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법

덤프버전 :

분류

언어별 명칭
한국어
선법
일본어
旋法(せんぽう
중국어
调式(diàoshì
영어·프랑스어
Mode
독일어
Modus (복수형 Modi)
이탈리아어
Modo
1. 개요
3. 근대 선법
4. 현대 선법
4.1. 이오니아
4.2. 도리아
4.3. 프리기아
4.4. 리디아
4.5. 믹소리디아
4.6. 에올리아
4.7. 로크리아



1. 개요[편집]




장조/단조 개념이 생겨나기 전에(고대~르네상스까지) 있었던 음악 체계이다. 현대음악이 기반이 된 서양 음악 말고도 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보편적으로 발전한 음악 체계이다.

한때는 서양 음악을 지배했으나 바흐 이후로 장단조 체계가 성립된 고전파 시대부터 20세기 이전까지 구닥다리라고 외면받았다. 그러나 20세기 초반 들어 신고전주의 사조가 유행하면서 드뷔시라벨프랑스 근대 작곡가들을 중심으로 선법의 리바이벌이 이루어지고 다시 현대 음악의 주류로 올라왔다. 서아프리카인들의 리듬의 영향을 아주 크게 받은 현대 대중 음악은 특히 2차대전 이후부터 클래식 이론 교육을 받은 재즈 뮤지션들이 재즈 표현의 확장을 위한 수단으로 삼기 위해 유럽 전통에 기반한 선법 체계를 가져오면서 그로 인한 산물을 기반에 두고 발전했는데, 블루스를 시작으로 하여 재즈, 소울, 펑크(Funk) 등 흑인 음악에 이어, 락, 팝, 힙합 등에도 영향을 미쳐 비로소 장단조 체계만큼의 중요성이 커졌다.

우리 일상생활에서 듣는 음악 중에서 장조, 단조음악 같은데 분석해보고 뭔가 다른게 있다면[1] 선법음악임을 의심해볼 수 있다. 과거의 선법, 대위법 음악을 통폐합시키고 개발된 체계가 장단조 체계이다.

크게 로마 제국 시절부터 사용되던 교회 선법과 16세기 중반 무렵 교회 선법을 기반으로 확립된 근대 선법, 그리고 현대 선법으로 나눌 수 있다.

선법의 특징은 한 옥타브 내의 열두 음정 중에 피아노의 흰 건반에 해당하는 일곱 음정만을 사용한다는 점인데, 그 때문에 검은 건반에 해당하는 나머지 음정들을 풍부하게 사용하는 장단조와 비교하면 확실히 느낌이 다르다. 그러나 현대 선법은 일곱 음정만을 사용하지만 피아노의 흰 건반에 해당하는 음정(샵이나 플랫이 붙지 않은 음이름을 가진 음정)만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현대 선법 이전에도, 칼뱅이 16세기에 편집한 시편찬송가를 보면 근대 선법으로 작곡되었는데, 조옮김을 하고 있고, 임시표들이 나온다. 그래서 현재까지 쓰이고 있는 옛 100편 찬송가(개신교에서 쓰는 새찬송가 1장의 원선율이다)를 보면 샵 하나가 붙어 있고, 이오니안 선법이라고 적혀 있다. 현대식으로 하면 G이오니안이 되는 것. 물론 시편찬송가 원 악보는 음위치를 무시하고 깔끔하게 선법 이름만 적고 있는데, 이는 사실 성악에서 시작한 이 선법들이 기본적으로 상대음감이었기 때문이다. 즉 악기가 없는 상황에서 적당하게 음을 잡아서 부르면 그게 음높이가 되는 것.

클래식 작곡 전공 학생들은 조성체계 이전의 중세, 르네상스 음악을 공부하면서 이 선법과 병행해 나오는 대위법을 배우기 시작할 때 버틸 수가 없다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다. [2]

클래식 작곡 전공에서 배우는 대위법 이론은 크게 16세기와 18세기로 구분되는데, 당연히 현대인 입장에서는 16세기가 정말 짜증날 수밖에 없다. 오로지 일곱 가지 음정 만으로, 그것도 그 중에서 용례가 한정되어 있는 음들 만으로 다성부 음악의 선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 덕분에 과제 풀이할 때 미친듯이 까이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리고 클래식계 외에도 실용음악에서는 1950년대 후반 재즈계의 본좌들인 마일스 데이비스빌 에반스 등이 내놓아 대박을 친 모달 재즈(Modal jazz)도 선법에 기반한 모던 재즈의 일종이다. 덕분에 세기가 바뀐 지금은 단순히 몇백년 전의 낡아빠진 음계라고 무시하던 수준은 이미 아득히 넘었고, 이 선법 체계가 재즈에서 중요한 개념인 텐션을 만드는 기초적인 원리가 될 정도로 매우 핵심적인 개념이며, 블루스 스케일과 연계되어 도리안, 믹솔리디안 스케일이 섞여 쓰이는 경우가 매우매우 많다. 이 역시 모달 재즈에서 시작된 것이다.

게임음악이나 EDM 계열의 트렌디한 팝 작곡의 근간이 되기도 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머니코드도 선법의 일종이다.


2. 교회 선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교회 선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근대 선법[편집]


교회 선법을 기반으로 음계 이론을 새롭게 정립한 인물로 기록되는 이론가가 스위스의 하인리히 글라레안(Heinrich Glarean, 1488-1563. 또는 글라레아누스)이었는데, 글라레안은 자신의 이론서 '도데카코르돈(Dodecachordon. 직역하면 열두 줄 현악기)'에서 기존의 8선법에 정격 선법 이오니아(Ionian. 도 음을 으뜸음으로 함)와 에올리아(Aeolian. 라 음을 으뜸음으로 함), 그리고 여기에서 파생된 변격 선법인 히포이오니아(Hypoionian)와 히포에올리아(Hypoaeolian)를 더해 12선법으로 확대해 정리했다. 동시에 음계의 구성 원리도 변화되었는데, 도미넌트는 정격 변격 가리지 않고 닥치고 완전5도로 통일되었으며, 이 구조에서 서양 음악의 종지꼴인 V-I 진행이 나온다.[3]

글라레안이 추가한 이오니아와 에올리아는 이후 각각 장음계와 단음계의 시조가 되었고, 당연히 현대에 쓰이고 있는 선법에도 포함된다. 실제로 이오니아는 현대의 장음계와 음계와 구성 원리가 완전히 붕어빵이고, 에올리아는 단음계 중에서 임시표가 없는 자연 단음계(Natural minor scale) 형태[4]를 지니고 있다.[5]

이렇게 해서 도~라 여섯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여섯 개의 정격 선법과, 정격 선법에서 4도를 내려 만든 여섯 개의 변격 선법 이론이 완성되었다. 하지만 시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은 별로 많이 쓰이지 않았다. 그 이유는 시 음을 으뜸음으로 할 경우 음계의 1음(시), 5음(파) 사이의 음정이 증4도(또는 감5도)가 되는데, 당시 가톨릭의 힘이 강대했던 유럽 사회에서는 증4도를 악마의 음정이라고 하여 기피했기 때문이었다.[6]


4. 현대 선법[편집]


현대의 선법, 특히 재즈에서 모드(mode)[7]로 통칭되는 선법은 변격 선법을 배제한 7선법을 기초로 하고 있다.[8]

현대 선법은 이전의 선법들과 달리 조옮김(전조)해서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예시로 든 에올리아 외에도, 다른 선법 역시 C 이오니아, D 도리아, E 프리기아... 외에도 F 이오니아(F-G-A-B♭-C-D-E-F), B 도리아(B-C♯-D-E-F♯-G♯-A-B), Db 프리기아(D♭-E𝄫(D)-F♭(E)-G♭-A♭-B𝄫(A)-C♭-D♭전부 플랫을 쓰는 것도 모자라서 겹플랫까지 쓰는 패기)... 등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여담으로, 각각의 선법을 지칭할 때 대개는 '-아'가 아니라 '-안'으로 부른다. 이오니안, 도리안... 의 식.

각 선법의 예시로 제시된 음이름들은 차례로 C 이오니아, D 도리아, E 프리기아, F 리디아, G 믹솔리디아, A 에올리아, B 로크리아에서의 각 음이름들이다.


4.1. 이오니아[편집]


이오니아, 아이오니안 / Ionian

C Ionian - C D E F G A B C























음정 관계
예시
(완전 1도)
C
장 2도
D
장 3도
E
완전 4도
F
완전 5도
G
장 6도
A
장 7도
B
(완전 8도)
C

도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이오니아 선법 또는 아이오니안 모드라고 불린다. 앞서 쓴 것처럼 장음계의 직계 선조인 선법이다.

캐릭터 노트는 완전 4도음.


4.2. 도리아[편집]


도리아, 도리안 / Dorian

C Dorian - C D E♭ F G A B♭ C























음정 관계
예시
(완전 1도)
D
C
장 2도
E
D
단 3도
F
E♭
완전 4도
G
F
완전 5도
A
G
장 6도
B
A
단 7도
C
B♭
(완전 8도)
D
C

레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D 도리아의 경우 얼핏 보기에는 D단조(라단조)의 자연단음계로 보이지만 여섯 번째 음이 B♭이 아닌 B라는 점 때문에 확연히 차이가 난다. 단조와 장조의 느낌이 섞여서 구슬프면서도 희망찬 느낌을 주기에 영국이나 아일랜드 전통음악이나 판타지 장르의 게임이나 영화에 자주 쓰인다. 미스테리한 느낌이나 신비한 느낌을 연출할때 흔히 쓰인다. 음조에 단7도와 장6도가 같이 있기 때문에[9] 펑키한 느낌을 연출 하기에도 적합하다. 영국 전통 민요인 스카보로 페어, 그린슬리브즈, 젤다의 전설다크월드 테마, 남녀공학(아이돌)삐리뽐 빼리뽐, Average White Band의 Pick Up The Pieces, Saint Motel의 My Type, 겨울왕국Frozen Heart, Geometry DashBase After Base가 대표적인 예시. 가끔 도리아 선법의 7음(아랫으뜸음)을 반음 올려 이끈음을 만들어 주어, 딸림화음이 장3화음이 되기도 한다.[10] 이를 가락 단음계(Melodic Minor)라고 한다.

캐릭터 노트는 장 6도음.


4.3. 프리기아[편집]


프리기아, 프리지아, 프리지안 / Phrygian

C Phrygian - C D♭ E♭ F G A♭ B♭ C























음정 관계
예시
(완전 1도)
E
C
단 2도
F
D♭
단 3도
G
E♭
완전 4도
A
F
완전 5도
B
G
단 6도
C
A♭
단 7도
D
B♭
(완전 8도)
E
C

미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도리아와 마찬가지로 E 프리기아의 경우 E단조(마단조)의 자연단음계처럼 보이지만, 두 번째 음이 F♯이 아닌 F라는 점이 특징이다. 음정 관계도 장음정이 완전히 배제된 완전음정과 단음정 만으로 구성된 것이 다른 선법들과 눈에 띄게 구별되는 차이점이다. 이 선법은 특히 플라멩코스페인 민속 음악에서 자주 사용된다. 특유의 단 2도 덕분에 긴박함, 섬뜩함, 사악함 같은 느낌의 브금을 연출하기 쉬워 악당/보스 테마곡이나 전투브금으로 자주 쓰인다. 기둥 속 사내의 메인 테마 Awaken, 죠스 메인 테마, 비락식혜 CF bgm으로 유명한 Bull Fun, 쟁반돌리기 bgm, 잊혀진 시간의 길 3,4의 bgm,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의 엔딩인 Magia등이 대표적인 예시. 냥코대전쟁 미래편 '달'의 사운드트랙. 노골적으로 단2도를 강조하고 있다.

캐릭터 노트는 단 2도음.


4.4. 리디아[편집]


리디아, 리디안 / Lydian

C Lydian - C D E F♯ G A B C























음정 관계
예시
(완전 1도)
F
C
장 2도
G
D
장 3도
A
E
증 4도[11]
B
F♯
완전 5도
C
G
장 6도
D
A
장 7도
E
B
(완전 8도)
F
C

파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F 리디아의 경우 얼핏 듣기에는 F장조(바장조)와 유사해 보이지만, 네 번째 음이 B♭이 아닌 B라서 느낌이 다르다. 그리고 이 음이 선법들 중 유일하게 증음정을 만들어내고 있다. 신비하고 우주스러운 분위기나 영웅적인 분위기를 내는 브금으로 흔히 쓰인다. 이끈음을 으뜸음으로 갖는 화음이 감3화음이 아니기 때문에 이끈음 화음이 장조에 비해 훨씬 더 많이 쓰인다. 예시로 컬럼비아 픽처스 인트로 브금, 심슨 가족의 오프닝곡, 스타워즈요다의 테마 초반부가 있다.

이 화음은 음악을 움직입니다. - 엄밀히 리디아는 아닌데 느낌이 비슷하다.
캐릭터 노트는 증 4도음.


4.5. 믹소리디아[편집]


믹소리디아, 믹소리디안 / Mixo-lydian

C Mixolydian - C D E F G A B♭ C























음정 관계
예시
(완전 1도)
G
C
장 2도
A
D
장 3도
B
E
완전 4도
C
F
완전 5도
D
G
장 6도
E
A
단 7도
F
B♭
(완전 8도)
G
C

솔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역시 G 믹솔리디아의 경우 G장조(사장조) 음계와 유사하지만, 일곱 번째 음이 F♯이 아니라 F다. 특유의 밝으면서도 어리숙한 느낌을 주기에 엉뚱한 느낌의 브금, 해적 관련 브금, 밝은 느낌의 중세 배경 브금, 어드벤처 장르의 초반부 브금으로 자주 사용된다. 1도음의 딸림 7화음이 음계에 존재 하기때문에 블루스 느낌을 주기도 쉽다. 크로노 트리거 천년 축제 테마, 포켓몬 타이틀 테마, 초코보의 테마, 한컴타자연습 2007의 놀이 브금,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오프닝인 푸른 하늘의 랩소디등이 대표적인 예시.

캐릭터 노트는 단 7도음.


4.6. 에올리아[편집]


에올리아, 에올리안 / Aeolian

C Aeolian - C D E♭ F G A♭ B♭ C























음정 관계
예시
(완전 1도)
A
C
장 2도
B
D
단 3도
C
E♭
완전 4도
D
F
완전 5도
E
G
단 6도
F
A♭
단 7도
G
B♭
(완전 8도)
A
C

라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위에 쓴 대로 자연 단음계와 똑같다. 단조 조성의 직계 선조.

캐릭터 노트는 단 6도음.


4.7. 로크리아[편집]


로크리아, 로크리안 / Locrian

C Locrian - C D♭ E♭ F G♭ A♭ B♭ C























음정 관계
예시
(완전 1도)
B
C
단 2도
C
D♭
단 3도
D
E♭
완전 4도
E
F
감 5도
F
G♭
단 6도
G
A♭
단 7도
A
B♭
(완전 8도)
B
C

시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선법. 위에 쓴 대로 중세 시대에는 시 음정 자체가 악마의 음정을 유발하여 잘 쓰이지 않았다. 선법 음계에서도 다섯 번째 음이 감음정을 만들어내고 있어서 증음정이 나오는 리디아와 비슷한데, 다만 이 선법은 장조 느낌도 단조 느낌도 나지 않는 다소 무색무취한 스타일이라는 점에서도 잘 쓰이지 않는다. 물론 모던 재즈에서는 예외. 어디로 튈지 모르는 선법이라 드라마틱한 조바꿈이 필요할 때 종종 쓴다. 행복해질 수 있는 숨겨진 커맨드가 있다는 것 같다가 대표적인 예시로, 해당 곡은 F 로크리아를 이용하였다.

캐릭터 노트는 단 2도와 감 5도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7:32:53에 나무위키 선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를 들어 도미넌트의 위치라던가, 멜로디가 장단조에서 반음정도 일관되게 나사빠진듯한 느낌이 있다거나[2] 중세~르네상스기에는 장단조 화성체계가 없었고 대신 선법으로 만든 음의 조화를 위해 대위법 체계를 사용했다. 대위법이 영국에서 극한으로 발전한 이후에야 장단조 화성체계가 성립되기 시작했다. 물론 이후의 유명한 작곡가들도 장단조 화성체계 안에서 대위법을 제한적으로 섞어서 구사한 경우는 많았다.[3] 프리지아 선법과 그 변격 선법은 예외인데, 완전5도의 어울림화음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프리지아 선법만은 II-I 등의 다른 진행법을 사용한다.[4] 단음계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으며, 첫번째는 앞서 언급된 자연 단음계, 두번째는 제 7음을 반음 올린 화성 단음계, 마지막으로 올라갈 때는 제 6음과 제 7음을 반음 올리고, 내려갈 때는 자연 단음계와 같은 형태로 돌아오는 가락 단음계이다.[5] 사실 이 시기에 작곡된 음악을 보면, 종지형이 될 때에는 임시표를 남발해서라도 현대의 V-I 진행을 방불하게 하는 화음꼴을 만들고 있다. 믹솔리디안에서 F를 반음 올린다든가, 에올리안, 도리안에서 솔, 도를 각각 반음 올린다든가 하는 식이다. 화성학을 배우면 알겠지만, V화음은 종지 시점에서는 절대적으로 장화음만이 사용될 수 있다. 단, 이 시기의 V-I진행에서 I은 도와 솔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미는 아직 포함되지 않았다. I화음이 도-미-솔이 된 것은 장/단조 체계가 정립된 이후의 것이다.[6] 시-파, 파-시 두 경우가 다 온 음 세 개 간격의 음정인데, 이는 매우 불길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악마의 음정이라고 불렸다그런데 주파수의 비는....[7] 형용사형으로 쓰일 때는 모달(modal). '모달 스케일'이나 '모달 재즈'등의 용법으로 쓴다.[8] 음역대가 자유로워지고 종지음만 같으면 같은 선법으로 취급되면서, 변격 선법의 의미가 없어졌기 때문이다.[9] 단 아랫으뜸음이 반음 올라간 경우는 제외 [10] 주로 장조인 곡을 도리아 선법으로 바꿀 때 이것을 이용하는데, 그냥 도리아 선법으로 바꾸면 코드 진행에서 어색함이 느껴지는 경우가 흔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7음에만 올림표를 붙여서 해결한다. [11] 이 음정이 '음악의 악마(diabolus in musica)'라고 불리며 초기 고전 시대까지 금기시된 셋온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