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학교/연혁 및 상징

덤프버전 : r






1. 연혁
1.1. 경성인문중등학원
1.2. 서울여자전문학관
1.3.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
1.4. 수도여자사범대학
1.5. 세종대학
1.6. 세종대학교
2. 상징
2.1. 교표
2.2. 엠블럼
2.3. 교화
2.4. 교색
2.5. 표어
2.6. 교가/창립기념가
2.7. FM



1. 연혁[편집]


연혁
경성인문중등학원
서울여자전문학관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
수도여자사범대학
세종대학
세종대학교
1940~1946
1947
1948~1953
1954~1977
1978~1986
1987~현재
-
-
파일: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로고1.png
파일:수도여자사범대학로고1.png
파일:세종대학로고2.png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1.1. 경성인문중등학원[편집]


경성인문중등학원
京城人文中等學園

분류
교육기관
위치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희동[1]
존속 기간
1940년~1946년

건학정신
나는 이 집에 온 젊은이들에게
이 나라를 키우신 위대한 선인들의 거룩하신 뜻
자기의 이익보다 나라의 이익을 먼저하였고
자기의 명예보다 겨레의 명예를 먼저 높인
그 뜻과 공적을 가르치고
아울러 인류문화를 높인 세계만방의 지혜와 영혼을 높여
그들이 찬란한 새 문화를 창조할 역군이 되도록 하며
또한 덕성을 이 집에 옮겨와
이 젊은이들의 이 배움집의 무궁한 발전을 위하여
내 몸을 바치기를 하나님께 맹세합니다.
창립자 대양 주영하(大洋 朱永夏) 박사[2]

1940년 5월 대양 주영하 박사가 애지정신, 기독교정신, 훈민정신 아래 서울특별시 성동구 광희동[3]에 종합학교인 「경성인문중등학원」을 설립하였다. 1947년 5월 3일 주영하, 최옥자 박사가 교육으로부터 소외 받은 여성들에게 참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학교법인 서울여자학원」을 설립하였다.[4]


1.2. 서울여자전문학관[편집]


서울여자전문학관
서울女子專門學館

분류
교육기관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존속 기간
1947년

1947년 5월 15일 서울여자전문학관이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정식으로 인가되었다.[5] 1947년 8월 26일 학교법인 서울여자학원은 경성인문학원을 폐원한 뒤 서울여자전문학관을 개관하고 가정과와 국문과를 개설하였다.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에 위치한 승동교회 교육관이 서울여자전문학관의 임시교사로써 사용되었다.[6]


1.3.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편집]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
서울家政保育師範學校

파일: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로고1.png
분류
교육기관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 2가
존속 기간
1948년~1953년

1948년 8월 26일 서울여자전문학관은 중등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인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는 가정학과와 국어국문학과, 보육학과를 2년제 과정으로, 전수과를 1년제 과정으로 개설하였다. 1948년 9월 초대학장에 주영하 박사가 취임하였다. 1948년 10월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 2가 82번지 소재[7] 제헌국회의원 회관 건물을 신교사로 개축 완료하고 해당 건물에 학교를 이전하였다. 1949년 7월 5일 전수과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50년 5월 19일 가정학과[8]와 국어국문학과, 보육과 제1회 졸업생, 전수과 제2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9]

6.25 전쟁의 발발에 따라 1950년 6월 25일부터 휴교하였다. 1951년 1월 4일, 충무로에 위치한 교사(校舍)가 전란(戰亂) 중 폭격으로 소실되었다. 학교법인 서울여자학원은 학교 재건사무소를 설치하여 교사 재건에 착수하였으며, 경상남도 마산시 두월동[10]에 마산성동병원을 개원하였다. 6.25 전쟁 휴전 이후 1953년 6월부터 충무로 교사가 재건되기 시작하였다.[11]


1.4. 수도여자사범대학[편집]


수도여자사범대학
首都女子師範大學
Soodo Women's Teachers College
[12]
파일:수도여자사범대학로고1.png
분류
2년제 여자 사범대학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 2가
존속 기간
1954년~1960년

1954년 4월 12일 학교법인 서울여자학원은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를 폐교하였으며, 그와 동시에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학기관으로 승격되어 2년제 여자 사범대학인 「수도여자사범대학」[13]의 설립 인가를 받았다. 이는 대한민국 문교부가 교육법에 따라 여성 교육을 담당할 여학교 교사 양성을 추진했던 결과의 일환이다.[14] 이로 인해 수도여자사범대학은 대한민국 최초의 2년제 사범대학으로 개편되었다.[15] 수도여자사범대학은 가정과, 보육과, 국문과, 음악과, 체육과 등 다섯 개의 학과를 개설하였으며, 학과별로 100명의 신입생을 모집하였다.[16]

1954년 8월 충무로 교사 재건 기공식을 거행하였다. 1955년 2월 14일에는 4층 규모의 제1교사가, 4월에는 제2교사가 충무로에 준공되었다. 1955년 2월 14일 주영하 박사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군자동[17] 교지를 구 황실(舊 皇室)로부터 매입하여 수도여자사범대학의 신 교지(新 校地)로 기증하였다.

1956년 2월 수도여자사범대학은 미술과를 설치하였다. 특히 미술과는 여타 대학 교육 기관과 달리 생활미술에 중점을 두었다. 이로 인해 수도여자사범대학은 대한민국 최초의 생활미술 교육 기관이 되었다.[18] 1956년 3월 17일 수도여자사범대학은 첫 졸업생을 배출하였다.[19]


수도여자사범대학
首都女子師範大學
Soodo Women's University

파일:수도여자사범대학로고1.png
분류
4년제 여자 사범대학
위치
서울특별시 성동구 군자동[20]
존속 기간
1961년~1977년

1961년 11월 18일 수도여자사범대학은 대한민국 문교부의 전국 사립대학에 대한 정비의 최종단안 발표에 따라 4년제 대학으로 승격 개편 인가를 받았다. 또한 수도여자사범대학의 기존 영문명인 'Soodo Women's Teachers College'를 'Soodo Women's University'로 변경하였다.[21] 1961년 11월 22일 대한민국 문교부의 사립대학 학과별 학생정원 조정 정책에 따라 수도여자사범대학은 주간 가정과, 음악과, 체육과, 미술과를 유지하고 야간 가정과, 국문과, 영문과를 폐지하였다.[22] 1961년 10월 제2대 학장에 최옥자 박사가 취임하였다. 1962년 12월 18일 대학의 모든 기구를 서울특별시 성동구 군자동[23] 캠퍼스로 이전 완료하였다. 1963년 11월 1일 제3대 학장 주영하 박사가 취임하였다. 1965년 2월 24일 4년제 대학으로의 승격 개편 후 첫 졸업생(27명) 학위수여식을 거행하였다. 1966년 2월 25일 대학원(석사과정) 설립을 인가받았다. 1968년 2월 관광개발과와 대한민국 최초의 호텔경영과를 신설했다. 1972년 5월 17일 본 대학 재단의 명칭을 학교법인 서울여자학원에서 「학교법인 대양학원」으로 변경하였다. 1973년 9월 1일 제4대 학장에 최옥자 박사가 취임하였다. 1974년 11월 제5대 학장에 주영하 박사가 취임하였다. 1975년 11월 창립 30주년 기념행사를 거행하였다.[24]


1.5. 세종대학[편집]


세종대학
世宗大學
Sejong College

파일:세종대학로고2.png
분류
4년제 대학
위치
서울특별시 성동구 군자동[25]
존속 기간
1978년~1986년

1978년 10월 7일 수도여자사범대학은 여자대학에서 남녀공학으로 개편되었으며, 그와 동시에 「세종대학」으로 개명되었다.[26] 한글을 창제한 '세종'으로 개명된 이유는 세종대학교 설립자인 주영하 박사가 국어순화추진회 회장을 맡아 한글선양운동을 펼치는 등 한글에 대해 지대한 관심과 애정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27] 같은 날 2부대학(경영학과, 회계학과, 무역학과, 영문학과)이 개설되었다. 1978년 12월 12일 경영대학원을 설치하였다. 1979년 3월 세종대학은 첫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1980년 8월 주영하 박사가 재단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28]


1.6. 세종대학교[편집]


세종대학교
世宗大學校
Sejong University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분류
4년제 종합대학
위치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
존속 기간
1987년~현재

1987년 8월 8일 세종대학은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이에 따라 「세종대학교」로 개명되었다. 세종대학교는 종합대학교 승격 이후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정을 대폭적으로 신설, 증원하였다. 학부 과정은 1987년 행정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전산과학과, 정보처리학과, 응용통계학과, 1995년 영상만화과, 1996년 전자공학, 건축공학, 토목공학, 컴퓨터공학과, 1997년 신문방송학과, 기계항공우주공학부, 영화예술학과, 1998년 생명공학과, 1999년 신소재공학과, 2009년 에너지자원공학과, 2012년 바이오자원공학전공, 정보보호학과, 자유전공학부, 국방시스템공학과, 2013년 항공시스템공학과, 원자력공학과, 2014년 호텔외식관광프랜차이즈경영학과를 신설했다. 2017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사업의 일환으로서 컴퓨터공학과, 소프트웨어학과, 정보보호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지능기전공학부, 창의소프트학부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을 신설했다.[29]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정의 신설, 증원 뿐만 아니라 26개국 133개 대학 및 기관과 국제학술교류협정 체결, 16개국 88개 대학 및 기관과 자매결연을 체결하여 다양한 학술교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국제교류를 확대하고 있다. 1997년 미국 항공기 제작사인 록히드 마틴과 기술협력사업 양해각서 체결, 1999년 세종대학교 도서관 대한민국 최초로 세계무역기구(WTO) 전문도서관 지정, 2003년 2월 25일 세종대학교 호텔관광대학과 미국 코넬대학교 간에 상호교류협정 체결, 2012년 2월 9일 일본 요코하마국립대학과 MOU 및 MOA 체결이 국제교류 확대의 대표적인 예이다.[30]

2015년 세종대학교는 창립 75주년을 맞아 75주년 기념 엠블럼과 신규 엠블럼을 발표했다. 현재 세종대학교는 창립 83년이 되었으며, 수도여자사범대학에서 세종대학, 세종대학교로 전환된 지 45년이 되었다.


2. 상징[편집]



2.1. 교표[편집]


교표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의 교표는 세종 16년(1434) 이후 제작, 사용된 해시계 앙부일구(仰釜日晷)의 영침[31]과 승리를 상징하는 월계수를 단순화하여 만들어졌다. 이 교표에는 자기를 헌신하는 이타적인 사랑(AGAPE)으로 덕성과 창의(CREATIVITAS), 봉사(SERVITIUM)를 실천하는 인재를 키워낸다는 학훈의 의미가 담겨 있다.


2.2. 엠블럼[편집]


엠블럼
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
파일:sjuemblem75.png
신규 엠블럼
파일:sjuemblem1.png

세종대학교는 2015년 개교 75주년을 맞아 신규 엠블럼과 75주년 기념 엠블럼을 제작해 발표했다. 신규 엠블럼은 2015년 5월 8일 세종호텔에서 열린 75주년 기념행사에서 정식으로 선포되었으며, 이날 행사에 앞서 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이 담긴 플래카드도 세종대 캠퍼스 곳곳에 설치돼 눈길을 끌었다.[32]

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은 기존 세종대학교 교표의 형태와 요소의 특징을 계승하여 학교의 근원을 표현하고 있다. 엠블럼 원형 내부 중심으로 교표의 영문 로고타입을 계승하였으며 Sejong Crimson Red[33]Metalic Gold[34]로 월계수를 표현했다. 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의 가장자리 색은 Sejong Beige[35]를 적용했다.[36] 신규 엠블럼은 아가페와 설립연도, 월계수 등 기존 교표를 충실히 반영했으며, 기존의 영문로고 타입을 Times New Roman Bold체로 변경하였다. 색상 기준은 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과 동일하다.[37]


2.3. 교화[편집]


교화
파일:sjuflower3.jpg

세종대학교의 교화(校花)는 에델바이스(Edelweiss)이다. 에델바이스는 유럽, 아시아, 남아메리카의 산악지대에서 자라는 국화과 다년초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산솜다리 또는 솜다리로 불린다. 꽃말은 소중한 추억, 고귀한 사람, 인내, 기품, 용기이다. 세종대학교에는 교화에서 이름을 따온 에델바이스 장학금이 있다.


2.4. 교색[편집]


교색
크림슨
SEJONG CRIMSON RED

세종대학교의 교색(校色)은 활기와 정열을 상징하는 크림슨[38]이다. 크림슨을 교색으로서 사용하는 대학교는 세종대학교 외에도 고려대학교, 광운대학교, 경희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등이 있다.[39]


2.5. 표어[편집]


표어
파일:sjuking1.png

2016년 현재 '창조하라 세종처럼'이 세종대학교의 표어이다. 2015년에는 '창의하라 세종처럼', 2015년 이전에는 '넓은 세계로 나를 이끄는 세종대학교'가 표어였다.


2.6. 교가/창립기념가[편집]


교가[40]
창립기념가
파일:sjugyoga.gif
파일:sjuchangrib.gif


2.7. FM[편집]


학교 FM
해방세종
解放世宗

세종대학교의 FM은 해방세종이다. 이 FM은 1987년 세종대학교 학원자주화투쟁이 벌어질 때 학원(學園) 민주화를 염원하는 세종대학교 구성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FM에 '해방'이 들어가는 대학교는 세종대학교 외에도 광운대학교, 상명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림대학교 등이 있다.


학과·학부별 FM
단과대학·독립학부
학과·학부
FM
인문과학대학
역사학과
혁신인문 진리사학
인문과학대학
영어영문학과
혁신인문 민주영문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혁신인문 민족국문
사회과학대학
경제통상학과
전진사회대 경제통상학과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과
전진사회대 창조신방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전진사회대 통일행정
경영대학
경영학부
자주경영
호텔관광대학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최고단결 호텔관광대학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통일기수 자연과학대 화학과
생명과학대학
생명시스템학부
불꽃생명
생명과학대학
바이오자원공학과
불꽃생명 불패바이오
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과
불꽃생명 무적생공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불꽃생명 강철식공
생명과학대학
분자생물학과
불꽃생명 한몸분생
전자정보공과대학
정보통신공학과
무한정통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컴퓨터공학과
미래창조 컴퓨터공학과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통일기수 공간창조 건축공학과
공과대학
기계항공우주공학부
불사기항
공과대학
나노신소재공학과
첨단 나노신소재공학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2 15:04:48에 나무위키 세종대학교/연혁 및 상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서울특별시 중구 광희동[2] 세종대학교 창립자 대양 주영하(大洋 朱永夏) 박사는 대양학원 이사장과 명예이사장, 대양학원장 등을 지내며 세종대를 운영했다. 한국대학생선교회(C.C.C.)와 도덕재무장운동(M.R.A.)에 참여하고 세종선교회를 세우는 등 기독교 사회선교활동에 열의를 보였다. 이 밖에도 브나로드 운동 등 농촌계몽운동에 한때 투신한 적이 있으며, 국어순화추진회 회장을 맡아 한글선양운동을 펼치는 등 다양한 사회활동에 참여했다. 세종호텔 건립, 국내 최초의 호텔경영학과 신설 등 호텔 관광산업 발전에도 기여했다. 평생 교육과 사회운동에 열정을 기울인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국민훈장 동백장과 독일문화훈장, 대한민국 건국50주년 기념최고훈장 무궁화장 등을 받았다.[3]서울특별시 중구 광희동[4]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세종요람[5] 동아일보 - 女子專門學館 ◇二十日頃開學◇[6] 동아일보 - 설립자 族閥 운영 40여년,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세종요람[7] 現 세종호텔 위치[8] 소설 <김약국의 딸들>, <토지(土地)>를 집필한 박경리 작가가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 가정과 제1회 졸업생이다.[9]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세종요람[10] 現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두월동[11]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세종요람[12] 파일:수도여자사범대학일람1.jpg
수도여자사범대학이 1964년 발행한 수도여자사범대학 일람의 표지를 보면 수도여자사범대학의 영문명이 Soodo Women's Teachers College였음을 알 수 있다.
[13] 약칭: 수도사대(首都師大)[14] 경향신문 - 서울家政保育學校 「女子師大」로昇格[15] 동아일보 - 首都女子師範大學發足[16] 1951년 1월 4일의 전란으로 인해 충무로 교사가 소실되어 수도여자사범대학의 신입생 모집을 1954년 5월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소재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에서 실시하였다.[17]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18] 동아일보 - 首都女子大에 美術學科新設[19]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세종요람[20]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21] 경향신문 - 私大整備에最終斷案[22] 동아일보 - 在籍者의 約半으로 줄어[23]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24]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세종요람[25]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26] 경향신문 - 敎育 보편화에 한 걸음 - 大學 進學律 18%서 22%로 大學정원 대폭증원[27] 개명으로부터 35년 지난 2012년에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와는 무관하다.[28]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세종요람[29]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세종요람[30]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세종요람[31] 파일:세종대학교영침1.png
영침(影針)은 그림자를 지게 하는 철침(鐵針)이다.
[32] 세종대학교 홍보실 - 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 선보여[33] Pantone 200C. 헥스코드: #C30E2E[34] Pantone 871C. 헥스코드: #84754E[35] Pantone 7502C. 헥스코드: #CEB888[36] 세종대학교 홍보실 - 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 선보여[37] 세종대학교 홍보실 - 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 선보여[38] 영문명 SEJONG CRIMSON RED, 헥스코드 #C30E2E[39]세종대학교 크림슨고려대학교 크림슨보다 더 밝은 색상이다.[40] 세종대학교의 설립자인 주영하 박사가 작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