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춘궁

덤프버전 :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의 궁궐

[ 펼치기 · 접기 ]
개경
만월대 / 개경 본궐
수창궁
북천동궁
수춘궁
연경궁
명복궁
양화궁
현덕궁
북궁
승천부
강도
서경
동경
승천궐
고려궁지 / 강도 본궐
서궁
장락궁
대화궁
용덕궁
구제궁
좌우궁궐
조유궁
남경
동주
그 외
사찰 내 재궁
남경 별궁
태봉국 철원성
만월대 내 별궁
고려의 궁원
남궁
의종 대 별궁
삼소궁궐
흥왕사
안화사



1. 개요
2. 수춘궁 / 여정궁
2.1. 주요 건축
2.2. 기타 건축
2.3. 태자부


1. 개요[편집]


고려 왕조의 태자궁이다. 만월대 동남쪽에 위치했으며 왕태자와 태자비가 거주하고 산하기관이 있던 곳이다.

2. 수춘궁 / 여정궁[편집]


수춘궁은 고려의 동궁이다. 태자와 태자비가 살던 곳으로 인종 대까지 수춘궁, 이후엔 여정궁, 원 간섭기엔 세자궁으로 불렸다.

좌춘궁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고려도경에서만 나오는 명칭으로 고려사에선 수춘궁(壽春宮)이라 하였다.[1] 이후 인종 16년(1138년) 5월 여정궁(麗正宮)으로 바꾸었다. 고종 대에 강도로 천도 했을 때에도 여정궁이 존재했다. 원종 대에 태자가 세자로 격하되면서 세자궁(世子宮)으로 바뀌었다.

고려사 예지에 따르면 왕태자를 책봉할 때, 관례를 치를 때 모두 여정궁에서 행한다. 특히 관례를 치를 땐 특별히 치황의(梔黃衣)[2]를 입는 것이 허락된다. 왕태자가 결혼할 때도 여정전에서 결혼식이 이루어진다.

2.1. 주요 건축[편집]


고려도경에 따르면 궁궐은 고려 본궐보단 위세가 작았다고 한다. 고려도경에 나오는 궁문은:

  • 춘덕문(春德門)
본궐과 여정궁을 잇는 대문. 뜻은 봄 혹은 태자의 덕. 이자겸의 난 때 궁성을 뒤지고 있던 척준경이 이 문에 잠복한 근위대에 하마터면 죽을 뻔했다. 이후 인종16년(1138년) 5월 궁이 여정궁으로 바뀔 때 체통문(棣通門)으로 바꾼다.

  • 대화문(大和門)
춘덕문 다음의 문. 뜻은 큰 부드러움.

  • 원인문(元仁門)
대화문 다음의 문. 뜻은 큰 인자함.

  • 육덕문(育德門)
원인문 다음의 문. 뜻은 덕을 키우다.

  • 여정문(麗正門)
여정전의 대문으로 보인다.

  • 여정전(麗正殿)
여정궁과 이름이 같은 걸 보아 정전으로 보인다. 인종이 여정궁으로 이름을 바꾸기 전의 수춘궁을 묘사한 고려도경은 좌춘궁의 정전은 이름이 없으며 전각 안에 문왕세자 편을 기록해둔 병풍이 세워져 있다고 했다.

2.2. 기타 건축[편집]


  • 의춘루(宜春樓)
수춘궁에 있던 누각. 인종이 궁을 여정궁으로 바꿀 때 소휘루(韶暉樓)로 개칭한다.

  • 침문(寢門)
태자궁의 침전 대문인듯하다.

  • 둔문(屯門)
태자가 태자부를 받을 때 태자의 호위대가 사열하는 곳이다.

  • 동궁문(東宮門)
태자궁의 대문인듯한데 춘덕문과 동일한 문으로 보인다.

2.3. 태자부[편집]


고려의 삼사삼공
삼사(三師)
태사(太師)
태부(太傅)
태보(太保)
삼공(三公)
태위(太尉)
사도(司徒)
사공(司空)
태자부(太子府)
태자태사(太子太師)
태자태부(太子太傅)
태자태보(太子太保)
태자소사(太子少師)
태자소부(太子少傅)
태자소보(太子少保)


태자가 세워지면 그는 여정궁을 관저로 받게 되며 '동궁관(東宮官)', 혹 '태자부(太子府)'로 불리는 산하기관을 가지게 된다. 태자부는 일반 왕자들이 받는 산하기관 '제왕부(諸王府)'와 구분되며 더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다.

현종 원문대왕 대[3]에 최초로 태자부가 설치됐으며 문종 대[4]에 세분화되었다.[5] 이후엔 문종제를 고치기만 했다. 충렬왕 대[6]엔 태자부가 세자부(世子府)로 격하된다.

문종 대에 제정된 태자부 직렬은 다음과 같다. 태자부 수장은 왕태자였으며 태자의 스승으로 종 1품 태자태사(太子太師), 태자태부(太子太傅), 태자태보(太子太保)가 있었으며, 태자의 자문객으로 종 2품 태자소사(太子少師), 태자소부(太子少傅), 태자소보(太子少保)가 있었다.[7]

태자는 문벌귀족의 고위자제로 이루어진 동궁시위급사(東宮侍衛給使)[8] 10명과 동궁시위공자(東宮侍衛公子)[9] 20명을 거느릴 수 있었다.[10]

태자는 총 8부(府)의 군대를 거느리고 있었다. 태자 시위군 8부는 각각:

  • 좌내솔부(左內率府) - 우내솔부(右內率府)
  • 좌사어솔부(左司禦率府) - 우사어솔부(右司禦率府)
  • 좌감문솔부(左監門率府) - 우감문솔부(右監門率府)
  • 좌청도솔부(左淸道率府) - 우청도솔부(右淸道率府)

으로 8부 총지휘관은 '시위상장군(侍衛上將軍)', 8부 부지휘관은 '시위대장군(侍衛大將軍)'이다. 각 부의 지휘관은 솔(率)이며 부지휘관은 부솔(副率)이다.[11]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2:19:23에 나무위키 수춘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태자의 관저를 부르는 다른 명칭은 춘궁(春宮), 태자궁(太子宮), 동궁(東宮), 고려 말엔 세자궁(世子宮)이 있다.[2] 금색 의복으로 천자만이 입을 수 있다.[3] 당시 태자는 덕종 경강왕.[4] 당시 태자는 순종 선혜왕.[5] 당시 고려는 최전성기를 찍어 모든 분야에서 전문화, 세밀화가 진행됐다. 거기다 순종이 거진 30년 동안 태자 노릇을 하다보니 아버지 문종은 순종의 힘을 키워주기 위해 태자부를 강화시키고자 했다.[6] 당시 세자는 충선왕.[7] 자세한건 삼사 문서의 태자부(동궁관) 항목 참조.[8] 최소 정 5품 이상 관료의 자제들.[9] 최소 정 3품 이상 관료의 자제들. 춘방(春坊)시위공자라고도 한다. 동궁과 춘방은 같은 뜻이다.[10] 신종 정효왕 대엔 태자가 문관 및 무관의 자제들을 거느렸다. 정부가 무신정권 하에 있기에 이렇게 변한 것.[11] 이 8부는 국왕군 2군 6위(통칭 8위)를 따르되 제도를 한단계 낮추고 변경하여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