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211

최근 편집일시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7011
7013
7016
7017
7018
7019
7021
7022
7024
7025
7211
7212
7611
7612
7613
7711
7713
7715
7719
7720
7722
7723[a]
7726
7727
7728
7730
7734
7737
7738
7739
8701
8762
8771
8772
8773
8774
8777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0권역
]]ㆍ[[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1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

3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5권역
]]ㆍ[[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6권역
]]



파일:서울7211.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불광역~평창동~국민대~길음역 간 헬게이트
4.2. 사건 사고
4.3.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21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7211번_노선도.jpg

기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진관공영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설동(신설동역)
종점

첫차
04:10
기점

첫차
05:15
막차
23:00
막차
00:10
평일배차
4~10분
주말배차
토요일 6~12분 / 공휴일 7~12분
운수사명
신수교통 / 제일여객
인가대수
33대(예비 3대)[1][2]
노선
진관공영차고지 - (→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 - 구파발역 - 진관중고교.약수사앞 - 은평뉴타운아이파크.푸르지오 - 하나고.삼천사.진관사입구 - 은평경찰서 - 연신내역 - 불광역 - 구기터널 - 구기동 - 평창동주민센터 - 롯데아파트 - 북악터널 - 국민대앞 - 정릉2동주민센터 - 길음역 - 종암동주민센터 - 고려대학교 → 종암초등학교 → 용두시장 → 신설동역대광고등학교 → 안암오거리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신수교통제일여객에서 공동 배차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8.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154-1번 도시형버스(기자촌 - 신설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7211번으로 변경되었다.

  • 진관동과 기자촌 일대가 은평뉴타운으로 재개발되면서 2009년 11월 14일에 기점이 진관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0년 7월 5일에 구파발역 구간이 바뀌었다.

  • 2016년 4월 28일에 9711B번이 폐선되어 신성교통 쪽에 1대가 증차되어 평일 운행 횟수가 3회 증가하였다. 폐선 - 증차 시점의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이 공문에 그대로 나와 있다.

  • 2018년 5월 1일부터 775번이 폐선되면서 서울운수 차량이 4대 증차되고, 제일여객 차량 2대는 감차되어[3] 결과적으로 인가 댓수가 2대 증차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가 2대씩 늘고, 이와 전일에 걸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70분에서 175분으로 늘었으며,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가 전일에 걸쳐 각각 5회씩 증회되었다. 또한 이번 증차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평일 7~15분/토요일 8~15분/공휴일 10~15분이던 배차간격이 평일 5~10분/토요일 7~12분/공휴일 8~12분으로 줄었다.관련 공문

  • 2020년 1월 20일을 기해 전일에 걸쳐 제일여객 측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2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0년 2월 15일부로 9709번 감차분 중 2대가 증차되어 운행 댓수가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2대씩, 공휴일의 경우 1대 늘었으며, 이와 동시에 서울운수 측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전일에 걸쳐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10회씩, 공휴일의 경우 5회 증회되었다. 다만 이번 증차 및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0년 5월 1일부로 9709번 감차분 중 1대가 증차되어 평일/토요일 운행 댓수가 각각 1대씩 늘었으며,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5회씩 증회되었다. 다만 이번 증차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1년 6월 1일을 기해 신수교통 차량 2대가 감차되었다.[4] 이에 따라 운행 댓수가 평일/공휴일의 경우는 각각 2대씩, 토요일의 경우는 노선 간 차량 이동과 무관하게 2대가 추가로 감축되어 총 4대가 감축되었으며, 1일 총 운행횟수는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0회/21회/11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은 없었다.관련 공문

  • 2022년 2월 3일을 기해 신수교통 차량 1대가 감차되었고[5], 이에 따라 평일의 운행 대수가 1대 감축되어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3회 감회되었다.(토요일/공휴일의 경우 운행 대수와 운행횟수 모두 변동 없음) 다만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은 없었다.관련 공문

  • 2022년 4월 18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제일여객 운행분 중 일 3회씩 운행하던 단축운행차량 2대가 감차되어[6] 단축운행차량이 평일에만 운행하는 1대를 제외하고 사라지게 되었으며, 1일 운행횟수는 전일에 걸쳐 각각 6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 변동은 없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4. 특징[편집]



  • 720번과 비슷한 점이 많다. 진관동 ~ 신설동을 연결하며 은평뉴타운도 연계한다. 두 노선 모두 인가가 30대 이상이고, '''제일여객의 전통강자이자 주력노선이다. 7권역 내에서도 수요가 매우 높은 편이다.

  • 720번의 경우 새문안로-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전까지 신설동으로 가는 소요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렸었다. 그러나 개통 이후에는 7211번이 역으로 국민대구간이 밀려버릴시 720번에게 대체적 열세다. 하지만 이 두 노선 모두 결정적인 정체 문제는 연신내 쪽이다.[7] 또한, 이 노선은 하필이면 가로변차로 운행이라서 다른 노선이 중앙차로를 타고 지나가는 동안 가로변에 갇혀 몇 십분을 추가 소모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다만, 21시 이후에 차가 막히지 않으면 비슷하게 걸리는데, 연신내역에서 동시에 출발하여 용두동사거리까지 간다고 가정하면, 대개 동시에 도달하거나 7211번이 1~3분정도 일찍 도달한다.

  • 정릉과 길음역 인근에서 고려대정문 앞으로 한 번에 연계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결정적으로 불광역에서 국민대학교까지가 많이 안 걸리는 편으로, 잘 하면 15분 안에 도착 가능. 심지어 세검정(평창동)에서 국민대학교까지는 잘 달리면 10분 안에, 고려대학교까지는 20분 내에 도착이 가능하다. 하지만 불광역~국민대 구간이 정체 걸리면 40~60분까지 늘어나기도 한다. 버스 탑승을 즐긴다면, 환승 후 경희대/시립대/외대까지 지상으로만 다닐 수도 있다.

  • 등교길에 길음역에서 나온 국민대, 서경대 학생들이 애용하는 노선이기도 하다.[8]

  • 다만 전체 소요시간은 꽤 길다. 은평뉴타운 개발 이후 내부에서 자주 정차하기도 하고, 연신내~불광, 불광~국민대, 국민대~고대가 정체되는 시간도 제각각이라 특정 시간대가 아니면 쾌속주행은 어렵다. 다만 22시 이후에 타면 연신내에서 고려대역[9] 까지 지하철보다 훨씬 빠른[10][11](...) 전력질주를 맛볼 수 있다.



  • 뉴타운 개발을 전후로 지속적인 증차가 이루어진 노선이다.

  • 신설동역이 회차지이다. 오랫동안 1번 출구 정류장(현 성북04번 정류장)을 썼는데 왕산로 중앙차로 확대개편과 함께 421, 7211, 272가 신설동역 스타벅스 앞 정류장만을 쓰게 되었다. 마땅히 쉴 구석이 없어서인지 대광고등학교 정류장과 안암제2교, 안암오거리에서 조금 못 미친 GS칼텍스 주유소에서 잠시 볼일을 보는 기사가 많다.

  • 은평뉴타운 주민들에게는 가장 인지도 높은 노선이며, 은평뉴타운 1지구에서는 7723번과 함께 구파발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수단 역할을 하며, 2단지 및 3단지(제각말아파트, 하나고, 폭포동)에서도 연신내역을 연결하는 노선 중 가장 배차간격이 원활한 노선이다.

  • 출퇴근 시간에는 사실상 기종점인 구파발역부터 가축수송이다. 특히 등교시간대는 진관중고교 통학생 및 교사들의 발이 되주는 중요한 노선이며[12], 출근 시간대 역시 은평뉴타운 단지들과 구파발역, 연신내역을 잇는 주요 교통수단으로 활약하고 있다.


  • 서울운수(당시 명칭)와의 노선교환으로, 제일여객의 유일한 지선버스로 남게 되었다.

  • 은평구/평창동 뿐만 아니라 길음역에서도 존재감이 큰 노선이다. 길음역~정릉을 이어주는 버스인데다 이 일대에서 은평구로 향하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


4.1. 불광역~평창동~국민대~길음역 간 헬게이트[편집]


  • 단독구간이 있다보니 출퇴근 시간대에 승객을 태우느라 배차간격이 자주 벌어지곤 한다.

  • 일산, 은평지역에서 국민대, 서경대, 고려대 방향으로 가는 유일한 버스이다 보니 불광역에서 승차전쟁이 종종 일어난다. RH는 말할 것도 없고 NH때도 앉아가기 힘들거나 심각하면 서서가는것 조차 힘든 수준.

  • 평창동에서 불광역으로 가는 유일한 버스이다보니 승차전쟁이 발생하고 있다. 출근시간대에 진관공영차고지 방향으로 북악터널만 통과하면 이미 만차라 평창동에서 승객들이 꾸역꾸역 타고 있는 상황이다. 반대로 퇴근시간대에는 신설동 방향으로 불광역에서 승차전쟁이 발생하는데, 간혹 승객이 너무 많을때에는 하차하느라 평창동 일대 정류장에서 시간을 오래 보낸다.

  • 결국 2016년 2월 22일부터 3월 19일까지 1개월간 내부순환로 사근램프~길음램프 구간이 통제되면서 해당 구간을 운행하는 이 노선의 출퇴근 소요시간이 대폭(!) 늘어나게 되었다.[13]

  • 불광역~평창동~국민대~길음역~종암동~고려대학교까지 쭉 막힌다. 만약 고려대학교를 다니는 호랭이 혹은 다닐 예비 호랭이들은 아침시간 대 (8시~10시)에 해당 노선의 이용을 피하자. 불광역에서 8시에 타더라도, 1교시(9시)전에 도착하리란 보장을 하지 못한다.


4.2. 사건 사고[편집]


  • 2021년 8월 30일 월요일 구파발역에서 해당 노선을 운행하던 기사의 졸음운전으로 인해 앞서가던 17번 버스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관련 기사


4.3.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211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25,088명
-
2014년
24,954명
▽ 134
2015년
24,227명
▽ 727
2016년
23,552명
▽ 675
2017년
22,876명
▽ 676
2018년
22,419명
▽ 457
2019년
21,953명
▽ 466
2020년
16,446명
▽ 5,507
2021년
16,006명
▽ 440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33:34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721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신수교통 10대(예비 1대) / 제일여객 23대(예비 2대). 제일여객 예비 1대는 단축 투입 차량으로 운용된다.[2] 토요일 26대(신수교통 7대, 제일여객 19대) / 공휴일 24대(신수교통 7대, 제일여객 17대) 운행[3] 감차분 2대는 모두 720번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4] 감차분은 7722번, 7734번에 각각 1대씩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5] 감차분은 7734번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6] 감차분은 2대 모두 서울시의 심야전용 노선(일명 N버스 혹은 올빼미버스) 확대 조치의 일환으로 신설된 N75번으로 이동되었다.[7] 농담이 아니라 은평뉴타운 입구에서 연신내역(연서시장)으로 내려오는 시간보다 연신내역 사거리를 빠져나가는데 더 오래걸릴 때가 많다. 연서시장으로 내려오는 과정도 신호대기 때문에 지체되는걸로 악명이 높은데 3~4백 미터 수준인 연신내 사거리 빠져나가는게 그와 비슷하거나 이상의 시간이 걸리니... 그래서 사거리 지나서 역 코앞까지 가느니 차라리 연서시장부터 걷는 것이 훨씬 빠른 경우가 많으며, 지도앱들도 진관동에서 연신내로 내려오는 길을 알려줄 때 대개 연서시장 정류소에서 내리라 할 때가 많다.[8] 서경대학생들은 길음역 10번출구로 나와서 돈암1동주민센터 정류장을 이용하는데, 하필이면 바로 옆이 미아리텍사스.(...) 대학생들이 미아리텍사스 벽을 따라 주루룩 늘어서있는 기묘한 광경이 연출된다.[9] 두 역은 환승없이 6호선이다[10] 지하철로 이동하는 시간의 절반밖에 안 걸린다. 애초에 정체가 없다면 마포구, 용산구까지 내려갔다 다시 올라가는 6호선보다 북한산을 정통으로 뚫고 가는 경로가 당연히 훨씬 빠를 수 밖에...[11] 야간에는 보통 지도 앱 상으로 6호선은 50분, 7211은 35분~40분 정도 소요된다.[12] 2017년 11월 7723번의 어처구니 없는 노선변경으로 승차위치가 바뀌면서 이 노선과 수송을 분담했던 7723번의 수요가 다 옮겨왔다. 승차위치가 정반대였기 때문인데 이 문제는 자세히 기술하였으니 참고바람[13] 그래서 해당 기간에 제일여객 측에서 예비차가 1대 추가로 투입되었다.[14] 숭덕초교 정류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