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희립

덤프버전 :


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
이순신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소속
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가족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이봉상 · 그 외 후손)
관련 인물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생애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관련 장소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이순신대교
관련 사건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관련 물건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작품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용모 · 창작물
평가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창작물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파일:이순신 수결.svg

[각주]



宋希立
1553년(명종 8) ~ 1623년 12월 20일

1. 개요
2. 생애
3.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신중(信仲), 호는 삼규당(三規堂). 임진왜란이순신의 휘하에서 활약하였다.


2. 생애[편집]


송희립은 1553년 전라도 흥양현 대강면 마륜리(현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마륜리)[1]에서 현감(종6품)을 지낸 송관(宋寬)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위로 형 송대립(宋大立)이, 아래로 동생 송정립(宋挺立)이 있었다.

1583년(선조 16)에 별시로 치른 무과에 병과 159위로 급제하고 1591년에 이순신의 직속군관이 되었다. 귀선의 건조교육과 감독을 하다가 전쟁이 터지자 그해 5월 1일 녹도만호(鹿島萬戶) 정운의 군관으로서 거제에서 왜군을 격파하고 남해 앞바다에 머물며 원균 등과의 합동작전을 주장하였다.

이후 정4품 지도만호(智島萬戶)가 되어 형 송대립과 함께 이순신의 휘하에서 활약하였다.

이순신이 모함으로 한양으로 압송돼 고문을 받고 있는 동안 정경달, 정탁, 황대중과 함께 대궐 문앞에서 거적을 깔고 울부짖으면서 이순신의 무죄를 주장하였다. 그 결과 이순신은 사형을 면하고 권율 휘하에 들어가 백의종군하게된다.

정유재란 때에는 수군이 칠천량 해전으로 인해 하루아침에 공중분해 되었지만 이순신이 복직한 후 다시 그 휘하가 되며, 뒤이어 명량해전에 참전하였다. 다음 해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자 고니시 유키나가는 본국으로 퇴각하기 위해 진린에게 화친을 청해 퇴로를 열어달라고 요청했으나 이순신은 그에 응하지 않았으며, 이에 고니시는 사천에 있는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와 남해에 있는 소 요시토시(宗義智)에게 함대 500여 척을 모두 노량 앞바다에 집결하도록 요청했다. 이러한 사실을 접한 이순신은 고흥 나로도에서 송희립에게 노량에서 승리할 수 있는 계책을 물었는데, 송희립은 명군과 조선군이 육지와 바다에서 협공을 가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그를 들은 이순신은 그에 동의했다.

이후 육지와 바다에서 몇 개월 동안 봉쇄 작전을 펼치자 일본군의 세력은 크게 꺾여 진린에게 화친을 청했으며, 이 때 송희립은 다시 화친에 응한다 해도 일본군이 다시 공격해올 것이 분명하며 넓은 바다에서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 '넓은 바다' 에서 벌어진 전투가 바로 바로 노량 해전.

이상으로 서술된 바와 같이, 임진왜란 내내 이순신 휘하에서 군관으로 종군했다. 이순신의 지휘를 받았던 다른 인물들은 전공을 세우고 관직이 올라가면서 자연스럽게 전근을 가곤 했는데, 송희립만큼은 1592년부터 노량까지 생사고락을 함께하며 그를 보필했다.[2]

전쟁이 끝난 후 1601년 5월에는 양산군수, 동년 8월에는 다대포군수에 제수받았다. 1611년에는 전라좌수사가 되었다. 1619년에는 별장으로 재직하였고 주사청의 업무로 경상도에 파견되었다. 1623년 3월에 인조반정이 일어나고 동년 12월에 7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떴다.

3. 대중매체[편집]



  •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배우 김명국이 연기했다. 구수한 사투리로 김완과 함께 분위기 메이커 역을 맡았고 임진왜란 발발 당시부터 노량까지 이순신의 옆을 지킨 것은 실제 역사에서의 행적과 같다.

  • <명량>에서는 배우 이해영이 연기했으며 초요기를 올리다 저격수 하루에게 총알을 어깨에 맞지만 견디고 초요기를 올렸다. 이순신의 명령을 듣고 이를 병사들에게 알려 전투를 수행하는 역할로 나온다.

  • <징비록>에서는 배우 전승빈이 연기했다. 이순신이 주인공이 아닌지라 비중은 낮다.


파일:한산 송희립.jpg



[1] 인근의 대강리와 함께 여산 송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송계명도 이 마을 출신이다.[2] 이순신이 모함으로 인해 파직당했을때도 목숨을 걸고 그의 무죄를 주장했다.
이 문서의 r1 버전에 한국어 위키백과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포함된 버전으로 문서를 되돌리거나 링크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만일 되돌리거나 링크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9:10:42에 나무위키 송희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