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즈키 케이시

최근 편집일시 :

스즈키 케이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69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최다 승리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호크스)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버팔로즈)


나리타 후미오
(롯데 오리온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77-1978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최다 승리
1976
야마다 히사시
(한큐 브레이브스)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버팔로즈)


1979
야마다 히사시
(한큐 브레이브스)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78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최우수 방어율
야마다 히사시
(한큐 브레이브스)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버팔로즈)


야마구치 테츠지
(킨테츠 버팔로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67-1972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최다 탈삼진
1966
타나카 츠토무
(니시테츠 라이온즈)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버팔로즈)


1973
나리타 후미오
(롯데 오리온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74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최다 탈삼진
1973
나리타 후미오
(롯데 오리온즈)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버팔로즈)


1975
히가시오 오사무
(타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78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최다 탈삼진
1977
무라타 쵸지
(롯데 오리온즈)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버팔로즈)


1979
무라타 쵸지
(롯데 오리온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69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베스트나인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호크스)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버팔로즈)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오리온즈)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75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베스트나인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오리온즈)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버팔로즈)


1976-1977
야마다 히사시
(한큐 브레이브스)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1978년 일본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베스트나인
1976-1977
야마다 히사시
(한큐 브레이브스)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버팔로즈)


1979
야마다 히사시
(한큐 브레이브스)

{{{#ccac00 [[킨테츠 버팔로즈|킨테츠 버팔로즈]] 등번호 1번}}}
야노우라 쿠니미츠
(1963~1965)

스즈키 케이시
(1966~1985)


영구 결번
{{{#ffffff [[킨테츠 버팔로즈|킨테츠 버팔로즈]] 등번호 70번}}}
곤도 히로시
(1988~1989)

스즈키 케이시
(1993~1995)


코바야시 시게루
(1997~2001)



파일:스즈키 케이시.jpg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No.1
스즈키 케이시
鈴木啓示 | Keishi Suzuki

생년월일
1947년 9월 28일 (76세)
국적
[[일본|

일본
display: none; display: 일본"
행정구
]]

출신지
효고현 니시와키시
신체
181cm / 86kg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
학력
이쿠에이 고등학교(育英高等学校)
프로입단
1965년 드래프트 2위
소속팀
킨테츠 버팔로즈 (1966~1985)
지도자
킨테츠 버팔로즈 감독 (1993~1995)

1. 소개
2. 선수 시절
3. 감독 시절
4. 기타
5. 연도별 성적



1. 소개[편집]


일본의 전 프로야구선수이자 감독. 일본프로야구 최후의 300승 투수.

별명이자 인생의 좌우명은 초혼(草魂). 약팀에 있으면서, 공의 위력이 떨어져가는 와중에도 잡초처럼 무너지지 않았던 그의 선수생활을 빗댄 별명이라 하겠다.


2. 선수 시절[편집]


원래는 오른손잡이었지만, 4살 때 오른팔 골절을 당한 것과 더불어 프로야구 선수로 아들을 키우고 싶었던 아버지의 권유로 왼손잡이로 바꿨다. 그 후 이쿠에이 고등학교[1]로 진학하여 에이스 투수로 활약하며 춘계 코시엔에 한 차례 진출했고, 고교 졸업 후 일본프로야구 사상 첫 드래프트가 개최된 1965년, 드래프트 2위로 킨테츠 버팔로즈에 입단했다. 원래는 한신 타이거스의 1위 지명이 유력했지만, 한신은 스즈키 대신 이시도코 미키오라는 투수를 지명한다.[2]

입단 첫 해에 10승 12패, 방어율 3.19의 신인으로썬 뛰어난 성적을 거둔데 이어 2년차인 1967년, 44경기에 등판에 21승[3] 13패 평균자책 2.77의 호성적을 거두고, 탈삼진 222개로 퍼시픽리그 탈삼진 1위를 차지하면서 킨테츠의 에이스로 자리매김 했다. 이듬해에도 25승에 무려 305탈삼진을 기록하였고, 그 뒤로도 좌완 파이어볼러로서 1967년부터 5년 연속 20승[4], 6년 연속 퍼시픽리그 탈삼진 1위를 기록하며 에이스의 역할을 톡톡히 하였다. 1969년엔 24승을 거두며 처음으로 다승왕도 수상했다. 동시기 센트럴리그에도 에나츠 유타카가 센트럴리그 탈삼진 1위를 6년 연속으로 기록하며, 세리그의 에나츠, 파리그의 스즈키라 불렸다.

그러나 1972년부터 갑자기 탈삼진이 크게 줄어드는 등[5] 구위가 크게 나빠지기 시작했고, 스즈키는 서서히 기교파 투수로의 변신을 꾀하게 된다. 처음에는 기교파로의 변신을 위한 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의 지도를 못마땅하게 여겨 한신 타이거스로의 트레이드도 고민했지만, 1975년 시범경기에서 4이닝 4실점으로 털리고 난 다음에야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였다고. 그러면서 제2의 전성기가 오게 되었다. 스즈키의 커리어하이 시즌도 사실 기교파 투수로 완전히 변신한 이후부터였다. 대표적인 게 1977년 시즌 20승을 거두며 2번째 다승왕을 수상한 것과, 현역 시절 최고의 퍼포먼스를 보여준 1978년 시즌이었는데 이해 성적은 25승(1위)[6] 10패 평균자책 2.02(1위) 178탈삼진(1위)의 놀라운 성적을 거뒀고, 일본프로야구 최후의 단일시즌 25승 투수가 된 시즌이다.

그렇게 선수 생활을 이어 오며 킨테츠의 암흑기 탈출 및 퍼시픽리그 2연패(및 첫 리그 우승)의 주역으로써 활약하기도 했으나, 20년차 시즌인 1985년 시즌 도중 결국 노쇠화를 견디지 못하고 은퇴한다. 은퇴 후 그의 등번호 1번은 퍼시픽 리그 최초이자 킨테츠 최초의 영구 결번으로 지정된다.[7]

킨테츠에서만 20년을 보내면서 통산 317승(역대 4위, NPB의 마지막 300승), 288선발승(역대 1위[8]) 선발 등판 577번[9](역대 3위), 340완투[10], 71완봉승(둘 다 퍼시픽리그 역대 1위), 개막전 역대 최다승(9승), 20승 이상 시즌 8번(퍼시픽리그 타이기록) 등의 기록을 보유하였다. 또한 통산 3061탈삼진(역대 4위), 무사사구 경기 78경기(역대 1위), 560피홈런(역대 1위) 등의 기록도 있는데, 이는 파이어볼러로서 정면승부를 즐겨 했고, 기교파로 전향한 다음에도 그 성향을 완전히 버리지 못했음을 보여준다.[11]

참고로 300승 이상을 기록한 투수 6명 중[12] 유일하게 한 팀(킨테츠)에서만 선수 생활을 한 인물이다. 그야말로 킨테츠를 위해서만 뛰어온 사나이..


3. 감독 시절[편집]


이렇게 영광의 선수시절을 보낸 그이지만, 감독 시절은 영 좋지 못했다. 전체적인 평은 자신의 생각만 지나치게 고집하는 감독.[13] 어쩐지 누군가와 많이 비슷한 평이다. 감독으로 처음 부임하자마자 1993년 스프링캠프에서 스파이크를 신고 러닝 훈련을 하라 했지만, 트레이닝 코치였던 타치바나 류지가 겨울에 스파이크를 신고 러닝하면 다리를 다칠 수 있다는 이유로 거부하자 타치바나와 싸우다가 동년 시즌 종료 후 그가 퇴단하는 일도 있었을 정도. 성적도 4-2-6으로 별로 좋지 않았다. 그나마 중간의 1994년 성적인 2도 전반기까지 최하위였다가 타선이 폭발하면서 겨우 오릭스와 공동으로 해낸 성적.[14]

그러나 역시 감독직에서 물러나게 한 결정타는 노모 히데오에 대한 비난. 노모가 긴테츠에서 뛰었을 때 둘의 사이는 별로 좋지 않았고[15] 스즈키 케이시 본인부터가 긴테츠의 레전드여서 본인의 의견이 너무 강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불화를 일으킨 게 문제. 거기다 요시이 마사토 등과도 여러 차례 불화를 일으켜서 노모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로 떠나고, 요시이는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이적하는 최악의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스즈키는 그 후로도 노모의 메이저리그 진출은 인생 최대의 마스터베이션이라는 혹평을 내릴 정도로 노모 등과 다른 선수들을 비난하다 1995년 최하위를 찍으며 시즌 도중 감독직에서 해임된다.[16][17] 그 뒤 긴테츠는 나시다 마사타카가 2001년 리그 우승을 할 때까지 내내 하위권에만 있어야 했다. 그리고 일본제일 그런거 없었다. 영원히 왠지 팀의 상징색이 비슷한 모 팀의 레전드로서 감독하다 588 찍고 재계약하려 했지만 여론의 뭇매 맞고 자진사퇴하신 것과 더불어 팀의 암흑기를 부른 모 각동님너무나도 비슷한 행보지만 넘어가자


4. 기타[편집]


다른 의미로나쌩. 유래는 다음과 같은데, 신인이던 1966년에 올스타전에 출전하여 같은 좌완 투수이자 대선배이던 가네다 마사이치(당시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에게 커브볼 던지는 방법을 배울려고 하자 ‘배우고 싶으면 돈을 갖고 와라’(...)는 말을 듣고 빡쳐서(...) 적개심을 불태우게 된다. 그리고 가네다가 롯데 오리온스의 감독이 되자 그 화를 풀면서(...) 가네다가 감독으로 있던 1973년부터 1978년까지의 6시즌 동안 롯데전 통산 26승 8패의 성적을 남겼다. 이런 것마저 각동님을 닮았던 건가... 아니지 정확히는 각동님이 스즈키를 닮았다고 해야 할 지도

간사이 사철 3개팀에서 각각 뛰었던 요네다 테츠야(한큐), 카도타 히로미츠(난카이)와의 대담에서 아래의 일화 등을 회상했다.

- 요네다 : 한큐는 자금 지출에 소극적이었으며 계약 갱신 시 전례가 없다, 전례를 깰 것이냐라며 선수들과 항상 싸웠다.

- 스즈키 : 간사이 3개 구단 중 월급은 난카이가 제일 좋았음. 오사카 구장에 가보면 노무라 카츠야를 비롯한 주력들은 모두 외제차를 보유했으나. 킨테츠는 겨우 토요타 코로나를 탔다.

- 카도타 : 그렇지 않다. 아킬레스 건 부상을 입었을 때 고치 캠프에 들 것이 없어서 문짝에 실려 옮겨졌다. 그런 환경에서 야구를 하던 팀이었으니 구단이 돈이 많다고는 생각이 안 된다.

- 카도타 : 센트럴리그와 격차는 분명히 있다. TV중계도 없고, 신문기사에 실리는 것은 경기결과 뿐.

- 요네다 : 퍼시픽리그는 화제 만들기에 필사적이었다. 후쿠모토 유타카와 말을 경주하는 이벤트까지 할 정도 였다.

- 카도타 : 퍼시픽리그의 구장들은 더러웠다. 난카이 2군 구장은 특히 프로가 사용할 구장이 아니었다. 2군으로 강등되면 한시라도 빨리 탈출하고 싶었다.

- 스즈키 : 킨테츠의 경우 후지이데라 구장, 일본생명 구장을 썼는데 특히 일본생명 구장은 홈팀만 라커룸을 사용하고 있어 원정팀은 더러운 복도에 신문지를 깔고 옷을 갈아입곤 했다. 그게 미안했다.

- 요네다 : 오사카 구장과 일본생명 구장은 너무 좁았다.

- 카도타 : 오사카 구장과 일본생명 구장 모두 절구 모양으로 생겨서 좁고 야유가 잘 들렸다.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은 반대로 넓고 다카라즈카 가극단이 있어서 있는지 야유도 상냥했다.

- 요네다 : 벤치의 목소리보다 스탠드의 조롱이 더 컸다.

- 카도타 : 모두 전철회사 구단들이라 오너들끼리 경쟁은 대단했다.

- 스즈키 : 킨테츠의 천황이라고 불렀다. 킨테츠 오너는 간사이 지방에서는 중진이고 어디보다도 윗자리에 앉는다. 근데 팀 성적이 좋지 않아서 그게 굴욕이었고 "올해야말로"를 연발하셨다. 노력해야겠다 생각했다.

- 요네다 : 전철회사 구단에서 뛰어서 좋은 건 사원증을 이용해 마음껏 전철을 탈 수 있다는 것. 경기 때 늘 기차로 이동했다. 그리고 다카라즈카 가극단과 신년회를 함께 해서 그것이 인연으로 3명의 선배가 단원들과 결혼했다. 한큐에서 자랑할 수 있는건 이정도?

- 스즈키 : 한큐가 매각됐을 때 사철회사가 구단을 가지는 시대는 끝났다. 옛 시대의 종언이었다.

- 카도타 : 오사카 구장 그라운드에 주택 전시장을 만들었을 때는 슬펐고 눈물도 나오지 않았다.



5. 연도별 성적[편집]


통산 기록
연도
소속
경기
선발
완투
완봉
이닝



ERA
피안타
사사구
탈삼진
WHIP
1966


46
21
6
3
189
10
12
-
3.19
163
54
160
1.13
1967
44
34
19
(1위)
4
276
21
13
-
2.77
230
47
222
(1위)
0.99
1968
57
40
18
7
359
(1위)
23
21
-
2.48
273
97
305
(1위)
1.01
1969
46
39
28
(1위)
7
330⅔
(1위)
24
(1위)
13
-
2.50
265
83
286
(1위)
1.02
1970
45
36
(1위)
22
(1위)
3
313⅔
21
14
-
2.75
261
(1위)
80
247
(1위)
1.08
1971
43
36
(1위)
25
(1위)
7
(1위)
291⅓
(1위)
21
15
-
3.22
221
115
269
(1위)
1.13
1972
43
31
14
5
(1위)
242
14
15
-
3.42
213
111
180
(1위)
1.30
1973
30
24
14
4
171⅔
11
13
-
3.40
127
97
119
1.27
1974
36
32
14
(1위)
3
229
(1위)
12
15
(1위)
1
3.22
195
(1위)
70
141
(1위)
1.15
1975
33
28
18
3
239⅓
22
6
0
2.26
191
51
107
1.00
1976
37
31
24
(1위)
4
265⅔
(1위)
18
15
0
2.67
241
47
129
1.07
1977
39
33
24
(1위)
7
(1위)
267⅔
20
(1위)
12
1
2.35
225
47
144
0.99
1978
37
35
(1위)
30
(1위)
8
(1위)
294⅓
25
(1위)
10
0
2.02
(1위)
234
49
178
(1위)
0.94
1979
24
19
6
1
134⅔
10
8
0
4.40
148
41
91
1.37
1980
26
24
12
2
179
14
8
0
3.87
161
55
100
1.19
1981
22
21
8
0
123
5
11
0
5.12
142
29
42
1.37
1982
24
24
16
0
190⅓
11
10
0
3.70
199
36
100
1.16
1983
28
28
23
(1위)
7
(1위)
226
14
11
0
3.70
232
32
101
1.16
1984
28
28
17
0
213
16
10
0
3.76
217
50
102
1.23
1985
15
13
2
0
65
5
6
0
7.89
91
29
38
1.83
NPB 통산
(20시즌)

703
577
(3위)
340[18]
71[19]
4600⅓
(4위)
317
(4위)
238
(5위)
2
3.11
4029
(5위)
1216
3061
(4위)
1.12

붉은 색은 시즌 최고 기록, 파란 색은 리그 최고 기록.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23:06:55에 나무위키 스즈키 케이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도호쿠 지역의 야구 명문교인 센다이 이쿠에이 고등학교와 다른 학교다. 효고 현의 이쿠에이 고등학교는 고시엔 제패에 성공했다.[2] 이시도코는 입단 후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하다가 급성 심부전에 걸리는 바람에 통산 1승 1패에 그친 채 데뷔 5년 만인 1970년을 끝으로 은퇴했다.[3] 20선발승으로 그 해 유일한 선발 20승 이상[4] 67년 20선발승, 69년 23선발승, 78년 25선발승을 거두었는데 이들 중 78년 25선발승은 그 해 유일한 선발 20승 이상 기록이자 역대 좌완 최다 선발승 기록으로 남아 있다[5] 269개 → 180개. 그렇지만 이 해도 탈삼진 1위를 기록했다. 6년 연속 탈삼진 1위 기록의 마지막 해. 이후에도 2번 더 탈삼진 1위를 기록한다.[6] 그 해 유일한 선발 20승 이상이었는데 역대 단일시즌 좌완 최다 선발승 기록이기도 하다[7] 그러나 킨테츠는 2004년 재정난으로 오릭스 블루웨이브와 합병되었고, 상단에 나오듯 스즈키가 오릭스의 영구 결번 제의를 거부하면서 영구 결번은 무효 처리된다.[8] 통산 400승의 가네다 마사이치는 의외로 통산 3위(268승).[9] 그 당시로서는 보편적이였던 불펜 알바를 정말로 싫어했다 한다. 그래서인지 통산 구원승은 29승밖에 없으며, 통산 세이브도 달랑 2세이브.[10] 단일시즌 30완투, 10연속 완투승 기록(1978년, 각각 퍼시픽리그 기록)도 있다.[11] 다만 당시 긴테쓰의 홈구장이었던 후지이데라 구장일본생명 구장의 크기가 작았던 것도 감안할 필요는 있다.[12] 카네다 마사이치, 요네다 테츠야, 코야마 마사아키, 벳쇼 다케히코, 스즈키 케이시, 빅토르 스타르핀[13] 본인도 인정했다. "역부족이었다. 내가 공을 던지는 기분으로 했으니까, 선수들을 제대로 사용했어야 하는데 오히려 위축시킨 적도 있었다. 지금 생각하면 반성할 것이 너무 많다. 나시다 마사타카도 코치해서 도와주려 했지만 그게 안 됐다."[14] 전반기 최하위였다 7월 26일부터 8월 10일까지 13연승, 8월 말까지 32승 6패(승률 .842)를 기록하며 8월 31일 기준 선두 세이부를 1경기차까지 따라잡는다(이 때도 오릭스와 공동 2위). 그런데, 시즌 초부터 오른쪽 어깨 통증을 호소했던 노모 히데오가 8월 중에 결국 뻗어버리고(노모가 개막을 앞두고 어깨 통증을 호소하니까 스즈키 감독은 지금까지는 네 부모가 준 어깨로 던졌으니, 지금부터는 너의 어깨로 던져라라는 개드립을 치고 그대로 선발 로테이션에 집어넣어 버렸다), 노모가 이탈하자 승률도 속절없이 추락(9-10월 동안의 승률은 .429), 선두 세이부와 7.5경기차, 4위 다이에와 승차 없는 공동 2위로 시즌을 마감한다. 오릭스와 다이에도 같이 추락해서 겨우 2위를 한 것이지, 안 그랬다면 또 B클래스였다.[15] 노모는 타치바나 코치와 전임 감독이었던 오기 아키라를 신뢰하는 쪽이였다.[16] 잔여 시즌은 히로시마, 한큐 출신의 미즈타니 지츠오 코치가 감독대행을 맡았으나, 결국 1987년 이후 8년 만에 킨테츠는 최하위로 추락하고 만다.[17] 거기다 1995년 노모가 메이저리그에 가서 센세이션을 일으켰고, 요시이는 그 해 야쿠르트의 일본시리즈 우승에 크나큰 공헌을 했으며 타치바나는 그 해 파리그 막장팀이던 치바 롯데 마린즈바비 발렌타인과 함께 2위로 올려놓은 것까지 겹치는 바람에 스즈키는 최악의 감독으로 찍히게 된다.[18] 3위, 퍼시픽리그 1위[19] 5위, 퍼시픽리그 1위

관련 문서