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서역

최근 편집일시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고속철도 수서역에 대해 다룹니다. 수도권 전철 3호선/수인·분당선 지하철역에 대한 내용은 수서역(수도권 전철) 문서
수서역(수도권 전철)번 문단을
수서역(수도권 전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환승역 분리(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수서역
시종착
부산 방면
동 탄
32.4 ㎞ →
목포 방면
진주 방면
동 탄
32.4 ㎞ →
포항 방면
미개통 노선 보기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운정 방면
삼 성

← 5.2 ㎞
GTX-A
(X108)

(미개통)
동탄 방면
성 남

10.7 ㎞ →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로 갈아타기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Suseo
한자
水西
간체자
가나
水西(スソ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 99 (수서동)
관리역 등급
SR 영업본부 서비스혁신처 수서역
운영 기관
수서평택고속선
(주)에스알
파일:Untitled-1.png
GTX-A
서울교통공사
(주)에스알
개업일
수서평택고속선
2016년 12월 9일
파일:Untitled-1.png
역사 구조
지하 2층[1]
승강장 구조
3면 6선 두단식 승강장
노선거리표

종점
수서평택고속선
수 서

1. 개요
2. 역 정보
2.1.1. 초기 계획
2.1.2. 건설
2.1.3. 편의시설
2.1.4. 시간표
2.1.4.1. 경부선 계통
2.1.4.2. 호남선 계통
2.1.4.3. 경전선 계통
2.1.4.4. 동해선 계통
2.1.4.5. 전라선 계통
3. 일평균 이용객
4. 승강장
5. 연계 교통
5.2. 시내버스
5.2.1. 고속철도수서역(23150)
5.2.2. 고속철도수서역(23320)
5.3. 주차장
5.4. 셔틀버스
5.5. 택시
5.6. 기타
6. 역 주변 정보
7. 미디어에서
8. 사건사고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서울수서역.jpg

수서역 전경

수서 들판에 떠오른 '연'

수서역은 2016년 12월 9일 수서평택고속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 지하철 3호선과 분당선이 직접 연결되고 주요 고속도로와도 인접하고 있어 대한민국 주요 도시를 잇는 서울의 새로운 관문으로 탄생하였다. 지상 3층, 지하 2층으로 마련된 역사는 SRT의 시종착역답게 무한 질주를 상징하는 모습으로, 빠른 속도감과 역동성을 느낄 수 있게 한다. 특히 너른 수서 들판 위를 나는 전통 '연'의 모습을 한 역사 지붕과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고려한 광장 설계는 세계로 나아가는 철도의 열린 미래를 표현해냈다. 또한 역사 인근을 흐르는 탄천의 녹색성장과 함께하기 위해 주변 녹지와 연계한 친환경 계획으로 빠르게 질주하는 고속열차와 유려하게 흐르는 하천의 선형을 역사에 그대로 재현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 99 (수서동) 소재.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X108번), SRT를 상징하는 역으로, 모든 SRT 열차의 시종착역이다. 서울역, 동대구역에 이은 3위[2]의 철도역으로 이제 명실상부 서울특별시 동남부, 성남시, 용인시의 관문으로 자리잡았다.


2. 역 정보[편집]



2.1. SRT[편집]


파일:SRT 수서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2.1.1. 초기 계획[편집]


서울 동남부에 고속철도 시종착역을 만든다는 논의는 90년대 경부고속철도 공사 초기부터 있어왔다. 그 흔적이 분당선 수서역을 상당히 크게 지은 것이다. 그 때부터 신설 역이 들어설 곳으로 수서가 거론되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무산되었다.

노무현 정부 당시에 신설될 호남고속선의 새로운 출발역으로 계획되었으나 경부고속선의 1단계 개통 직후 쥐도 새도 모르게 흑역사가 되어버렸다. 당시 위치는 미확정이었으나 도시철도 수서역 역사와 근거리에 세워지도록 계획되어 있었다.


2.1.2. 건설[편집]


2009년 말이 돼서야 2015년까지 수서~평택 간 고속철도를 신설한다는 계획이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노선은 수서~동탄~평택지제이고, 이후 평택 인근에서 경부고속선에 합류한다. 2011년 2월에 수서역 공사 부지조감도가 나왔고, 뒤이어 2011년 4월에 발표된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수서평택고속선 건설이 확정되었다.

그러나 서울특별시청에서 이 지역의 그린벨트 해제를 불허하여 개통이 늦어질 위기에 처했는데, 이에 국토해양부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성남시에 임시역사 건립을 계획했었다. 그러나 이 경우 토지가격을 제외한 건설비용만 1,000억 원이 넘게 들며, 부지매입비 수천억 원이 매몰비용이 될 수 있었다. 결국 서울특별시청이 수서역에 대한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을 조건부로 통과시킴으로써 수서역이 들어서게 됐다.

수서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역에 대한 의견이 갈렸다. 그린벨트 주민들은 '안 그래도 이 동네는 그린벨트 지역인데 주변에 역까지 들어오면 어떡하냐!' 라는 의견이 대세였다. 반면 아파트 거주민 중에서는 '역이 들어오면 좋지' 라는 의견이 다수였지만 강하게 바란 것은 아니었다.

완공 시기가 다소 늦어졌고, 시운전을 이유로 2016년 8월까지 미뤄져 개통을 앞두고 있었으나 용인 부근에서 지반 균열로 보강공사가 필요해 연말로 연기되었다.[3]

SRT가 개통되면서, 기존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청량리역과 함께 서울의 새로운 주요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2.1.3. 편의시설[편집]


지하 1층
(본 역사 대합실)
소담반상(호호카츠)
롯데리아[4]
버터풀앤크리멀러스
크리스피크림 도넛
세븐일레븐[5]
SRT 고객라운지
우리은행 ATM기[6]
기업은행 ATM기
물품보관함[7]
세브란스 병원 건강 라운지
육수당·마성떡볶이
강남구 무인민원 발급기
와팡
초코파이 하우스
ㅊa(스콘)
아띠몽(호두과자)
엔제리너스 커피



지하 2층
(환승통로)
한스푼
에그몬
엔제리너스 커피
크리스피크림 도넛
공차
세븐일레븐
물품보관함
명제가면 비빔밥 칼국수
라온 가마솥밥
김씨마구로
아띠몽 풍년제과
파머스박스
이유있는 우리술
밀크스콘
그 외 승강장에는 세븐일레븐 자동화매장[8]이 있고, 자판기는 롯데칠성음료의 자판기가 설치되어 있다.

역내 부대시설에는 대부분 롯데계열이 운영하는 점포가 많다. 심지어는 푸드코트도 롯데GRS가 운영한다. 롯데그룹이 입찰권을 따냈기 때문이다.

새벽시간대에는 지하 1층 롯데리아를 제외하고는 편의시설이 열지 않기 때문에 새벽 첫차 이용시에는 불편이 따른다. 역 주변 매장도 편의점 제외하고는 영업하지 않으므로[9] 새벽 첫차 이용시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2.1.4. 시간표[편집]



2.1.4.1. 경부선 계통[편집]

파일:SRT BI.svg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5:30
SRT
301
부산
06:00
SRT
303+9303[10]
부산
06:30
SRT
305[금~일]
부산
07:00
SRT
307+9307[11]
부산
07:05
SRT
309
부산
07:25
SRT
311
부산
08:00
SRT
313
부산
08:05
SRT
315
부산
09:00
SRT
317
부산
09:05
SRT
319
부산
09:20
SRT
321
부산
10:00
SRT
323+9323[12]
부산
10:30
SRT
325
부산
10:50
SRT
327+9327[13]
부산
12:10
SRT
329[금~일]
부산
12:28
SRT
331+9331[14]
부산
12:50
SRT
333+9333[15]
부산
13:00
SRT
335+9335[16]
부산
13:30
SRT
337+9337[17]
부산
13:55
SRT
339
부산
14:30
SRT
341
부산
15:05
SRT
343
부산
15:30
SRT
345
부산
15:55
SRT
347
부산
16:21
SRT
349
부산
16:40
SRT
351[금~일]
부산
17:00
SRT
353
부산
17:30
SRT
355
부산
18:00
SRT
357+9357[18]
부산
18:24
SRT
359
부산
18:37
SRT
361
부산
19:00
SRT
363[금~일]
부산
19:20
SRT
365
부산
19:30
SRT
367[금~일]
부산
20:00
SRT
369+9369[19]
부산
20:28
SRT
371
부산
21:00
SRT
373+9373[20]
부산
21:30
SRT
375
부산
22:00
SRT
377
부산
22:40
SRT
379+9379[21]
부산


2.1.4.2. 호남선 계통[편집]

파일:SRT BI.svg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5:08
SRT
651
목포
05:39
SRT
601+9601[22]
광주송정
06:40
SRT
653
목포
07:40
SRT
603
광주송정
08:33
SRT
605
광주송정
09:40
SRT
655
목포
10:20
SRT
607
광주송정
11:00
SRT
657
목포
12:20
SRT
609
광주송정
13:10
SRT
659
목포
14:09
SRT
611
광주송정
15:20
SRT
613
광주송정
16:11
SRT
661
목포
17:10
SRT
663
목포
18:05
SRT
615
광주송정
19:10
SRT
665
목포
19:40
SRT
617
광주송정
21:08
SRT
667
목포
22:20
SRT
619+9619[23]
광주송정
23:00
SRT
621
광주송정

2.1.4.3. 경전선 계통[편집]

파일:SRT BI.svg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비고
12:04
SRT
381
진주
[24]
19:25
SRT
383
진주
[25]


2.1.4.4. 동해선 계통[편집]

파일:SRT BI.svg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비고
06:30
SRT
391
포항
[26]
16:34
SRT
393
포항
[27]

2.1.4.5. 전라선 계통[편집]

파일:SRT BI.svg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비고
10:20
SRT
681
여수엑스포
[28]
19:08
SRT
683
여수엑스포
[29]


2.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편집]


파일:gtx수서.jpg
GTX 수서역 조감도

현재 수도권 전철 수서역과 SRT 수서역의 사이에는 긴 환승통로가 있는데, 이들 두 역 사이에 GTX-A 수서역의 대합실과 승강장이 위치할 예정이다. 승강장은 지하4층이다.


2.3. 수서광주선[편집]


수서광주선이 예타를 통과하여, 경강선(강릉선 KTX), 중앙선동해선, 중부내륙선남부내륙선 열차 취급이 가능하게 될 예정이다. 승강장은 SRT 승강장 옆에 3홈 6선으로 건설될 계획이다. 위치는 현재의 동측 주차장이며 환승센터와 같이 짓는다.2020년 기준 자료 참조


3.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RT BI.svg
비고
2016년
27,166명
[30]
2017년
34,699명

2018년
39,123명

2019년
41,438명

2020년
30,902명

2021년
34,549명

2022년
41,657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1] 반지하[2] 2021년 일평균 승하차 승객수 기준[3] 수서발 고속철도 개통 또 연기…"지반 균열 보강 공사 때문", 2016-04-25, 아시아경제[4] 특수점포이므로 모든 적립, 할인이 적용되지 않음(제로페이 사용가능).[5] 위와 같이 모든 적립, 할인이 적용되지않음. 다만 엘포인트 적립, 종이 영수증 발행은 가능.[6] 라운지에 우리은행이 철수하면서 기업은행 ATM기 옆으로 이전하였다.[7] 지하 2층 내려가는 계단 부근에 있다.[8] 기존 승강장 내 세븐일레븐 매장이 철수하고 자판기만으로 구성된 매장이다.[9] 롯데리아도 24시간 영업이 아니고 맥도날드도 주변에 없다.[10] 9303열차는 주말에만 운행[금~일] A B C D E 금~일에만 운행한다.[11] 9307열차는 토요에만 운행[12] 9323열차는 금~일에만 운행[13] 9327열차는 일에만 운행[14] 9331열차는 금~일에만 운행[15] 9333열차는 금~일에만 운행[16] 9335열차는 금요일에만 운행[17] 9337열차는 금~일에만 운행[18] 9357열차는 일요일에만 운행[19] 9369열차는 금,토에만 운행[20] 9373열차는 금,토에만 운행[21] 9379열차는 일요일에만 운행[22] 9601열차는 월요일에만 운행[23] 9619열차는 일요일에만 운행[24] 금~일 한정 부산행 329열차와 동대구역까지 중련 운행[25] 금~일 한정 부산행 367열차와 동대구역까지 중련 운행[26] 금~일 한정 부산행 305열차와 동대구역까지 중련 운행[27] 금~일 한정 부산행 351열차와 동대구역까지 중련 운행[28] 광주송정행 607열차와 익산역까지 중련 운행[29] 목포행 665열차와 익산까지 중련 운행[30] 개통일인 12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2018년 기준으로 일평균 승하차객이 39,123명으로 광명역은 물론 영등포역, 수원역까지 앞질렀다. 고속철도로만 따졌을 시 용산역대전역보다 수요가 많다.[31] 게다가 해가 지날수록 수요가 갈수록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수요를 보면 서울 강남권과 성남시 주민들의 고속철도 갈증을 SRT가 해결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32]


4. 승강장[편집]




4.1. SRT[편집]


파일:srtsuseo.jpg

종착역


6
5


4
3


2
1

동탄


두단식 승강장이며 3면 6선의 저상홈이다.

여수엑스포역처럼 지하 2층 매표소와 열차 타는 곳이 바로타 구조로 돼 있어,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열차 운행량이 많지 않은 한산한 시간대에는 3, 4번 승강장에서 모든 승하차를 처리한다. 1, 2, 5, 6번 승강장은 운행량이 많을 때 사용한다.

복합열차(중련편성) 11~18호차를 타면, 천안아산역과 정반대로 지상 출구도 지하철 연결 출구도 매우 멀리 있다는 단점이 있다.

파일:수서정거장배선.jpg
수서역의 정거장 배선도.

SRT 수서역 - 지하철 수서역 간 환승통로는 SRT 수서역 대합실로 이어지는 환승통로와 지하철 수서역에서 SRT 수서역 승강장으로 바로 이어지는 환승통로가 있는데, SRT 수서역 승강장으로 바로 이어지는 환승통로에는 SRT 대기공간과 매표소, 화장실이 마련되어 있다.

SRT 수서역 2번 출구에는 TMO가 설치되어 있다. 인근에 서울공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33] 지하철과 SRT 출구번호는 별개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지하철 2번 출구가 아니고, SRT 역사 1층 주차장 쪽으로 통하는 출구이다.

GTX A선 수서역과는 위치가 다르다. GTX 수서역은 SRT 수서역 서편의 지하에 위치할 예정이다. 어차피 이쪽으로는 길이 막혀 연장이 불가능하다.
  • 수도권 전철 최단길이 환승 및 하차구간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RT BI.svg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1호차
3호선, 수인·분당선 등 수도권 전철과 SRT 타는 곳은 지하 연결 통로로 이어져 있어 수도권 전철을 이용하기 위해 지상으로 나갈 필요가 없다.


4.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편집]


삼성

2
1

성남


섬식 승강장이며 통과선이 없는 1면 2선의 고상홈이다. #


5. 연계 교통[편집]



5.1. 도시철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수서역(수도권 전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수도권 전철 3호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정차하는 수서역이 인근에 있다.


5.2. 시내버스[편집]



5.2.1. 고속철도수서역(23150)[편집]


[31] 이보다 고속철도 이용객이 많은 역들은 명실상부 이용객 TOP3인 서울역(79,758명), 동대구역(44,063명), 부산역(43,611명) 뿐이다.[32] 특히 이들 지역은 고속철도일반철도전혀 지나가지도 않던 곳이라 불편이 여러모로 컸다. 특히 서울역이나 용산역까지 한방으로 연결되는 철도 역시 없었다. 그러나 수서역은 강남권을 지나가는 3호선, 그리고 성남시를 지나가는 분당선의 환승역이니 강남권과 성남시 주민들이 이용하기에 훨씬 편리하다. 또한, 강남권 및 성남시에서 용산역서울역의 거리가 매우 먼 것도 한 몫 했다. 잠실역에서 잠실대교를 타고 서울역을 가면 20.4km이 나오는데, 이는 공주역과 공주시내의 거리와 맞먹는다.[33] 관련 게시물, 2016-11-22, 디시인사이드 철도갤러리


파일:3191.jpg
SRT수서역 바로 앞에 있는 정류장으로 환승센터처럼 지어진 정류장이다.


5.2.2. 고속철도수서역(23320)[편집]




5.3. 주차장[편집]


수서역 주차장 검색 시 수서역과 붙어있는 SRT수서역 주차장과 북주차장이 나오는데 가격 차이는 크게 없고 SRT수서역 주차장쪽이 고속철도역과 압도적으로 가깝다.

SRT 수서역 주차장의 경우 하이패스를 통해 자동으로 주차요금 결제를 할 수 있는 게이트가 하나 있다. 사전 결제가 귀찮고 하이패스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이라면 사용해도 좋다.


5.4. 셔틀버스[편집]


삼성서울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으로는 병원에서 제공하는 셔틀버스로 갈 수 있다. SRT 3번 출구 쪽에 별도의 셔틀버스 승강장이 마련되어 있다.


5.5. 택시[편집]


SRT 3번 출구 쪽에 택시승강장이 있다. 이 승강장은 SRT 도착시간대에 혼잡하다. 만약에 운좋게 하차승강장에서 승객을 내리는 택시를 발견하면 바로 잡아타도 상관없다.

조금만 걸어가면 5번 출구 쪽에도 기존 지하철 승객들을 위한 택시승강장이 있다. 3번 출구 쪽의 택시승강장이 혼잡하면 이쪽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목적지가 성남시 쪽일 때 택시를 탄다면 카카오택시로 성남시 목적지 찍어서 콜을 불러 성남시 차적 택시를 탈 수 있다. 의외로 성남시에서 수서나 가락시장, 잠실, 강남쪽으로 가는 손님 태운 뒤 성남으로 되돌아갈 콜을 기다리는 택시가 많다. 만약에 성남 택시를 타면 시외할증이 붙지 않는다. 아니라면 지하철 3호선으로 한 정거장만 이동하면 가락시장역 2번 출구 쪽에 (특히 막차시간대) 성남시 택시가 성남시 가는 손님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성남시 중에서도 위례신도시 쪽이 목적지라면 서울 택시를 타더라도 할증이 붙지 않는다. 위례신도시가 서울/성남/하남 택시 공동사업구역이기 때문이다.


5.6. 기타[편집]


  • 잠실로 갈 때는 지하철 이용시 최소 한 번 갈아타야하지만 버스로는 환승 없이 바로 간다. 잠실역이 목적지라면 SRT 수서역 3번 출구로 나와 2412번을 탑승하는 걸 추천한다. 여기서 타는 것이 SRT 하차 직후 도보로 가장 가까운 정류장이기 때문. 롯데월드몰 정류장에서 2-1번 출구로 바로 들어갈 수 있다.
  • 5번 출구에서 3413번이나 16번을 타는 방법도 있다. 다만 야구나 농구를 보러 온 경우라면 지하철 1번 출구에서 333번을 타면 조금 돌아서 가기는 하지만 잠실야구장까지 환승 없이 갈 수 있으며, 프로농구의 서울 두 팀의 구장들도 잠실종합운동장에 소속되어 있다.
  • 군인들이나 면회객은 동서울터미널로 갈 경우가 많은데, 역시나 지하철로 가려 하면 두 번 갈아타는 수고가 필요하다.[34] 앞에 언급한 잠실역으로 가는 버스 루트를 따라 가서 2호선으로 환승하는 게 그나마 덜 귀찮기는 하나 도로 사정에 따라 시간이 들쭉날쭉해진다. 돈이 좀 더 들기는 하나 5600번이나 5700번 광역버스면 중간에 갈아탈 필요없이 동서울터미널로 갈 수 있다.
  • 심야 0~1시쯤에 버스나 지하철 등 다른 대중교통이 끝났을 경우, 일원동, 대치동, 강남역, 가락시장역 쪽이나 통일로 라인쪽으로 가야하는데 택시요금이 부담스럽거나 택시 대기가 길다면 택시 대신 지하철 수서역 1번 출구 앞 정류장에서 서울 버스 N37을 이용하자.[35][36] 강남역이나 종로 구간에서 타 심야버스 노선으로 환승하면 서울 대부분 지역으로 이동이 가능하다.[37]
  • 평일에 한해 N37번을 타고 복정역환승센터로 가면 성남 버스 반디1, 반디1-1번으로 환승해 복정역부터 오리역까지의 수인분당선 인근 지역으로 갈 수 있으며, 첫 4회(대략 새벽 2시까지)에 한해 반디1-1번으로 위례신도시로 들어갈 수 있다.


6. 역 주변 정보[편집]



6.1. 현재[편집]


수서역 인근은 일원동과 함께 1990년대에 수서지구라는 택지지구로 개발된 곳이다. 처음부터 부도심으로 개발할 생각이 있었고 중산층을 이주 대상으로 했던 양재천 북쪽 강남지역과는 달리 이곳은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한 주거지구로 개발되었으며, 개발규모가 크지 않아서 미개발된 개발제한구역 역시 많이 볼 수 있다.

SRT 수서역이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수서역 인근은 개발이 제한된 곳이 많아 역세권이 그리 번화하지 못했다.

서울 관문 역 중에서 유일하게 주변에 집창촌이 존재하지 않는 역이다. 서울역[38], 용산역[39], 청량리역[40], 영등포역[41] 등 서울의 주요 역사들은 예로부터 사창가가 존재했었는데, 수서역은 역사가 그리 오래 되지 않았고 개발제한구역도 있기 때문에 사창가가 존재하지 않는다.

6.2. 수서역세권개발사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수서역세권개발사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역세권개발사업수서역세권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다. SRT 수서역세권 내에 위치한 서울 강남구 수서동 197 일원 115,927㎡ 규모의 대지에 역사·판매·숙박·업무·문화 공간 등을 포함한 수서역 환승센터를 복합개발하는 사업이다. 환승센터(환승터미널, 환승주차장, 버스·택시 승하차장) 및 지하9층·지상26층 규모의 판매·업무·숙박시설 등으로 구성된 9개동의 환승지원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며, 여기에는 영업면적 약 83,000여㎡ (약 25,000평) 규모의 신세계백화점의 입점도 포함되어 있다. 2021년 6월 25일 사업주관자 후보자로 한화건설, 신세계, KT에스테이트로 구성된 한화건설 컨소시엄이 선정되었다. # 2026년 완공을 목표로 2023년 8월 착공할 예정이었으나, 지체되고 있는 수서광주선과의 연결통로 설치 등의 문제로 일정이 늦춰져 2024년 10월에 착공할 전망이다.

파일:수서역 복합환승센터 조감도.jpg


7. 미디어에서[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 런닝맨(예능 프로그램): 수서역 완공 후 개업 직전에 이곳에서 촬영을 했다.
  • 브로커(영화): 상현(송강호)의 마지막 모습이 이곳 대합실에서 촬영되었다.
  • 무인도의 디바(드라마): 7회에서 나왔다.


8. 사건사고[편집]


파일:수서역 KTXㅇㅅ.jpg
  • 2019년 8월 24일 SRT 제604열차 차량고장으로 KTX 비상대기차량이 임시 투입되기도 하였다.#
  • 2022년 12월 30일 SRT 통복터널 내 단전사고로 인해 많은 열차들이 고장나자 한국철도공사 측에서 KTX와 KTX-산천 열차를 비상투입했다. 이로 인해 수서역에서 SRT, KTX, KTX-산천이 모두 모인 진풍경을 볼 수 있었다. 이 당시 KTX 열차들은 차량만 바뀌었을 뿐 열번은 그대로 운행했고, 열차편명도 SRT로 유지되었다.[42]
[34] 지하철 최단루트는 3호선 타고 가락시장역에서 8호선으로 환승하고 잠실역에서 2호선으로 또 한 번. 최소환승 루트는 분당선 타고 선릉역에서 2호선 환승인데 이건 강남 방향으로 꺾어졌다 가기 때문에 시간이 걸린다.[35] 이에 해당하는 열차는 목포발 수서행 #668(00:54 도착), 부산발 수서행 #378(01:05 도착), 부산발 수서행 #380(01:17 도착) 열차이며, 이미 모든 지하철 노선이 운행을 종료했을 때 수서역에 도달하는 터라 N37번이 아니면 택시밖에 교통수단이 없다.[36] 평일 기준으로 환승 시간을 고려해도 광주송정발 수서행 #622(23:51 도착) 열차와 부산발 수서행 #376(00:20 도착) 열차까지는 3호선 막차가 남아있다. 자세히 살펴보자면 #622 열차는 3호선 24:00 오금행, 24:10 오금행, 24:14 독립문행, 24:24 오금행, 24:32 압구정행, 24:43 오금행 열차가 있으며, #376 열차는 24:32 압구정행, 24:43 오금행 열차가 있다. #622 열차는 시간만 보면 수인분당선 열차가 남아는 있으나 환승 시간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타기가 어렵다. 단, 주말 기준으로는 두 열차 모두 지하철 막차를 탈 수 없으며 대중교통 이용 시 무조건 N37번을 타야 한다.[37] 마포구 서부 지역이나 송파구 동부 지역 등 일부는 예외적으로 환승이 어렵거나 불가능해 이동이 안 된다.[38] 서울역 바로 앞쪽 '양동'이라고 불리는 구역에 집창촌이 있었다. 이후 아예 양동 지역을 다른 곳에 편입시켜 버리고, 사창가 지역도 완전히 재개발해버렸다. 지금 이 곳은 서울스퀘어, 힐튼호텔 등이 자리잡고 있다.[39] 2012년까지 용산역 바로 앞에는 집창촌 구역이 있었다. 지금은 재개발되어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 용산역 광장, 용산 푸르지오 써밋 등 광장과 주상복합 건물이 생겼다.[40] 과거 서울 대표 사창가로 청량리 588이 있었던 곳이다. 2020년 완전히 밀렸고, 이 자리에는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라는 주상복합 아파트가 생겼다.[41] 현재 서울 관문 역 중 유일하게 아직도 집창촌이 남아있는 곳이다. 심지어 이 집창촌 뒤에는 쪽방촌도 존재하고 있다. 앞에는 경방 타임스퀘어 건물과 신세계백화점이 있다.[42] 혼란 방지를 위해서인지 KTX의 자동 안내방송은 나오지 않았고, 승무원들의 육성 방송으로 정차역 안내를 했다. 또한, KTX 열차의 행선판은 수서행 열차가 서울행으로 표기되었다. 산천 열차는 그대로 수서행으로 표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9.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0:00:30에 나무위키 수서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