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교통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서울특별시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의 교통

[ 펼치기 · 접기 ]
철도
파일:KTX BI.svg
서울역 · 용산역 · 영등포역 · 청량리역 · 상봉역
파일:SRT BI.svg
수서역
파일:ITX-청춘 BI.svg
용산역 · 옥수역 · 왕십리역 · 청량리역 · 상봉역
[[새마을호|

새마을호
]]
용산역 · 영등포역
파일:ITX-새마을 BI.svg
서울역 · 용산역 · 영등포역 · 청량리역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일반철도
경부고속선 · 수서평택고속선 · 경부선 · 경원선 · 경인선 · 경춘선 · 인천국제공항선 · 중앙선
광역전철
파일:Seoulmetro1_icon.svg · 파일:Seoulmetro2_icon.svg · 파일:Seoulmetro3_icon.svg · 파일:Seoulmetro4_icon.svg · 파일:Seoulmetro5_icon.svg · 파일:Seoulmetro6_icon.svg · 파일:Seoulmetro7_icon.svg · 파일:Seoulmetro8_icon.svg · 파일:Seoulmetro9_icon.svg · 파일:GJLine_icon.svg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 파일:SBLine_icon.svg · 파일:AREX_icon.svg · 파일:GoldLine_icon.svg · 파일:UiLine_icon.svg · 파일:SillimLine_icon.svg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svg 경부 · 파일:Expressway_kor_15.svg 서해안 · 파일:Expressway_kor_60.svg 서울양양 · 파일:Expressway_kor_100.svg 수도권제1순환 · 파일:Expressway_kor_120.svg 경인 · 파일:Expressway_kor_130.svg 인천국제공항 · 파일:Expressway_kor_171.svg 용인서울
국도
1번 · 3번 · 6번 · 39번 · 43번 · 46번 · 47번 · 48번 · 77번
국가지원지방도
23번 · 78번
특별시도
내부순환 · 서부 · 동부 · 북부 · 강변북로 · 올림픽대로 · 경부[1] · 강남순환로
20번 · 21번 · 30번 · 31번 · 41번 · 50번 · 51번 · 60번 · 61번 · 70번 · 71번 · 88번 · 90번 · 92번 · 94번
버스
시내버스
공항광역간선지선순환심야마을투어
터미널
서울경부 · 센트럴시티 · 동서울 · 남부 · 김포공항 · 상봉
정류소
잠실역 · 가락시장역 · 장지역
공항
김포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2] · 서울공항[3] · 여의도공항
[1] 구 경부고속도로 서울특별시 한남대교 - 양재 나들목 구간
[2] 소재지는 인천광역시이나, 서울특별시의 주 국제선 관문 공항
[3] 실제 소재지는 경기도 성남시



1. 개요
2. 도로
2.2. 서울특별시도
3.1. 철도
3.1.2. 고속 및 일반열차
3.2. 버스
3.2.1. 시내버스/마을버스
3.2.2. 버스 터미널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의 교통을 서술한 문서.

구자춘 시장 재임 시절 서울이 사대문안, 영등포, 강남 3개의 도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3핵도시론을 주창했고, 그에 따라 도시계획이 실현되었다.

2. 도로[편집]






2.1. 고속도로[편집]


  • 파일:Expressway_kor_1.svg 경부고속도로: 양재IC[1]~서울-성남시계 구간 → 성남시
  • 파일:Expressway_kor_15.svg 서해안고속도로: (서부간선도로) ← 금천IC~서울-광명시계 구간 → 광명시
  • 파일:Expressway_kor_17.svg 평택파주고속도로: 부천시강서IC방화대교[2]고양시 (미개통)
  • 파일:Expressway_kor_29.svg 세종포천고속도로: 구리시고덕대교~강동IC~방아다리터널하남시 (미개통), 중랑IC
  • 파일:Expressway_kor_60.svg 서울양양고속도로: 강일IC[3]하남시, 남양주시
  • 파일:Expressway_kor_171.svg 용인서울고속도로: 헌릉IC~서울-성남시계 구간 → 성남시
  • 파일:Expressway_kor_100.svg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시강일IC-상일IC하남시송파IC성남시
  • 파일:Expressway_kor_120.svg 경인고속도로: (국회대로)[4]신월IC부천시
  • 파일:Expressway_kor_130.svg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인천광역시김포공항IC~88JC~방화대교~북로JC고양시

2.2. 서울특별시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특별시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국도[편집]


1번 국도, 3번 국도, 6번 국도, 39번 국도[5], 43번 국도, 46번 국도, 47번 국도, 48번 국도, 77번 국도가 있다.


잘 보면 서울시를 통과하는 국도가 가장 많이 들어가는 지방자치단체바로 구리시다. 6번, 43번, 46번, 47번 국도 4개나 구리시로 들어간다. 재미있는 건 구리시는 서울시 경계에 있는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가장 면적이 작은(33.3㎢) 자치단체라는 점이다. 2번째로 많이 들어가는 지자체는 부천시인데[7] 여기는 서울시 경계에 있는 자치단체 중에서 2번째로 면적이 작다(53.4㎢).

3. 대중교통[편집]




대한민국 최대 도시답게 대한민국에서 최고의 대중교통을 갖추고 있는 지역으로, 전 세계적으로도 대중교통이 매우 잘 구축된 도시로 평가받는다.

3.1. 철도[편집]



3.1.1. 서울 지하철수도권 전철[편집]



수도권 전철 노선

[ 펼치기 · 접기 ]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
경춘선




공항철도
서해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
신분당선





신림선
[[용인 에버라인|

용인 에버라인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우이신설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2호선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자기부상철도
~~]]



상세한 내용은 서울 지하철수도권 전철 문서를 참고하여도 좋다.

수도권 전철서울특별시 도시교통실에서 관리하는 서울 지하철을 포함하여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하고 국가철도공단이 건설하여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서 운영하는 광역전철, 인천 도시철도, 경기도 도시철도 등 수도권 지역 각 도시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도시철도까지 모두 포함한 대규모 체계를 갖추고 있다.[8] 따라서 서울 지하철은 수도권 전철의 하위 부류에 속하며, 서울교통공사에서 배포하는 노선도에도 "서울 지하철수도권 전철 노선도"라는 표현을 써서 이 둘의 범위가 다름을 분명히 고지하고 있다.

깨끗한 시설과 낮은 운임, 버스와도 연계되는 무료환승, 거의 전 역사에 설치되어있는 스크린도어, 차내 무료 와이파이 등이 전부 갖춰져 있어서 엄청난 편의성을 갖추고 있다.

3.1.2. 고속 및 일반열차[편집]


고속 및 일반열차는 서울역, 용산역, 수서역, 영등포역, 청량리역, 상봉역, 왕십리역, 옥수역 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고속철도는 서울역, 용산역, 수서역, 청량리역, 상봉역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영등포역에도 KTX 8편성이 정차하나 영등포역에서 KTX를 이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9] 대신, 대전 이북까지만 간다면 서울역이나 용산역보다 영등포역이 나을 수 있는데, 일반열차는 영등포역에 필수정차하기에 경부선 경유노선만 출발하는 서울역, 호남선 경유노선만 출발하는 용산역보다 배차간격에서 이득이다.

서울특별시는 국내에서 가장 철도수요가 많은 서울-수원-천안-대전으로 이어지는 경부선 라인의 스타트를 끊는 관계로 역시 철도 초강세 지역이라서 시외·고속버스가 힘을 제대로 못쓴다. 하지만 이는 중서부 지역 한정이고, 동부 지역은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이 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동서울터미널이 가까워서 시외·고속버스가 경쟁력이 있는 지역이라서 정반대였지만, 수서평택고속선이 개통하고 전술한 3역보다는 가까운 청량리역에서 출발하는 KTX-이음이 추가됨에 따라 철도로 이용객이 꽤나 옮겨갔다. 앞으로도 중부내륙선춘천속초선, 수서광주선, 여주원주선 등 다양한 지역이 철도로 서울과 연결된 예정이다. 그렇지만 서울 자체가 제1의 도시이자 수도라는 특성에 인구수도 많기 때문에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서 버스 교통도 철도교통만 못할 뿐, 수요가 적지는 않다.

  • 서울역: KTX/KTX-산천(경부고속철도[10]/호남고속철도), KTX-이음(강릉선)[11], ITX-마음(경부선), ITX-새마을(경부선/경전선), 무궁화호(경부선, 충북선)
  • 용산역: KTX/KTX-산천(호남고속철도[12]), ITX-청춘(경춘선), ITX-마음(호남선, 전라선), ITX-새마을(호남선/전라선), 새마을호(장항선), 무궁화호(호남선/전라선/장항선)
  • 수서역: SRT(경부고속철도/호남고속철도)
  • 청량리역: ITX-청춘(경춘선), ITX-마음(태백선),, ITX-새마을(중앙선) 무궁화호(중앙선/영동선/태백선), KTX-이음(중앙선/강릉선)[13]
  • 영등포역: 서울역, 용산역 발착 일반열차 모두 정차, 부산역 착발 수원역 경유 일부 경부선 KTX 정차
  • 상봉역: KTX-이음(강릉선)[14], ITX-청춘(경춘선)[15]
  • 왕십리역, 옥수역 : ITX-청춘(경춘선)

3.2. 버스[편집]



3.2.1. 시내버스/마을버스[편집]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문서로.


3.2.2. 버스 터미널[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버스 터미널

[ 펼치기 · 접기 ]
운영중인 터미널
고속*
강남 (서울경부 · 서울호남 센트럴시티)
종합
동서울
시외
서울남부 · 김포공항 · 잠실역 · 가락시장역 · 장지역
* 서울시 반포동 소재 강남터미널은 명목상 고속터미널이긴 하지만 해당 시설 내 시외버스 서비스도 취급하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종합터미널로 분류된다.
서울경부와 서울호남은 운수업 시스템의 「강남」 약호를 공유 중이며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센트럴시티 등 시설과 연결되어 있다.

폐쇄된 터미널
동마장 · 신촌 · 서울서부 · 수유 · 용산관광 · 용산시외 · 서울역[2] · 천호동 · 코엑스(도심공항) · 상봉
[2] 용산시외버스터미널이 생기기 전까지 시외버스를 받던 곳으로 서울로 7017 바로 옆에 있었다.




서울이라는 거대한 도시답게 터미널 규모도 상당하다. 주요 터미널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서울남부터미널이 있으며, 그 외 터미널 및 정류장은 다음과 같다.

  • 김포공항: 공항리무진을 이용해 각 지방으로 갈 수 있다.
  • 잠실역가락시장역, 장지역 등지에도 시외버스 간이정류장이 있다.[16] 또한 강남역에서는 안산, 시흥 방면 시외버스(700번, 700-1번, 선진고속)를 탈 수 있으며, 구 상봉터미널 앞의 임시 승강장에서는 원주행 시외버스(1228번, 금강고속)가 운행한다.

참고로 서울남부터미널은 1989년 이전엔 용산시외버스터미널로 한강로에 위치했으며, 동서울터미널과 구 상봉터미널 역시 각각 1989년 및 1985년 개업 이전에는 동대문구의 동마장터미널에서 운행하던 노선들을 분산 이전시킨 것이다.[17]


3.2.3. 광역버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역급행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공항[편집]


강서구 공항동에 김포국제공항이 있으나, 이곳은 국내선과 대한민국 근방의 중단거리 국제선 노선 뿐이며, 멀지 않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관문인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할 수 있다.


5. 택시[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택시
일반택시
기본요금 4,800원(1.6km)
추가(동시병산제) 100원(30초/131m)
심야할증 20%[18]/40%[19]
시계외할증 20%
모범택시
대형택시

기본요금 7,000원(3km)
추가(상호병산제) 200원(36초/151m)
심야할증, 시계외할증 각각 20%
광명, 위례, 김포공항[20], 인천공항 시계외할증 없음
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21]

서울에서 택시는 준 대중교통의 이미지가 있는데 택시운송사업자들은 요금 및 차량의 도색부터 시작해서 여러가지를 서울시장 및 서울시청의 관리지침에 따라야 한다.

서울특별시 소속 택시는 원칙적으로는 서울특별시 외에도 광명시인천국제공항에서도 손님을 태울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광명시에서 탑승하는 승객은 별로 없고, 인천공항도 공항철도 및 공항버스에 밀려 택시를 타는 사람이 거의 없다.

서울특별시의 택시 차량수는 법인택시 2만여 대, 개인택시 4만여 대로 편견(?)과는 다르게 개인택시가 더 많다. 법인택시는 대부분의 차량이 2교대 및 일차제(원칙은 2교대지만 기사수가 부족해 한명에게 24시간 배차)로 24시간 가깝게 가동되지만 개인택시는 운전자가 한명 뿐이므로 하루에 최대 12~15시간밖에 운행을 못하는데다 5부제이기 때문에 법인택시가 더 많은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리고 이미 1990년대 이후 더 이상 택시가 순수 증차되지 않는다.[22] 택시가 늘어난 것처럼 보이는건 착시현상일 수도 있다.

택시의 종류는 일단 경차를 사용하는 경형택시, 기아 K3, 아반떼 등을 사용하는 소형택시(배기량 1,800cc이하), 쏘나타,기아 K5, 올란도, 스포티지, 그랜저, 기아 K7등을 사용하는 중형택시(배기량 1,800cc 이상)와 모범택시(배기량 1,900cc 이상), 대형택시가 있다. 가장 자주 보이는 것은 세단 중형택시이고 경형과 소형은 2014년에 멸종되었다.(...)

개인 중형택시들은 5부제로 운행하는데 가조,나조,다조,라조,9조로 구분된다. 가나다조 중 한 조가 휴무하고 나머지 두개 조가 영업하여 2일 영업한 조는 그다음날 휴무한다. 따라서 가나다조는 한달에 최소 10일, 최대 20일을 운행해야 한다. 라조는 매주 일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휴무하는데 다시 수요일과 금요일은 1, 3번째 주에 휴무하는 조와 2, 4번째 주에 휴무하는 조로 구분된다. 9조는 매주 일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밤 9시부터 다음날 아침 9시까지 운행할 수 있다.

법인택시는 부제 그런거 없지만 기사 부족등의 사유로 평균적으로 법인 소속 100대의 택시 중 70~80대만이 운행된다고 한다. 법인택시들은 보통 4시 또는 6시에 맞교대를 한다. 즉 6시교대의 경우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오전반이 근무하고 오후6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오후반이 근무하는데 무조건 차고지에서 교대를 해야 되기 때문에 또 세차 및 LPG충전 등의 이유로 실제로 손님을 태우고 영업운행이 가능한 시간은 좀더 짧다. 당연하지만 교대시간을 이유로 승차를 거부(?)하는 것은 합법이다. 손님 입장에서는 택시잡기도 힘든 이 시간에 교대해야만 하는가 싶지만... 책임교대제라는 것을 채택하는 회사는 이 교대시간이 직원마다 조금씩 다르기도 하다. 물론 일차로 운행중인 법인택시는 교대시간 따위 없다.

서울특별시 소속 택시의 번호판은 개인택시(모범,대형포함) 서울31~서울32/서울35~38이 부여되고 법인택시는 서울33~37이 부여되어 있으며, 법인택시는 무조건 꽃담황토색으로 출고되지만 개인택시는 권장사항이기 때문에 은색이나 흰색이 더 많다. 해치 택시 마크는 은색이나 흰색 택시에도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서울 곳곳에 택시 정류장이 있지만 서울역 등을 제외하면 아무도 택시를 정류장에서 타지 않는다. 버스 정류장에서 타고 내리는 경우가 훨씬 많다.(...)

그리고 과천, 고양(덕양구), 구리, 부천, 성남(중원구)에서는 오히려 서울택시가 대로변에 자주 다녀서 잡아타기 쉽다. 서울시 택시사업통합구역인 광명에서는 이면도로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고양 화전지역에가면 충전소마다 서울택시가 줄지어 서있다. 그래서인지 서울나가기 전에 행신동 인근에서 서울가는 손님을 모시고 서울로 떠나는 경우가 많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5:38:06에 나무위키 서울특별시/교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는 한남대교가 기점이었으나 한남대교~양재IC 구간은 2002년 고속도로에서 해제되어 경부간선도로라는 서울특별시도로 격하되었다.[2] 88JC부터 방화대교까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 구간을 공유한다.[3] 강일IC~미사대교까지는 대통령령으로만 고속도로로 지정된 자동차전용도로이며, 미사대로와 중첩되는 구간이다. 따라서 통행료가 무료다.[4]경인고속도로이다.[5] 이 도로는 경유한다기도 참 뭐한게, 강서구의 개화동, 오곡동 구간을 아주 잠깐 지난다. 이 구간 다 합쳐도 1km도 안 된다.[6] 동부간선도로가 아닌 동일로가 3번 국도로 지정돼 있다.[7] 6번, 39번, 46번 국도[8] 수도권 전철은 위 표에 있는 노선 중 현재 운행을 중단한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를 제외한 23개 노선을 일컫는데 반해, 서울 지하철은 수도권 전철 1호선 청량리~서울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전 구간, 수도권 전철 3호선 지축 일부~오금, 수도권 전철 4호선 당고개~남태령, 수도권 전철 5호선 방화~상일동/마천, 서울 지하철 6호선 전 구간, 수도권 전철 7호선 장암~온수, 서울 지하철 8호선 전 구간, 서울 지하철 9호선 전 구간,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전 구간, 서울 경전철 신림선 전 구간만을 일컫는다. 이 중 서울 지하철임에도 서울 외에 있는 역으로는 수도권 전철 3호선 지축역, 수도권 전철 7호선 장암역, 서울 지하철 8호선 남위례~모란 구간이 있다.[9] 서울 - 영등포 - 수원 - 대전 구간 경부선 기존선 경유, 금토일은 12회 정차[10] 서울역 착발 KTX는 경부고속철도가 주 운행계통이며, 호남고속철도 운행 KTX는 많은 편수가 없다.[11] 청량리역 착발 하행 일부열차 및 행신 착발 1회 제외 모든열차 착발[12] 용산역 착발 KTX는 호남고속철도가 주 운행계통이며, 경부고속철도 계통 열차도 일부 있었으나 다이어 개정으로 인해 사라졌다.[13] 서울역 착발 일부 하행 열차 정차 및 일부 하행 열차 착발[14] 서울역, 청량리역 착발 일부 하행 열차 정차 및 일부 하행 열차 착발[15] 평일 한정으로 출퇴근 시간대에 상하행 각 일 3회 운행하는 열차만 정차.[16] 강원고속 8000번, 경기고속 8105번 등의 일부 노선을 제외하면 동서울터미널 착발 시외버스 노선들이 이 곳에 중간 정차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17] 용산시외버스터미널은 현재 LG유플러스 본사사옥과 한강초등학교 사이에, 동마장터미널은 용두역동대문구청과 그 옆 홈플러스 부지에 있었다.[18] 22시~23시, 02시~04시[19] 23시~익일 02시[20] 광명, 인천, 부천, 김포, 고양 가는 승객 한정[21] 기사가 먼저 부담하는 경우 최종 요금에 합산된다.[22] 택시에 조금만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택시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한참 초과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