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풍왔니
덤프버전 : r20230302
1. 개요[편집]
트위치 인기 게임 위주의 종합 게임 방송을 하고 있는 트위치 스트리머이다.
2. 역사[편집]
- 아프리카TV에서 방송하였으나 2017년 6월 9일 트위치로 플랫폼을 이적하였다.
- 2019년 여름 양띵크루의 주도하에 열린 마인크래프트 스트리머 서버인 잼잼마을에 이초홍에 의해 초대받았다. 접속 초반 양띵이 본인에게 고개를 위아래로 인사하는 것을 보고 이초홍에게 어떻게 하는지 물어보고 알려주자 과도하다고 생각될 정도로 끄덕거렸다. 이후 서버 운영기간동안 내내 다른 스트리머에 비해 자주 자연사하거나 몬스터에게 죽고, 엉뚱한 행동을 하는 등 일명 '끄덕좌'로 엄청난 존재감을 뽐내며 잼잼마을의 웃음벨이 되었다.
- 2020년 11월 팬카페를 개설했다.#
- 2021년 2월 이후 유튜브 업로드를 중단하고 생방송 컨텐츠에 집중하고 있다.
- 2021년 7월 유튜브 영상이 전부 비공개로 전환되었다.
- 2022년 4월 7일 유튜브 영상 중 잼잼마을 영상들만 공개 전환되었다.
- 2022년 7월 23일 롤방송 역사상 처음으로 플레티넘을 달성했다!!
- 2022년 11월 27일 포켓몬스터 스트리머 대회를 개최하였다.
- 2022년 12월 15일 블리자드 2022 동계 트라이애슬론 대회를 '완전MZ~'팀으로 우승하였다.
3. 출연 프로그램[편집]
- 2015
- 나이스게임TV- 롤바타, 집으로, LOL 랜덤박스
- 아프리카TV BJ 멸망전 LOL, 올스타전
- 2016
- 아프리카TV 오버워치 런칭특집 '특명 유소나를 키워라!'
- 넥슨 모바일게임 히트(HIT-Heroes of Incredible Tales) 공식방송
- LoL 월드 챔피언십 롤드컵 결승전 단체관람 파티 부산지역 행사 진행관련기사
- 2017
- 나이스게임티비 돌아온 롤바타 2회 게스트 출연
- 7월 12일 트위치 스트리밍쇼 Live 게임부문 진행
- 7월 27일 트위치쇼 트수포차 2회 게스트(소풍왔니,초승달) 출연
- 7월 29일 나이스게임TV 소풍이의 보충수업 (2017 레이디스 특별연습 방송)
- 8월 6일 나이스게임TV 2017 레이디스 배틀 SUMMER 예선 승자조 경기
- 8월 20일 나이스게임TV 2017 레이디스 배틀 SUMMER 본선 8강 아카츠키 VS 닭갈비팀 경기
- 8월 27일 나이스게임TV 2017 레이디스 배틀 SUMMER 본선 4강 아카츠키 VS 안무서운팀 준결승전
- 9월 3일 나이스게임TV 2017 레이디스 배틀 SUMMER 본선 FINAL 아카츠키 VS 여벤져스 3,4위전
4.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4.1. 2017 롤드컵 발언 관련[편집]
과거 SKT T1 그 중에서도 페이커 팬이었던 소풍왔니는 2017년 롤드컵에서 삼성 갤럭시가 SKT T1을 꺾고 우승하자 울면서 중국팀이 우승한 것 같다는 발언을 했다. 이후 현 젠지 팬들은 소풍왔니를 이름도 언급하기 싫어하며 이를 간다.[1]
이 점 때문에 T1 팬덤 내에서도 싫어하는 사람이 존재하는데, 소풍왔니의 해당 발언이 악성 T1 팬의 상징적인 발언이 되면서 T1 팬덤 전체가 해당 발언으로 같이 조롱받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
4.2. 서렌더 및 재넌 공개저격사건[편집]
2020년 7월 28일, 스트리머이자 하스스톤 프로게이머인 서렌더와 유튜버이자 스트리머인 재넌이 개인 방송에서 본인을 비하하는 채팅과 영상 후원이 노출되어도 제재를 가하지 않는다며 불만을 표출하였다. 하지만 서렌더와 재넌은 해당 영상과 채팅들이 소풍왔니를 비하하는 표현임을 확실하게 알지 못했었다.
이에 대해 디스코드로 따효니와 서새봄에게 지적을 받았다.[2] 그들은 서렌더나 재넌에게 자신의 상황도 이야기하지 않은 채 저격한 점과 그들도 스트리머이자 사람이기 때문에 조용히 뒤에서 언급해서 넘어갈 수 있음에도 불과하고 극단적인 상황을 만들어 낸 점들을 지적했다.
이 상황이 있고 스트리머 갤러리는 소풍왔니에게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반대로 팸코 인방갤이나 팬카페에서는 서렌더와 재넌에게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
결국에는 재넌은 사과문을 올리고 소풍왔니에게 사과하였다. 하지만 소풍왔니는 자신도 경솔한 행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사과하지 않고 흐지부지 넘어갔다. 서렌더는 이 방송 후 자신의 방송에 대해 진지하게 이야기하며 자신의 방송이 잘못된 건 알고 있었지만 그래도 자신을 보려는 시청자들이 고마워서 일일히 쳐내지 못했다고 했다. 그리고 스트리머 갤러리의 각종 밈은 반응을 안해주면 나아질 것이라 생각했지만 오히려 줄어들진 않았다고... 또한 예전에 어떠한 사건으로 인해 여러 곳에서 욕을 들었을 당시를 이야기하며 소풍왔니의 마음을 이해한다고 말했으며 사과는 나중에 따로 했다고 한다. 이후 어느 시청자가 소풍왔니의 방송에 찾아와 서렌더에게 사과했냐고 물어보았는데 만원을 도네하면 답변을 해준다는 말을 하여 여러 커뮤니티에 질타를 받기도 했다. 어떻게 해서 조리돌림으로 보였는지는 이 문서를 참고바란다.
이 문서를 자세히 보면 시청자들이 예민한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이야기하게 되면서 분위기가 그런 쪽으로 변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스트리머가 일일이 모든 악성 밈들을 알고 있어야 하고 이를 사용하는 시청자를 가려내야 한다는 말은 어불성설이다. 때문에 일각에서 이야기하는 서렌더에게도 일부 책임이 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4.3. 유튜브 광고영상 유료박스 누락[편집]

생방송에서 광고라고 언급했다고 주장했으나 영상이 남아있지 않아서 사실여부는 알 수 없다. 유튜브에는 유료 박스를 달지 않고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만 단 것이 지적되었다. 그 전에 한 메이플과 프리코네는 절대로 뒷광고가 아니며, 단순 누락이라고 주장하였다.
4.4. 허버허버 단어 사용 논란[편집]

방송 중 '허버허버'라는 단어가 들어간 시청자의 채팅을 보고 박장대소하며 '허버허버 먹는대' 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문제는 이 단어가 여초 커뮤니티 중심으로 쓰이며, 남성혐오 표현이라는것.
우선 디시인사이드 스트리머 갤러리에 허버허버가 남혐 표현이라는 글 여러 개가 개념글에 올라왔다. # # # # 이후 이 사건은 정배우에 의해 저격 공론화되었다.# 이 공론화 영상에서는 디시인사이드 개념글의 내용을 근거로 삼았다. 소풍왔니 본인은 이후 "자신은 어떤 이념도 표방하지 않고 허버허버 뜻도 몰랐다"라며 페미니스트 의혹을 부인하는 글을 올렸다.# 이슈 유튜버인 뻑가는 소풍왔니의 당시 영상을 인용해서 이에 대한 의혹을 제기했다.# 이후 생방송에서 뻑가의 추가 반박에는 대답하지 않았으며 유튜브는 접을 예정이고, 편집자에게 퇴직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3] 하지만 이와 별개로 뻑가의 추가 저격에 대한 반박글이 펨코에서 올라오는 등 논란은 계속 진행중이다.
이 사건과 관련해 서렌더 및 재넌 저격사건을 참조하면 일단 디씨의 스트리머 갤러리, 국내야구 갤러리#해명 이전 반응 #해명 이후 반응와 펨코 유갤댓글 확인에서는 소풍왔니의 발언을 이전의 논란들과 엮어서 호의적이지 않은 여론이 대세고 반대로 펨코 인방갤과 도탁스는 소풍왔니에 대해 우호적인 여론이 대세라는 것을 확연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사건도 마찬가지로 이 두 부류의 커뮤니티 간 팽팽한 신경전이 현재 일어나고 있다.[4]
2월 25일 유튜브 '소풍왔니' 채널에 사과영상이 올라왔으나 현재 삭제된 상태이다.
이번 사건의 발화가 된 방송이 아닌 예전 방송에서 '허버허버 먹네' 라는 채팅을 따라읽은 것에 대해서는 그 당시에 자신이 그 말을 '허겁지겁 먹네'로 생각하였다는 것이다. 소풍왔니는 자신이 2019년부터 군인권센터[5] 에 기부했다는 내용의 카톡을 근거로 자신은 여초사이트를 이용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5. 여담[편집]
- 2015년 아프리카TV BJ대상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당시 방송국 이름이 소풍버스 였다.
- 빠니보틀이 소풍왔니 같은 얼굴이 이상형이라 한다.
- 롤 실력은 2015년 나이스게임tv 시절 당시 2000판 실버, 2017년 6월 3800판 브론즈라는 대기록을 세우고 있었다. 이후 자낳대 참가 등으로 실력이 우상향하면서 골드 티어를 기록하고 있다.
- 2022년 3월 28일 배치고사 실버 4를 시작, 대치동 롤 과외와 솔랭을 통해 7월 23일 플레티넘 등반에 성공! 했으나!, 같은 해 9월 2일 자신의 고향인 골드1로 복귀하였다
6. 둘러보기[편집]
}}} ||
}}} ||

[1] 삼성-젠지 팬들은 팀의 커리어에 비해 규모가 작고, 그만큼 굉장히 조용하여 '노잼지', '팬도 노잼'이라고 불릴 정도이며 특히 자기네 팀 외부인들은 거의 비난하지 않는다. 하지만 17년도의 우승 후 그로 인해 얻은 영광보다 T1의 악성 팬덤의 린치로 인한 몰락을 훨씬 강하게 겪으면서 이때의 악성 팬덤을 정말 싫어하고 언급도 하기 싫어한다. 허버허버 사태 이후 커뮤니티에서 큰 논란이 되자 젠지팬들은 유례없이 소풍왔니에게 노골적으로 적개심을 표현하고 이 발언을 돌려주며 중국 스트리머가 망했다고 조롱했다.[2]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이 때 같이 따효니와 서새봄과 조리돌림을 하고자 이 둘의 디스코드 초대를 받아들인 상황으로 이야기하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어 이러한 대화를 하고자 했다고는 단정지을 수 없다.[3] 다만 유튜브는 동영상 마지막 업로드일로부터 6개월이 지나면 수익창출이 중단되므로, 계정을 탈퇴하지 않는 한 복귀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은퇴선언을 한 유튜버들이 시간이 지난 후에 번복하고 6개월 내로 복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4] 특히 이 사건 이후로 스갤에서는 펨코 인방갤 유저들이 다른 스트리머들이 잘못을 하면 그거에 대해서 비난하면서 소풍왔니는 비난하지 않는다고, 반대로 펨코 인방갤에서는 스갤 유저들이 스트리머에 대해서 억까를 해 스트리머들을 망가뜨리고 있다고 까는 인기글이 많이 올라가면서 두드러지게 싸움이 일어나고 있다.[5] 이름 때문에 국방부와 관련된 기구라 생각할 수 있으나 국방부와 관련이 없을 뿐더러 정부기구 또한 아니다. 한편, 군인권센터는 동성애 등의 성소수자 이슈를 다루기 때문에 정치성향에 따라서 호불호가 갈리는 단체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