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463

최근 편집일시 :


파일:Seoul463-a.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6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463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염곡동(염곡공영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국회의사당역)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10
막차
22:15
막차
23:25
평일배차
7~11분
주말배차
11~14분
운수사명
대흥교통
인가대수
30대[1]
노선
염곡공영차고지[2] - 구룡사입구 - 도곡한신아파트 - 역삼역.GS타워 - 언주역.차병원 - 학동역 - 압구정역 - 현대아파트 - 성수대교 - 뚝섬서울숲 - 무학여고 - 상왕십리역 - 신당역.중앙시장 - 퇴계로6가 - 충무로역 - 명동역 - 남대문시장.회현역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5번 승강장) ←) - 서울역서부 - 만리동고개 - 공덕역.공덕시장 - 마포역 - 마포대교 - 여의도순복음교회 → 한국산업은행본점 → 국회의사당역 → 여의도순복음교회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대흥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9.5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77번 도시형버스(마장동 - 여의도)가 전신이다. 이 때는 물량으로 승부하는 노선으로 유명했으며, 기본 2분 배차에 간혹 3~4대가 몰려 다니는 빗자루질을 보여주기도 했다. 31.5km 운행거리에 36~40대까지 운행을 하였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충정로역, 애오개역 대신 만리동고개 경유로 변경, 여의도 구간도 단순화되고 번호도 263번으로 바뀌었다.

  • 서울역고가차도에 노선버스 진입이 금지되면서 2008년 12월 27일에 여의도 방향은 숭례문과 시청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3년 3월 19일에 여의도 방향이 숭례문과 시청 대신 북창동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차고지가 마장동에서 염곡동으로 이전됨에 따라 2014년 3월 11일에 염곡공영차고지로 연장됐고, 권역에 맞춰 번호가 463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5년 2월 27일에 배차간격 민원으로 인해 마장동 구간이 단축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대체노선은 2013번이다.

  • 서울역고가차도가 폐쇄되면서 2015년 12월 13일에 퇴계로 왕복 경유로 변경됐다. 관련 공지사항 이에 따라 칠패로에 들어가지 않는다.


4. 특징[편집]


  • 염곡동으로 변경 될 때 왕십리역 - 마장동 구간과 마포역 - 여의도 구간을 단축하려고 했으나, 마장동과 여의도 쪽 극심한 민원으로 인해 단축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결국 왕십리역 - 마장동 구간은 단축되어 대체노선으로 2013번이 대신 운행 중이다.

  • 147번과 겹치는 총지사부터 압구정역까지 기존 147번 승객들을 동사의 4211번과 분산되고 있다. 역삼역, 학동역, 언주역, 압구정역 쪽은 단거리 승객도 많아서 그동안 이 구간을 혼자서 완주하여 과수요에 시달렸던 147번의 승객들을 분산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총지사 입구에서 147번은 한티역 쪽으로 좌회전하기 때문에 총지사 이남으로는 4211번과 함께 사실상 독점 중이다.

  • 강남 논현로와 강북 도심권의 고산자로, 왕십리로, 퇴계로 등 상습 정체구간을 달리다 보니 교통 체증이 심하게 발생할 경우 배차가 심하게 벌어지는 현상이 전보다 자주 발생하게 되었고 심지어는 배차간격이 30분까지 벌어지는 현상도 종종 벌어진다. 노선 또한 길어져서 편도 운행만 2시간을 찍기 때문에 기사들이 263번 시절에 없던 폭주 근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 성수대교와 마포대교를 이용하여 편도로 한강을 2번 건너는 유일한 서울 노선[3]이다.[4] 노선 형태도 핵심 권역인 여의도 - 명동 - 강남을 모두 거치는 노선이 되었다.

  • 마장동 구간이 폐지되면서 이 구간을 더 이상 경유하지 않는다. 같은 날 2013번이 이 구간을 다니게 되는데, 불편사항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5] 새벽시간대 남대문시장으로 가는 시민들과 신당동으로 통학하는 학생들 때문. 얼마 지나지 않아 2013번 첫.막차가 20분 앞당겨져 새벽시간대 승객 편의는 전보다는 나아졌지만 아직도 불편 민원이 많다.

  • 강남 구간은 기존 147번의 수요 분산, 강북 구간은 기존 263번 수요가 있기에 그래도 대당 이용객수가 700명을 넘기는 중위권 노선이다.

  • 현재는 폐기된 1기 지하철 계획 초기의 2호선이랑 선형이 상당히 유사하다.[6]

  • 기점이 마장동이였던 263번 시절에 가스 충전할 때 서울숲 인근에 위치한 뚝섬CNG충전소에서 충전한 적이 있다.

  • 263번 시절에 무한도전 돈가방을 갖고 튀어라 특집에서 노홍철박명수가 같이 여의도로 갈 때 이용했다.[7].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63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6,771명
-
2014년
15,968명
▽ 803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63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5,668명
-
2015년
16,847명
△ 179
2016년
17,278명
△ 431
2017년
17,957명
△ 679
2018년
17,301명
▽ 656
2019년
17,697명
△ 396
2020년
14,091명
▽ 3,606
2021년
14,254명
△ 163
2022년
16,041명
△ 1,787
2023년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염곡동]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삼역, 왕십리역[A], 상왕십리역, 신당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B]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압구정역, 충무로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B], 충무로역, 명동역, 회현역, 서울역[염곡동]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왕십리역[A],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B], 공덕역, 마포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당역, 공덕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학동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언주역, 국회의사당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왕십리역[A], 서울역[서부], 공덕역
  •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왕십리역[A]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서부], 공덕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염곡동], 왕십리역(ITX-청춘)[A]


6.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37:26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46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 공휴일 22대 운행[2] 차고지 앞에서 승하차 가능. 승차한다면 차고지 앞에서 기다리자. 기사가 문을 열어준다.[3] 단, 최초는 아니다. 과거 342번, 서울 버스 8361번도 한강을 두 번 넘었던 적이 있었고, 2004년 대개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구 137번, 구 588번 등도 종종 있었다.[4] 경기 버스를 포함하면 남양주 112-1번이 올림픽대교와 팔당대교로 한강을 두 번 건너기는 한다.[5] 2013번은 왕십리역 이후 신당역까지는 대체할 수 있긴 하나 신당역에서 다시 마장동으로 갈 때는 청계천을 경유하므로 완벽하게 대체하지는 못한다.[6] 현재 2호선이 아닌 양택식 서울시장 당시 2호선 계획을 말한다.[7] 이 때 버스 안에서 박명수가 말했던 "가방을 가짜를 들고 다니고, 진짜를 숨겨 놓고......"는 이 특집 후반부의 핵심 내용을 암시하는 장면이었다.[염곡동] A B C 염곡동 방면 한정 서울역버스환승센터 5번 승강장 정차. 여의도 방면은 서부에서 하차 후 도보 이동.[A] A B C D E 여의도 방면은 코스모타워에서 하차 후 도보[B] A B C 광희동 하차 후 도보[서부] A B 서울역 서부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