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흥군

덤프버전 :





1. 개요
2. 역사


1. 개요[편집]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북서부에 있었던 . 영주시 순흥면, 부석면, 단산면봉화군 봉화읍, 물야면 일부가 순흥군에 속했다.


2. 역사[편집]


고구려 시절에는 급벌산(及伐山)군이었으며, 이후에 신라가 차지하면서 경덕왕 때는 급산(及山)군으로 개칭하여 9주 5소경 체제에서 삭주(우수주)에 소속되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940년에는 흥주(興州)가 되었으며, 1018년에는 순안(順安)현으로 된 뒤에 안동부에 속했다. 충렬왕 시절에는 흥녕(興寧)현으로 승격하면서 안동부에 속했던 시절에서 벗어나고 행정 구역으로 자립하고 그 지역에 현령을 두었다. 충숙왕 시절에는 지흥주사(知興州事)로 승격되고 이후에 충목왕 시절에는 순흥부로 승격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413년에는 도호부를 두면서 순흥도호부가 되었다.

도호부를 둘 정도로 중요했던 고을이었지만 1453년에 수양대군계유정난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1455년에 단종에게 선위를 받으면서 임금이 되었다. 이러한 임금이 되기 위한 과정을 거친 수양대군에게 반대파들은 이를 단종의 왕위를 강제로 빼앗은 찬탈로 받아들였다. 그래서 반대파들은 사육신 사건을 비롯한 단종복위운동을 전개했지만 대부분 실패하면서 처형이나 유배로 되거나 탄압을 받았다. 한편 단종 복위운동의 영향으로 눈치와 의심을 사고 있었던 단종은 노산군으로 강등되어서 영월로 유배갔다.

그리고 순흥부에 유배 생활을 하고 있었던 금성대군은 1457년에 계유정난을 일으키고 단종을 강제 선위를 했던 세조와 지지하는 신하들을 몰아내고 단종 복위를 주도했던 사람들을 중심으로 정권을 장악한 뒤에 단종을 복위시키려는 거사(정변)를 준비했다. 그러나 거사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계획을 짰던 금성대군은 사사되었고, 단종 또한 마찬가지로 목숨을 앗아갔다. 그래서 반역의 고을이 된 순흥도호부는 폐지가 되었으며 영천(榮川), 풍기, 봉화로 땅이 나뉘게 되었다. 한편 단종복위운동으로 인하여 수많은 순흥도호부 백성들이 죽어나갔으며, 순흥 청다리에서 시작된 피가 강을 흘러 안정면 동촌리까지 흘렀다고 하는 정축지변으로 알려진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1]

순흥도호부가 폐지되면서 영천, 풍기, 봉화로 나눠진 채로 이어지다가[2] 1683년에 숙종이 노산군을 단종이라는 묘호를 내렸고, 단종복위운동을 주도한 사육신과 금성대군의 명예를 회복하면서 역사적인 재평가가 이루어졌으며[3] 이때 행정구역으로 사라졌던 순흥도호부도 역시 복구되었다. 1895년에 조선에서 오랫동안 행정체제로 자리를 잡고있었던 8도를 폐지하고 23부제가 설치되면서 행정구역 개편과 함께 안동부 순흥군으로 개편됐다가 1896년에 13도제 실시로 경상북도에 소속이 되어서 경상북도 순흥군이 되었다. 1914년에 부군면 통폐합으로 풍기군과 함께 영천군에 통합되어 현재 영주시의 일부가 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3:19:24에 나무위키 순흥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는 조선왕조실록에서 하나도 안 나오며 순흥에서 군대를 이끌고 마음대로 백성들을 도륙이나 약탈하고 학살까지 한 적은 없었다.[2] 그래서 중종 시절에 발간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순흥을 찾을 수 없다.[3] 참고로 1차 왕자의 난때 살해당한 이방번이방석을 각각 무안대군과 의안대군으로 추증하고 명나라에서 받은 시호로 대우를 받은 공정왕을 정종이라는 묘호를 받은 것도 이때의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