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제곱 법칙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사례
4. 참고 링크



1. 개요[편집]


최다 득표자 한명을 당선시키는 규칙을 가진 양당제 소선거구제 아래에서, 전체 득표율의 비와 실제 의석 수의 비가 세제곱의 관계가 된다는 경험적 법칙. Cube rule. Cube law라고도 불린다.


2. 상세[편집]


이 법칙을 최초로 제안한 사람은 영국 수학자 Parker Smith로, 1909년 영국 총선이 이 법칙이 등장한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Rein Taagepera가 1989년에 발표한 'Seats and Votes'에서도 이 법칙을 증명하기도 했다.

2개의 정당을 A, B라 두고 선거에서 A당이 얻은 의석을 A1, B당이 얻은 의석을 B1이라고 둔다. 또 A당이 얻은 전국 득표율을 A2, B당이 얻은 전국 득표율을 B2라고 두자. 그러면 대체로 (A2/B2)^3=(A1/B1) 의 관계가 성립하게 되는데, 전국 득표율에서는 두 정당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더라도 실제 의석수에는 그보다 더 차이가 많이 나게 된다. 이는 양당제 소선거구제가 민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근거로 제시된다.

물론 이에 대해 각 사람들의 소득이나 인구분포 등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 또한 존재하고, 3의 제곱 보다는 3의 제곱근인 1.732제곱에 더 가깝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세제곱 법칙이 통했던 것은 20세기이며 최근에 와서는 제곱 법칙이 더 맞다는 견해도 있다.


3. 사례[편집]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의 지역구 득표율이 각기 49.9%, 41.5%였다. (49.9/41.5)^3을 하면 1.738의 비율이 나온다. 그러나 획득한 지역구는 각기 163석과 84석으로 둘의 비는 1.94로 차이가 존재한다. 이렇게 0.2 정도 차이가 난 이유는 민주당이 접전지역에서 아슬아슬하게 이긴 곳이 많았기 때문이다.


4. 참고 링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4:27:50에 나무위키 세제곱 법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