
종로3가.탑골공원
01015




종로3가.탑골공원
01016
종로4가.종묘
01017




종로4가.종묘
01018
종로5가.광장시장
01019




종로5가.광장시장
01020
종로6가.동대문종합시장
01021




종로6가.동대문종합시장
01022
동대문역.흥인지문
01023




동대문
01037
숭인동
01262




동묘앞
01044
동대문우체국.서울풍물시장
06163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06008
용두동
06162




서울시동부병원
06007
용두역
06161




-
동대문구청
06017




동대문구청
06006
신답초등학교.청계한신휴플러스
06004




신답초등학교.청계한신휴플러스
06005
답십리역사거리
04001




답십리역사거리
06001
청년회의소.서울새활용플라자
04002




청년회의소
06002
장한평역
04003




장한평역
06003
군자교입구
05002




군자교입구
05001
군자역5번출구.용마초등학교
05004




군자역4번출구.용마초등학교
05003
중곡동입구삼거리
05008




중곡동입구삼거리
05005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05007




어린이대공원후문아차산역
05006
새밭교회
05010




새밭교회
05009
광나루역
05012




광나루역
05011
천호역
25014




천호역
25013
강동역
25012




강동역
25011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
25010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
25009
둔촌2동주민센터
25008




둔촌2동주민센터
25007
강동자이·프라자아파트
25006




강동자이.프라자아파트
25005
초이동
25004




초이동
25003
상일초교
25002




상일초교
25001
강동첨단업무단지.상일여고입구
25310




강동첨단업무단지.상일여고입구
25309
고덕리엔파크3단지
25112




고덕자이
25111
강명초등학교
25110




고덕자이.고덕천물놀이장
25109
고덕천교차로
25108




고덕천교차로
25107
해뜨는주유소
25106




해뜨는주유소
25105
고덕리엔파크1단지
25104




고덕리엔파크1단지
25103
강동공영차고지
25102




강동공영차고지
25101
강일동주민센터
25318




강일동주민센터
25319
강일리버파크3단지.1단지
25337




강일리버파크1단지.3단지
25336
강일리버파크4단지.2단지
25320




강일리버파크2단지.4단지
25321
강일리버파크4단지.5단지
25334




강일리버파크5단지.4단지
25335
강일고등학교.강일리버파크7단지
25322




강일고등학교.강일리버파크7단지
25323
강일리버파크8단지
25333




강일리버파크8단지
25332
강일리버파크6단지
25324




강일리버파크6단지
25317
강동공영차고지
25341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4432청계산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계산: 청계산옛골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안양시

152교대

500석수

5618석수

6515교대


군포시

441한솔

502한솔

의왕시


과천시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한솔: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33:30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37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원여객 35대(예비 4대) / 송파상운 9대(예비 1대)[2] 토요일 34대(대원여객 27대, 송파상운 7대) / 공휴일 30대(대원여객 24대, 송파상운 6대) 운행[3] 대원여객 예비차 1대는 N31번, 341번, 3323번과 공동 사용, 2대는 0411번, 2312번, 2416번, 3323번, 341번, N31번과 공동 사용, 1대는 201번, 341번, 2312번, 2416번과 공동 사용한다.[4] 원래대로였으면 번호를 300번으로 바꿔야 한다.[5] 고덕천교차로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