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

최근 편집일시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소주(동음이의어) 문서
소주(동음이의어)번 문단을
소주(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의 술

[ 펼치기 · 접기 ]




파일:증류식1.jpg
파일:소주 사진.png
각종 유명 증류식 소주
희석식 소주의 대표주자인 참이슬
1. 개요
2. 특징
3. 종류
4. 한자 표기
4.1. 북한의 소주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소주()는 한국의 술이자 증류주의 한 종류다.


2. 특징[편집]


과거에는 소주라고 하면 당연히 '진짜 소주'인 증류식 소주를 의미했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증류식 소주를 흉내내서 만든 술인 녹색병으로 대표되는 희석식 소주가 대중적으로 자리 잡아버렸고 오히려 오리지널 소주를 전통 소주, 증류식 소주 등으로 부른다. 방언으로는 쇠주, 쐬주, 쏘주 등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희석식 소주의 경우 알코올 용량 대비 한국에서 가장 저렴한 술 중 하나다.[1]

한국 대중문화에 심심찮게 등장하다 보니 대표적인 한류 음식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러나 희석식 소주는 품질 때문에 좋은 평가는 받지 못한다. 대략 싸게 취할 수 있는 술이라는 이미지.[2]

중국 백주와 일본 쇼츄와 형제격인 술이며 중국 백주는 당나라 시절에는 소주라고 불렸고 현대에도 소주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3]

그렇잖아도 비싼 청주를 증류하여 만들기에 다른 증류주와 마찬가지로 소주 역시 전근대에는 귀한 고급 술이었다. 현대에도 전통주 중 소주 및 약소주류가 가장 비싼 편이다. 그럼에도 높은 명성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술로 간주된다. 다른 고급 증류주들과 마찬가지로 전통적으로 소주는 양반이나 부자들이나 마실 수 있던 호화주류였으며 희석식 소주의 위상과는 정반대였다. 가양주 형태로도 많은 소주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3. 종류[편집]


곡물을 발효해 만든 청주밑술로 삼아[4] 소줏고리라고 부르는 단식증류기로 증류해 만들어진 소주인 증류식 소주, 증류탑을 이용해 대량의 95도 가량의 주정을 생산하여 이를 물로 희석하고 기타 첨가물을 추가해서 만드는 희석식 소주 두 가지로 나뉜다.


4. 한자 표기[편집]


소주의 정확한 한자 표기는 이다. 뜻은 말 그대로 '불사른 술'로, 즉 증류주라는 뜻이다. 또한 브랜디와 어원이 유사하다. 브랜디 역시 네덜란드어로 '불태운 와인'이라는 뜻인 브란데베인(Brandewijn)에서 앞쪽 발음만 살아남아 브랜디가 된 것이다. 처음 개발되었을 때는 프랑스어로 뱅 브륄르(Vin Brule)라고 불렸는데, 이 역시 브란데베인과 뜻이 같다.[5]

안동소주 등의 병에 燒라고 한자 표기가 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서 소주는 '주'를 특이하게 적는 것으로 혼동하기 쉬우나, 그냥 酒로 적은 燒酒가 정확한 한자 표기이다.국어사전 燒酒.한국고전종합DB 燒酒.

焼酎(しょうちゅう(쇼츄)는 소주와 유사한 일본 증류주를 말하며, 한국의 소주를 지칭하는 焼酒(しょうしゅ(쇼슈)와는 발음도 다르다. 일본의 焼酎도 한국의 燒酒와 연원이 동일하고 제조법도 거의 같지만, '전국술(군물을 타지 않은 진국의 술)', '3번 빚은 술'이라는 뜻의 酎를 사용해 진한 술임을 강조하면서 다른 명칭을 갖게 된 것이다. 즉 원래는 동아시아 3국의 곡물 증류주 모두 燒酒라는 이름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한국의 것만 원래의 이름으로 남은 것이다.

한국 전통 문헌에 燒酎라고 쓴 용례는 1건[6]에 불과하다. 한국고전종합DB 燒酎.[7] 그러다가 일제강점기부터 일본의 영향으로 燒酎라는 표기가 섞여 들어와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다.허시명의 우리술 이야기. 시판되는 안동소주의 겉포장과 술병에도 安東燒酎라는 일본식 표기가 쓰이고 있다. 안동소주는 전통주이고 제조자들도 이를 강조하는데 정작 표기는 일본식으로 해서 판매하고 있다.


4.1. 북한의 소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소주/북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기타[편집]


  •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넥서스 S의 코드네임으로도 사용되었다.[8]




  • 소주 광고 모델은 당대 최고 여자 스타들이 많이한다. 그래서 '소주 광고 모델이 되었다. = 인기 스타가 되었다.'라는 공식이 성립되기 때문에 여자 연예인의 팬들은 소주 광고를 기다린다고 한다.

  • 도수가 높은 증류주를 마실 때 흔히 그렇듯이, 소주를 마실 때에도 반사적으로 '크으!', '캬아!' 하는 감탄사를 내뱉는 경우가 많다. 목으로 넘길때 특유의 화끈한 느낌 때문이라고 하며 즐겁게 마시는 술자리에서는 흥을 돋우기 위해 일부러 큰 소리를 내며 마시는 경우도 있지만, 정중한 예의가 요구 되는 장례식장등의 자리에서는 피해야 한다.

  • 소주엔 유통기한이 표기되어 있지 않은데, 유통기한이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높은 알코올 도수 때문에 균이 번식할 수가 없다. 직사광선만 피해서 서늘한 곳에 보관해두면 연 단위로 보관해도 문제 없이 마실 수 있다. 다만, 이미 개봉했다면 오염에 취약해지는 것은 사실이기에 빠른 시일 안에 마시는 것이 좋으며, 또한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도수 35도 이상인 소주는 변질에 대해 좀 더 안전하며 이론상 영구보존이 가능하다.[9]


  • 대중매체에서 위스키와 더불어 맥주와인과 달리 안좋게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10] 알콜중독자들이 자주 마시는 술로 묘사되며 만화나 애니 등지에서 등장인물이 암울한 상황에 놓여있거나 정신이 피폐해졌을때 깡소주를 하거나 주변에 소주병이 놓여있는건 거의 클리셰급이다. 북미권 매체에서는 위스키가, 일본 매체에서는 사케가, 유럽권 매체에서는 보드카가 그 역할을 하는 듯하다.

6. 관련 문서[편집]


[1] 이과두주 및 저가형 보드카 일부가 희석식 소주의 알성비(?)에 견줄 만하다. 전자는 56도 125 ml에 1천 5백원 이하, 후자는 40도 700 ml에 5천원 이하이다. 코스트코 회원권이 있다면 커클랜드 아메리칸 보드카가 40도 1.75 L에 1만 2천원 이하이니 진정한 알성비 최강자를 맛볼 수 있다. 셋 모두 어디서나 파는 희석식 소주와 비교하여 접근성에 한계가 있기는 하다.[2] 희석식 소주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한류를 대표하는 유명 한국 요리들과 함께 대접할 만한 술이 아니다. 진짜 제대로 대접할 목적이라면 증류식 소주 및 여러가지 고급 전통주들이 적당하다. 어느 정도 한국 생활에 적응하고 한국식 회식 문화에 친숙한 외국인들에게 희석식 소주가 적당하다.[3] 한자도 동일[4] 탁주를 밑술로 삼아 만든 소주도 있으나, 청주를 이용해 만드는 것이 정석이며 탁주를 이용해 만든 소주는 청주를 이용해 만든 소주에 비해 하급품으로 취급받았다.[5] 세계의 증류주들을 보면 상당수의 이름의 유래가 소주/브랜디처럼 '불태운 xx'이거나 위스키/보드카처럼 '생명의 물'인 경우가 많다.[6] 2023년 3월 기준.[7] 개항기에 저술된 여재촬요라는 지리서에서 스페인의 술을 언급하면서 燒酎라고 표기한 적이 있을 뿐이고, 燒酒가 전래된 원 간섭기 고려시대부터 개항 이전 조선시대까지는 燒酎라고 쓴 용례는 발견되지 않았다.[8] 후속 제품인 갤럭시 넥서스의 코드네임은 약주, 빌드 코드네임은 탁주이다.[9] 이와 반대로 양조주에 속하는 과실주맥주, 탁주 등의 곡주는 유통기한이 존재하므로 유통기한을 꼭 확인하고 음용해야 한다. 특히 탁주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술인데다 미생물들이 배출하는 가스에 의한 팽창을 방지하기 위해 병뚜껑에 미세한 틈을 열어둔 채로 유통되므로 3주를 못 간다. 탁주를 세워둔 채로 보관하라고 꼭 명시해 놓는 것도, 병뚜껑에 틈이 있어서 새어나오기 때문이다. 맥주도 도수가 낮은 탓에 일반적으로 품질유지기한이 1년 정도로 짧은 편이고 변질에도 취약하다.[10] 특히 희석식 소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소주 문서의 r7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소주 문서의 r7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4:26:28에 나무위키 소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