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량공 필리프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선량왕이라는 별칭을 가진 국왕에 대한 내용은 장 2세 문서
장 2세번 문단을
장 2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부르고뉴의 공작
필리프 3세
Philippe III de Bourgogne

파일:Philip_the_good.jpg}}}
출생
1396년 7월 31일
부르고뉴 공국 디종
사망
1467년 6월 15일 (향년 70세)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플란데런 백국 브뤼허
재위
부르고뉴 공국의 공작
1419년 9월 10일 ~ 1467년 6월 15일
배우자
발루아의 미셸 (1409년 결혼 / 1422년 사망)
아르투아의 본 (1424년 결혼 / 1425년 사망)
포르투갈의 이자벨 (1430년 결혼)
자녀
앙투안, 조제, 샤를, 코르넬리(사생아), 앙투안(사생아), 마리(사생아), 다비드(사생아), 안(사생아), 라파엘(사생아), 보두앵(사생아), 필리프(사생아)
아버지
부르고뉴 공작 장 1세
어머니
바이에른의 마르가레테
형제
마리, 마르그리트, 카트린, 이자벨, 안, 아그네스
1. 개요
3. 선량공이라는 별명
4. 예술을 사랑한 남자
5. 사후
6. 매체에서의 등장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프랑스 왕국 발루아 왕조의 분가인 부르고뉴 발루아 공가의 공작으로, 필리프 3세라고도 한다. 백년전쟁잉글랜드 왕국과 프랑스 양쪽을 오가며 이득을 챙겨, 아라스 조약을 통해 프랑스 왕국의 봉신인 부르고뉴 공국을 사실상의 독립국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부유한 플란데런 지역을 외교와 군사로 정복해 부르고뉴 공국을 주국 프랑스에 크게 꿇리지 않을 강국으로 성장시켰다.


2. 매국노?[편집]


생전에 백년전쟁 기간 잔 다르크를 잉글랜드에 팔아넘기는 등 프랑스를 괴롭힌 행적이 프랑스에 대한 매국으로 평가받는다.

물론 중세시대 봉건주의 군주라 자신의 이익에 따라 프랑스와 잉글랜드 사이에서 실리를 취하고 잔 다르크를 팔아넘긴 거라 중세 시대 이후의 시각으로 매국노라고 지탄하는 것은 부당하긴 하지만 선량공이라는 칭호가 무색한 건 사실이긴 하다. 게다가 잔 다르크가 먼저 선량공에게 협력을 부탁했으나 무응답으로 거절하고 결국 그녀와 전투를 벌여 대결한 걸 보면 선량하기보다는 현실적이고 계산적이었다.

선량공이 공위를 계승하게 된 것은 아버지 무겁공 장이 아르마냑파에게 암살당한 것이 계기인데, 당시 도팽인 샤를 7세는 아르마냑파에 기울어져 있었다. 당시 부르고뉴 공국은 샤를 7세의 부모인 샤를 6세이자보 드 바비에르를 데리고 있었는데, 이 때문에 샤를 7세가 왕위에 빨리 오르고 싶어서 일부러 용담공 장을 암살하고 빡친 선량공이 아버지의 원수를 갚겠다며 샤를 6세와 이자보를 죽이면 자동으로 자신이 왕이 되며 부르고뉴 공국을 국왕을 시해한 역적으로 몰아 제거할 명분을 얻는 것을 기대했으나 선량공이 부르고뉴 공국의 안전보장을 대가로 잉글랜드 플랜태저넷 왕가에 프랑스 왕실을 내어주는 대신 샤를 6세 부부를 안 죽여서 무위로 돌아갔다는 음모론도 있다. 그런데 이게 부르고뉴 공국 쪽만 억울하다고 할 수도 없는 게, 용담공의 암살 자체가 용담공이 경쟁자인 오를레앙 공을 암살한 것에 대한 복수극인지라...

어쨌거나 트루아 조약 이후 잔 다르크의 등장으로 전세가 역전되자, 아직 부르고뉴와 잉글랜드 양쪽을 상대하기를 버거워한 샤를 7세와 아라스 조약을 맺어 잉글랜드와의 동맹을 파기하고 샤를 7세가 용담공 장의 죽음에 무관하다고 맹세하고 용담공 장을 죽인 사람들을 처벌할 것을 약속받았으며, 부르고뉴 공국을 사실상의 독립국으로 만들었다. 또한 룩셈부르크 가문의 대가 끊기자 당시 룩셈부르크 여공작이던 괴를리츠의 엘리자베트로부터 룩셈부르크를 매입한다.

3. 선량공이라는 별명[편집]


선량공이라는 별명이 붙은 건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무료병원을 지어주는 등의 자선행위를 많이 했기 때문이라는 설과,(실제로 이 병원에서 운영하는 포도밭에 나는 수익으로 20세기 중반 무렵까지 운영해왔다.) 샤를 7세에게 아버지를 암살당했는데도 그를 용서하고 복수를 포기했기 때문에 그런 별명이 붙었다는 설이 있다.[1] 그리고 측근들과 신하들이 아첨으로 붙인 칭호라는 설도 있다. 또한 십자군에 참여하겠다고 해서 붙인 설도 있다.[2]


4. 예술을 사랑한 남자[편집]


예술을 사랑해서 미술가들을 후원하기도 했는데, 그로부터 후원을 받은 유명한 화가 얀 반 에이크는 잔 다르크가 죽은 뒤인 1437년, 선량공의 부하이자 부르고뉴 공국 대법관 및 재상인 롤랭이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에게 기도를 올리는 그림인 <대법관 롤랭과 성모 마리아>를 그렸다. 롤랭은 선량공의 병원 건립 등 자선사업과 선행에 큰 영향을 끼친 한편 잔 다르크를 팔아넘기도록 조장하고 그 몸값의 일부를 챙겼다는 소문이 있었는데, X선으로 반 에이크의 그림을 촬영한 결과 기도하는 손이 처음에는 돈주머니를 쥐고 있는 모습으로 그린 것으로 밝혀졌다.(…) 참고 기사 즉 잔 다르크를 팔아서 돈을 차지한 롤랭이 가식적이며, 그런 롤랭을 측근으로 둔 선량공을 간접적으로 깠다고 보는 시선도 있는데, 사실 얀 반 에이크 자녀들의 대부가 되어줄 정도로 반 에이크와 선량공은 매우 친밀한 사이였으며 필리프가 반 에이크를 신임하여 궁정을 옮길 때마다 동행하고 화가 일 외에 중책을 맡겼다는 걸 생각하면 조금 신빙성이 떨어지는 가설이다.

게다가 반 에이크가 잔 다르크를 알고 있었다거나 우호적이었다는 기록이 없다. 돈주머니는 다른 종교화에도 자주 나타나는 모티브이며[3] 그 뜻은 탐욕이 아니라 신께 바치는 헌금을 의미하는 도상이다.[4]


5. 사후[편집]


그가 죽은 후 아들인 용담공 샤를은 아버지의 유산을 기반으로 프랑스에 대항함과 동시에 신성 로마 제국에게 독립 국가로 인정받기 위한 로비 활동을 펼쳤지만,[5] 결국 어느 쪽도 성공하지 못하고 비명횡사함으로서 부르고뉴 공국은 프랑스에 재병합되었다.

이후 용담공 샤를의 무남독녀이자 필리프의 친손녀인 마리 드 부르고뉴가 유일한 상속녀로서, 부르고뉴 여공작이 되었고 오스트리아 대공국을 기반으로 신성 로마 제국 제위를 차지해온 합스부르크 가문막시밀리안과 결혼했다. 마리를 자신의 아들 샤를 8세와 결혼시키려 했으나, 나이 차이로 실패한 루이 11세는 허가받지 않은 결혼이라는 명분으로 부르고뉴 공국을 몰수했다. 하지만 플란데런은 이 사건 이후 프랑스의 손을 떠나게 되어 마리의 아들 필리프를 거쳐 손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에게 넘어갔다.[6]


6.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게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의 DLC '서쪽의 군주들'의 서쪽의 대공들 캠페인에서 등장. 4장부터 아버지 용맹공 장의 뒤를 이어 부르고뉴를 지휘하며 영웅 유닛으로 조종할 수 있다. 마지막 장에서 잔다르크를 붙잡고 이후 독대하여 그녀와 이야기를 나누는데 이때 보여주는 모습은 현실의 냉혹한 정치인의 모습으로 도팽을 무조건 믿는 잔다르크를 그의 입장에서 광신도로 묘사하며 현실의 냉정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후 잉글랜드와 도팽에게 사자를 보내 둘 중 먼저 온 쪽에게 잔을 넘기기로 했고 이후 잉글랜드가 오자 잔을 넘기며 개인적인 감정은 없다고 말한다.

라이트 노벨 율리시스: 잔 다르크와 연금의 기사에선 TS되어 여성으로 등장한다. 해당 항목 참고. 이쪽은 잔이 주연급 인물이라 대립했던 입장이라 적으로 등장하지만 주인공을 좋아하기에 얀데레같은 모습도 보인다.

한국의 대체역사소설 용병대장과 성녀에서도 출현한다. 히로인이 잔 다르크이어서 아무래도 동시대의 인물인 만큼 출현이 당연하다면 당연한 일. 다만 이 세계관에서는 원 역사에서 잔을 넘긴 업보 때문인지 비참한 결말을 맺게 된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잔 다르크 서명.svg
잔 다르크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소속
발루아 왕조 · 프랑스군
가족
다르크 가문
관련 인물
미카엘 · 성녀 마르가리타 · 성녀 카타리나

프랑스 원정군 동료 (질 드 레 · 라 이르 · 리슈몽)

적대적 인물 (헨리 6세 · 선량공 필리프 · 이자보 드 바비에르 · 피에르 코숑)

주군 (샤를 7세)
관련 장소
잔의 생가 동레미라퓌셀

오를레앙 공방전이 벌어진 곳 오를레앙 · 파테 전투가 벌어진 곳 파테

루아르 원정이 벌어진 곳 루아르 · 랭스 행진을 통해 주군 샤를이 즉위한 곳 랭스

파리 공방전이 벌어진 곳 파리 · 잔이 마지막으로 승리한 전투가 벌어진 곳 생피에르르무티에

잔이 생포된 곳 콩피에뉴 · 잔이 화형당한 곳 루앙 · 잔의 묘소 윈체스터
관련 사건
백년전쟁
관련 물건
잔 다르크의 깃발 · 생트 카트린의 검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유명 어록 및 편지 · 특징 · 생애 · 창작물
평가 및 여담
평가 · 의문점
창작물
잔 다르크 별도 문서 (그랑블루 판타지 · 드리프터즈 · 데스티니 차일드 · 벽람항로 · 신격의 바하무트 GENESIS · 영웅 · 오버히트 · 이나즈마 일레븐 GO · 인피니티 · 전함소녀 · 크루세이더 퀘스트 · Fate 시리즈 · 컴파스)

그 외 동음이의어
파일:잔 다르크 서명.svg




[1] 몽트뢰에서 회담을 구실로 다리 위로 불러냈다가 암살자들이 난도질하여 죽었다. 그런데 이 암살자들 중에 샤를 7세의 최측근이 있었기 때문에 당연히 왕태자가 배후자로 의심받았고, 필리프는 여러 차례 해명을 요구했으나 샤를 7세는 끝까지 모르는 일이라고 잡아뗐다. 결국 잔 다르크의 죽음 이후 몇년 뒤 샤를 7세와 화평 조약을 맺을 때 암살을 주도한 사람을 처벌한다는 조건으로 화평하긴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부르고뉴가 잔 다르크의 등장 이후 전세가 역전되어 패전을 거듭하고 재정 악화에 귀족들의 내분에 싸여 약해지는 잉글랜드와 손을 떼고 서서히 힘을 회복해가는 프랑스와 동맹하는 대신, 프랑스왕인 샤를 7세도 부르고뉴의 특권을 인정한다는 정치적이고 실리적인 성격이 더 강했다.[2] 잔 다르크가 그에게 협력을 부탁하며 보낸 편지에 프랑스 왕과 싸우지 말고 사라센과 싸우라는 내용이 있는데 잔의 이런 부탁이 십자군에 참여하겠다고만 하고 실천은 안하는 자신의 비위를 건드렸다는 설이 있다. 참고 자료[3] 하기아 소피아 항목 참조 바람.[4] 그러나 이와 별개로 연대기의 작가 샤틀랭이 롤랭에 대해 "그는 마치 지상의 삶이 영원 할 것처럼 재산을 거두어들였다. 그리하여 그의 정신은 길을 잃었다. 그는 나이가 들면서 생애의 마지막이 눈앞에 닥쳐왔는데도 인생의 장벽이나 한계를 인정하지 않으려 했다."라고 쓴 걸 보면 선량공이라면 몰라도 그의 측근인 롤랭의 평판은 분명히 당대에도 좋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선량공이 잔 다르크를 잉글랜드에다가 거액에 팔아넘기는데 롤랭이 일조한 사례와 그 수익의 일부를 챙겼다는 소문도 그런 평판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도 있다.[5] 대충 부르고뉴를 기반으로 스위스와 로렌 공국을 먹고 로타링기아 왕이 되어 이탈리아 정복을 노린다는 구상이었다. 로렌 공국 정복까지는 대충 성공했지만 루이 11세가 샤를의 용병을 매수해 배신시켰고, 스위스군의 지원을 받은 로렌 공작 르네 2세의 반격으로 사를은 낭시 전투에서 패배해 전사한다.[6] 프랑스는 17세기가 되어서야 30년 전쟁의 연장선으로 벌어진 프랑스-스페인 전쟁으로 피레네 조약을 통해 오늘날 일대인 아르투아 지역을 병합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 64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 64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7:07:15에 나무위키 선량공 필리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