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태역

덤프버전 :

소태역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Sotae
한자
所台
간체자
가나
所台(ソテ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남문로 지하587 (소태동)
운영 기관
1호선
광주교통공사
개업일
1호선
2004년 4월 28일
역사 구조
지하 3층구조, 지하 2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유실물센터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 ☎️ 062-604-8554
노선거리표
용산차량사업소
← 1.7 ㎞
① 용산차량기지
인입선

시종점

所台驛 / Sotae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2.1.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
4. 화순군 연장?
5. 일평균 이용객
6. 연계 교통
6.1. 소태역(1095-1번출구/1096-4번출구)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01번. 광주광역시 동구 남문로 지하587 (소태동)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소태역 1호선.jpg
대합실
실질적인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시종착역으로, 약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는 녹동행 열차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1]

출구는 녹동역 방면, 평동역 방면 양쪽 승강장에 다 있으며, 반대쪽 승강장으로는 승강장 하부 통로를 이용해 건너가게 되어 있다. 앞 역이 지상역인 녹동역이라 소태역은 깊이가 깊지 않다.

연결통로 아래층에는 지하철에 전력을 공급하는 변전소가 존재한다.

파일:dow3nload.jpg

1번 출구는 지상역 형태로 건설되어 있는데, 이 때문에 소태역에 코레일 무궁화호가 서는 것으로 오해하는 일도 있다. 소태역은 전철역이다. 후설에 의하면 1997년 외환 위기 이전까지는 무궁화호 계획이 있었으나 날아갔다는 이야기가 있다.

1호선 1구간 건설지에 따르면 이 역은 수직적 확장을 고려해서 설계했다고 한다. 현재 지하 1층에는 대합실이 있고 지하 2층에는 승강장이 있어서 수직으로 확장한다는건 더 깊어진다는 얘기인데, 한 때 철갤 등지에서 찌라시 처럼 돌던 1호선 금남로 구간 입체 복복선 계획설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될 수 있다.

여담으로 소태역 승강장에는 광주송정역 코레일 시간표가 위치해 있다.

차내 안내 방송에선 자체개발한 소태역 인근 등산로를 추천한다.

영화 비정규직 특수요원 촬영지로 알려졌다.

파일:AANpd2b.jpg
역 1층에 방범형 무인택배함이 설치되었다.
방범형 무인택배함은 ‘동구 부엉이’ 사업의 일환으로 설치되었으며, 365일 운영되는 지하철의 장점을 활용해 주민들이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비대면으로 택배를 수령할 수 있는 서비스다. 2021년 8월 17일부터 운영에 들어갔으며, 택배 이용 시 물품 수령처를 ‘소태역 1층 무인택배보관함’으로 지정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링크 참조.

경전선 보성 - 광주송정 간 개량으로 여객철도가 화순군을 지나가지 않게 되자 1호선과 직결되는 광주-화순 광역철도를 소태-화순전남대병원 간에 부설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2.1. 승강장[편집]



파일:external/search.pstatic.net/?src=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2765_000_3%2F20170330093027767_HKVY1F3YP.jpg%2F8290365.png

소태역 승강장


파일:attachment/소태역/sotae.png

역안내도

녹동




학동·증심사입구



3. 역 주변 정보[편집]


파일:external/tv01.search.naver.net/IMG_3445.jpg

2011년 들어서 화순군, 보성군, 장흥군, 고흥군 쪽으로 갈 수 있는 소태역시외버스정류소가 설치되었다. 기존의 학동 정류장이 지하철역과 연계가 약하고 환승하기 불편하여 지하철과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되었다. 학동 정류장은 아직도 성업 중. 다만 2020년 이후로 남광주역 근처 아이파크 정류장으로 옮겼다. 근래에 추가된 정류장이라서, 개설된 지 한참 지나고서도 소태역 앞에 정차했을 때 학동인 줄 알고 내리려는 사람이 있었으나, 지금은 이용객들이 많이 적응한 듯하다. 버스에 나오는 안내방송을 잘 듣고 하차하도록 하자.

열차에서 내리면 승강장에 시외버스 정류장 안내가 되어 있지 않아 어느 방향 계단으로 나가야 할지 헤맬 수 있다. 열차에서 내려 열차 진행 방향 (녹동 방향) 승강장 맨 앞으로 가면 1번 출구(지상 건물)로 나가는 에스컬레이터가 있다. 이 에스컬레이터를 타면 1층 대합실이 나오는데, 여기에 시외버스 매표소가 있다. 여기에서 표를 구매하면 되며, 출구 바로 앞에 있는 시외버스 정류장에서 원하는 목적지로 가는 버스를 타면 된다. 광주의 시외버스 정류장 중 가장 크며, 대합실에 TV와 화장실, 와이파이, 의자 등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으나 냉난방기가 없어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춥다. 또한 주변에 식음료 자판기나 편의점이 없어 다소 불편할 수 있다. 평동 방면 승강장에 음료수 자판기가 있으나 이미 대합실로 왔다면 승차요금을 다시 지불한 후 들어가야 하므로 개찰구를 빠져나오기 전 평동 방면 승강장으로 횡단 후 자판기를 이용하거나 지하철 탑승 전 미리 준비해야 하는 다소 번거로움이 있다. 가장 가까운 편의점은 무등중학교 인근에 GS25가 있으며, 3번 출구에서 약 7분 거리에 있다.

화순으로 가는 버스는 시외버스 외에도 군내버스도 자주 운행하며, 광주광역시 시내버스화순군으로 운행하는 버스가 자주 있다. 따라서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시내버스나 군내버스를 이용하는 게 더 빠르며, 특히 지하철을 이용했다면 (광역)환승할인도 적용되므로 더 저렴하다. 참고로 지하철에서 환승 시 화순군내버스보다 광주 시내버스가 더 저렴하다. 광주 시내버스로 환승 시 시외할증 요금만 부과되지만, 군내버스는 광역환승 630원+시외할증이 붙는다. 물론 광주 시내버스는 화순읍내 구간만 운행하는 노선이 거의 대부분이므로 그 외 구간은 군내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화순읍내가 목적지라면 군내버스가 아닌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게 저렴하다.

반면 일부 시외버스는 화순터미널을 경유하지 않으며, 배차 간격도 다소 긴 편이나 시외버스는 화순터미널까지 직행으로 가므로 시내버스보다 약 10분 정도 더 빠르다. 시간표가 맞다면 이용해도 좋으나 시외버스는 환승할인이 안 되고, 시내버스와도 시간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화순 가는 사람은 거의 대부분 시내버스를 탄다.

녹동역의 경우 역과 버스 승강장이 도보로 10분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어 녹동행 열차를 탔더라도 이 역에서 내려 버스로 환승하는 것이 여러모로 편리하다. 광주 도시철도와 화순군 농어촌버스는 광역환승이 가능하며, 하차 후 30분 이내 일반은 630원, 청소년 500원, 어린이는 250원으로 환승할 수 있다. 광역환승 기본요금으로 시계외 요금은 별도로 부과. 자세한 사항은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역환승 항목 참조. 한페이, 티머니, 캐시비, 원패스, 레일플러스, 후불교통카드만 가능하며, 하나로카드센스패스 등의 교통카드로는 광역환승이 불가능하다. 마이비카드는 2022년 6월부터 광주, 전남 일부 지역에서 이용이 불가능하다.

2019년부터 봉선2동의 과포화로 용산동 개발이 완료되어 이곳도 역세권에 들어왔다. 이전에는 광주남초등학교, 무등중학교, 설월여자고등학교, 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 학생들만이 주로 이용했다. 용산동 개발 이후에는 규모가 작았던 용산초등학교가 확장되고, 용산지구 계룡리슈빌과 용산지구 모아엘가 에듀파크, 용산지구 대성베르힐 등이 새로 생기면서 이용객의 양과 범위가 늘었을 것으로 보인다.


4. 화순군 연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비고
2004년
~
2015년
자료없음

2016년
3,545명

2017년
3,544명

2018년
3,595명

2019년
3,560명

2020년
2,658명

2021년
2,925명

2022년
3,416명

출처
국토교통부 철도통계
[1] 이와 비슷한 사례로 서울 7호선 도봉산역, 6호선 봉화산역이 있다. 하지만 6호선 봉화산행보단 7호선 도봉산역이 더 비슷하다고 볼수있다.

  • 지원1,2동 일대를 역세권으로 삼는다.
  • 2018년 1월 이후 입주하기 시작한 무등산골드클래스 아파트가 이용객 수를 끌어올리는 데 일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 배차 간격이 극히 저조한 녹동역을 제외하면 2015년부터 입주를 시작한 월남지구에서 제일 가까운 역이다. 그러나 가까운 녹동역이 미미하게 이용객 수가 늘었을 뿐, 이 역의 승하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월남지구에서 외면받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 2019년부터 용산동 개발이 완료되어 이곳도 역세권에 들어왔다. 용산생활체육공원에서 10분 거리.


6. 연계 교통[편집]



6.1. 소태역(1095-1번출구/1096-4번출구)[편집]


간선버스
지원15, 지원25, 지원45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지선버스
지원52, 봉선76, 228, 지원152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지원52
내남 - 전남대학교병원 - 롯데백화점 광주점 - 그린파크
봉선76
무등산국립공원(증심사) - 소태역 - 송화마을 - 효천지구
228
운암산코오롱하늘채 - 문화전당역 - 소태역 - 화순전남대병원/화순사평[1]
지원152
전대치과병원 - 전남대학교병원 - 화순터미널 - 도웅리1구/능주역[2]

화순버스
200번대
[ 경유지 펼치기 · 접기 ]
500
화순교통 - 광천터미널 - 신우아파트 - 화순

[각주]

7.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4:48:40에 나무위키 소태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