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혼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혼인성사 문서
혼인성사번 문단을
혼인성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성균관 문묘 배향 아국 18현

[ 펼치기 · 접기 ]
서배향
제1위

문창후(文昌侯)
최치원
홍유후(弘儒侯)
설총
동배향
제1위

제2위
문충공(文忠公)
정몽주
문성공(文成公)
안유
제2위
제3위
문헌공(文憲公)
정여창

문경공(文敬公)
김굉필

제3위
제4위
문원공(文元公)
이언적

문정공(文正公)
조광조

제4위
제5위
문정공(文正公)
김인후
문순공(文純公)
이황

제5위
제6위
문간공(文簡公)
성혼
문성공(文成公)
이이

제6위
제7위
문열공(文烈公)
조헌
문원공(文元公)
김장생
제7위
제8위
문정공(文正公)
송시열

문경공(文敬公)
김집

제8위
제9위
문순공(文純公)
박세채

문정공(文正公)
송준길
제9위
■ 진한 색: (동배향) 조선 5현
■ 진한 색: (서배향) 조선 5현
{{{#c00d45
적색}}}: 조선 종묘 배향공신
※ 순서는 선후배 순으로, 동순위일 경우 동쪽이 서쪽보다 선배이다. ※ 조선 5현: 조선시대에 최초 종사된 5인.









파일:external/ww1.sinaimg.cn/615dbf0egw1dt9h01jqfdj.jpg

성명
성혼(成渾)

호원(浩原)

우계(牛溪), 묵암(默庵)
시호
문간(文簡)
본관
창녕 성씨
출생
1535년(중종 30년) 6월 25일
조선 한성부 순화방
사망
1598년(선조 31년) 6월 6일 (향년 62세)
조선 경기도 파주목 파산서실
부모
부친 - 성수침(成守琛)
모친 - 파평 윤씨 윤사원(尹士元)[1]의 딸
부인
고령 신씨 - 신여량(申汝樑)의 딸
자녀
2남 2녀
장남 - 성문영(成文泳)
차남 - 성문준(成文濬)
장녀 - 남궁명(南宮蓂)의 처
차녀 - 윤황(尹煌)의 처
국적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미디어에서



1. 개요[편집]


조선의 대표적인 문신이다. 자는 호원(浩原), 호는 우계(牛溪) 또는 묵암(默庵),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보통은 우계로 잘 알려져 있다.


2. 생애[편집]


아버지 성수침은 조광조에게 학문을 배웠고, 기묘사화 이후 후학 양성에 전념했다. 성혼은 이런 아버지 밑에서 학문을 배우다가 역시 조광조의 제자백인걸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으며 이 때 이이를 만나게 되어 평생의 친구로 지내게 된다.

친구 이이의 추천으로 벼슬길에 나갔으며 이이의 절친한 친구이자 서인의 대표적인 정치인이었으나 정작 이이와 학문적인 면에서는 서로 다른 면을 보였다. 특히 이이와 1572년부터 6년간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을 논한 왕복 서신에서 이황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지지하였고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비판하였다.

이이가 죽자 낙향했지만 정여립의 난으로 인해 기축옥사가 일어나고 이후 서인이 집권하자 이조판서로 복귀했고 서인의 영수로서 정철과 함께 정계를 이끌었다. 하지만 1590년 곧바로 은퇴했으며 1591년 ≪율곡집(栗谷集)≫을 저술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계에 복귀하였으나 동인 강경파로부터 끊임없이 공격당했다. 1594년 은퇴하고 1598년 병으로 사망한다.


3. 기타[편집]


  • 1602년 기축옥사에 연루되었던 연유로 북인들에 의해 삭탈관직되었다가 1623년 인조반정으로 서인이 집권한 후 1633년 복권되었다. 경신환국 이후 이이와 함께 문묘에 배향되었으나 남인이 집권한 기사환국 때 출향당했고 서인이 재집권한 갑술환국 때 다시 문묘에 배향되었다. 훗날 서인이 노론소론으로 갈라질 때 소론에 속하는 사대부들은 대부분 성혼의 이론을 지지했기 때문에 소론의 시조 격으로 본다. 그럴 것이 그의 사위 윤황윤선거, 윤문거의 아버지이고 소론의 중추인 윤증이 성혼의 진외증손이다. 또한 윤문거의 직계손인 윤석열 현 20대 대통령에게도 조상이 된다.

  •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향양리에 있으며 2011년에는 가까운 거리에 기념관도 생겼는데 인근 도로의 이름도 우계로.


4. 미디어에서[편집]


드라마 징비록에서 등장한다. 배우는 김효원. 동인들에게 쫒겨다니는 신세인 친구 송익필에게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온다.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선조실록에서 등장한다. 이이의 가치를 알아주던 네 사람중[2] 한사람으로 등장한다. 이이와 함께 이황기대승이 8년간 벌였던 사단칠정논변을 얘기하면서 논쟁을 벌이는 것으로 첫 등장한다. 그는 일전에 이이랑 친하게 지냈고 “율곡의 길이 나의 길!”이라 할 정도로 이이를 따랐다. 그러나 1584년(선조 17년) 이이가 과로로 죽고 서인이 실각하면서 정철과 같이 실각하였지만 1589년 정여립 모반 사건이 터지자 정철과 함께 복귀하면서 이조 참의로 임명되는걸로 등장종료.
[1] 성종의 2계비 정현왕후의 조카.[2] 백인걸, 박순, 성혼, 정철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1:15:04에 나무위키 성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