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공후

덤프버전 :


아시아의 현악기

[ 펼치기 · 접기 ]
찰현악기
(호금류)

동아시아의 찰현악기
대한민국
해금 · 아쟁(a)
북한
소해금 · 중해금 · 대해금 · 저해금
중화권
쓰후 · 얼후 · 징후 · 징얼후 · 반후 · 마구후 · 자오후 · 투후 · 후루후 · 예후 · 콩히안 · 가오후 · 디후 · 다후 · 종후 · 싼후 · 거후 · 디인거후 · 이인
시친 · 티친 · 정니(a) · 야정(a) · 주이후(a) · 레이친(a) · 라루안(a)
일본
코큐(a)
(a) 발현악기의 형태 + 찰현악기의 연주 방식
중앙아시아의 찰현악기
몽골
호치르 · 마두금 · 대마두금 · 이킬
튀르크
코비즈 · 비잔치 · 기작
동남아시아의 찰현악기
베트남
단 니 · 당 가오
태국
소 우
캄보디아
트로


발현악기
금·슬·쟁(지터)
다현금
고금 · · 거문고 · · 대쟁 · 가야금 · 고토 · 야특 · 단 짜인 · 미 갸웅 · 철현금 · 한아고
일현금
이치겐킨 · 단 보우
월금(류트)
비파
비파#악기 · 향비파 · 당비파 · 비와 · 텁쇼르 · 돔브라
삼현
싼시엔 · 산신 · 샤미센 · 샨즈 · 담탐
공후(하프)
공후
수공후 · 알타이 야특 · 사산도


타현악기
양금
양금
양금





파일:수공후 (정면).png

竪箜篌

1. 개요[편집]


고조선 시대부터 내려오던 공후계통의 한국의 전통 국악기이다. 21세기에 들어서는 국립국악원에서 가끔 연주한다.

2. 상세[편집]



2.1. 역사[편집]


宋新賜樂器.

睿宗九年六月甲辰朔 安稷崇還自宋. 徽宗詔曰, “樂與天地同流, 百年而後興, 功成而後作. 自先王之澤渴, 禮廢樂壞, 由周迄今, 莫之能述. 朕嗣承累聖基緖, 永惟盛德休烈, 繼志述事, 告厥成功. 乃詔有司, 以身爲度, 由度鑄鼎作樂, 薦之天地宗廟, 羽物時應. 夫今之樂, 猶古之樂, 朕所不廢, 以雅正之聲, 播之今樂, 肇布天下, 以和民志. 卿保有外服, 慕義來同, 有使至止, 願聞新聲. 嘉乃誠心, 是用有錫, 今因信使安稷崇回, 俯賜卿新樂.”

鐵方響五架幷卓子·槌子, 朱漆縷金架子·錦裹冊條·金鍍銀鐸子·條結·紫羅夾帊·紫絹單帊全.

石方響五架幷卓子·槌子, 朱漆縷金架子·錦裹冊條·金鍍銀鐸子·條結·紫羅夾帊·紫絹單帊全.

琵琶四面, 金鍍鍮石鳳鉤·朱漆縷金架子·金鍍銀鐸子·條結幷縷金撥子·紫羅夾袋全.

五絃二面, 金鍍鍮石鳳鉤·朱漆縷金架子·金鍍銀鐸子·條結幷縷金撥子·紫羅夾袋全.

雙絃四面, 金鍍鍮石鳳鉤, 朱漆縷金架子, 箏四面幷卓子, 並縷金, 各金鍍銀鐸子·條結銷金生色襯絃·紫羅夾袋全.

箜篌四座[1]

, 並縷金. 觱篥二十管, 金鍍銀絲札纏, 各用紫羅夾袋一匣盛, 紅羅褥子·紫羅夾複子全.

笛二十管, 箎二十管, 簫一十面, 朱漆縷金裝, 金鍍銀鐸結子, 各用紫羅夾袋一匣盛, 紅羅褥子·紫羅夾複全.

匏笙一十攢, 金鍍金束子, 各用紫羅夾袋二匣盛, 紅羅褥子·紫羅夾複全.

壎四十枚, 三匣盛, 大鼓一面, 桐油遍地花幷座, 鼓槌, 紫絹衣全.

杖鼔二十面, 金鍍鍮石鉤, 條索幷杖子, 紫單絹帊複全.

栢板二串, 金鍍銀鐸結子, 一匣盛, 紅羅褥子, 紫羅夾複全.

曲譜一十冊, 黃綾裝禠, 紫羅夾帊全. 指訣圖一十冊, 黃綾裝禠, 紫羅夾帊全.[2]

수공후가 고려시대에도 쓰였음을 알수있는 항목이다.


파일:수공후를 연주하는 악사.png
수공후를 들고 있는 악사의 모습.[3]

수공후라는 뜻은 세워서 연주한다는 의미로, 그에 걸맞게 수공후는 측면에서 세워서 연주하였다. 정효공주 무덤 벽화에서도 등장한것으로 미루어보아 남북국 시대까지는 활발히 연주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고려시대에도 연주되었다고 보여진다. 특히 송에서 악기들에 누금시켜서 보내왔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수공후의 장식들이 순금으로 새겨져 있음을 알수있는 대목이다. 다만 이 악기가 수공후,대공후,소공후,와공후를 하나씩 보낸것인지 아니면 수공후1좌, 대공후 2좌, 소공후 1좌를 보낸것인지는 알수없다. 그러나 분명한것은 수공후가 송나라에서 들여와서 쓰였다는 사실이다. 고려왕실에서 송나라 황실로부터 직접 받았고, 누금까지 되어있는 것이니 고려시대 왕실악단인 아악서에서 연주되며 어느정도 관리가 되었던것 같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는 갑자기 그 명맥이 끊겼고, 악학궤범에서도 등장하지 않는다. 조선 초기에 재정비된 아악에서 빠져버린 것을 보면, 다른 현악기와 겹친다는 점도 있고, 특유의 화려한 음색이 사대부의 취향에 맞지 않았을 수도 있다. 현재는 연주되지 않는 국악기로 변해버렸다. 크로마하프와 상당히 닮았다.

2.2. 악기의 모습과 형태[편집]


전체적으로는 서양의 하프와 어느 정도 닮아 있으며 각각의 현을 명주실을 꼬아서 만들었다.
파일:수공후 아래(내부)의 모습.png
수공후 아래면의 모습
파일:수공후 아래(옆)의 모습.png
수공후 옆쪽 아래면의 모습
파일:수공후 아래의 모습.png
수공후 조율대와 아랫면 전경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9:06:29에 나무위키 수공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후(箜)는 4좌(座)이다.[2] 해석: '송에서 새 악기를 내려주다.'예종(睿宗) 9년(1114) 6월 초하루 갑진(甲辰), 안직숭(安稷崇)이 송(宋)에서 돌아왔다. 휘종(徽宗)이 조서(詔書)에 이르기를, “음악은 천지와 함께 흐르는 것으로, 백년이 지난 뒤에 일어나고, 공업(功業)이 이루어진 뒤에 만들어진다. 선왕의 은택이 없어지면서 예가 폐지되고 음악이 무너져서 주(周)나라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를 전술(傳述)할 수 없었다. 짐이 누대 성왕(聖王)의 기업(基業)을 이어받아 영원토록 융성한 덕업과 훌륭한 공적을 생각하고, 그 뜻을 계승하여 그 사실을 저술하여, 그 성취한 공업(功業)을 종묘에 고하였다. 이에 유사에게 조서를 내려 몸으로 법도를 삼고, 법도에 따라 정(鼎)을 주조하고 음악을 지어, 천지와 종묘에 올리게 하였더니, 때마침 봉황이 와서 춤을 추었다.대개 지금의 음악은 도리어 옛날의 음악과 같아서 짐이 없애지 않았으니, 고상하고 바른 악성(樂聲)은 지금의 음악에 옮기고, 처음으로 천하에 반포하여 백성들의 뜻과 화합하고자 한다. 경(卿)은 외방을 차지하고 있으면서 의(義)를 사모하여 내조하고, 사신을 보내어 새로운 음악 듣기를 원하였다. 이에 그 성심을 가상하게 여겨 하사품을 내리기로 하였으니, 이제 신사(信使) 안직숭이 돌아가는 편에 경에게 신악(新樂)을 하사하노라.”라고 하였다. 철방향(鐵方響) 5가(架)와 아울러 탁자(卓子)·퇴자(槌子)·주칠누금가자(朱漆縷金架子)·금과책조(錦裹冊條)·금도은탁자(金鍍銀鐸子)·조결(絛結)·자라협파(紫羅夾帊)·자견단파(紫絹單帊) 등 전부이다. 석방향(石方響) 5가와 아울러 탁자·퇴자·주칠누금가자·금과책조·금도은탁자·조결·자라협파·자견단파 등 전부이다. 비파(琵琶) 4면(面)에 금도유석봉구(金鍍鍮石鳳鉤)·주칠누금가자·금도은탁자·조결과 아울러 누금발자(縷金撥子)·자라협대(紫羅夾袋) 등 전부.오현금(五絃琴) 2면에 금도유석봉구·주칠누금가자·금도은탁자·조결과 아울러 누금발자·자라협대 등 전부. 쌍현금(雙絃琴) 4면에 금도유석봉구·주칠누금가자. 쟁(箏) 4면에 있는 탁자(卓子)는 모두 누금되어 있고, 각각 금도은탁자·조결·소금생색츤현(銷金生色襯絃)·자라협대 등 전부. 공후(箜)는 4좌(座)인데, 모두 누금되어 있다. 필률(觱篥) 20관(管)과 금도은사찰전(金鍍銀絲札纏)은 각각 자라협대(紫羅夾袋) 1갑(匣)에다 담았고, 홍라욕자(紅羅褥子)와 자라협복자(紫羅夾複子) 등 전부. 적(笛)은 20관(管)이고, 지(箎)는 20관이며, 소(簫)는 10면(面)인데, 주칠누금(朱漆縷金)으로 장식(裝飾)되어 있고, 금도은탁결자(金鍍銀鐸結子)가 있으며, 각각 자라협대 1갑에 담았고, 홍라욕자와 자라협복 등 전부. 포생(匏笙)은 10찬(攢)에 금도금속자(金鍍金束子)가 있으며, 각각 자라협대 2갑에다 담았고, 홍라욕자와 자라협복 등 전부. 훈(壎)은 40매(枚)인데 3갑에 담았고, 대고(大鼓)는 1면인데, 동유편지화(桐油遍地花)와 아울러 좌대(座臺)가 있고, 고퇴(鼓槌)와 자견의(紫絹衣) 등 전부. 장고(杖鼓)는 20면인데, 금도유석구(金鍍鍮石鉤), 조삭(條索)과 장자(杖子), 자단견파복(紫單絹帊複) 등 전부.백판(栢板) 2천(串)과 금도은탁결자를 1갑에 담았고 홍라욕자와 자라협복 등 전부. 곡보(曲譜)는 10책의 표지를 황색 비단으로 하여 장식한 것과 자라협파 등 전부. 지결도(指訣圖)는 10책의 표지를 황색 비단으로 하여 장식한 것과 자라협파 등 전부.[3] 정효공주 무덤 벽화에서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