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부로

덤프버전 :



성도부로 成都府路

1. 개요
2. 역사
3. 행정구역
3.1. 성도부(成都府)
3.2. 미주(眉州)
3.3. 숭경부(崇慶府)
3.4. 팽주(彭州)
3.5. 면주(綿州)
3.6. 한주(漢州)
3.7. 가정부(嘉定府)
3.8. 공주(邛州)
3.9. 간주(簡州)
3.10. 여주(黎州)
3.11. 아주(雅州)
3.12. 무주(茂州)
3.13. 위주(威州)
3.14. 영강군(永康軍)
3.15. 선정감(仙井監)
3.16. 석천군(石泉軍)



1. 개요[편집]


송나라의 최상위 행정구역인 로(路) 중 하나로 오늘날 청두시를 중심으로 한 지역을 관할했다. 동천부로, 이주로, 기주로와 함께 사천(四川)의 유래가 되는 천협사로(川峽四路) 중의 하나이다.


2. 역사[편집]


왕소파, 이순의 봉기가 실패로 끝난 이후인 994년 성도부가 익주로 강등되었다. 성도부로는 송나라에서 로를 설치할 때 익주로라는 명칭으로 설치되었고 1059년 익주가 성도부가 승격되면서 성도부로가 되었다.


3. 행정구역[편집]



3.1. 성도부(成都府)[편집]


촉군(蜀郡). 검남서천절도사(劍南西川節度使)가 파견되었다. 성도부라는 명칭은 당나라에서 안녹산의 난이 일어날 당시인 757년 익주(益州)가 부로 승격되면서 이어졌던 명칭이었으며, 송대에도 이어졌다가 왕소파, 이순의 반란 이후 다시 익주로 격하되었다. 1060년 다시 성도부로 승격되고 1061년 절도사가 부활하였다.

    • 성도현(成都縣), 화양현(華陽縣), 신도현(新都縣), 비현(郫縣)[1], 쌍류현(雙流縣), 온강현(溫江縣), 신번현(新繁縣)[2], 광도현(廣都縣)[3], 영천현(靈泉縣)[4]


3.2. 미주(眉州)[편집]


통의군(通義郡). 996년 방어주로 승격되었다.

    • 미산현(眉山縣)[5], 팽산현(彭山縣), 단릉현(丹棱縣), 청신현(靑神縣)


3.3. 숭경부(崇慶府)[편집]


당안군(唐安郡). 본래 촉주(蜀州)로 군사주였다. 1144년 고종의 잠저가 촉주에 있었기에 숭경군절도사(崇慶軍節度使)가 파견되었고 1177년 부로 승격되었다.

    • 진원현(晉源縣), 신진현(新津縣), 강원현(江原縣)[6], 영강현(永康縣)


3.4. 팽주(彭州)[편집]


몽양군(濛陽郡). 군사주였다.

    • 구농현(九隴縣)[7], 숭녕현(崇寧縣)[8], 몽양현(濛陽縣)


3.5. 면주(綿州)[편집]


파서군(巴西郡). 군사주였다.

    • 파서현(巴西縣), 창명현(彰明縣), 위성현(魏城縣), 나강현(羅江縣), 염천현(鹽泉縣)


3.6. 한주(漢州)[편집]


덕양군(德陽郡). 군사주였다.

    • 낙현(雒縣), 십방현(什邡縣), 면죽현(綿竹縣), 덕양현(德陽縣)


3.7. 가정부(嘉定府)[편집]


건위군(犍爲郡). 본래 가주(嘉州)였으며, 군사주였다. 966년 수산현(綏山縣), 나목현(羅目縣), 옥진현(玉津縣)을 폐지하였다. 영종이 즉위한 뒤인 1196년 가정부로 승격되었고 1205년 가경군절도사(嘉慶軍節度使)가 파견되었다.

    • 용유현(龍遊縣)[9], 홍아현(洪雅縣)[10], 협강현(夾江縣), 아미현(峨眉縣), 건위현(犍爲縣)[11]

    • 풍원감(豐遠監)


3.8. 공주(邛州)[편집]


임공군(臨邛郡). 군사주였다.

    • 임공현(臨邛縣)[12], 의정현(依政縣), 안인현(安仁縣)[13], 대읍현(大邑縣)[14], 포강현(蒲江縣)[15], 화정현(火井縣)[16]

    • 혜민감(惠民監)[17]


3.9. 간주(簡州)[편집]


양안군(陽安郡). 군사주였다.

    • 양안현(陽安縣), 평천현(平泉縣)


3.10. 여주(黎州)[편집]


한원군(漢源郡). 군사주였다.

    • 한원현(漢源縣)[18]

  • 기미주
    • 나암주(羅巖州), 삭고주(索古州), 진상주(秦上州), 합흠주(合欽州), 극천주(劇川州), 첩영주(輒榮州), 봉구주(蓬口州), 백파주(柏坡州), 박로주(博盧州), 명산주(明川州), 이형피주(胣潆皮州), 봉시주(蓬矢州), 대도주(大渡州), 미천주(米川州), 목속주(木屬州), 하동주(河東州), 낙작주(諾筰州), 포람주(甫嵐州), 창화주(昌化州), 귀화주(歸化州), 율천주(粟川州), 총하주(叢夏州), 화양주(和良州), 화도주(和都州), 부목주(附木州), 동천주(東川州), 상귀주(上貴州), 활천주(滑川州), 북천주(北川州), 길천주(吉川州), 포악주(甫萼州), 북지주(北地州), 창영주(蒼榮州), 야천주(野川州), 공진주(邛陳州), 귀림주(貴林州), 호천주(護川州), 첩종주(牒琮州), 낭미주(浪瀰州), 낭곽주(郎郭州), 상흠주(上欽州), 시봉주(時蓬州), 엄마주(儼馬州), 궐사주(橛査州), 공천주(邛川州), 호공주(護邛州), 각천주(腳川州), 개망주(開望州), 상봉주(上蓬州), 북봉주(北蓬州), 박중주(剝重州), 구호주(久護州), 요검주(瑤劍州), 명창주(明昌州)


3.11. 아주(雅州)[편집]


여산군(盧山郡). 군사주였다.

    • 엄도현(嚴道縣)[19], 여산현(盧山縣)[20], 명산현(名山縣), 영경현(榮經縣), 백장현(百丈縣)[21]

  • 기미주
    • 당마주(當馬州), 삼정주(三井州), 내봉주(來鋒州), 명배주(名配州), 겸태주(鉗泰州), 예공주(隸恭州), 주중주(畫重州), 나림주(羅林州), 농양주(籠羊州), 임파주(林波州), 임소주(林燒州), 용봉주(龍蓬州), 감천주(敢川州), 경천주(驚川州), 화미주(禍眉州), 목촉주(木燭州), 백파주(百坡州), 당품주(當品州), 엄성주(嚴城州), 중천주(中川州), 겸의주(鉗矣州), 창뢰주(昌磊州), 겸병주(鉗并州), 백파주(百頗州), 회야주(會野州), 부인주(富仁州), 추매주(推梅州), 작중주(作重州), 화림주(禍林州), 금림주(金林州), 낙조주(諾祚州), 삼공주(三恭州), 포람주(布嵐州), 흠마주(欠馬州), 나봉주(羅蓬州), 논천주(論川州), 양천주(讓川州), 원남주(遠南州), 비여주(卑盧州), 기룡주(夔龍州), 휘천주(輝川州), 금천주(金川州), 동가량주(東嘉梁州), 서가량주(西嘉梁州)


3.12. 무주(茂州)[편집]


통화군(通化郡). 군사주였다. 1072년 문천현(汶川縣)에 위융군사(威戎軍使)를 설치하고 석천현을 면주 관할로 두었다.

    • 문산현(汶山縣), 문천현(汶川縣)[22]

    • 진강채(鎭羌砦)[23]

    • 계종관(鷄宗關)[24]

  • 기미주
    • 당주(璫州), 직주(直州), 시주(時州), 도주(塗州), 원주(遠州), 비주(飛州), 건주(乾州), 가주(可州), 향주(向州), 거주(居州)

춘기성(春祺城)은 본래 보주(保州)의 기미를 맡았으며, 1114년 기주(祺州)가 설치되고 춘기현이라는 이름을 맡았다가 1121년 성으로 격하되고 무주 관할이 되었다.

수녕채(壽寧砦)는 본래 직주(直州)의 기미를 맡았으며, 1116년 무주로부터 5리 떨어진 대조강(大皂江) 바깥에 수녕군(壽寧軍)을 설치했다가 1118년 채로 격하되고 1121년 보로 격하되었다. 또한 부문관(敷文關)을 부문보(敷文堡)로 격하시켰다.

연녕채(延寧砦)는 본래 위융군(威戎軍)으로 희령 연간에 설치되었으며, 1116년 탕연준(湯延俊) 등이 귀순하면서 군성을 중축하고 연녕군으로 이름을 고쳤다가 1121년 채로 격하되어 무주 관할이 되었다. 1123년 문천현에 통폐합되었다.


3.13. 위주(威州)[편집]


유천군(維川郡). 본래 유주(維州)였으며, 군사주였다. 1036년 유주(濰州)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위주로 고쳤다.

    • 보령현(保寧縣)[25], 통화현(通化縣)[* 1023년 금천현(金川縣)으로 고쳤다가 1037년 복구하였다. 1066년 통화군(通化軍)을 통화현에 통폐합하였다. 박역장(博易塲)이 있었다.

  • 기미주(羈縻州)
    • 보주(保州), 패주(霸州)

가회채(嘉會砦)는 본래 패주의 기미를 맡았으며, 1114년 형주(亨州)로 변경되고 가회현(嘉會縣)이라는 현이 되었으나, 1121년 주가 폐지되고 채로 격하되면서 위주 관할이 되었다.

통화군(通化軍)은 희령(熙寧) 연간에 보주와 패주 근방에 설치되었다. 1113년 동순자(董舜咨)가 귀순하면서 옛 이름을 따서 군성을 중축했다가 1121년 군사를 감압(監押)으로 격하시킨 뒤 위주 관할로 두었다.


3.14. 영강군(永康軍)[편집]


본래 팽주(彭州) 도강현(導江縣) 관구진(灌口鎭)이었으며, 당나라 때 진정군(鎭靜軍)이 설치되었다. 966년 영안군(永安軍)으로 고치고 촉주(蜀州)의 청성현(靑城縣)과 도강현을 관할에 두었다. 978년 영강군으로 개칭되었다. 1072년 폐지되었다가 1076년 도강현의 치소에 영강군사(永康軍使)를 두고 팽주 관할로 두었다가 원우 연간에 복구하였다.

도강현(導江縣)[26], 청성현(靑城縣)[27]


3.15. 선정감(仙井監)[편집]


본래 능주(陵州)였으며, 997년 단련주로 승격되었다. 1001년 폐지되어 현으로 설치되었다가 1072년 능정감(陵井監)으로 격하되었다. 1122년 선정감(仙井監)으로 고쳤다. 1163년 융주(隆州)로 고쳤다.

    • 인수현(仁壽縣), 정연현(井硏縣), 귀평현(貴平縣)[28], 적현(籍縣)[29]

    • 대안진(大安鎭)[30]


3.16. 석천군(石泉軍)[편집]


본래 면주(綿州) 석천현(石泉縣)에 설치한 것이 시초로 1117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며,영강현(永康縣), 용안현(龍安縣), 신천현(神泉縣)이 관할이 되었다. 1121년 군사주로 격하되고 관할 현들이 원래의 관할로 돌아갔으나 1125년 복구되었다.

    • 석천현(石泉縣), 신천현(神泉縣)[31], 용안현(龍安縣)[32]

    • 회동보(會同堡), 정안보(靖安堡), 가평보(嘉平堡), 통진보(通津堡), 횡망보(橫望堡), 평롱보(平隴堡), 능소보(淩霄堡), 용취보(聳翠堡), 연운보(連雲堡)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7:51:34에 나무위키 성도부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994년 서포현(犀浦縣)이 진으로 격하되어 비현으로 통폐합되었다.[2] 한대의 명칭은 번현(繁縣)이었으나 전촉 때 고쳐졌다.[3] 1072년 능주(陵州)를 폐지할 때 귀평현(貴平縣)과 적현(籍縣)을 진으로 격하시킨 뒤 광도현에 통폐합하였다.[4] 옛 명칭은 천지현(靈池縣)이었으나 1026년 영천현으로 고쳤다.[5] 수나라 때 통의현(通義縣)이라는 명칭이었으나 태평흥국(太平興國) 연간에 미산현으로 고쳤다.[6] 당나라 때 당안현이라는 명칭이었다가 971년 고쳐졌다.[7] 당나라 때 설치된 현이었다. 1069년 붕구현(堋口縣)을 설치했다가 1071년 격하하여 진으로 통폐합하였다., 녹각채(鹿角砦), 붕구다장(堋口茶塲), 목두다장(木頭茶塲)이 있었다.[8] 唐昌縣。1102년 연호인 숭녕을 따서 숭녕현으로 고쳤다.[9] 1072년 평강현(平羌縣)을 폐지하고 용유현에 통폐합하였다. 1119년 가상현(嘉祥縣)으로 개명되었으나 뒤에 복구되었다.[10] 993년 미주에서 가주 관할로 변경되었다.[11] 1011년 치소를 징비진(懲非鎭)으로 옮겼다.[12] 1072년 임계현(臨溪縣)을 진으로 격하시킨 뒤 통폐합했다.[13] 연공채(延貢砦)가 있었다.[14] 사안채(思安砦)가 있었다.[15] 염정감(鹽井監)과 염정채(鹽井砦)가 있었다.[16] 970년 치소를 평락진(平樂鎭)으로 옮겼다가 997년 복구하였다.[17] 철전의 주조를 맡았으나 1129년 폐지되었다.[18] 1046년 통망현(通望縣)을 폐지하고 한원현에 통폐합하였다.[19] 조문채(碉門砦)가 있었다.[20] 영관채(靈關砦)가 있었다.[21] 1072년 설치되었으며, 진으로 격하되어 명산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7년 복구되었다.[22] 정강의 변 이후 설치되었다.[23] 1072년 설치되었다.[24] 1072년 설치되었다.[25] 당나라 때 설성현(薛城縣)이라는 명칭이었으나 남당 때 고쳤다.[26] 건덕 연간에 팽주 관할에서 변경되었다. 1072년 영강군이 폐지되면서 팽주 관할이 되었다가 다시 영강군을 설치하였다. 박마장(博馬塲)이 있었다.[27] 건덕 연간에 촉주 관할에서 변경되었다. 마찬가지로 영강군이 폐지되면서 촉주 관할이 되었으나 다시 영강군 관할이 된 시기는 불명이다.[28] 1072년 광도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170년 복구되었다.[29] 귀평현과 마찬가지로 통폐합되었다가 복구되었다.[30] 원래 영안진(永安鎭)이었으나 1103년 개칭되었다.[31] 석관채(石關砦)가 있었다.[32] 삼반채(三盤砦)와 다장(茶塲)이 있었다. 1119년 안창현(安昌縣)으로 개칭되었다가 다시 복구되었다. 보우(寶祐) 연간 이후 치소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