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00번대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1. 개요
2. 300 (서울승합/삼선버스 → 신장운수) (★)
3. 302 (동남교통) (★)
4. 302 (좌석) (서울승합) (★)
5. 302-1 (동남교통) (★)
6. 303 (상마운수 → 한남운수)
7. 310 (좌석) (김포교통) (★)
8. 311 (삼영교통 → 신장운수) (★)
9. 325 (풍양운수) (★)
10. 326 (화곡교통 → 풍양운수)
11. 326-1 (화곡교통) (★)
12. 327 (화곡교통 → 풍양운수)
13. 328 (화곡교통 → 풍양운수)
14. 328-1 (화곡교통 → 풍양운수)
15. 328-2 (화곡교통) (★)
16. 330 (좌석) (공항버스) (★)
17. 331 (도원교통) (★)
18. 333 (삼화교통 → 한성버스 → 한성여객)
19. 361 (동남교통 → 유성운수)
20. 361-1 (동남교통) (★)
21. 388 (신길운수)



1. 개요[편집]


1970년대 이후에 추가로 신설된 노선들이 이 번대를 배정받았다.


2. 300 (서울승합/삼선버스 → 신장운수) (★)[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00.jpg
운행구간 : 하일동 - 황산 - 상일초등학교 - 한영고 - 명일동 - 구천면길(적)/암사동(청) - 천호역 - 성내역(현. 잠실나루역) - 잠실역 - 잠실운동장 - 봉은사 - 강남구청 - 영동시장 - 고속터미널 - 국립묘지

기점은 현재의 강동공영차고지 건너편이었으며 원래 삼선버스와 공동배차로 운행하던 걸(이 때는 영등포까지 운행하였다.) 1988년경에 전부 인수했다. 이후 나름대로 잘 운행하다가 1996년경 구천면길 경유 적색 노선을 없애고 암사동 경유 청색 노선으로 단일화했으며 회차지 역시 강남구청으로 단축.

그러다가 신장운수가 2001년에 부도나기 전 2000년경에 폐선되었다. 애초에 이 노선부터가 이미 서울승합의 569번과 상당 부분[1] 겹친데다 회사의 다른 노선들마저 KD쪽 노선과 겹치는 경우가 많았던지라 그대로 공중분해되어도 별 상관이 없었다.


3. 302 (동남교통) (★)[편집]


파일:서울특별시 시내버스_2004년 개편 전 목록_302.jpg
[2] 출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02.jpg
출처[3]
파일:2003_11_7_302.jpg
302번 버스의 마지막 모습. (2003년 11월 7일)

운행구간 : 망우동(송곡여고) - 중랑교 - 청량리역 - 신설동 - 종로 - 서대문 - 공덕동 - 마포 - 상수동

한 때는 꽤 큰 규모를 자랑하던 업체였지만, 이후 경영에 어려움을 겪으며, 업체부도 시점에서는 361번과 이 노선만이 남아있었다. 청량리 - 서대문 구간에서 경쟁노선인 131번과 134번, 신설동 - 마포 구간의 30번의 물량공세 및 속도경쟁에 치이는 것도 모자라 진화운수에서 755번 좌석버스가 폐선 후 55번이 755번 노선으로 운행하면서 초토화 되면서, 결국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2003년에 업체의 운명과 함께 사라진 노선. 361번은 유성운수에서 인수를 했지만, 302번은 그런 거 없다. 개편 후 신설된 주간선 260번번과 가장 일치하고 송곡여고 들어가는 부분은 270번번과 유사하다.

폐지 후 522-2번이 마포주차장에서 이 노선의 차고였던 서강대교 북단까지 연장되었고 2번도 구수동 사거리행과 광흥창역(창전동사무소)행이 분리되었다.

과거에는 동부제일병원삼거리 앞에 차고지가 있었다. 현재는 건물이 들어선 상태.


4. 302 (좌석) (서울승합) (★)[편집]


운행구간 : 명일동 - 천호동 - 광장동 - 청계천로 - 무교동


5. 302-1 (동남교통) (★)[편집]



한 때 302번이 서부면허시험장에서 망우리까지 연장운행한 적이 있었으나 302번이 서강-망우리 재단축 후 서부면허시험장까지 가는 노선을 302-1로 분리 이후 서부면허시험장에서 공덕동 노선으로 단축 후 1997년 폐선.


6. 303 (상마운수 → 한남운수)[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03.jpg
위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5513번에서 개선형 저상으로 운행중이다.출처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303번
노선
신정동 - 금옥중.금옥여고 - 신정동일하이빌아파트 - 푸른마을아파트 - 신정사거리 - 까치산역 - 화곡동대림아파트 - 화곡역 - 강서구청 - 등촌역.강서보건소 - 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선유도역 - 당산역 - 당산역.삼성래미안아파트 - 영등포시장 - 신길역 - 대방역 - 서울지방병무청 - 서울공고 - 신대방삼거리 - 롯데관악점 - 신림역 - 대학동고시촌입구 - 관악산입구 - 서울대학교
후신
서울 버스 6514

1970년대에 당시 115번(등촌동-신림동)과 116번(화곡동-신림동)을 통합하여 신설한 노선이었다. 신설 초기에는 화곡동-신림동으로 운행하였지만, 서울대 관악캠퍼스가 개교한 후엔 서울대 정문 앞까지 연장되었다. 이후 화곡동에서 신정동으로 연장되었다.

상마운수가 부도한 후 한남운수로 넘어갔고, 대개편 때 6514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고 2008년 11월에 도원교통으로 넘어갔다.


7. 310 (좌석) (김포교통) (★)[편집]


운행구간 : 방화동 - 공항시장 - 김포국제공항 - 개화검문소 - 행주대교 - 능곡역 - 삼성당 - 일산병원 - 백석고 - 암센터 - 후곡마을 - 주엽고교 - 대화역

일산신도시 개발 이후 들어온 좌석버스.

인천공항 개항 이전부터 망조가 들기 시작한 게, 이거 김포교통 시절 능곡역 인근 건널목을 무단횡단하다가 열차에 치이는 사고로 2명이 사망하는 바람에 그 뒤로 감차를 꾸준히 하여 망조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2001년 3월 인천국제공항 개항 및 수요 감소로 폐선. 대체노선으로 경기도 고양시 명성운수에서 31번 좌석버스로 운행하였다가, 신성교통으로 넘어가 도시형 310번이 된 다음 폐선되었다.


8. 311 (삼영교통 → 신장운수) (★)[편집]


운행구간 : 개포동 - 수도공고 - 대치동 - 도곡동 - 영동백화점 - 개나리아파트 - 삼성동 - 강남구청 - 압구정동한양아파트 - 무학여고 - 왕십리 - 상왕십리 - 신당동 - 동대문운동장 - 종로5가

본디 수유리와 개포동을 오가던 11-1번이었지만, 개포동으로 연장되면서 위 노선과 번호가 되었다.
1988년 신장운수 매각 후 유령화되다 폐선.


9. 325 (풍양운수) (★)[편집]


파일:external/besteirasdainternet.files.wordpress.com/image0051.jpg
치킨배달..[* 목동사거리 곰달래길 쪽에 있던 치킨맨이라는 치킨집의 배달사원이 입는 유니폼이였다. 인형 복장이 다 그렇듯이, 굉장히 더웠다. 심지어 저 거 여름철일 거다 나름 목동에서는 그 복장 때문에 컬트적인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내리막길에서 오토바이가 구르면서 저 옷을 입은 배달사원이 전치 16주의 중상을 입는 대형사고가 터지자, 저 복장은 얼마 못 가 사라지고 말았다.]
파일:2003-10-25_325.png
위 두 차량 모두 2013년식 프리머스로 대차 후 602번에서 운행 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325번
노선
신정동 - 금옥중.금옥여고 - 신정동일하이빌아파트 - 푸른마을아파트 - 신정네거리역 - 서울남부지방법원 - 진명여고 - 목동역 - 목동7단지 - 오목교역 - 양남사거리 - 당산동진로아파트 - 김안과병원 - 영등포시장 - 여의도환승센터 - 한국거래소 - 여의도역 - 샛강역.여의도자이 - 시범아파트 - 용산전자상가.전자랜드 - 남영역 - 숙대입구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7번 승강장) → 시청앞 → 을지로입구.시청광장 → 롯데백화점 → 북창동.남대문시장 → 서울역버스환승센터(3번 승강장)
후신
서울 버스 5012, 서울 버스 6623

화곡교통 출신 좌석노선인 631번이 2002년 6월경 도시형으로 전환되면서 번호가 325번으로 변경되었다. 2004년 대개편 당시에 폐선되었으며, 한강 이남 구간은 6621번으로 대체 신설되면서 여의도 구간을 순환 회차하는 노선으로 단축되었고, 운행 업체도 신인운수로 바뀌었다. 하지만, 오래 운행하지 못하고 폐선되었다. 이 노선의 한강 이남 일부 구간은 6620번이 일부 가져갔다.

이 노선이 다니던 영등포경찰서 쪽은 안양 버스 5 독점구간이다.


10. 326 (화곡교통 → 풍양운수)[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26.jpg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326번
노선
신정동 - 금옥중.금옥여고 - 신정동일하이빌아파트 - 푸른마을아파트 - 신정사거리 - KT강서지사 - 화곡8동주민센터 - 서울신정초등학교 - 화곡2동주민센터 - 화곡남부시장 - 목동사거리 - 영도중학교입구 - 대일고등학교.임광아파트.배광교회 - 목동성원아파트 - 목3동우체국.현대아이파크 - 등촌역.강서보건소 - 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선유도역 - 당산역 - 당산역.삼성래미안아파트 - 영등포시장 - 한국거래소 - 여의나루역 - 여의도순복음교회 - 여의도공원
후신
서울 버스 6623

몬드리안 도색에 흰 번호판이면 빤짝빤짝하던 아주 극초창기 새차 시절이다. 저 당시만 해도 BV101이 돌아다녔다. [4][5]

서울 버스 6623 참조.


11. 326-1 (화곡교통) (★)[편집]


운행구간 : 신월2동 - 신정동 - 목동아파트단지 - 양평동 - 당산역 - 영등포경찰서 - 여의도


12. 327 (화곡교통 → 풍양운수)[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27.jpg
출처
구 직행좌석 1003번이 형간전환된 노선이다. 서울 버스 602 참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327번
노선
신정동 - 금옥중.금옥여고 - 신정현대아파트 - 푸른마을아파트 - 금실어린이공원 - 신월시영아파트중문 - 신월2동주민센터.경창전통시장 - 양강중학교 - 신정(은행정)역.신정4동주민센터 - 신서고등학교.영상고등학교입구 - 목동역.목동오거리 - 목동역.홍익병원 - 목동사거리 - 영도중학교입구 - 대일고등학교.임광아파트.배광교회 - 목동성원아파트 - 목3동우체국.현대아이파크 - 등촌역.강서보건소 - 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 - 양화대교전망카페 - 합정역 - 서교동사거리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 이화여대입구 - 아현역 - 충정로역 → 서대문역사거리 →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앞 → 광화문 → 서소문
후신
서울 버스 602


13. 328 (화곡교통 → 풍양운수)[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28.jpg
[6](출처 : 영화 '기쁜 우리 젊은 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328번
노선
신정동 - 금옥중.금옥여고 - 신정현대아파트 - 푸른마을아파트 - 신정사거리 - KT강서지사 - 화곡8동주민센터 - 서울신정초등학교 - 화곡2동주민센터 - 화곡남부시장 - 목동사거리 - 영도중학교입구 - 대일고등학교.임광아파트.배광교회 - 목동성원아파트 - 목3동우체국.현대아이파크 - 등촌역.강서보건소 - 염창역.서울도시가스 - 마포구청역 - 마포중앙도서관 - 성산2교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세브란스병원 - 신촌역.신촌지구대 - 이화여대입구 - 아현역 - 충정로역 - 한국경제신문사.서소문역사공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 승강장) → 숭례문 → 시청앞 → 을지로입구.시청광장 → 롯데백화점 → 북창동.남대문시장
후신
서울 버스 6714(양천공영차고지 - 이대후문), 서울 버스 7017 (연세대학교 - 을지로입구)

관련 게시물

화곡교통에서 운행하다가 같은 계열사였던 풍양운수와 2002년에 흡수/합병 되었다. 당시에는 신세계백화점 본점까지 운행했던 노선이였다. 한때 이 노선이 화곡교통 시절부터 간판 노선 역할을 하였으며, 지금도 신월6동 신한은행 앞 주차장을 328번 종점으로 통하고 있다.

대개편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6714 참조.

SBS 인기드라마였던 천국의 계단에서 328번 버스를 촬영용으로 썼다.


14. 328-1 (화곡교통 → 풍양운수)[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28-1.jpg
출처 [7]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328-1번
노선
신정동 - 금옥중.금옥여고 - 신정동일하이빌아파트 - 푸른마을아파트 - 신정사거리 - 신정(은행정)역.신정4동주민센터 - 신서고등학교.영상고등학교입구 - 목동역.목동오거리 - 목동역.홍익병원 - 홍익병원목동관 - 금호어울림.대원칸타빌아파트 - (→ 목동4단지.목동종합운동장 → 목동파라곤 → 목동5단지.목5동주민센터 → 이대목동병원.목동6단지 → →/← 목동3단지 ← 목동2단지 ← 월촌중학교.목동1단지 ←) - 목동한신청구아파트 - 신목동역 2번출구 - 마포구청역 - 마포중앙도서관 - 성산2교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연세로.스타광장 - 신촌현대백화점 - 동교동삼거리
후신
서울 버스 173, 서울 버스 674, 서울 버스 7720

화곡교통 328번 보조격이던 노선이였다.

개편 당시 기존 노선이 존치되어 6713번으로 운행할 예정이었으나 하지만 개편 전이나 후나 꼴랑 5대 풍양운수가 다모아자동차, 메트로버스로 일부 차량 면허를 매각하면서 차량 대수가 부족하게 되자 사라졌고 이를 대신해 당초 신촌까지만 운행하기로 되었던 173번을 목동으로 연장해 서울 버스 163번으로 바꾸었다. 단, 이 계획은 13년만에 유사한 형태로 부활했다. 자세한 건 서울 버스 173, 서울 버스 674 항목 참조.


15. 328-2 (화곡교통) (★) [편집]


운행구간 : 신월2동 - 화곡전화국 - 곰달래길 - 목동아파트단지 - 열병합발전소 - 목동이대병원 - 양화교 - 성산대교 - 마포구청 - 성산회관 - 연대앞 - 이대입구 - 아현동 - 충정로 → 서울역 → 숭례문 → 이하 역순


16. 330 (좌석) (공항버스) (★)[편집]


위의 김포교통 310번 좌석버스와 마찬가지로, 일산신도시 개발 이후 들어온 아웃서울 좌석버스. 노선 역시 310번과 유사하여 공동 배차 비슷하게 운행되었다. 그러나 310번보다 먼저 폐선되었다.


17. 331 (도원교통) (★)[편집]


운행구간 : 국민대 - 미아리고개 - 돈암동 - 삼선교 - 창경궁 - 창덕궁 - 안국동 - 조계사 - 시청앞 - 서부역 - 만리동고개 - 공덕동 - 마포 - 용강동 - 상수동 - 합정역 - 망원동 - 망원동유수지

1993년에 서울역으로 단축된 후, 1996년에 폐선되었다.


18. 333 (삼화교통 → 한성버스 → 한성여객)[편집]


파일:80331.jpg
삼화교통에서 운행하던 시절(1978년)의 모습
파일:서울특별시 시내버스_2004년 개편 전 목록_333.jpg
사진 제일 우측 차량
파일:Screenshot_20180410-205237_Samsung Internet.jpg

파일:2001-6-3_333.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33.jpg
출처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333번
노선
하계동 - 창동역 - 도봉면허시험장 - 방학사거리 - 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 진성빌라사거리 - 덕성여대.솔밭공원 - 국립4.19민주묘지입구사거리 - 가오리역 - 강북노인종합복지관 - 수유시장 - 미아역.신일중고 - 도봉세무서.성북시장 - 삼양동입구사거리
후신
서울 버스 1144, 서울 버스 1120 (우이동 - 도봉세무서)

대개편 이전에는 공식 인가댓수가 27대였고 5~8분 간격이었지만 실제로는 13대가 12~18분 간격으로 다녔다. 서울 버스 1144 참조.

2003년 한성여객이 파업했을 당시에 동아운수에서 대신 운행했던 전력이 있다.관련 게시물


19. 361 (동남교통 → 유성운수)[편집]


파일:20020509_131318.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61.jpg
출처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361번
노선
은평공영차고지 - 월드컵파크7단지 - 서부면허시험장 - 월드컵공원입구.문화비축기지입구 - 마포구청 - 망원2동주민센터[단독] - 서서울농협[단독] - (→ 망원정입구[단독] → 성산초등학교[단독][8] →/← 새서울의원 ← 홀트아동복지회 ←) - 합정역 - 상수역 - 홍익대학교 - 산울림소극장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 이대역 - 아현역 - 충정로역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5번 승강장) →/← 염천교 ← 시청앞 ← 숭례문 ←) - 남대문시장.회현역 - 명동역충무로역.매일경제 → 초동 → 을지로4가 → 중구청.덕수중학교 → 충무로역 8번출구.대한극장
후신
서울 버스 7011, 서울 버스 104 (서울역 - 화계사입구)

월드컵경기장이 없던 시절, 마포농수산물시장 앞은 증산로가 바로 접속되는 사거리였다. 증산로가 곡선으로 불광천을 따라 쭉 연결되는 형태였다. 이후 월드컵경기장 조성과 함께 증산로가 이설되어 직선화되면서 삼거리가 되었다. 여튼 그 사거리 옆이 차고지였으며, 차고지에서 무료로 출발차량으로 환승해서 서부면허시험장까지 들어가는 형태였다.

이후 상암동, 성산동 일대에 월드컵경기장이 조성되고 은평차고지가 개장하면서 은평차고지로 입주하였다.

2003년에 동남교통이 부도처리되면서 운수업체가 유성운수로 바뀌었다. 이 과정에서 차량까지 모두 매입하였다. 다만 302번은 업체 부도와 함께 폐선되었고 차량은 모두 경매로 풀렸다.[9]

청계천 복원공사를 앞둔 2003년 5월 7일에 화계사 방향은 퇴계로5가와 종로5가 경유로, 대학로/상암동 방향은 창경궁로(성대입구), 광장시장, 중구청 경유로 바뀌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분리되면서 화계사 - 서울역은 서울 버스 104, 상암동 - 서울역은 서울 버스 7011이 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011 문서를 참고.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의 노래 '361 타고 집에 간다'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2002년 박카스 CF에 나왔다. 참고 그리고 그해에 개봉한 영화 공공의 적 앞부분에서도 잠깐 나온다.

과거 동남교통 시절 신세계 앞으로 불법으로 단축운행을 하다가 적발된 사례가 있으며, 지상파에서 이 노선의 불법운행만 따로 보도하는 위업을 달성하기도 했다. 관련 기사


20. 361-1 (동남교통) (★)[편집]


운행구간 : 서부면허시험장 - 난지도 - 성산아파트 - 망원동 (← 합정동/성산초교 →) 합정역 - 홍익대(정문) - 창천동삼거리 - 신촌로터리 - 아현동 - 종근당 - 서울역(퇴계로 방면 한정) - 퇴계로 → 퇴계로5가 → 을지로5~6가 → 광희동 → 퇴계로5가 → 이하 역순


21. 388 (신길운수)[편집]


전설의 388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388번
노선
신월동기점 - 화곡1동주민센터 - 까치산역 - 화곡동대림아파트.화곡중앙시장 - 신월초등학교 - 화곡역 - 우장산역 - 발산역 - 강서한강자이아파트 - SBS공개홀 - 가양역 - 강서구청 - 화곡역 - 신화중학교 - 신월5동주민센터.신월중학교 - 서서울호수공원 - 서부트럭터미널.신정동일하이빌아파트 - 개봉역 - 철산리버빌아파트 - 구일우성아파트 - (→ 롯데정보통신 → 영창실업 →/← 에이스하이엔드타워5차 ←) - 가산디지털단지역 - 디지털3단지사거리 - 금천패션아울렛사거리 → 독산사거리 → 금천우체국.독산1동주민센터 → 진도아파트 → 경성산업사 → 금천패션아울렛사거리
후신
서울 버스 652

남부순환로의 강자로, 출근시간이면 남부순환로 인근 통학생들과 얽혀 지하철과 맞먹는 헬게이트가 열렸다. 106번과 388번을 합치면 1~2분 배차였지만 개봉역 정류장에는 개봉고가 위까지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었다. 줄 맨 뒤에서부터 버스에 탑승하려면 10분이나 걸렸을 정도. 개봉역에서는 이렇게 기다리면 탈 수라도 있었지만 가리봉역 이후에는 만차가 되는 일이 부지기수라, 중간의 구일우성아파트 정류장을 제외하고는 승객들이 타고 싶어도 버스기사들의 뒷차타!! 라는 손 사인을 하며 무정차 통과하는 일이 빈번해 혈압이 오르는 승객이 많았다는 후문.

2004년 대개편 때 106번과 합쳐져 6634번 지선버스가 되었다가, 서울 버스 652번으로 형간전환되었다. 현재도 643, 651, 653, 5012, 김포 388 등과 함께 남부순환로의 넘치는 수요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이 노선의 방계후신으로 김포 버스 388이 있다. 직접 연관은 없지만 구 388번과 매우 비슷하게 다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2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2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6:28:08에 나무위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300번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명일동에서 잠실운동장까지.[2] 1987년 6월 26일의 사진인데, 6.29 선언 3일 전이다. 당시엔 전두환과 신군부가 6월 항쟁의 무서운 맛을 보고 직선제를 하네마네 하던 때였다. 하지만 전두환은 고집을 부려 핵심적인 부분들을 거부했고 이에 분노한 시민들이 다른 시민들의 참여 독려를 위해 버스에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적는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6월 항쟁 문서로.[3] 사진 속의 차량은 충전이 어렵다는 사유로 인해 얼마 못 가 361번으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동남교통의 폐업과 함께 면허가 말소되었고 이후 SM버스(현 보광교통)에 중고차로 매각되었다.[4] 말은 즉 몬드리안 도색의 첫 운행이 1995년 이였고 BV101이 본격 마지막 현역으로 운행한 시기도 같은 해 였다.(물론 진짜 최후의 운행 시기는 1997년 이였지만 극소수로 남은 차량 이였다.) 어쩌면 몬드리안 도색과 BV101 과의 세대교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닌듯...[5] 사진 속 차량은 개편 때 메트로버스로 넘어가면서 이베코 굴절버스로 대차되어 370번에서 운행하다가 2010년 일부 굴절버스 조기폐차로 인해 말소되었다.[6] 현재는 6714번에서 TGM 화이버드로 운행중이다.[7] 사진에 나온 차량은 개편 때 차량 면허는 다모아자동차로 넘긴 뒤 두 번 대차되어 601번에 있고, 당시엔 신월동 주민을 위한 무번호 마을버스로 40km/h를 넘지 않는 저속으로 운행하다가 신월동 차고지를 2006년 양천공영차고지로 이전함과 동시에, 폐지되어 완전히 사라졌다.[단독] A B C D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8] 정류장명이 정확하게 성산초등학교인 정류장[9] 302번 소속인 천연가스버스는 SM버스(현 보광교통)에서 매입하여 74번에 투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