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공호룡

덤프버전 :

1. 개요
2. 유래


1. 개요[편집]


[1]公好龍

겉으로는 좋아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좋아하지 않는 것을 이르는 말.

온 집안을 그림으로 꾸밀 만큼 용 사랑이 유별났던 섭공 심제량(沈諸梁)[2]이 실제로 하늘에서 용이 내려오자 상상했던 모습과 달라 기절해 버렸다는 고사다.

공자의 제자 자장은 선비를 좋아한다는 노나라의 애공을 찾아갔으나 일주일이 지나도 만나지 못하였다. 그래서 자장은 "애공이 선비를 좋아하는 것은 섭공이 용을 좋아하던 것과 다름없다."면서 애공을 섭공에 비유하였다. 섭공이 용을 조금도 좋아하지 않은 것처럼 애공도 선비를 좋아하는 듯하지만 사실은 선비들을 배척하며 경시하였다.

한편으로 섭공은 동경하던 대상의 실상을 보고서 환멸감을 느꼈다고 볼 수도 있겠다. 즉 섭공의 눈 앞에 실제로 나타난 용은 섭공이 동경해 오던 그런 용이 아니었다는 것.


2. 유래[편집]


초나라 귀족 가운데 섭공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섭공은 동물들 중에서도 특히 용을 좋아했다. 그가 입고 있는 옷에는 용 그림이 수놓아져 있었고, 그가 술을 따라 마시는 술잔에도 용이 새겨져 있었으며, 방문 손잡이와 처마에도 갖가지 화려한 용 무늬가 조각되어 있을 정도였다. 심지어 섭공은 때때로 용이 나오는 꿈을 꾸기도 했다.

어느 날 하늘 위에 사는 진짜 용이 우연히 섭공의 이런 마음을 알게 되었다. 자신을 좋아해주는 섭공의 마음에 감동한 용이 인간 세상으로 내려와 섭공을 찾아갔다. 섭공의 집에 도착한 용은 창문 사이로 얼굴을 들이밀어 집 안 여기저기를 살펴보았다. 자신을 향해서 꼬리를 흔들고 있는 진짜 용을 눈앞에서 보게 된 섭공은 용의 징그럽고 무서운 모습에 너무 놀라서 한참을 제자리에서 벌벌 떨다가 점점 얼굴이 창백해지더니 넋을 잃고 말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9:50:01에 나무위키 섭공호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잎 엽葉자는 성 등 인명이나 지명에 쓰이는 경우 '섭'으로 읽어야 한다. 그러니까 우리에게 유명한 엽문도 원래는 섭문으로 읽는 게 맞았으나 근대로 넘어오면서 섭이 아니라 엽으로 읽게 되었다.[2] 성은 미(羋). 씨는 심윤(沈尹)인데, 글자를 줄여서 심씨(沈氏)로도 칭한다. 자는 자고(子高). 초나라 중기에 일어난 백공 승(白公 勝)의 반란을 진압했으나 재상 자리를 거부하고 자기 봉토인 섭으로 돌아간 인물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