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마린 스위프트

덤프버전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upermarine_Swift_FR.5_WK281_79.S_ABIN_15.06.68.jpg
'Supermarine Swift'
운용과 퇴역
초도비행
1948년 12월 29일
도입
1954년
퇴역
1970년대



1. 개요[편집]




슈퍼마린 스위프트는 슈퍼마린 사에서 1950년대 제작한 영국의 제트 전투기, 요격기이다. 급한 도입 과정과 운용 도중 많은 사고가 일어나 운용 기간은 길지 않다.


2. 개발[편집]


슈퍼마린 스위프트의 등장은 처음부터 늦게 나올 예정이 아니였다. 당장 스위프트의 기반이 된 슈퍼마린 어태커만 해도 슈퍼마린 스핏파이어를 개량한 슈퍼마린 스파잇풀을 기반으로 설계된 기체였기 때문에 개발을 더 빨리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클레멘트 애틀리 수상의 노동당 내각이 들어서면서 예산문제때문에 군축을 하면서 항공기 개발에 제동을 걸었다. 그 결과 슈퍼마린 사는 크게 줄어든 개발 보조 예산때문에[1] 어태커의 개발을 천천히 진행하면서 실기는 못만들지만 일단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설계를 하자는 방향으로 갔다. 그때 마침 영국이 후퇴각을 적용한 제트 전투기를 필요했고 슈퍼마린사가 해당 프로젝트에 참가하면서 스위프트가 탄생하게 된다.

스위프트는 다양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가면서 개발된 기체였다. 첫 프로토타입은 슈퍼마린 어태커를 기반으로 후퇴익을 적용한 슈퍼마린 510이었다.(이하 언급되는 모델은 슈퍼마린 사내에서 개발했던 모델이므로 '타입(type) xxx'로 지칭한다.) 해당 모델은 어태커에 후퇴익만 적용한 상태여서 아직도 테일휠 기어를 장착하고 있었다. 타입 510은 1948년에 처녀비행을 성공해서 영국에서 최초로 후퇴각을 적용한 기체로 함상에서 이착륙하게 된다. 두번째 프로토타입은 꼬리날개에도 후퇴각을 적용한 1950년 3월에 첫 비행을 한 타입 528이었으며. 그 다음엔 설계를 조금 더 수정한 타입 535가 1950년 8월에 첫 비행을 했다. 마지막 프로토타입은 타입 541로, 엔진을 넨(Nene)에서 에이본(Avon)으로 교체했다. 이 때 스위프트라는 이름을 얻었다.

1951년, 노동당 내각이 무너져서 정권이 교체되면서 윈스턴 처칠이 재집권하자 다시 신무기 개발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전쟁제2차 세계대전때 등장한 더웬트 I보다 1.5배 이상 출력이 증가한 더웬트 VIII엔진을 장착한 글로스터 미티어 F Mk.8도 MiG-15의 상대할 수 없다는 것으로 판명되어 영국은 후퇴익을 단 전투기를 매우 급하게 보유할려고 했다. 당시 후퇴익 제트 전투기 프로젝트에 참가한 회사는 슈퍼마린사와 호커사였고 영국 정부는 급한만큼 두 회사에게 일단 후퇴각 전투기를 만들어오라고 했다. 두 회사중 먼저 전투기를 선보인 회사는 슈퍼마린사였다. 그러자 영국이 시제기에 대해서 자잘하게 검증을 하지 않고 먼저 100대 양산을 준비했다. 그렇게 스위프트는 도입되었다.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너무 급하게 도입한 결과 스위프트는 처음부터 다양한 문제가 속출했다. 먼저 스위프트 F.Mk 1이 도입되고 바로 같은 달에 영국 공군의 요구 사항대로 30mm ADEN 기관포를 4문 장착한 F.Mk 2를 도입했다. 일단 Mk 1은 엔진 문제와 실속 문제가 심각했다. 롤스로이스 에이본 엔진은 영국이 최초로 양산한 축류식 터보제트엔진(Axial flow turbojet engine)이었지만 롤스로이스도 낯선 방식의 엔진이었던 축류식 터보제트에 대한 노하우가 부족해서 엔진 잔고장과 결함이 잦았다. 이점은 슈퍼마린사도, 호커사도 어쩔 수 없었던 문제였지만 영국 정부는 롤스로이스사의 엔진을 너무 신뢰한 나머지 무작정 양산을 해서 항공기에 장착한 탓이었다. 이 문제는 호커사의 경우 에이본 엔진 대신 암스트롱-시들리 사의 사파이어(Sapphire) 엔진을 장착해서 호커 헌터의 3번째 프로토타입를 비행시켰을 정도로 심각했다. 하지만 슈퍼마린사는 정부의 압력을 이길 수 없었기 때문에 해당 문제를 피할 수가 없었다. 한편 실속 문제는 후퇴각을 도입하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한 문제였으며 이는 설계진들이 여러번 항공기를 날리면서 얻은 데이타를 통해 주익 설계를 개선해서 해결된다. 제일 큰 골치덩어리는 F.Mk 2였다. 영국 공군의 요구사항때문에 주익에도 30mm ADEN 기관포 2문을 장착하면서 주익이 무거워졌고 비행성에 약영향을 주었다. 거기에다가 기관포 사격시에 나오는 포연과 진동이 엔진의 잔고장을 더욱 유발시켰기 때문에 F.Mk 2는 온갖 악평을 들어야만 했다. F.Mk 2를 보고 총체적인 난국(Abysmal Failure)이라는 말이 나왔을 정도였다.

스위프트는 초도분이 도입된 이후 영국 정부는 스위프트에 질렸다. 그리고 바로 계획된 생산량을 줄여버렸다. 이후 슈퍼마린사가 요격기로 사용하기 적합하게 애프터버너를 적용하고 안정성을 최대한 개선하는 방향으로 F.Mk 3F.Mk 4를 선보였지만 영국 공군은 한번 생긴 불신때문에 여전히 도입량이 적었다. 이와중에 애프터버너가 저고도에서 꺼지기도 한다는 문제까지 나타나면서 영국 공군은 스위프트를 더이상 지상에서 운용할 생각을 버렸다. 이후 정찰기 역할을 할 수 있게 카메라를 장착한 FR.Mk 5가 등장했고 마지막으로 영국군이 운용한 스위프트가 되었다. 최종적으로 스위프트의 생산량은 197대였다. 1955년 슈퍼마린 사는 레이더를 기수에 장착하고 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는 F.Mk 7도 만들었지만 영국 공군은 차라리 훨씬 설계가 안정적이고 30mm 기관포 4정을 장착한 호커 헌터를 사용할 작정이었기 때문에 도입되지 못했다.

초기 설계형(Mk 1~2)은 버드케이지 캐노피와 전형적인 후퇴익을 장착하였지만, 후기형(Mk 3~4)은 위 사진처럼 버블 캐노피가 적용되었으며, 후퇴익 특유의 익단 실속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그투스가 적용되었고, 수직 미익도 더 커졌다. Mk 5와 7은 각각 카메라와 레이다를 장착하기 위해 기수가 더 길쭉해졌다. 스위프트는 분명히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했지만, 1955년 정부의 가장 큰 스캔들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스위프트 초기의 문제는 당대 영국 항공사에 대한 전체적인 불신을 야기할 정도였다. 다만 당시 영국 정부가 충분하지 못한 예산으로 단시간에 최고의 전투기를 요구한 것은 어느 정도 사실이었으며, 특히 엔진 문제는 스위프트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 호커 헌터조차도 피할 수 없었던 점이었음을 생각하면 대영제국의 쇠락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면이었다.


3. 제원[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Supermarine_Swift.svg.png

슈퍼마린 스위프트 FR Mk. 5
분류: 단발단좌 터보제트 전투기
제작국가: 영국
사용국가: 영국
승무원 : 1명
전장 : 12.88m
전폭 : 9.85m
전고 : 4.02m
자체중량 : 6,094kg
최대이륙중량 : 9,381kg
최대속도 : 1,148km/h
엔진: 롤스로이스 에이본 RA.7R(Avon 114) 터보제트 1기
최고 고도: 13,960m
상승 속도: 74.5m/s
전투 행동 반경: 1,014 km
무장: 30mm ADEN 기관포 2문[2]


4. 파생형[편집]


  • 타입 510(Type 510): 스위프트의 기반이 되는 시제안. 슈퍼마린 어태커에 후퇴각을 도입한 것이 전부였다.

  • 타입 517(Type 517): 수평미익이 통째로 엘리베이터 역할을 하는 꼬리 날개를 장착한 시제안.

  • 타입 535(Type 535_: 렌딩기어를 세발 자전거식으로 바꾼 시제안

  • 스위프트 F.Mk 1(Swift F.Mk 1): 첫 양산기. 30mm ADEN 2문으로 무장했다.

  • 스위프트 F.Mk 2(Swift F.Mk 2): 화력을 강화한 버전. 4문의 30mm ADEN으로 무장했는데 스위프트의 양산기중 가장 문제가 많았던 버전이었다.

  • 스위프트 F.Mk 3(Swift F.Mk 3): 애프터버너를 사용할 수 있는 엔진을 장착한 버전. 무장은 다시 기관포 2문으로 돌아갔다. 다만 지상에서는 가동이 안된다던가 고고도에서 꺼지는 등 애프터버너와 관련된 엔진 성능에 문제가 많았다.

  • 스위프트 F.Mk 4(Swift F.Mk 4): 스위프트의 마지막 전투기 버전. 1953년 9월 26일에 1,187km/h라는 속도를 내는데 성공해서 세상에서 가장 빠른 비행기라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해당 기록은 8일만에 미국의 F4D 스카이레이에 의해 깨졌지만, 영국이 마지막으로 최속의 비행기라는 공식 기록을 가진 순간이었다.

  • 스위프트 FR.Mk 5(Swift FR.Mk 5): 사진정찰기 버전으로 기수를 늘리고 그 안에 카메라 3개를 집어넣었다. 가장 오래동안 운용된 스위프트이다.

  • 스위프트 F.Mk 7(Swift F.Mk 7): 기수를 늘려 레이다를 장착해서 공대공 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게 만든 버전. 페어라 파이어플래시(Fairey Fireflash) 2발을 장착할 수 있었으며 기총은 제거되었다. 총 14대가 생산되었지만 이미 영국 공군은 스위프트에 질렸기 때문에 공군에 도입되지는 않았다.


5. 기타[편집]


  • 월드 오브 워플레인에서 스핏파이어트리 10티어 전투기로 등장한다. 다만, 동체는 초기형이 적용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6:03:22에 나무위키 슈퍼마린 스위프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말이 좋아 줄어든이지 40년대 말 신무기 개발 예산이 거의 다 짤렸다고 봐도 좋다.[2] 폭장이 가능하지만 폭장을 하고 운용된 적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