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과선

덤프버전 :

| 솔방울샘 | Pineal Gland

1. 개요
2. 특징
3. 대중 매체에서
4. 여담



1. 개요[편집]


뇌량의 뒷부분 아래에 위치한 솔방울 모양의 내분비샘이다. 눈의 망막에서 외부 밝기에 대한 정보를 받은 다음, 그에 따라 어두어지면 이곳에서 멜라토닌 호르몬을 생성 및 방출한다. 멜라토닌은 수면을 유도하는데, 멜라토닌이 수면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체내 멜라토닌 수치가 가장 높을 때 잠을 더 잘 잘 수 있다.

척추동물 진화 초기에는 미간에 있는 과 비슷한 기관인 '두정안'이라는 기관이었으나, 후대의 척추동물에서는 두개골 내부로 들어간 종류가 많다. 인간의 송과선은 대뇌의 밑, 간뇌의 시상 상부에 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작은 솔방울과 비슷하게 생겼다.


2. 특징[편집]


나이가 들수록 이곳에 석회질이 쌓여서 멜라토닌 분비가 일어나지 못하고 수면 장애를 일으킨다.

마찬가지로 플루오린(불소)이 너무 과하면 송과선이 석회화 하는데에 영향을 끼쳐 수면 장애를 일으킨다고 한다. # 그래서 수돗물 불소화 반대론의 근거로 쓰이기도 한다.


3. 대중 매체에서[편집]


  • 저 너머에서: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의 단편소설. 송과선이 중요한 소재로 나온다.
  • 지옥인간: 해당 소설을 영화화한 스튜어트 고든 감독의 영화다.
  • 팀 포트리스 2: 헤비의 근접무기 '강철 주먹'[1]에는 송과선이 뭔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이것을 때려부술 수 있게 만들어졌다는 골때리는 설명이 달려있다.


4. 여담[편집]


  • 데카르트는 정신과 육체가 별개라는 심신이원론을 주장하면서 송과선을 육체와 정신이 만나는 지점이라고 주장하였다.[2]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7:17:16에 나무위키 송과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들고 있으면 받는 원거리 공격 피해가 감소하지만 받는 근거리 피해가 증가한다.[2] 재미있는 점은, 데카르트의 이 송과선 발언은 정신이 육체의 일부라는 사실을 인정해버린 것과 다름이 없다는 것이다. 정신이 송과선에 깃드는 순간, 송과선=정신이 되어 정신은 신체의 일부가 되어버리기 때문. 데카르트 입장에서는 심신이원론의 한계를 보완할 일종의 예외를 설정한 것이긴 한데, 이 때문에 다른 철학자들인 팔츠의 엘리자베트 공주나 바뤼흐 스피노자한테 자기가 비판하던 스콜라 철학자들처럼 괜히 신비주의적인 요소를 덧붙였다고 태클을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