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림곤법천종

덤프버전 :

1. 개요
2. 역사


1. 개요[편집]


少林棍法闡宗

소림사에서 전해지는 곤법으로 소림 심의파, 소림72예와 더불어 소림사 본연의 것이라고 불리는 무술이다.


2. 역사[편집]


명나라 만력 44년(1616) 정충두(程沖斗)[1]가 정리한 책 <소림곤법천종>에 따르면 당시 소림곤법은 다음과 같은 형과 법으로 되어 있었다.

소야차(小夜叉) 6로, 대야차(大夜叉) 6로, 음수(陰手) 6로, 배곤(排棍) 3로 무정세, 천사(穿梭) 1로 무정세

모원의는 무비지(武備志)에서 곤법 가운데서도 소림 곤법이 으뜸이라고 밝혔는데, 이 소림곤법은 또 소림사에서 발생했다고는 보지 않는다.

그에 대해서 곤법의 달인이며 왜구를 상대로 혁혁한 무공을 세운 바 있는 무장이기도 했던 유대유(兪大猷, 1503-79)는 저서 <정기당집(正氣堂集)>에서 자신이 본 소림의 곤법은 이미 옛 사람의 진수를 모두 잃은지라 그것에 대해서 일일이 지적해주고 자신이 가르쳤다고 하고 있다.

소림사에서는 가르침을 받기 위해 젊고 힘이 좋은 종경과 보종이라는 두 승려를 추천했고 유대유는 이들을 약 3년간 가르쳤다. 그리고 종경과 보종은 소림으로 돌아가 곤법을 가르치는데 힘썼는데 13년 후 종경이 돌아와 그 가르침을 잘 전하고 있다며 보고했다.

물론 그렇다고 소림사도 공휴일은 아니라서 소림의 곤법이 유대유의 기술과 아주 같진 않았다는 말도 있다. 소림곤법천종을 저술한 정충두는 자신의 곤법을 당시 소림에서도 곤법으로 이름이 높던 홍전에게서 배웠다고 하는데, 홍전(洪轉)이 저술한 책이 <몽록당창법(夢綠堂槍法)>이다. 뜬금없는 웬 창법이냐고 하겠지만 수비록을 참고하면 당시 소림에서는 곤법을 창법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는 또 유대유가 전한 것과는 상당히 다르다는 말.

어쨌든 유대유에게 배운 뒤로는 꾸준히 소림사의 곤법은 계승되니 소림사 본연의 곤법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2:20:20에 나무위키 소림곤법천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생몰년 1561-?. 현재의 안휘성 휴녕현(休宁县) 출신. 자가 종유(宗猷) 또는 백가(伯嘉)라 하므로 '정종유'라고도 쓰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