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화공주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온조왕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
다루의 모후
기루의 모후
개루의 모후
초고, 고이의 모후
초고왕
구수왕
고이왕
책계왕
구수의 모후
사반의 모후
책계의 모후
보과부인
분서왕
비류왕
근초고왕
근구수왕
계의 모후
차비
왕후 진씨
아이부인
침류왕
진사왕
아신왕
전지왕
왕후 진씨
진손의 모후
왕후 해씨
팔수부인
구이신왕
비유왕
개로왕
문주왕
왕후
개로의 모후
대후
왕후 해씨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
성왕
왕후 진씨
비지의 딸
왕대비
창의 모후
위덕왕
혜왕
법왕
무왕
아좌의 모후
선의 모후
왕후
왕후 사택씨
무왕
의자왕
풍왕
선화공주
은고부인
왕후 오오씨





선화공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백제 무왕의 왕후
선화공주 | 善花公主


신라 진평왕의 왕녀
선화공주 | 善花公主


파일:선화공주 표준영정.jpg

선화공주 표준영정
이름
선화(善花/善化)
생몰년
미상
본관
경주 김씨
부왕
진평왕
모후
마야부인
배우자
무왕
자녀
슬하 1남
아들 - 의자왕

선화공주(善花公主)
1. 개요
2. 서동 설화
3. 실존 여부
4. 기타
5. 창작물에서



1. 개요[편집]


신라의 공주.

삼국유사 서동요에 기록된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이며, 백제 무왕의 젊은 시절로 대체로 추정하는 인물 서동(薯童)의 아내다. 즉 기록상 진평왕의 장녀로 기록된 선덕여왕의 여동생인 셈이다.[1]

다만 서동요의 내용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이설과 논란이 뒤따르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서동요 문서의 단락을 참조. 서동을 백제 동성왕이라고 주장하는 설에 따르면 선화공주는 비지의 친딸이자 무왕의 증~고조모가 된다. 선화공주(善花公主)의 이름은 소지 마립간의 두 왕비인 혜부인(兮夫人) 및 벽부인(碧夫人)과 한 글자씩 동일하기 때문이다.


2. 서동 설화[편집]





서동은 원래 백제의 왕족이지만 집안이 몰락하면서 를 캐면서 생활했기에 마 서자를 써서 서동이라고 불렸는데, 서동은 어느 날 신라 진평왕의 셋째딸 선화공주가 절세미인이라는 소문을 듣고 선화공주와 혼인하기로 결심한다. 신라에 가서 지나가는 어린아이들에게 를 나누어 주면서 이 불순한 노래(서동요)를 부르게 하여 스캔들을 조장하고는, 진평왕의 명령으로 쫓겨난 선화공주에게 접근해 결혼에 골인했다고 한다. 《고려사(高麗史)》및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말통(末通)대왕"이란 명칭으로도 나오는데, 이는 바로 "薯童"을 훈독한 "맛둥", 즉 맏이 정도의 어휘를 적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후 서동은 어찌어찌 해서 도 얻고 인심도 얻은 뒤 백제의 왕이 되었고, 이후 선화공주와 함께 유명한 백제 사찰미륵사(彌勒寺)[2]를 창건했다는 내용이 설화의 전문이다.

선화공주의 후에 대해서는 진평왕이 이를 인정하지 못하고 선화공주를 자기 딸이 아니라고 선언하여 왕족 족보에서 지워버렸다는 등, 하늘의 뜻이라 여겨 매년 백제에 사신을 보내 인사를 하게 했다는 둥 결말이 분분하게 전해진다.

삼국유사의 <서동 설화> #1 무왕의 출생
삼국유사의 <서동 설화> #2 서동이 노래로 선화공주를 얻다
삼국유사의 <서동 설화> #3 서동이 왕위에 오르다
삼국유사의 <서동 설화> #4 미륵사를 짓다


3. 실존 여부[편집]


현대에 전북 익산미륵사지 석탑을 해체하면서 나온 사리함의 기록에는 "미륵사를 중건한 왕비백제 토착 귀족인 사택씨의 딸"이라고 써져 있어서, 설화에 나오는 신라 출신 선화공주라는 말과 모순이 생겨버렸다. 또한 당시 백제와 신라의 관계는 험악했기에 두 나라 왕실간의 결혼 자체에 회의적인 시각도 꽤 많은 편.[3] 현재는 보완 차원에서 무왕이 여러 명의 왕비를 두고 있었다거나,[4] 기록에 나온 사택왕후는 선화공주 이후 뒤에 들인 후처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리함 발견 직후인 2011년 방영한 드라마 계백에서도 선화공주와 사택비가 작중 모두 등장하며 둘 다 무왕의 비인 것으로 설정되었다.[5]

선화공주와 서동요 해석 문제에 관한 더 상세한 부분은 서동요 문서를 참조.

한편, 익산쌍릉 2곳의 고분 중 대왕릉 쪽에서 출토된 유골이 20-40대 사이의 여성이고, 부장품 중에 신라토기가 있어, 선화공주가 아니냐는 추론도 나왔었지만(전설과 역사 사이 ‘선화공주 연애담’ 진실 밝혀지나) 두 증거 모두 의심의 여지가 있어 인정받지 못하다가 결국 2018년 7월 바로 무왕의 유골이라는 발표가 나와 선화공주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기사 2018년 7월17일 오후 가톨릭대 병원에 고고학, 역사학, 법의학, 유전학, 생화학, 암석학, 임산공학, 물리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만장일치로 무왕의 유골이 맞는다고 판정을 내렸다. # 발굴조사를 주도한 원광대 교수의 제의로 무왕의 뼈앞에 학자들이 모두 고개를 숙여서 예를 표했다고 한다.

쌍릉 대왕릉의 주인이 무왕으로 결정된 이상 옆에 있는 소왕릉의 주인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도 많은 설이 제기되었다. 일단 소왕릉의 피장자는 무왕과 매우 가까운 인물인 것은 확실하므로, 그 후보로 무왕의 아버지 법왕설, 사택왕후설, 선화공주설 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소왕릉은 대왕릉보다 훨씬 도굴피해가 심해서 피장자를 밝혀줄 새롭고 결정적인 유물이 발견될 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다. 2019년 재발굴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소왕릉은 말 그대로 티끌 하나도 남지 않고 전부 도굴당했기 때문에 무덤 어디에도 피장자가 선화공주임을 알려주는 단서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그렇다고 피장자가 선화공주가 아님을 알려주는 단서 또한 존재하지 않았다.#


4. 기타[편집]


강원도 동해시에 감추사라는 절이 있는데, 이 절은 선화공주가 처음 세웠다고 전해지며 공주가 여생을 감추사에서 마쳤다고 한다. 선화공주의 묘 또한 이 절에 있었다고 한다.


5. 창작물에서[편집]


일단 사료에는 나오지만 그것이 삼국유사에 설화적 인물로 등장하는 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당시 시기를 다룬 사극에서도 나왔다 안 나왔다 한다. 백제 쪽이 주로 다루어진다면 나오고 신라를 주요 배경으로 한 선덕여왕, 대왕의 꿈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다.

삼국기에서는 김용선이 연기했다.

서동요에서는 이보영이 연기했다. 아역은 설리.

점프 2에서도 등장하였다. 배우는 당시 그림 속의 여였던 여민주.

계백에서도 백제 황후로 등장했다. 배우 신은정이 연기.

[1] 다만 진평왕의 다른 딸 천명공주는 몇째인지에 대한 기록이 따로 없기 때문에 둘째일 수도, 넷째 이후일 수도 있다.[2] <국사國史>에서는 왕흥사(王興寺)라고 기록되어 있다는 주석이 있음[3] 게다가 그 이후에도 백제와 신라의 관계는 더 악화되었지 결코 좋아지지 않았다. 신채호는 조선상고사에서 역으로 무왕과 진평왕, 선덕여왕 사이의 전쟁을 왕위 계승 전쟁이라는 시각으로 이해하고 있다. 당시 선화공주가 신라의 왕이 되는 것을 인정할 수 없었던 신라의 귀족들이 출가했던 덕만공주를 환속시켜 선덕여왕으로 옹립했다는 것. 서동요 설화가 사실이라면 의자왕은 이모인 선덕여왕이 다스리는 신라를 수시로 침공했던 것이다. 거기에 태종 무열왕은 당나라와 손잡고 사촌형인 의자왕을 패망시킨 셈이 되는 것인데 실제로 이런 내용이 KBS 드라마 삼국기에서 그대로 재현되었다.[4] 원래 백제고구려일부다처제 국가였다. 그리고 백제는 여러 명의 왕비가 있었단 다른 사례가 따로 없지만 동시대 옆나라 고구려에는 산상왕이 우씨 부인과 소후 두 명의 왕비가 있었다고 삼국사기에서 전하고, 일본서기에는 고구려 안원왕에게 정부인, 중부인, 소부인 3명의 왕비가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무왕의 왕후가 여러 명이었다고 추정하는 또다른 근거로, 왕후가 한 명이면 성씨를 쓰지 않고 그냥 '왕후'라고 적으면 되는데 미륵사지 사리봉안기에서 굳이 '사택씨 왕후'라고 성씨를 적은 것을 지적하기도 한다. 백제 가까운 시대인 무령왕릉의 사례를 보면 무령왕의 지석은 내용이 자세하지만 왕비의 지석은 성씨를 생략하고 그냥 '백제국왕대비(百濟國王大妃)'라고 부르고 있기 때문에, 무왕의 경우 왕후가 여러 명이니 굳이 성씨까지 표기써서 특정한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한국 고대사의 기본 사료 p.98[5] 참고로 이 작품에서 선화공주는 아들인 의자를 살리기 위해 자결로 최후를 맞는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8:40:10에 나무위키 선화공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