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우/보스 몬스터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스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리마스터 전 스우에 대한 내용은 스우/보스 몬스터/리마스터 전 문서
스우/보스 몬스터/리마스터 전번 문단을
스우/보스 몬스터/리마스터 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메이플스토리 로고_골드.png

보스 몬스터 목록
[ 레이드 보스 ]
-1
||<tablebgcolor=#333333><rowbgcolor=#333333><tablecolor=white><tablewidth=100%>
[[마왕 발록|
[[파일:썸네일_발록.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발록 {{{#c3c3c3 이지}}}  
]]
||
[[자쿰(메이플스토리)|
[[파일:썸네일_자쿰.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자쿰 {{{#c3c3c3 이지}}} · {{{#33aabb 노멀}}} · {{{#ffddbb 카오스}}}
]]
||
[[매그너스(메이플스토리)/보스 몬스터|
[[파일:썸네일_매그.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매그너스 {{{#c3c3c3 이지}}} · {{{#33aabb 노멀}}} · {{{#cc4477 하드}}}  
]]
||
[[힐라/보스 몬스터|
[[파일:썸네일_힐라2.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힐라 {{{#33aabb 노멀}}} · {{{#cc4477 하드}}}  
]]
||
[[카웅|
[[파일:썸네일_카웅2.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카웅 {{{#33aabb 노멀}}}  
]]
|| ||<rowbgcolor=#333333>
[[파풀라투스|
[[파일:썸네일_파풀2.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파풀라투스 {{{#c3c3c3 이지}}} · {{{#33aabb 노멀}}} · {{{#ffddbb 카오스}}}
]]
||
[[반반(메이플스토리)|
[[파일:썸네일_반반2.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반반 {{{#33aabb 노멀}}} · {{{#ffddbb 카오스}}}  
]]
||
[[피에르(메이플스토리)|
[[파일:썸네일_피에르2.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피에르 {{{#33aabb 노멀}}} · {{{#ffddbb 카오스}}}  
]]
||
[[블러디 퀸|
[[파일:썸네일_블퀸2.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블러디 퀸 {{{#33aabb 노멀}}} · {{{#ffddbb 카오스}}}  
]]
||
[[벨룸/보스 몬스터|
[[파일:썸네일_벨룸.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벨룸 {{{#33aabb 노멀}}} · {{{#ffddbb 카오스}}}  
]]
|| ||<rowbgcolor=#333333>
[[반 레온/보스 몬스터|
[[파일:썸네일_반레온2.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반 레온 {{{#c3c3c3 이지}}} · {{{#33aabb 노멀}}} · {{{#cc4477 하드}}}  
]]
||
[[혼테일|
[[파일:썸네일_혼테일.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혼테일 {{{#c3c3c3 이지}}} · {{{#33aabb 노멀}}} · {{{#ffddbb 카오스}}}
]]
||
[[아카이럼/보스 몬스터|
[[파일:썸네일_아카이럼2.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아카이럼 {{{#c3c3c3 이지}}} · {{{#33aabb 노멀}}}  
]]
||
[[핑크빈|
[[파일:썸네일_핑크빈.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핑크빈 {{{#33aabb 노멀}}} · {{{#ffddbb 카오스}}}  
]]
||
[[시그너스(메이플스토리)/보스 몬스터|
[[파일:썸네일_시그2.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시그너스 {{{#c3c3c3 이지}}} · {{{#33aabb 노멀}}}  
]]
|| ||<rowbgcolor=#333333>
[[스우/보스 몬스터|
[[파일:썸네일_스우.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스우 {{{#33aabb 노멀}}} · {{{#cc4477 하드}}}  
]]
||
[[데미안(메이플스토리)/보스 몬스터 |
[[파일:썸네일_데미안.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데미안 {{{#33aabb 노멀}}} · {{{#cc4477 하드}}}  
]]
||
[[가디언 엔젤 슬라임|
[[파일:썸네일_가엔슬.png|width=100%]]
[[파일:보스_공백.png |width=20%]]
{{{-1 가디언 엔젤[br]슬라임}}} {{{#33aabb 노멀}}} · {{{#ffddbb 카오스}}}
]]
||
[[루시드(메이플스토리)/보스 몬스터|
[[파일:썸네일_루시드.png|width=100%]]
[[파일:아케인포스 아이콘.png|width=15%]]
루시드 {{{#c3c3c3 이지}}} · {{{#33aabb 노멀}}} · {{{#cc4477 하드}}}  
]]
||
[[윌(메이플스토리)/보스 몬스터|
[[파일:썸네일_윌.png|width=100%]]
[[파일:아케인포스 아이콘.png|width=15%]]
윌 {{{#c3c3c3 이지}}} · {{{#33aabb 노멀}}} · {{{#cc4477 하드}}}  
]]
|| ||<rowbgcolor=#333333>
[[거대 괴수 더스크|
[[파일:썸네일_더스크.png|width=100%]]
[[파일:아케인포스 아이콘.png|width=15%]]
더스크 {{{#33aabb 노멀}}} · {{{#ffddbb 카오스}}}  
]]
||
[[진 힐라|
[[파일:썸네일_진힐라.png|width=100%]]
[[파일:아케인포스 아이콘.png|width=15%]]
진 힐라 {{{#33aabb 노멀}}} · {{{#cc4477 하드}}}  
]]
||
[[친위대장 듄켈/보스 몬스터|
[[파일:썸네일_듄켈.png|width=100%]]
[[파일:아케인포스 아이콘.png|width=15%]]
듄켈 {{{#33aabb 노멀}}} · {{{#cc4477 하드}}}  
]]
||
[[검은 마법사/보스 몬스터|
[[파일:썸네일_검마.png|width=100%]]
[[파일:아케인포스 아이콘.png|width=15%]]
검은 마법사 {{{#cc4477 하드}}} · {{{#ee4455 익스트림}}}  
]]
||
[[선택받은 세렌|
[[파일:썸네일_세렌.png|width=100%]]
[[파일:어센틱포스 아이콘.png |width=15%]]
선택받은 세렌 {{{#33aabb 노멀}}} · {{{#cc4477 하드}}} · {{{#ee4455 익스트림}}}
]]
|| ||<rowbgcolor=#333333>
[[감시자 칼로스|
[[파일:썸네일_칼로스.png|width=100%]]
[[파일:어센틱포스 아이콘.png |width=15%]]
감시자 칼로스
{{{#c3c3c3 이지}}} · {{{#33aabb 노멀}}} · {{{#ffddbb 카오스}}} · {{{#ee4455 익스트림}}}
]]
||
[[카링/보스 몬스터|
[[파일:썸네일_카링.png|width=100%]]
[[파일:어센틱포스 아이콘.png |width=15%]]
카링
{{{#c3c3c3 이지}}} · {{{#33aabb 노멀}}} · {{{#cc4477 하드}}} · {{{#ee4455 익스트림}}}
]]
|| ||<-5> {{{-1 [[파일:아케인포스 아이콘.png|width=16]] : '''[[아케인포스|{{{#b787fe 아케인포스}}}]]'''를 요구하는 보스[br][[파일:어센틱포스 아이콘.png|width=16]] : '''[[어센틱포스|{{{#92d3f7 어센틱포스}}}]]'''를 요구하는 보스}}} ||
||
||
||






스우
Lotus
파일:BossList.13.mob.png
마크파일:보스아이콘b_스우_2페이즈.png
노멀 · 하드 · 익스트림
레벨 제한190
주요 보상파일:루즈 컨트롤 머신 마크.png
루즈 컨트롤 머신 마크


파일:블랙 하트.png
손상된 블랙 하트

컴플리트 언더컨트롤
출현 위치블랙헤븐: 코어
테마곡
경계하는 코어 (Phase 1)
해방된 코어 (Phase 2)
폭주하는 함선 (Phase 3)
표기
GMSLotus
JMSスウ
CMS斯乌
TMS史烏
1. 개요
2. 난이도
2.1. 메이플스토리
2.1.1. 스토리 모드
2.1.1.1. 페이즈 1
2.1.1.2. 페이즈 2
2.1.1.3. 페이즈 3
2.1.2. 노멀 모드
2.1.2.1. 페이즈 1
2.1.2.2. 페이즈 2
2.1.2.3. 페이즈 3
2.1.3. 하드 모드
2.1.3.1. 페이즈 1
2.1.3.2. 페이즈 2
2.1.3.3. 페이즈 3
2.1.4. 익스트림 모드
2.2. 메이플스토리M (단일 난이도)
3. 공격 패턴
3.1. 공통
3.2. 페이즈 1
3.2.1. 맵 패턴
3.2.2. 본체 패턴
3.3. 페이즈 2
3.3.1. 맵 패턴
3.3.2. 본체 패턴
3.4. 페이즈 3
3.4.1. 맵 패턴
3.4.2. 본체 패턴
4. 보스에 대한 평가
4.1. 리마스터 이전
4.2. 리마스터 이후
5. 공략
6. 역사
7. 보상
7.1. 노멀 모드
7.2. 하드 모드
7.2.1. 군단장의 흔적
7.3. 익스트림 모드
8. 기타
9. 외부 링크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리마스우2.png
보스 몬스터 군단장 스우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보스 몬스터 중 하나. 모바일 버전인 《메이플스토리M》의 스우에 대한 내용도 서술한다.

2014년 11월 26일 출시되었으며, 출시 당시에는 하드 모드만 있었으나, 2015년 1월 16일 패치로 노멀 난이도가 추가되었다. 모바일 버전인 메이플스토리M에는 2021년 7월 29일 패치로 추가되었다.

매그너스가 즉사기를 적용하여 컨트롤을 시험하기 시작한 보스라면, 스우는 페이즈를 통한 단계형 공략을 본격적으로 도입한 보스 몬스터라고 볼 수 있다.

2024년 1월 23일 기준 노멀 스우를 최소 1회 클리어 한 유저는 13.48%[1], 하드 스우를 최소 1회 클리어 한 유저는 6.38%이다.[2] 그리고 노멀 1인 클리어에 최소 1회 성공한 유저는 11.00%[3], 하드 1인 클리어에 최소 1회 성공한 유저는 3.17%이다.[4]

하드 스우 격파 업적이 배정된 직업은 팬텀[5] 1개 직업이다.

2. 난이도[편집]


파일:선택창_스우.png





2.1. 메이플스토리[편집]



2.1.1. 스토리 모드[편집]


블랙헤븐 스토리 진행 중의 스우는 아래 모드들에 비해 매우 약하며, 패턴의 난도 역시 그다지 높지 않다. 예를 들어 페이즈 1에서 최대 체력 비례 100% 피해를 입혔던 레이저 패턴은 데미지가 30% 밖에 안되고, 자폭 로봇이 상태이상을 걸지도 않는다.

하지만 테마 던전의 허접한 보스랑은 비교가 안 되게 강하다. 노멀/하드 스우에 비해 덜 아플 뿐이지 공격을 피하는 난이도는 동일하고 대부분의 공격들이 HP 비례 데미지라서 자칫 방심하다가는 여러대 피격을 당해서 죽을 수 있다. 게다가 물약 쿨타임 역시 그대로 적용된다. 체력도 테마 던전 보스들에 비하면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많고, 플레이어의 레벨에 따라 난이도가 조정되는 터라 레벨을 올려서 잡으러 가려고 해도 소용 없다. 때문에 5차 전직도 안 한 상태에서 도전한다면 조금 고전할 수 있다. 특히나 메이플스토리를 완전히 처음 접해본 쌩뉴비라면 평타 한 두방에 간단히 잡을 수 있는 필드 몬스터나 10초도 안 돼서 간단히 잡을 수 있던 테마 던전 보스들만 상대하다가 본인의 캐릭터를 2~3방에 끝장낼 수 있는 패턴들로 무장한 데다가 체력도 많은 스토리 스우를 처음 상대한다면 당황할 수 있다.

그래도 두 번 공략에 실패하면 배선을 조작해 스우를 약화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4개에 90도 각도로 돌아가던 레이저가 3개에 120도 각도로 변경되며 슈퍼넉백 효과는 사라지고 체력과 공격력도 약해져서 손쉽게 잡을 수 있다.

250레벨 기준으로 블랙헤븐 스우 1페이즈의 체력은 고작 15억에 불과한 정도다.[7] 175레벨을 기준으로 2, 3페이즈 각각 8억 9000만 정도.


2.1.1.1. 페이즈 1[편집]

블랙헤븐 코어
파일:보스아이콘b_스우_1페이즈.png
최대 15억
||
파일:remaster_스우_phase1.gif
레벨플레이어 레벨과 동일
HP최대 1,500,000,000 (15억)
MP???
EXP???
반감모든 속성 반감
위치블랙헤븐 내부 : 코어
테마곡Gravity Core
제한 시간30분
물리 공격???
마법 공격???
물리 방어30%
마법 방어30%
이동 속도고정형
데스카운트5


2.1.1.2. 페이즈 2[편집]

스우
파일:보스아이콘b_스우_2페이즈.png
최대 25억
||
파일:remaster_스우_phase2.gif
레벨플레이어 레벨과 동일
HP최대 2,500,000,000 (25억)
MP???
EXP???
반감모든 속성 반감
위치블랙헤븐 내부 : 코어
테마곡Gravity Lord
제한 시간30분
물리 공격???
마법 공격???
물리 방어30%
마법 방어30%
이동 속도0
데스카운트5


2.1.1.3. 페이즈 3[편집]

스우
최대 35억
||
파일:remaster_스우_phase3.gif
레벨플레이어 레벨과 동일
HP최대 3,500,000,000 (35억)
MP???
EXP???
반감모든 속성 반감
위치블랙헤븐 내부 : 코어
테마곡Gravity Lord Rise
제한 시간30분
물리 공격???
마법 공격???
물리 방어30%
마법 방어30%
이동 속도0
데스카운트5


2.1.2. 노멀 모드[편집]


2015년 1월 14일 추가된 난이도. 여기부터 방어율이 300%대를 유지한다.

총 체력은 1,500,000,000,000 (1조 5000억).


2.1.2.1. 페이즈 1[편집]

블랙헤븐 코어
파일:보스아이콘b_스우_1페이즈.png
4000억
||
파일:remaster_스우_phase1.gif
레벨210
HP400,000,000,000 (4000억)
MP10,000,000
EXP30,000,000
반감모든 속성 반감
위치블랙헤븐 : 경계하는 코어
테마곡Gravity Core
제한 시간30분
물리 공격46,000
마법 공격36,000
물리 방어300%
마법 방어300%
이동 속도고정형
입장 레벨190
데스카운트5


2.1.2.2. 페이즈 2[편집]

스우
파일:보스아이콘b_스우_2페이즈.png
4000억
||
파일:remaster_스우_phase2.gif
레벨210
HP400,000,000,000 (4000억)
MP10,000,000
EXP30,000,000
반감모든 속성 반감
위치블랙헤븐 : 해당된 코어
테마곡Gravity Lord
제한 시간30분
물리 공격46,000
마법 공격36,000
물리 방어300%
마법 방어300%
이동 속도0
입장 레벨190
데스카운트5



2.1.2.3. 페이즈 3[편집]

스우
7000억
||
파일:remaster_스우_phase3.gif
레벨210
HP700,000,000,000 (7000억)
MP10,000,000
EXP33,000,000
반감모든 속성 반감
위치블랙헤븐 : 폭주하는 함선
테마곡Gravity Lord Rise
제한 시간30분
물리 공격46,000
마법 공격36,000
물리 방어300%
마법 방어300%
이동 속도0
결정 가격31,397,803 (3139만 7803)
입장 레벨190
데스카운트5




2.1.3. 하드 모드[편집]



총 체력은 31,800,000,000,000 (33조 7000억).


2.1.3.1. 페이즈 1[편집]

블랙헤븐 코어
파일:보스아이콘b_스우_1페이즈.png
10조
||
파일:remaster_스우_phase1.gif
레벨210
HP10,000,000,000,000 (10조)
MP10,000,000
EXP30,000,000
반감모든 속성 반감
위치블랙헤븐 내부 : 경계하는 코어
테마곡Gravity Core
제한 시간30분
물리 공격46,000
마법 공격36,000
물리 방어300%
마법 방어300%
이동 속도고정형
입장 레벨190
데스카운트5


2.1.3.2. 페이즈 2[편집]

스우
파일:보스아이콘b_스우_2페이즈.png
10조
||
파일:remaster_스우_phase2.gif
레벨210
HP10,000,000,000,000 (10조)
MP10,000,000
EXP30,000,000
반감모든 속성 반감
위치블랙헤븐 : 해방된 코어
테마곡Gravity Lord
제한 시간30분
물리 공격46,000
마법 공격36,000
물리 방어300%
마법 방어300%
이동 속도0
입장 레벨190
데스카운트5


2.1.3.3. 페이즈 3[편집]

스우
13조 7000억
||
파일:remaster_스우_phase3.gif
레벨210
HP 13,700,000,000,000 (13조 7000억)
MP10,000,000
EXP30,000,000
반감모든 속성 반감
위치블랙헤븐 : 폭주하는 함선
테마곡Gravity Lord Rise
제한 시간30분
물리 공격46,000
마법 공격36,000
물리 방어300%
마법 방어300%
이동 속도0
결정 가격112,707,970 (1억 1270만 7970)
입장 레벨190
데스카운트5


2.1.4. 익스트림 모드[편집]


2024년 4월 18일에 익스트림 모드가 추가될 예정이다. 노멀 칼로스와 카링 사이의 난이도로 설계되었으며, 2인 이하 파티로만 입장할 수 있다. 추정 체력은 약 1000조 가량이다. 체력 자체는 노멀 칼로스와 비슷하지만 익스트림 스우는 레벨이 285레벨인데다 포뻥 시스템도 없으며, 보호막 패턴이 존재하기에 실질적인 체력은 꽤 차이날 것으로 추정된다.

2.2. 메이플스토리M (단일 난이도)[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메이플스토리M의 스우 난이도에 대한 내용은 스우/보스 몬스터/리마스터 전 문서
2.2번 문단을
스우/보스 몬스터/리마스터 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공격 패턴[편집]



3.1. 공통[편집]


리메이크 된 스우만의 고유 시스템으로, 스우 난이도 조절의 핵심 패턴이다. 모든 플레이어는 스우의 레이드에서 푸른색의 개인 게이지를 가진다. 이 게이지는 레이드 중 지속적으로 차오르며, 스우의 일부 조준형 패턴에 피격될 경우에도 상승한다. 반대로 그 일부 패턴을 유도해서 스우에게 맞출 경우 게이지는 하락한다.

경계 레벨 상승, 섬멸을 재개합니다.

1, 2 페이즈에서 푸른 게이지가 전부 차오르면 상기의 대사와 함께 경계 레벨 게이지가 붉은 색으로 변하며, 지속적으로 하락한다. 그동안 스우는 패턴이 강화되고 즉사기인 침입자 격퇴 프로토콜을 추가로 사용한다.

경계 레벨 하락, 섬멸을 종료합니다.

붉은 게이지가 전부 하락하면 상기의 대사와 함께 패턴이 원래대로 돌아온다.

동력 복구 완료, 최대 경계 모드로 이행합니다.

시스템 과열, 안전 모드로 전환합니다.

한편, 3 페이즈에서는 최대 경계 모드가 기본 상태가 되며, 오히려 플레이어가 게이지를 능동적으로 최저치까지 하락시켜 패턴을 약화하고 그것을 시스템이 복구하는 역전세계가 발생한다. 적극적으로 스우를 약화시키지 않으면 딜 타임 자체를 확보할 수 없게 되므로 레이저 유도의 중요성이 크게 높아진다.

3.2. 페이즈 1[편집]


침입자 감지. 시스템을 공격 체제로 전환합니다.



3.2.1. 맵 패턴[편집]





3.2.2. 본체 패턴[편집]





3.3. 페이즈 2[편집]


침입자 제거 실패. 보안 단계를 격상합니다.



3.3.1. 맵 패턴[편집]





3.3.2. 본체 패턴[편집]





3.4. 페이즈 3[편집]


통제 불가. 통제 불가. 통제 불가. 통제 불가. 최종 단계로 유인. 모든 생명체를 말살합니다.



3.4.1. 맵 패턴[편집]





3.4.2. 본체 패턴[편집]


으흑. 오르카, 나는 그저...

격파 완료 후 송출되는 스우의 음성.

크흑, 저건, 대체...

팬텀으로 격파 성공 시 고유 음성 스크립트가 송출된다.


4. 보스에 대한 평가[편집]



4.1. 리마스터 이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스우/보스 몬스터/리마스터 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리마스터 이후[편집]


2024년 4월 18일 21주년 이벤트 1차 업데이트를 통해 보스 자체를 리마스터 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말 그대로 이름만 '스우'로 같은, 아예 모든 부분에서 전면 개편이 이뤄졌다.

기존 메이플스토리의 보스들이 가지고 있던 메타를 상당 부분 탈피하였는데, 특히 리마스터로 추가된 페이즈별 컷신은 기존의 일명 '눈 번쩍 원툴'로 불리던 연출에서 던전앤파이터와 유사한 도트 애니메이션을 도입했다. 하이 마운틴의 타이누스에 이어 2번째.

전반적인 패턴 역시 기존 '똥피하기' 원툴에서 벗어나 순발력과 뇌지컬을 요구하는 패턴이 다수 포함되었지만, 체력을 지속적으로 갉아먹는 조준형 맵패턴에 더해 기절을 동반하는 낙하물 + 본체의 슈퍼 넉백 콤보는 여전하여 아차 하는 사이에 체력이 갈려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맵 패턴 상당수의 데미지가 낮아지고 상태이상이 사라졌음에도 물약 쿨타임이 5초[9] 그대로라는 점에서, 경계 레벨을 올리지 않은 상태의 스우에게서 생존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고 평가된다.

문제는 딜링. 체력 비례 데미지가 연속으로 들어오기에 '즉사기만 피한다'는 마인드로는 어림도 없으며, 특히 스우 본체의 근접 패턴은 전부 피해줘야 하기 때문에 극딜 / 평딜 불문하고 움직임으로 인한 딜로스가 상당하다. 그로 인해 아직은 '리마스터 이전이 훨씬 쉽고 약하다.'[10][11]는 평가를 받고 있다. 체력 관리에 용이한 회복, 무적기와 쉴새없이 난무하는 패턴을 피하기 좋은 유틸을 가진 직업은 유리한 반면, 일리움, 모험가 전사처럼 기동성이 부실하거나 후딜로 인해 조작이 번거로운 직업이나 회복기, 무적기가 전무한 직업, 레디 투 다이를 사용하는 직업은 평딜은 커녕 극딜마저도 편하게 넣을 수 없어 직업간 격차가 매우 크다.

여러 모로 기존에 있던 일부 보스 패턴을 하나씩 차용한 듯한 느낌을 주는 리마스터로, 특히 검은 마법사의 사슬, 더스크의 촉수, 세렌의 6방향 레이저와 거의 비슷한 느낌의 공격은 아예 메인 패턴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 리마스터 이전 패턴인 고철과 중력장 등은 이전 보다 위험도가 크게 줄었다.

5. 공략[편집]







6. 역사[편집]



6.1. 메이플스토리[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리마스터 이전 내용에 대한 내용은 스우/보스 몬스터/리마스터 전 문서
7.1번 문단을
스우/보스 몬스터/리마스터 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1. 익스트림 모드[편집]




6.2. 메이플스토리M[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리마스터 이전 내용에 대한 내용은 스우/보스 몬스터/리마스터 전 문서
7.2번 문단을
스우/보스 몬스터/리마스터 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보상[편집]



7.1. 노멀 모드[편집]


파일:노멀 스우 보상 간결화.png
[12]



7.2. 하드 모드[편집]









7.2.1. 군단장의 흔적[편집]


관련 퀘스트 한정 보상. '하드 스우'는 제네시스 무기 해방 퀘스트 도중 네 번째로 잡아야 하는 보스이다.

이전 순서인 반 레온, 아카이럼, 매그너스가 아주 쉬운 난이도를 배정받은 것과 달리 유저의 컨트롤과 스펙을 제대로 따지기 시작하므로 실질적인 해방 퀘스트의 시작이라 평가받는 구간이다. 스우 퀘스트부터 아이템 장착 제한 패널티가 사라져 평소 본인이 끼던 모든 무기/장비를 장착하고 도전할 수 있다. 패널티는 순수하게 '1인 격파+최종 데미지 20% 감소'.

만약 본인이 매달 검은 마법사 격수로 시작해 해방 퀘스트를 진행하는 유저라면 크게 어렵지 않겠지만 스펙이 부족한 상태에서 먹자로 해방 퀘스트를 진행한 유저라면 스펙, 직업에 따라 막힐 수 있는 구간이다. 따라서 스우부터는 본격적인 해방 퀘스트를 진행하기 이전 패널티가 없는 상태로 혼자 하드 스우 클리어가 가능한지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고 다음으로 클리어 타임을 단축시키는 것을 추천한다.

여담으로 다음 순서인 데미안 격파 보다 실질적인 난이도가 더 높다고 평가받는다. 데미안은 최종 데미지 감소 없이 패널티가 '데스 카운트 감소'인데, 딜량이 충분해도 컨트롤이 안 좋으면 생존이 어렵게 설계된 스우와 달리 데미안은 애초에 컨트롤 보다 유저의 깡스펙을 측정하는 성격이 강한 보스라서 생존 난이도는 데미안이 압도적으로 쉽기 때문이다.

7.3. 익스트림 모드[편집]








8. 기타[편집]



9. 외부 링크[편집]




10. 둘러보기[편집]


메이플스토리 레이드 보스
메이플 월드블록버스터
미래의 문블랙헤븐히어로즈 오브 메이플
타락한 여제 시그너스스우데미안
[1] '정신 차려 이 친구야' 업적의 달성 비율.[2] '아팠스우?' 업적의 달성 비율.[3] '스우는 나 혼자서도 충분했어' 업적의 달성 비율.[4] '어케했스우?' 업적의 달성 비율.[5] 당신이 웃는 모습을 다시 한번 보고 싶어[6] 과거엔 스우에 도전하려면 도전할 캐릭터가 블랙헤븐 ACT.6를 모두 마쳐야 했으나 DREAMER 패치 이후로는 블랙헤븐을 클리어할 필요가 없어졌다. 단, 본가 메이플만 해당하며, 모바일판인 메이플스토리M에서는 여전히 블랙헤븐을 완료해야 한다.[7] 노멀 힐라의 3배. 200레벨만 넘어도 대부분 노멀 힐라 정도는 바인드도 필요 없이 순삭시키고 나온다는 걸 생각하면...[8] 스우는 노멀/하드 공통으로 3페이즈에서는 미미하게 체력을 지속적으로 회복한다.[9] 익스트림은 10초.[10] 아직 출시 초기라서 연구에 따라 추후 평이 바뀔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 반응은 리마스터 이전에는 그래도 거의 모든 문제점이 고철 관련으로 몰려있어 '더럽지만 그래도 단순하다.'였지만 리마스터 이후에는 '파훼법 자체는 정직하지만 여러 패턴이 너무 겹쳐 오히려 피하기 더 힘들다.'는 평이 많다.[11] 물론 이는 고철만 잘 피하면 2, 3페이즈에서 매우 유리했던 공략법에 유저들이 아주 오랜 시간 적응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12] 2021년 8월 12일부터 노멀 스우 이상의 보스들의 보상이 간략화되었으며 더 이상 수상한 큐브를 드롭하지 않게 되었고, 2023년 4월 20일 크로스 헌터가 개편되며 십자 코인도 드롭하지 않는다. 추가로 위 스크린샷에서 제일 왼쪽에 보이는 아이템은 스크린샷이 찍힐 당시(메이플 LIVE) 보스에게서만 떨어졌던 이벤트 전용 코인.[13] 원가 대비 약 4.399% 증가.[14] 앱솔랩스 코인 교환에 사용된다.[15] 원가 대비 약 59.615% 증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우(메이플스토리) 문서의 r154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스우(메이플스토리) 문서의 r15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09 19:53:31에 나무위키 스우/보스 몬스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